[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7304B1 - 도어 댐퍼용 완충기 - Google Patents

도어 댐퍼용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304B1
KR101147304B1 KR1020100022315A KR20100022315A KR101147304B1 KR 101147304 B1 KR101147304 B1 KR 101147304B1 KR 1020100022315 A KR1020100022315 A KR 1020100022315A KR 20100022315 A KR20100022315 A KR 20100022315A KR 101147304 B1 KR101147304 B1 KR 10114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fluid
disk
shock absorb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134A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102010002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3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흐름을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완충작용이 신속하면서 정확한 도어 댐퍼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고 스프링(57)이 삽입된 바디(52)와, 상기 바디(52)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57)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피스톤부재(54)와, 상기 피스톤부재(54)에 결합된 작동핀(56)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재(54)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5423)이 형성된 피스톤(542); 상기 피스톤(542)의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56)을 타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크(544); 유체가 이송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단턱(5469)과 홈(5468)이 형성된 헤드(54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댐퍼용 완충기{SHOCK ABSORBER FOR FURNITURE'S DOOR}
본 발명은 문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흐름을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어 완충작용이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 댐퍼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댐퍼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문을 닫을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닫히도록 함으로써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도어 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 댐퍼에 적용된 완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도어 댐퍼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도어 댐퍼(D)는, 문(100a)에 연결되는 제 1고정부(1a), 가구(200a)의 내벽에 부착되는 제 2고정부(2a); 상기 제 2고정부(2a)에 장착되는 완충커버(3a)와, 상기 완충커버(3a)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문(100a)에 지지되는 완충기(5a)로 구성된다.
상기 완충기(5a)는 완충커버(3a)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원통형의 바디(52a)와, 상기 바디(52a)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부재(54a)와, 상기 피스톤부재(54a)에 결합된 작동핀(56a) 및 상기 바디(52a) 내에 삽입되어 피스톤부재(54a)를 지지하는 탄성체(57a)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부재(54a)는 바디(52a)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지며, 내측에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다수의 통공(5421a)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핀(56a)에 결합된 피스톤(542a); 상기 피스톤(542a)의 전단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56a)에 결합된 원판상의 디스크(544a); 상기 작동핀(56a)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주에 형성된 환부(5460a)의 양측에는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절개부(5461a) 및 홀(5462a)이 형성된 헤드(546a)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524a는 바디(52a)에 결합되어 밀봉시키는 덮개를 의미한다.
상기 피스톤부재(54a)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을 닫아 작동핀(56a)이 가압되므로 피스톤부재(54a)가 바디(52a)의 안쪽으로 인입되므로(도면에서는 하강되는 방향임.) 유체는 피스톤(542a)의 외주면과 바디(52a)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S)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를 정방향 이동이라 하며, 유체의 흐름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소량의 유체가 틈새(S)를 통과하므로 문이 닫히는 시간이 지연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을 열면, 작동핀(56a)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므로, 탄성체(57a)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재(54a)가 상승되고, 유체는 피스톤(542a)의 통공(5421a)을 통해 이동되며, 디스크(544a)를 밀어 그 틈(ST)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헤드(546a)의 절개부(5461a) 및 홀(5462a)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를 역방향 이동이라 하며, 작동핀(56a)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유체의 흐름속도가 너무 느려 피스톤부재(54a) 및 작동핀(56a)의 복귀시간이 너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댐퍼에 내장되는 피스톤부재의 구조를 개량하여, 유체의 정,역방향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댐퍼의 복귀시간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어 댐퍼용 완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고 스프링이 삽입된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에 결합된 작동핀을 포함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바디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핀에 결합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 보다 큰 직경의 통공이 형성되어 작동핀을 타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크; 상기 작동핀의 단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단턱과 홈이 교호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일면 중앙에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중앙홈이 형성됨으로써,상기 디스크의 작동범위는 가이드돌기가 중앙홈 내에서 이동되는 간격으로 한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크는 타면에 다수의 엠보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의 단턱에 접촉되었을때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부재의 구조를 개량하여, 내부에 충진된 유체의 정,역방향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댐퍼의 복귀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아울러 작동이 정확해지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 댐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 댐퍼에 적용된 완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도어 댐퍼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댐퍼용 완충기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댐퍼용 완충기의 결합된 단면도로써 도 6은 인입시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7은 인출시의 작동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댐퍼용 완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댐퍼용 완충기의 결합된 단면도로써 도 6은 인입시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7은 인출시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댐퍼용 완충기(5)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고 스프링(57)이 삽입된 바디(52)와, 상기 바디(52)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57)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피스톤부재(54)와, 상기 피스톤부재(54)에 결합된 작동핀(56)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부재(54)는
바디(52)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다수의 요홈(542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핀(56)에 결합된 피스톤(542);
상기 피스톤(542)의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56) 보다 큰 직경의 통공(5449)이 형성되어 작동핀(56)을 타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크(544);
상기 작동핀(56)의 단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단턱(5469)과 홈(5468)이 교호 형성된 헤드(546)를 포함한다.
바디(52)는 내부가 빈 원통체이며, 일단부는 막혀있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핀(56)이 결합되는 덮개(524)로 밀봉되며, 내부에는 오일과 같은 유체가 충진되고, 스프링(57)이 내부에 삽입된다.
작동핀(56)은 일정 길이를 갖는 핀부재로써 일단부에 피스톤부재(54)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덮개(524)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전후진 작동될 수 있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부위에 패킹이 결합되어 밀봉처리된다.
피스톤(542)은 작동핀(56)의 하단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이며, 외주면이 바디(52)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바디(52)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피스톤(542)의 외주면과 바디(52)의 내벽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고, 특히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요홈(5423)이 바디(5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디스크(544)는 작동핀(56) 보다 큰 직경의 통공(5449)이 형성되어 작동핀(56)을 타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부재(54)의 인입시에는 피스톤(542)의 전단부에 밀착되고, 인출시에는 피스톤(542)과 이격되도록 한 것으로, 인출시에는 피스톤(542)에 이격되지만 헤드(546)에 근접됨으로써 유체가 디스크(544)의 외주면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통공(5449)을 통해서도 이동될 수 있어 유체의 이동량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디스크(544)가 고정된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542)과 바디(52)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틈새(S)를 통해서만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기에 유체 이동량이 적어지게 되어 복귀시간이 지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스크(544)가 피스톤(54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유체가 중앙의 통공(5449)과 외주면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이동량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로인해 복귀시간이 신속하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544)는 일면 중앙에 돌출된 가이드돌기(5447)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542)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돌기(5447)가 삽입되도록 중앙홈(54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544)의 작동범위는 가이드돌기(5447)가 중앙홈(5425) 내에서 이동되는 간격으로 한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544)는 타면, 즉 헤드(546)에 접하는 면에 다수의 엠보(544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546)의 단턱(5469)에 접촉되었을때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틈(ST)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상기 엠보(5443)는 반구형의 돌기를 의미하나 그 형상은 반드시 반구형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헤드(546)는 상기 작동핀(56)의 단부에 결합되는 원통체이며, 상기 디스크(544)에 대응되도록 상단에는 다수의 단턱(5469)과 홈(5468)이 교호 형성됨으로써 상기 홈(5468)을 통해 유체가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완충기(5)를 도어 댐퍼(D)에 결합시킨 후 도어 댐퍼(D)를 가구의 내벽에 부착시킨다.
따라서 완충기(5)의 작동핀(56)은 외부로 노출되어 문(100')과 접촉된다.
이후 문(100')을 닫으면 작동핀(56)이 가압되므로 피스톤부재(54)가 내부로 인입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부재(54)가 인입되면, 스프링(57)은 압축되며, A구역에 있던 유체는 바디(52)의 내주면과의 틈새(S)를 통해 B구역으로 이동된다.
이때 디스크(544)는 유체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어 피스톤(542)에 밀착된다.
이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을 열면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스프링(57)이 복원력에 의해 인장되어 피스톤부재(54)를 밀어냄으로써 인출되고, B구역에 있던 유체는 피스톤(542)의 요홈(5423) 및 바디(52)의 내벽과의 틈새(S)를 통해 이동된 후 디스크(544)의 통공(5449) 및 외주면을 통해 A구역으로 이동된다.
이때 디스크(544)는 유체에 밀려 헤드(546)에 밀착되나 엠보(5443)에 의해 일정한 틈(ST)을 형성하게 되므로 통공(5449)을 통해 이동된 유체는 상기 틈(ST)을 통해 헤드(546)로 이동된다.
헤드(546)로 이동된 유체는 홈(5468)과 바디(52)의 내벽과의 틈새(S)를 통해 A구역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는 피스톤(542)의 요홈(5423), 피스톤(542)의 외주면과 바디(52)의 내벽 사이의 틈새(S), 디스크(544)의 통공(5449), 디스크(544)의 외주면과 바디(52)의 내벽 사이의 틈새(S), 디스크(544)와 헤드(546) 사이의 틈(ST), 헤드(546)와 바디(52)의 내벽 사이의 틈새(S)이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유로가 훨씬 증가됨으로써 유체의 이동량이 증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동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5 : 완충기 52 : 바디
54 : 피스톤부재 56 : 작동핀
57 : 스프링 542 : 피스톤
544 : 디스크 546 : 헤드

Claims (5)

  1.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고 스프링(57)이 삽입된 바디(52)와, 상기 바디(52) 내에 삽입되어 스프링(57)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피스톤부재(54)와, 상기 피스톤부재(54)에 결합된 작동핀(56)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재(54)는,
    바디(52)의 내주면과 이격되며,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되도록 다수의 요홈(542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핀(56)에 결합된 피스톤(542);
    상기 피스톤(542)의 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56) 보다 큰 직경의 통공(5449)이 형성되어 작동핀(56)을 타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디스크(544);
    유체가 이송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단턱(5469)과 홈(5468)이 형성된 헤드(546)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544)에는 일면에 다수의 엠보(5443)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5443)와 헤드(546)의 단턱(5469)의 접촉시 유체가 이동되는 틈(S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42)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이며, 외주면이 바디(52)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바디(52)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피스톤(542)의 외주면과 바디(52)의 내벽 사이에 틈새(S)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542)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요홈(5423)이 바디(5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544)는
    일면 중앙에 돌출된 가이드돌기(5447);
    상기 가이드돌기(5447)가 삽입되도록 상기 피스톤(542)의 하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홈(54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544)의 작동범위는 가이드돌기(5447)가 중앙홈(5425) 내에서 이동되는 간격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5443)는 반구형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용 완충기.
KR1020100022315A 2010-03-12 2010-03-12 도어 댐퍼용 완충기 KR10114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15A KR101147304B1 (ko) 2010-03-12 2010-03-12 도어 댐퍼용 완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315A KR101147304B1 (ko) 2010-03-12 2010-03-12 도어 댐퍼용 완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34A KR20110103134A (ko) 2011-09-20
KR101147304B1 true KR101147304B1 (ko) 2012-05-18

Family

ID=4495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315A KR101147304B1 (ko) 2010-03-12 2010-03-12 도어 댐퍼용 완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10B1 (ko) * 2018-11-22 2019-08-28 변용근 소프트 댐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56B1 (ko) * 2013-07-25 2015-07-24 동우정밀(주) 완충용 도어 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891A (ko) * 2004-12-02 2006-06-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KR20060091846A (ko) * 2005-02-16 2006-08-22 여길봉 도어개폐용 댐핑장치
KR200435106Y1 (ko) * 2006-09-29 2007-01-09 강인식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100760518B1 (ko) 2006-07-18 2007-09-2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891A (ko) * 2004-12-02 2006-06-0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KR20060091846A (ko) * 2005-02-16 2006-08-22 여길봉 도어개폐용 댐핑장치
KR100760518B1 (ko) 2006-07-18 2007-09-2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KR200435106Y1 (ko) * 2006-09-29 2007-01-09 강인식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10B1 (ko) * 2018-11-22 2019-08-28 변용근 소프트 댐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34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6443A1 (en) Door damper buffer
US9021656B2 (en) Furniture damper
JP5284801B2 (ja) 汎用衝撃防止装置
US8181758B2 (en) Damping device
TWI645811B (zh) 可活動傢俱件及其緩衝裝置
JP2008116051A (ja) 家具可動部分用の制動・緩衝装置
CN1942647B (zh) 用于消除关门的噪音的缓冲器
KR20140009898A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147304B1 (ko) 도어 댐퍼용 완충기
TWI641342B (zh) 緩衝裝置及包含有該緩衝裝置的傢俱件
CN107165967B (zh) 缓冲装置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JP4859066B2 (ja) 流体ダンパ
JP2007046729A (ja) 流体ダンパ
JP2006266290A (ja) モノチューブ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フリーピストンシール構造
CN109770586B (zh) 可活动家具件及其缓冲装置
CN112648327A (zh) 一种双出杆式阻尼缓冲器
CN109770587B (zh) 缓冲装置及包含有该缓冲装置的家具件
KR101891372B1 (ko) 댐퍼 장치
TWI516689B (zh) Liquid dampers
JP6961801B2 (ja) ダンパー
KR20120092883A (ko) 소형 유압 댐퍼
KR20070056203A (ko) 완충장치를 겸한 빠찌링
KR20150123703A (ko) 실린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057686A1 (en) A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