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117B1 -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7117B1 KR101147117B1 KR1020110132775A KR20110132775A KR101147117B1 KR 101147117 B1 KR101147117 B1 KR 101147117B1 KR 1020110132775 A KR1020110132775 A KR 1020110132775A KR 20110132775 A KR20110132775 A KR 20110132775A KR 101147117 B1 KR101147117 B1 KR 101147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shaft
- shift
- gears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2—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여 작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변속기하우징과;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변속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축과;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입력축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들과; 입력축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변속기하우징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속축과; 변속축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축의 구동기어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상시 치합되어 구동기어들의 구동력을 상시 전달받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들과; 변속축의 축방향이동 중, 변속축의 외주면 일부분이 다수의 변속기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일체화수단과;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의 구동력이 변속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변속축을 축방향 운동시켜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와 일체화시키는 변속조작기구 및; 변속축의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device for a manual driving mechanism, and aims to be miniaturized and slimm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small and narrow spa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mission device of a manual driving mechanism for shifting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a pedal device to a rear wheel, comprising: a transmission housing; An input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to introduce a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Drive gears having different teeth provided on the input shaft so as to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A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 shaft; Shift gea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hift shaft, the gears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airs with the drive gears of the input shaft and having different teeth to always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gears; Integral means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o be integrat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gears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shaft; Among the transmission gears, a shift control mechanism for axially moving the shift shaft to integrate the shift gear so that a driving force of one of the shift gears can be transmitted to the shift shaft; It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o the rear whe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여 작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최근 들어, "킥보드"라 불리는 "수동 주행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54863호가 있다. Recently, a "manual driving mechanism" called "kickboard" has been variously developed. As an example,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4863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 기술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조향축과, 조향축에 설치되는 앞바퀴와, 앞바퀴를 조향할 수 있도록 조향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핸들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뒷바퀴 및, 사용자의 양쪽발로부터 입력된 답력(踏力)으로 뒷바퀴를 구동시키는 페달장치를 포함한다.This technology includes a frame, a steering shaft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rame, a front wheel installed at the steering shaft, a handl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shaft to steer the front wheel, a rear wheel mounted at the frame, and a user. It includes a pedal device for driving the rear wheel with the power input from the foot.
이러한 수동 주행기구는, 사용자가 페달장치를 밟아서 답력을 입력시키면, 입력된 답력이 뒷바퀴로 전달된다. 그리고 답력이 전달된 뒷바퀴는 전방으로 구름운동하면서 킥보드 전체를 주행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을 좌,우측방향으로 조작하면 킥보드의 주행방향이 전환된다.In this manual driving mechanism, when the user presses the pedal device and inputs the power, the inpu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 The rear wheels, which are delivered with the responsiveness, drive the entire kickboard while rolling forward. At this time, if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kickboard is switched.
한편, 이러한 수동 주행기구는, 주행속도와 구동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변속기를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한국특허등록 제1065348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capable of adjusting the traveling speed and the driving torque. An example thereof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65348, to which the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이 기술은, 변속기하우징과, 페달장치의 동력을 도입하는 입력축과,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운동함과 아울러 입력축의 축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구동기어들과, 입력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변속축과, 변속축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치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변속기어들과, 쌍을 이루는 구동기어들과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쌍이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도록 슬리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변속조작기구 및, 상기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가지며, 상기 변속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뒷바퀴로 출력하는 출력축을 포함한다.This technology includes a transmission housing, an input shaft for introducing power of a pedal device, a sleeve that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and mov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at intervals. Drive gears of different sizes, shift shaft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put shaft, shift gears of different sizes fixed at interval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ft shaft and paired with the drive gears, respectively, And a shift control mechanism for axially moving the sleeve so that any one pair of the drive gears and the shift gears constituting the gear can be selectively engaged, and a driven gear engaged with any one of the shift gears. It includes an output shaf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and outputs it to the rear wheel.
이러한 변속장치는, 변속조작기구를 조작하면, 슬리브가 이동하고, 슬리브가 이동하면, 슬리브에 고정된 다수의 구동기어들 중 어느 하나가 해당 변속기어에 치합된다.In this transmission, when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is operated, the sleeve moves, and when the sleeve moves, any one of a plurality of drive gears fixed to the sleeve is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이때, 서로 치합된 구동기어와 변속기어는 서로 다른 크기와 이빨수를 가지므로, 구동기어를 거쳐 변속기어로 전달되는 페달장치의 회전속도는 변화된다. 이로써,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페달의 구동력이 변속된다. 그 결과, 수동 주행기구의 주행속도와 구동토크가 조절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e gear and the gear gear engaged with each other have different sizes and number of teeth, the rotation speed of the pedal devic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gear via the drive gear is changed. As a result,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transmitted from the pedal device to the rear wheel is shifted. As a result, the traveling speed and drive torque of the manual drive mechanism are adjust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변속장치는, 구동기어가 직접 이동하면서 변속기어에 치합되는 구조이므로, 구동기어의 이동거리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ransmission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space corresponding to a moving distance of the drive gear must be secured because the drive gear is directly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while directly moving.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변속기하우징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결점 때문에 좁고 협소한 공간에는 변속장치 자체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nd because of these drawback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housing must be large, due to this problem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itself can not be installed in a narrow and narrow space due to this drawback.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한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apparatus of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that can be miniaturized and slim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공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apparatus of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that can be free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by configuring to be compact and sli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공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와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apparatus of a manual driving mechanism that can be free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reby increasing user satisfaction and product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는,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변속기하우징과; 상기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들과; 상기 입력축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하우징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속축과; 상기 변속축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의 구동기어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상시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들의 구동력을 상시 전달받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들과; 상기 변속축의 축방향이동 중, 상기 변속축의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일체화수단과; 상기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의 구동력이 상기 변속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축을 축방향 운동시켜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와 일체화시키는 변속조작기구 및; 상기 변속축의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화수단은, 상기 각 변속기어들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변속축의 축방향이동 시에 상기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와 정렬되면서 해당 결합홈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축 외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스플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변속축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상시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변속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체인에 의해 상기 뒷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에 전달하는 출력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변속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체인에 의해 상기 뒷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축의 회전력을 상기 뒷바퀴에 직접 전달하는 출력스프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페달장치에서 상기 입력축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보조 변속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변속수단은, 상기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도입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과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복수의 보조 구동기어들과; 상기 변속기하우징에 축방향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의 보조 구동기어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상시 치합되어 상기 보조 구동기어들의 구동력을 상시 전달받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복수의 보조 변속기어들과; 상기 입력축의 축방향이동 중,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보조 변속기어 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일체화수단과; 상기 보조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의 구동력이 상기 입력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을 축방향 운동시켜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와 일체화시키는 보조 변속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일체화수단은, 상기 보조 변속기어들 각각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입력축의 축방향이동 시에 상기 보조 변속기어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와 정렬되면서 해당 결합홈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 외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스플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ransmission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nsmission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for shift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edal unit to the rear wheel, the transmission housing; An input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to introduce a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Drive gears having different teeth provided on the input shaft so as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input shaft; A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 shaft; Shift gea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hift shaft, and having gear teeth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airs with the drive gears of the input shaft and are always transmitted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gears; Integral means for allowing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o be integrat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gears during an axial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shaft; A shift operating mechanism configured to axially move the shift shaft to integrate the shift gear so that a driving force of one of the shift gears can be transmitted to the shift shaft, among the shift gear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o the rear wheel.
Preferably, the integration means, the coupling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each of the transmission ge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lin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ift shaft to b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oupling groove while being aligned with any one of the transmission gear, the axial movement of the shift shaft.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 power transmission gear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transmission shaft; An output shaft having a driven gear that is constantly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hrough the driven gear; It is installed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output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sprocket connected to the rear wheel by a chain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shaft to the rear wheel.
In some case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installed so as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transmission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 by a chain to directly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mission shaft to the rear wheel.
And an auxiliary transmission means for shifting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edal device to the input shaft,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ans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shaft for introducing a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A plurality of auxiliary drive gears which are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and have different teeth; The input shaft axially movable in the transmission housing; A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which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and have a different tooth number in which they are always engaged in pairs with the auxiliary drive gears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auxiliary drive gears at all times; Auxiliary integration means for allowing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to be integrat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Among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transmission operation mechanism for integrating any on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by axially moving the input shaft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any on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can be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
Preferably, the auxiliary integration means, the coupling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lin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oupling groove portion while being aligned with any on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the axi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는, 기어들의 이동없이 변속축의 이동만으로 변속조작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기어들이 이동하면서 변속되는 것에 따른 공간확보가 필요없다. 따라서, 변속기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hift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moving the shift shaft without moving the gears, as in the related art,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by shifting the gears while mov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housing.
또한, 변속기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housing can b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in size and slim.
또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와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in size and slim, it can be installed free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and produc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용 변속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의 변속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의 변속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중속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 1실시예의 변속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고속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용 변속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중속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고속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용 변속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0의 평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 13은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고속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for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 sh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detail;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ransmiss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dium speed is select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 speed is select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for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ransmiss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dium speed is select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 speed is select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for a manual travel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10 sh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embodiment in detail;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of FIG. 11;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transmission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 speed is selected;
14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of a manua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10)를 구비한다. First, the transmission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10).
변속기(10)는, 변속기하우징(12)을 구비하며, 이 변속기하우징(12)은 수동 주행기구(도시하지 않음)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변속기하우징(12)은 밀폐형으로서, 외부의 이물질과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The
한편, 변속기하우징(12)은, 내부의 변속실(14)을 구비하며, 이 변속실(14)에는 입력축(20)과 변속축(30)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입력축(20)은,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이 변속기하우징(12)의 외면으로 돌출된다. 변속기하우징(12)의 외면으로 돌출된 입력축(20)에는, 입력스프로킷(20a)이 설치된다.The
입력스프로킷(20a)은, 수동 주행기구의 페달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체인(20b)에 의해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입력스프로킷(20a)은, 페달장치의 동력을 도입하고, 도입된 동력을 입력축(20)에 입력시킨다.The
한편, 입력축(20)의 외면에는, 복수의 구동기어(22)들이 일체로 설치된다. 복수의 구동기어(22)들은, 3개로 구성되는데, 이때, 3개의 구동기어(22)들은 서로 다른 직경과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력축(2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바람직하게는, 입력축(20)에 설치된 3개의 구동기어(22)들은, 직경의 크기와 이빨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three
이하에서는, 가장 작은 직경과 가장 적은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22)를 "1단 구동기어(22a)"로 칭하기로 하고, 중간 직경과 중간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22)를 "2단 구동기어(22b)"로 칭하기로 하며, 큰 직경과 가장 많은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22)를 "3단 구동기어(22c)"로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한편, 변속축(30)은,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면 둘레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변속기어(32)들이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각 변속기어(32)들은, 변속축(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입력축(20)의 구동기어(22)들과 각각 일대일로 쌍을 이루면서 서로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Each
여기서, 각 변속기어(32)들은, 쌍을 이루는 구동기어(22)와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변속기어(32)들 간에 간격이 없는 상태에서, 양쪽의 변속기어(32)들이 변속기하우징(12)의 양쪽 측벽(12a)에 각각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Here, each of the transmission gears 32 is configured to always be in engagement with the pair of drive gears 22, which are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gap between the transmission gears 32, and both transmission gears 32 ) Are possible because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이러한 구조의 변속기어(32)들에 의하면, 변속기하우징(12)내에서 유동하지 않으면서 해당 구동기어(22)들과 상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구동기어(22)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두 회전운동하게 된다. 특히, 변속축(30)에 대해 모두 회전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gears 32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gears can be constantly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s 22 without flowing in the
여기서, 각 변속기어(32)들 중, 가장 큰 직경과 가장 많은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32)(이하, "1단 변속기어(32a)"라 칭함.)는, 입력축(20)에 설치된 구동기어(22) 중에 가장 작은 직경과 가장 적은 이빨수를 갖는 1단 구동기어(22a)와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Here, among the transmission gears 32, the transmission gear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gle-
이는, 가장 적은 이빨수를 갖는 1단 구동기어(22a)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입력축(20)에 입력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저속으로 변속시킬 수 있다.This is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또한, 3개의 변속기어(32)들 중에, 중간 직경과 중간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32)(이하, "2단 변속기어(32b)"라 칭함.)는, 입력축(20)에 설치된 구동기어(22) 중에 중간 직경과 중간 이빨수를 갖는 2단 구동기어(22b)와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mong the three transmission gears 32, a transmission gear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wo-
이는, 중간 이빨수를 갖는 2단 구동기어(22b)의 회전속도를 중속으로 변속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입력축(20)에 입력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중속으로 변속시킬 수 있다.This is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wo-
또한, 3개의 변속기어(32)들 중에, 가장 작은 직경과 가장 적은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32)(이하, "3단 변속기어(32c)"라 칭함.)는, 입력축(20)에 설치된 구동기어(22) 중에 가장 큰 직경과 가장 많은 이빨수를 갖는 3단 구동기어(22c)와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In addition, among the three transmission gears 32, the transmission gear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ree-
이는, 가장 많은 이빨수를 갖는 3단 구동기어(22c)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입력축(20)에 입력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고속으로 변속시킬 수 있다.This is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hree-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변속축(30)은,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축방향운동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축방향을 따라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로 이동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또한, 변속축(30)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플라인(Spline)부(34)를 더 구비한다. 스플라인부(34)는, 변속축(30)의 외주면 중, 특정부분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스플라인부(34)는, 변속축(30)과 함께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로 이동한다. Moreover, the
한편, 변속축(30)의 둘레에 설치된 각 변속기어(32)들은,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36)를 갖추고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transmission gears 32 provided around the
결합홈부(36)는, 변속기어(32)들의 내경부에 형성되며, "1단위치"(A) 또는 "2단위치"(B) 또는 "3단위치"(C)로 이동한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Coupling
특히, 1단 변속기어(32a)의 결합홈부(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위치"(A)로 이동한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1단 구동기어(22a)와 1단 변속기어(32a)를 거치면서 저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변속축(3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engaging
또한, 2단 변속기어(32b)의 결합홈부(3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위치"(B)로 이동한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단 구동기어(22b)와 2단 변속기어(32b)를 거치면서 중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변속축(3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또한, 3단 변속기어(32c)의 결합홈부(3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위치"(C)로 이동한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3단 구동기어(22c)와 3단 변속기어(32c)를 거치면서 고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변속축(3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변속축(30)에는 동력전달기어(38)가 더 설치된다. 2 and 3, a
동력전달기어(38)는, 변속축(30)과 키(Key)(38a)에 의해 결합되며, 이렇게 키결합된 동력전달기어(38)는, 변속축(30)과 일체로 회전운동하되, 변속축(30)의 축방향운동은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The
여기서, 키(38a)는, 동력전달기어(38)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키(38a)가 결합되는 변속축(30)의 키홈(38b)은, 변속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동력전달기어(38)에 대한 변속축(30)의 축방향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key 38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이러한 구성의 동력전달기어(38)에 의하면, 변속축(30)과 일체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변속축(3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출력축(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특히, 특정의 구동기어(22)와 변속기어(32)쌍 들에 의해 변속된 변속축(3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출력축(40)(도 2참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it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한편, 출력축(40)은,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면 둘레에는 단일의 종동기어(4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단일의 종동기어(42)는, 변속축(30)에 설치된 동력전달기어(38)와 상시 치합되도록 구성된다.The single driven
이렇게 구성된 종동기어(42)는, 변속축(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특히, 입력축(20)의 구동기어(22)들과 변속축(30)의 변속기어(32)들을 거치면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페달장치의 답력을 출력축(40)에 전달한다.The driven
출력축(40)은, 그 일단이 변속기하우징(12)의 외면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변속기하우징(12)의 외면으로 돌출된 출력축(40)에는, 출력스프로킷(44)이 설치된다. 출력스프로킷(44)은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도시하지 않음)와 체인(46)에 의해 연결된다.One end of the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와 연결된 출력스프로킷(44)은, 출력축(40)에 전달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뒷바퀴에 전달한다. 특히, 입력축(20)과 변속축(30)을 거치면서 적절하게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뒷바퀴에 전달한다. 따라서, 뒷바퀴가 적절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면서 수동 주행기구를 주행시킬 수 있게 한다.The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속장치는, 변속기(10)의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변속조작기구(50)를 구비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 and 3,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변속조작기구(50)는, 수동 주행기구의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속레버(52)와, 변속레버(52)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54)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54)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변속기(10)의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로 밀어주는 시프트아암(56)을 포함한다.The
변속레버(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다단으로 회전된다. 특히, 1단 변속을 위한 "1단 회전위치"(X)와, 2단 변속을 위한 "2단 회전위치"(Y)와, 3단 변속을 위한 "3단 회전위치"(Z)로 회전된다.The
변속케이블(54)은, 변속레버(52)의 회전운동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며, 이렇게 운동하는 변속케이블(54)은, 말단에 연결된 시프트아암(56)을 직선운동시킨다. The shifting
시프트아암(56)은, 양단 각각이 변속축(30)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며, 그 일측부분이 변속케이블(54)과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시프트아암(56)은, 변속케이블(54)의 당김 또는 밀림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변속축(30)을 밀어준다.The
특히,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밀어준다. 따라서, 변속축(30)이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선택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이로써, 변속축(30)이, 1단 변속기어(32a)와 2단 변속기어(32b)와 3단 변속기어(32c)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In this way, the
그 결과, 1단 구동기어(22a)와 1단 변속기어(32a) 쌍, 2단 구동기어(22b)와 2단 변속기어(32b) 쌍, 3단 구동기어(22c)와 3단 변속기어(32c) 쌍 중에, 선택된 어느 한 쌍에 의해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이 변속축(30)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the first
이에 따라, 입력축(20)으로 도입된 페달장치의 답력이, 구동기어(22)와 변속기어(32) 쌍들을 통해 저속 또는 중속 또는 고속으로 변속되면서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까지 전달될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the pedal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변속조작기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로 이동시킬 경우, 다른 위치에 비해 조작감을 다르게 하는 디텐트 장치(6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디텐트 장치(60)는, 시프트아암(56)에 형성되는 작동홈(62)과, 작동홈(62)에 탄입되는 볼(64)과, 볼(64)이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변속기하우징(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66)들을 포함한다. The
작동홈(62)은, 시프트아암(56)의 밑면부분에 형성된다. The
볼(64)은, 작동홈(6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4a)에 탄성지지되며, 변속기하우징(12)의 걸림홈(66)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성된다. The
이러한 볼(64)은, 시프트아암(56)이 직선운동할 시에 일체로 운동한다. 특히, 시프트아암(56)이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로 운동시킬 시에 상기 시프트아암(56)과 함께 일체로 운동한다.This
걸림홈(66)들은, 변속기하우징(1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걸림홈(66)들은 시프트아암(56)에 설치된 볼(64)이 걸릴 수 있게 한다. 특히, 시프트아암(56)과 함께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한 볼(64)이 걸릴 수 있게 한다. The catching
따라서,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한 시프트아암(56)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제한한다. 이로써,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변속된 변속축(30)의 조작감을 다른 위치에 비해 차별화시킨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그 결과, 사용자에게 변속기가 "1단 변속"되었는지 또는 "2단 변속"되었는지 또는 "3단 변속"되었는지를 알려준다.As a result, the user is informed whether the transmission is " single speed shift " or " single speed shifting " or " three speed shifting ".
한편, 시프트아암(56)은, 스프링(56a)에 의해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1단위치"(A)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먼저,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저속으로 선택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변속레버(52)를 저속의 "1단 회전위치"(X)로 회전시킨다.First,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t low speed will be described. 1 to 3, the driver rotates the
그러면, 변속레버(52)에 연결된 변속케이블(54)이 당겨지면서 변속기(10)의 시프트아암(56)을 "1단위치"(A)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킨다. 이로써, 시프트아암(56)과 연결된 변속축(30)도 "1단위치"(A)로 운동한다.Then, the
한편, 변속축(30)이 "1단위치"(A)로 운동하면,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1단 변속기어(32a)의 결합홈부(36)가 결합된다. 이로써, 변속축(30)과 1단 변속기어(32a)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면, 1단 구동기어(22a)와 1단 변속기어(32a)에 의해 저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구동력이 변속축(30)에 전달되고, 변속축(30)에 전달된 저속의 구동력은 다시 동력전달기어(38)와 종동기어(42)를 통해 출력축(40)에 전달된다.Then,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shifted at low speed by the first
그리고 출력축(40)에 전달된 저속의 구동력은 뒷바퀴로 전달되면서 수동 주행기구를 저속으로 주행시킨다. And the low speed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다음으로, 변속장치를 중속으로 선택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변속레버(52)를 중속의 "2단 회전위치"(Y)로 회전시킨다.Next,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is selected as the medium speed will be described. 1, 3, and 4, the driver rotates the
그러면, 변속레버(52)에 연결된 변속케이블(54)이 당겨지면서 변속기(10)의 시프트아암(56)을 "2단위치"(B)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킨다. 이로써, 시프트아암(56)과 연결된 변속축(30)도 "2단위치"(B)로 운동한다.Then, the
한편, 변속축(30)이 "2단위치"(B)로 운동하면,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2단 변속기어(32b)의 결합홈부(36)가 결합된다. 이로써, 변속축(30)과 2단 변속기어(32b)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면, 2단 구동기어(22b)와 2단 변속기어(32b)에 의해 중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구동력이 변속축(30)에 전달되고, 변속축(30)에 전달된 중속의 구동력은 다시 동력전달기어(38)와 종동기어(42)를 통해 출력축(40)에 전달된다.Then,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shifted to the medium speed by the
그리고 출력축(40)에 전달된 중속의 구동력은 뒷바퀴로 전달되면서 수동 주행기구를 중속으로 주행시킨다.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edium speed transmitted to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고속으로 선택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핸들(30)에 설치된 변속레버(52)를 저속의 "3단 회전위치"(Z)로 회전시킨다.Next, a case of selecting th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high speed will be described. 1, 3, and 5, the driver rotates the
그러면, 변속레버(52)에 연결된 변속케이블(54)이 당겨지면서 변속기(10)의 시프트아암(56)을 "3단위치"(C) 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킨다. 이로써, 시프트아암(56)과 연결된 변속축(30)도 "3단위치"(C)로 운동한다.Then, the
한편, 변속축(30)이 "3단위치"(C)로 운동하면, 변속축(30)의 스플라인부(34)와 3단 변속기어(32c)의 결합홈부(36)가 결합된다. 이로써, 변속축(30)과 3단 변속기어(32c)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면, 3단 구동기어(22c)와 3단 변속기어(32c)에 의해 고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구동력이 변속축(30)에 전달되고, 변속축(30)에 전달된 고속의 구동력은 다시 동력전달기어(38)와 종동기어(42)를 통해 출력축(40)에 전달된다.Then,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shifted at high speed by the three-
그리고 출력축(40)에 전달된 고속의 구동력은 뒷바퀴로 전달되면서 수동 주행기구를 고속으로 주행시킨다. And the high speed dri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변속장치에 의하면, 기어(22, 32)들의 이동없이 변속축(30)의 이동만으로 변속조작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기어들이 이동하면서 변속되는 것에 따른 공간확보가 필요없다. 따라서, 변속기하우징(1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ift operation is possible only by the movement of the
또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와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in size and slim, it can be installed free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refore, user satisfaction and product quality can be improved.
[제 2실시예]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6 to 9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ed chan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는, 제 1실시예와는 달리, 출력축이 없고, 변속축(30)이 출력축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no output shaf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따라서, 변속축(30)의 일단부에 출력스프로킷(44)이 일체로 설치되며, 이 출력스프로킷(44)은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도시하지 않음)와 체인(46)에 의해 연결된다.Therefore, an
이로써, 변속축(30)에 전달된 페달장치의 구동력이, 상기 변속축(30)에서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에 직접 전달된다. As a result,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transmitted to the
그 결과, 구동기어(22)와 변속기어(32) 쌍들에 의해 변속된 페달장치의 구동력이, 변속축(30)을 통해 수동 주행기구의 뒷바퀴에 직접 전달된다. As a result, the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shifted by the
한편, 이러한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는, 출력축만 없을 뿐, 기타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of this second embodiment does not have only an output shaft,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따라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조작기구(50)를 조작하여, 상기 변속축(30)을 "1단위치"(A)와 "2단위치"(B)와 "3단위치"(C)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해당 위치의 변속기어(32)와 변속축(30)이 일체화되고, 이로써, 해당 변속기어(32)와 구동기어(22) 쌍에 의해 변속된 페달장치의 구동력만 뒷바퀴에 전달된다. Thus, as shown in Figs. 6 to 9, by operating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에 의하면, 출력축이 없는 구조이므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절감된다. 따라서, 고장의 우려가 적고, 원가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tructure has no output shaft,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simple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refore,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failure and an effect of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제 3실시예]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10 to 13 are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주행기구의 페달장치와 변속기(10)의 입력축(20)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 변속기(70)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10 to 12, the transmission further includes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n
보조 변속기(70)는, 페달장치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축(80)과, 동력전달축(80)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 구동기어(82)들을 구비한다.The
동력전달축(80)은, 페달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동력전달축(80)은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한다.The
보조 구동기어(82)들은, 2개로 구성되는데, 이때, 2개의 보조 구동기어(82)들은 서로 다른 직경과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축(8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The auxiliary drive gears 82 are composed of two, wherein the two auxiliary drive gears 82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different teeth, and are integrally rotated together with the
이하에서는, 작은 직경과 적은 이빨수를 갖는 보조 구동기어(82)를 "1단 보조 구동기어(82a)"로 칭하기로 하고, 큰 직경과 많은 이빨수를 갖는 보조 구동기어(82)를 "2단 보조 구동기어(82b)"로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여기서, 보조 구동기어(82)들은, 스프로킷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별도의 기어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페달장치에 설치된 스프로킷을 그대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rive gears 82 have a sprocket structure. This is to use the sprocket installed in the existing pedal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gear.
한편, 보조 변속기(70)는, 변속기(10)의 입력축(20)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 변속기어(84)들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보조 변속기어(84)들은, 서로 다른 직경과 이빨수를 갖는 것으로, 변속기하우징(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축(2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have different diameters and teeth, and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렇게 설치된 보조 변속기어(84)들은, 동력전달축(80)의 보조 구동기어(82)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서로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installed in this way are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in pairs with the auxiliary drive gears 82 of the
여기서, 각 보조 변속기어(84)들은, 쌍을 이루는 보조 구동기어(82)와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보조 변속기어(84)들 간에 간격이 없는 상태에서, 양쪽 보조 변속기어(84)들 각각이, 양쪽의 지지플레이트(85)에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Here, each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is configured to always be engaged with the pair of auxiliary drive gears 82, which are both auxiliary transmissions, with no gap between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Each of the
이러한 구조의 보조 변속기어(84)들에 의하면, 측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으면서 해당 보조 구동기어(82)들과 상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보조 구동기어(82)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모두 회전운동하게 된다. 특히, 입력축(20)에 대해 모두 회전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of this structure, since the state can always be in engagement with the auxiliary drive gears 82 without flowing lateral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rresponding auxiliary drive gears 82 is received. All will rotate. In particular, all the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input shaft (20).
여기서, 각 보조 변속기어(84)들 중, 큰 직경과 많은 이빨수를 갖는 보조 변속기어(84)(이하, "1단 보조 변속기어(84a)"라 칭함.)는, 동력전달축(80)에 설치된 보조 구동기어(82) 중에 작은 직경과 적은 이빨수를 갖는 1단 보조 구동기어(82a)와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Here, among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84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gle-stage
이는, 적은 이빨수를 갖는 1단 보조 구동기어(82a)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동력전달축(80)에 입력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저속으로 변속시킬 수 있다.This is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stage
또한, 2개의 보조 변속기어(84)들 중에, 작은 직경과 적은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84)(이하, "2단 보조 변속기어(84b)"라 칭함.)는, 동력전달축(80)에 설치된 보조 구동기어(82) 중에 큰 직경과 많은 이빨수를 갖는 2단 보조 구동기어(82b)와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In addition, of the two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the transmission gear 8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wo-stage
이는, 많은 이빨수를 갖는 2단 보조 구동기어(82b)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며, 이로써, 동력전달축(80)에 입력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고속으로 변속시킬 수 있다.This is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wo-stage
한편, 이러한 보조 변속기어(84)들은, 핀(Pin)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로킷 형태의 보조 구동기어(82)과 치합될 수 있게 구성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변속기(10)의 입력축(20)은,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운동하면서 동시에 축방향운동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축방향을 따라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이동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0 to 12, the
또한, 입력축(20)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플라인(Spline)부(90)를 더 구비한다. 스플라인부(90)는, 입력축(20)의 외주면 중, 특정부분에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스플라인부(90)는, 입력축(20)과 함께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이동한다. In addition, the
한편, 입력축(20)의 둘레에 설치된 각 보조 변속기어(84)들은, 입력축(20)의 스플라인부(9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92)를 갖추고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보조 변속기어(84)들의 결합홈부(92)는,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이동한 입력축(20)의 스플라인부(9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engaging
특히, 1단 보조 변속기어(84a)의 결합홈부(9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1단위치"(D)로 이동한 입력축(20)의 스플라인부(9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1단 보조 구동기어(82a)와 1단 보조 변속기어(84a)를 거치면서 저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입력축(2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engaging
또한, 2단 보조 변속기어(84b)의 결합홈부(9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2단위치"(E)로 이동한 입력축(20)의 스플라인부(9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단 보조 구동기어(82b)와 2단 보조 변속기어(84b)를 거치면서 고속으로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을 입력축(20)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다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 2실시예의 변속장치는, 변속기(10)의 입력축(20)을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보조 변속조작기구(100)를 더 구비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0 to 12, in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보조 변속조작기구(100)는, 상기한 변속조작기구(5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수동 주행기구의 핸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속레버(102)와, 변속레버(102)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104)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104)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변속기(10)의 입력축(20)을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밀어주는 시프트아암(106)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변속레버(10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다단으로 회전된다. 특히, 보조 1단 변속을 위한 "보조 1단 회전위치"(V)와, 보조 2단 변속을 위한 "보조 2단 회전위치"(W)로 회전된다.The
변속케이블(104)은, 변속레버(102)의 회전운동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며, 이렇게 운동하는 변속케이블(104)은, 말단에 연결된 시프트아암(106)을 직선운동시킨다. The shifting
시프트아암(106)은, 양단 각각이 입력축(20)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며, 그 일측부분이 변속케이블(104)과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시프트아암(106)은, 변속케이블(104)의 당김 또는 밀림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입력축(20)을 밀어준다.Each of the
특히, 입력축(20)을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밀어준다. 따라서, 입력축(20)이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선택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이로써, 입력축(20)이, 1단 보조 변속기어(84a)와 2단 보조 변속기어(84a)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As a result, the
그 결과, 1단 보조 구동기어(82a)와 1단 보조 변속기어(84a) 쌍, 2단 보조 구동기어(82b)와 2단 보조 변속기어(84b) 쌍 중에, 선택된 어느 한 쌍에 의해 변속된 페달장치의 답력이 입력축(20)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among the pair of the first-stage
이에 따라, 동력전달축(80)으로 도입된 페달장치의 답력이, 보조 구동기어(82)와 보조 변속기어(84) 쌍들을 통해 저속 또는 고속으로 변속되면서 변속기(10)에 입력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pedal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보조 변속조작기구(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20)을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이동시킬 경우, 다른 위치에 비해 조작감을 다르게 하는 디텐트 장치(11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uxiliary
디텐트 장치(110)는, 상술한 디텐트 장치(60)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시프트아암(56)에 형성되는 작동홈(112)과, 작동홈(112)에 탄입되는 볼(114)과, 볼(114)이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변속기하우징(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116)들을 포함한다. The
이러한 디텐트 장치(110)는, 입력축(20)을 "보조 1단위치"(D)와 "보조 2단위치"(E)로 이동시킬 경우, 다른 위치에 비해 조작감을 다르게 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에게 변속기가 "보조 1단 변속"되었는지 또는 "보조 2단 변속"되었는지를 알려준다.Since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에 의하면, 페달장치와 변속기(10)의 사이에 보조 변속기(70)를 더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변속단수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특히, 변속기(10)의 "3단 변속"에, 보조 변속기(70)의 "2단 변속"을 추가하여 총 "5단 변속"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변속단수를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ree shifts" of the
이로써, 수동 주행기구의 주행속도와 구동토크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수동 주행기구의 주행능력과 경사로에 대한 등판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running speed and the driving torque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As a result, the running ability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nd the climbing ability of the ramp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으로, 도 14에는 제 3실시예의 변속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 1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the third embodiment.
변형예의 변속장치는, 보조 변속기(70)의 보조 구동기어(82)와 보조 변속기어(84)들이 스프로킷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스프로킷 구조의 보조 구동기어(82)와 보조 변속기어(84)들이 체인(86)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the transmission of the modification, the
이와는 반대로, 변속기(10)의 변속축(30)과 뒷바퀴는 핀기어(120)와 스프로킷(122)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변속축(30)에는 핀기어(120)가 설치되고, 뒷바퀴의 축(121)에는 스프로킷(122)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On the contrary, the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페달장치에 인접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보조 변속기(70)의 보조 변속기어(84)만 핀기어로 교체하면, 페달장치의 스프로킷들을 보조 구동기어(82)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edal device, as shown in FIG. 11, if only the
반대로,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뒷바퀴에 인접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변속기(10)의 변속축(30)에 핀기어(120)만 설치하면, 뒷바퀴의 축(121)에 설치되는 스프로킷(122)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ar wheel, as shown in FIG. 14, if only the
따라서, 많은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변속장치를 수동 주행기구에 채용할 수 있고, 이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ployed in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without replacing many parts, thereby enabling the effect of cost redu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이 수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전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running manually, any one can be applied.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a bicycle or the like.
10: 변속기 12: 변속기하우징(Housing)
14: 변속실 20: 입력축
22: 구동기어 22a: 1단 구동기어
22b: 2단 구동기어 22c: 3단 구동기어
30: 변속축 32: 변속기어
32a: 1단 변속기어 32b: 2단 변속기어
32c: 3단 변속기어 34: 스플라인(Spline)부
36: 결합홈부 38: 동력전달기어
38a: 키(Key) 38b: 키홈
40: 출력축 42: 종동기어
44: 출력스프로킷(Sprocket) 46: 체인(Chain)
50: 변속조작기구 52: 변속레버(Lever)
54: 변속케이블(Cable) 56: 시프트아암(Shift Arm)
60: 디텐트(Detent) 장치 62: 작동홈
64: 볼(Ball) 66: 걸림홈
70: 보조 변속기 80: 동력전달축
82: 보조 구동기어 82a: 1단 보조 구동기어
82b: 2단 보조 구동기어 84: 보조 변속기어
84a: 1단 보조 변속기어 84b: 2단 보조 변속기어
90: 스플라인(Spline)부 92: 결합홈부
100: 보조 변속조작기구 102: 변속레버(Lever)
104: 변속케이블(Cable) 106: 시프트아암(Shift Arm)
110: 디텐트(Detent) 장치 112: 작동홈
114: 볼(Ball) 116: 걸림홈10: transmission 12: transmission housing
14: transmission chamber 20: input shaft
22:
22b: Two-
30: shifting shaft 32: shifting gear
32a:
32c: 3-speed gearbox 34: Spline part
36: coupling groove 38: power transmission gear
38a: Key 38b: Keyway
40: output shaft 42: driven gear
44: Sprocket 46: Chain
50: shift operating mechanism 52: shift lever
54: Cable Shift 56: Shift Arm
60: detent device 62: working groove
64: ball 66: locking groove
70: auxiliary transmission 80: power transmission shaft
82:
82b: two-stage auxiliary drive gear 84: auxiliary transmission gear
84a: 1st
90: spline portion 92: coupling groove portion
100: auxiliary shift control mechanism 102: shift lever
104: shifting cable (Cable) 106: shift arm
110: detent device 112: operating groove
114: ball 116: locking groove
Claims (13)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입력축(20)과;
상기 입력축(20)과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구동기어(22)들과;
상기 입력축(20)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하우징(12)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변속축(30)과;
상기 변속축(3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20)의 구동기어(22)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상시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22)들의 구동력을 상시 전달받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변속기어(32)들과;
상기 변속축(30)의 축방향이동 중, 상기 변속축(30)의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32)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일체화수단과;
상기 변속기어(32)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32)의 구동력이 상기 변속축(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축(30)을 축방향 운동시켜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32)와 일체화시키는 변속조작기구(50) 및;
상기 변속축(30)의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페달장치에서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수단은,
상기 각 변속기어(32)들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6)와;
상기 변속축(30)의 축방향이동 시에 상기 변속기어(32)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32)와 정렬되면서 해당 결합홈부(36)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축(30) 외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스플라인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A transmission housing 12;
An input shaft 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12 to introduce a driving force of a pedal device;
Drive gears 22 having different teeth provided on the input shaft 20 so as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input shaft 20;
A transmission shaft 30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 shaft 20;
Different teeth are installed on the transmission shaft 30 so as to be rotatable, and are always engaged in pairs with the drive gears 22 of the input shaft 20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gears 22 at all times. Transmission gears having a;
Integral means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on shaft (30) to be integrat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gears (32)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shaft (30);
Among the transmission gears 32, any one transmission gear 32 by axially moving the transmission shaft 30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any one transmission gear 32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haft 30. Shift operation mechanism (50) to be integrated with;
In the transmission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mission shaft 30 to the rear wheel,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edal device to the rear wheel,
The integration means,
Coupling grooves 36 formed on inner diameters of the transmission gears 32;
The shifting shaft 30 may b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groove 36 while being aligned with one of the shifting gears 32 among the shifting gears 32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shifting shaft 30. Transmission device of a manual running mechanism comprising a spline portion (34)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변속조작기구(50)는,
상기 수동 주행기구의 핸들부분에 설치되는 변속레버(52)와;
상기 변속레버(52)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54)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상기 변속케이블(54)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변속축(30)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시프트아암(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50,
A shift lever 52 installed on a handle portion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 shift cable 54 that is pulled or pus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ift lever 52;
And a shift arm (56) for pushing the shift shaft (30) in an axial direction while linearly moving by the shift cable (54) being pulled or pushed.
상기 변속축(30)이 축방향이동하면서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32)와 일체화될 경우, 일체화되지 않은 다른 위치에 비해 조작감을 다르게 하는 디텐트 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transmission shaft 30 is integrated with any one transmission gear 32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det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 detent device 60 for different operation feeling compared to other unintegrated positions Transmission mechanism.
상기 디텐트 장치(60)는,
상기 시프트아암(56)에 형성되는 작동홈(62)에 탄입되는 볼(64)과;
상기 변속축(30)과 상기 변속기어(32)들이 일체화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기하우징(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시프트아암(56)이 상기 변속축(30)을 축방향이동시켜서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32)와 일체화시킬 시에, 상기 시프트아암(56)의 볼(64)이 끼워져 걸릴 수 있는 복수의 걸림홈(6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etent device 60,
A ball 64 inserted into the operation groove 62 formed in the shift arm 56;
The shift arm 56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housing 12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at which the transmission shaft 30 and the transmission gear 32 are integrated, and the shift arm 56 axially moves the transmission shaft 30.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66 into which the ball 64 of the shift arm 56 can be fitted to be engaged with any one transmission gear 32. Device.
상기 페달장치에서 상기 입력축(20)으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변속하는 보조 변속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 변속수단은,
상기 페달장치의 구동력을 도입하는 동력전달축(80)과;
상기 동력전달축(80)과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복수의 보조 구동기어(82)들과;
상기 변속기하우징(12)에 축방향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입력축(20)과;
상기 입력축(20)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축(80)의 보조 구동기어(82)들과 각각 쌍을 이루면서 상시 치합되어 상기 보조 구동기어(82)들의 구동력을 상시 전달받는 서로 다른 이빨수를 갖는 복수의 보조 변속기어(84)들과;
상기 입력축(20)의 축방향이동 중, 상기 입력축(20)의 외주면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보조 변속기어(84)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일체화수단과;
상기 보조 변속기어(84)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84)의 구동력이 상기 입력축(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을 축방향 운동시켜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84)와 일체화시키는 보조 변속조작기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And an auxiliary transmission means for shifting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pedal device to the input shaft 20;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ans,
A power transmission shaft 80 for introducing a driving force of the pedal device;
A plurality of auxiliary drive gears 82 instal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80 and having different teeth;
An input shaft (20) axially movable in the transmission housing (12);
It is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20 so as to be rotatable, and are always engaged in pairs with the auxiliary drive gears 82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80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the auxiliary drive gears 82 at all times. A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having different teeth;
Auxiliary integration means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20 to be integrat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20;
Among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on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axially moves the input shaft 20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any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can be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20. 84) an auxiliary shift control mechanism (100) integrated with the manual drive mechanism.
상기 보조 일체화수단은,
상기 보조 변속기어(84)들 각각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92)와;
상기 입력축(20)의 축방향이동 시에 상기 보조 변속기어(84)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84)와 정렬되면서 해당 결합홈부(9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축(20) 외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스플라인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integration means,
Coupling grooves 92 formed on inner diameters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s 84;
The input shaft 2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92 while being aligned with any on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84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84 dur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20, Transmission device of a manual dri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line portion 90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보조 변속조작기구(100)는,
상기 수동 주행기구의 핸들부분에 설치되는 변속레버(102)와;
상기 변속레버(102)의 회전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변속케이블(104)과;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상기 변속케이블(104)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입력축(20)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운동시키는 시프트아암(106) 및,
상기 입력축(20)이 축방향이동하면서 어느 하나의 보조 변속기어(84)와 일체화될 경우, 일체화되지 않은 다른 위치에 비해 조작감을 다르게 하는 디텐트 장치(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주행기구의 변속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auxiliary shift operation mechanism 100,
A shift lever 102 installed on a handle part of the manual driving mechanism;
A shift cable 104 that is pulled or pus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ift lever 102;
A shift arm 106 for moving the input shaft 20 in an axial direction while linearly moving by the shifting cable 104 being pulled or pushed, and
When the input shaft 20 is integrated with any one auxiliary transmission gear 84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manual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nt device (110) for different operation feeling compared to other unintegrated positions Transmission of the mechanis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775A KR101147117B1 (en) | 2011-12-12 | 2011-12-12 |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775A KR101147117B1 (en) | 2011-12-12 | 2011-12-12 |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7117B1 true KR101147117B1 (en) | 2012-05-22 |
Family
ID=4627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27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7117B1 (en) | 2011-12-12 | 2011-12-12 |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711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790001762Y1 (en) * | 1978-10-25 | 1979-10-18 | 이재준, 이준용 | Sliding period of motorcycle transmission |
KR840000135Y1 (en) * | 1982-02-20 | 1984-02-03 | 최석화 | Ransmission for bicycle |
KR200287136Y1 (en) * | 2002-03-18 | 2002-08-30 | 은종익 | Gear transmission device of bicycle |
KR100983985B1 (en) * | 2010-04-02 | 2010-09-27 | 송윤이 | Transmission for bicycle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2775A patent/KR1011471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790001762Y1 (en) * | 1978-10-25 | 1979-10-18 | 이재준, 이준용 | Sliding period of motorcycle transmission |
KR840000135Y1 (en) * | 1982-02-20 | 1984-02-03 | 최석화 | Ransmission for bicycle |
KR200287136Y1 (en) * | 2002-03-18 | 2002-08-30 | 은종익 | Gear transmission device of bicycle |
KR100983985B1 (en) * | 2010-04-02 | 2010-09-27 | 송윤이 | Transmission for bicy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67937A (en) | Motorized shift assist control apparatus for bicycle transmission | |
KR100258784B1 (en) | Power changing apparatus of bicycle hub | |
JP2914909B2 (en) | Gearbox for bicycle transmission | |
US20120283057A1 (en) |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bicycle | |
CN109689491B (en) | Drive assembly and vehicle | |
KR100491743B1 (en) | The moment of aforce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 |
KR102084079B1 (en) | Motor with transmission for bicycle | |
JP5937649B2 (en) | Bicycle shifter and bicycle electric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0915378B1 (en) | Speed change hub for bicycle | |
KR101147117B1 (en) | Transmission of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 |
JP2011126416A (en) | Rear hub built-in transmission for power-assisted bicycle | |
KR101065348B1 (en) | Manual Transmission | |
KR100225753B1 (en) | Power changing apparatus of bicycle hub | |
JP2007146986A (en) | Gear shift device for bicycle | |
JP2006052803A (en) | Electric multi-stage transmission | |
US5537888A (en) | Constant-mesh manual/automatic transmission | |
EP2055623B1 (en) | Dual-mode wheel rotating apparatus | |
KR20030067016A (en) | Device for driving forward bicycle | |
KR20110043559A (en) | Power train and chain gear for bicycles and pedal boats | |
US6796200B2 (en) | Multi speed bicycle transmission including eccentric cranking assembly | |
KR200433316Y1 (en) | Power Train of Unchained Bikes | |
US20020144564A1 (en) | Gearbox structure of a beach cycle | |
JP6434578B2 (en) | Bicycle electric system | |
KR101665789B1 (en) | Apparatus for arranging chain of bicycle | |
TW201514057A (en) | Two-wheel vehicle structure (2)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