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6496B1 - 다접점 터미널 - Google Patents

다접점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496B1
KR101146496B1 KR1020100091596A KR20100091596A KR101146496B1 KR 101146496 B1 KR101146496 B1 KR 101146496B1 KR 1020100091596 A KR1020100091596 A KR 1020100091596A KR 20100091596 A KR20100091596 A KR 20100091596A KR 101146496 B1 KR101146496 B1 KR 10114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s
terminal
connection
contact
vert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661A (ko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4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4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양단의 제1 및 제2 연결부(10,12)가 다수개의 연결브릿지(20)에 의해 연결되고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연결부(10,12)는 각각 링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20)는 다접점 터미널의 내부를 향해 정점이 돌출된 아치형상이다. 상기 연결브릿지(20)는 정점의 위치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21,22,23)로 분류되는데, 이들 연결브릿지(21,22,23)는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1,22,23)중에서 정점부(22')가 그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제2연결브릿지(22)는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보다 갯수가 하나 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터미널(30)과의 결합과 분리시에 결합력과 분리력이 최소화되고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접점 터미널{Multi contacts terminal}
본 발명은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접촉점을 몇 개의 군으로 나누어 배치한 다접점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대 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된 것들이 있다. 서로 결합되는 터미널은 각각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과 탭터미널(수터미널)로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터미널은 일종의 암터미널로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봉형상의 수터미널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터미널을 다접점 터미널이라고 하는데, 링형상의 선단연결부와 후단연결부 사이를 다수개 연결브릿지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릿지는 일반적으로 그 중간부분이 터미널의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정점으로 되는 아치형상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접점 터미널의 예가 미국 특허 6,837,7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접점 터미널에서는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분이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접점은 상기 상대 터미널을 길이방향으로 볼 때, 특정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따라서, 다접점 터미널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될 때,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분은 동시에 상대 터미널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어 터미널 사이의 결합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 방향의 특정 위치를 둘러서 형성되므로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결합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 사이의 결합상태가 불안하게 되면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터미널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위치를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군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는 각각의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정점부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는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3군데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들 서로 다른 위치에 정점부가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다른 연결브릿지들 중에서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과 각각 접촉하는 정점부를 가지는 각각의 연결브릿지의 갯수는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정점부가 접촉하는 연결브릿지의 갯수보다 하나 더 많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며 순차적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릿지는 그 제1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그 제2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브릿지는 그 제3정점부가 상기 제2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보다 갯수가 하나 적다.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브릿지가 그 정점의 위치가 인접하는 연결브릿지 사이에서 서로 다르도록 하고 이들 정점의 위치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군으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과 본 발명의 터미널이 결합함에 있어서 연결브릿지와 상대 터미널의 외면의 접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합력과 분리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결브릿지의 정점이 접촉되는 상대 터미널의 외면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몇 군데로 나누어지므로 본 발명의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 위치가 적어도 2군데 이상으로 되어 터미널 사이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단면도로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다접점 터미널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다접점 터미널의 양단에는 각각 링형상의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12)가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0,12)를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연결브릿지(2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0)는 그 정점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연결브릿지(20)를 향해 돌출되게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브릿지(20)의 정점부는 다접점 터미널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릿지(20) 사이에는 분리슬릿(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슬릿(20')을 형성함에 의해 각각의 연결브릿지(20)가 만들어지고 상기 연결브릿지(20)를 아치형상으로 형성함에 의해 그 정점부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금속판에서 분리슬릿(20')에 해당되는 부분을 따내고, 각각의 연결브릿지(20)가 나란히 위치되게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0,12)는 각각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소정 거리 떨어져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부(10,12)가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연결부(10,12)가 서로 결합되어 완전한 링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브릿지(20)는 그 형상에 따라 3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즉,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21,22,23)이다. 이들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는 아치형상이 조금씩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데, 제1, 제2 및 제3 정점부(21',22',23')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브릿지(21)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점부(21')의 위치가 제1연결부(1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3연결브릿지(23)는 제3정점부(23')가 제2연결부(12)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제2연결브릿지(22)는 그 정점부(22')가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점부(21',22',23')가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에서 달리 형성됨에 의해 상대 터미널(30)과 연결브릿지(20)가 서로 접촉되는 위치가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3군데의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10)가 다접점 터미널의 선단이라면, 제1정점부(21') 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상대적으로 내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촉되고, 제3정점부(23')들은 상대 터미널(30)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접촉되고, 제2정점부(22')는 상기 제1정점부(21')와 제3정점부(23')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위치의 중간 부분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연결브릿지(21)가 총 8개가 구비되는데, 대략 45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브릿지(21)에서 12도 정도를 회전한 위치에 각각 제2연결브릿지(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브릿지(22)는 본 실시예에서 7개만이 형성된다. 이는 다접점 터미널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2연결브릿지(22)의 갯수를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 각각 보다 1개씩 적게 하는 것은 상대 터미널(30)과의 접촉 위치가 3군데 중 중간부분의 것이 삭제되도록 하여 상대 터미널(30)과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3연결브릿지(23)는 제2연결브릿지(23)와 제1연결브릿지(21)에서 각각 대략 12도 회전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3연결브릿지(23)도 상기 제1연결브릿지(21)와 같이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2,3 연결브릿지(21,22,23)들의 갯수는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폭이나 분리슬릿(20')의 폭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접점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은 커넥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대 터미널(30)이 내부에 삽입됨에 의해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가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브릿지(21,22,23)는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가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씩 떨어진 위치를 둘러 접촉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30)이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 내부로 삽입될 때, 모든 연결브릿지(21,22,23)가 동시에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지 않고, 전체 연결브릿지(21,22,23)의 1/3인 제1연결브릿지(21)의 제1정점부(21')만이 먼저 접촉하고, 다음으로, 제2 정점부(22')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정점부(23')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 터미널(30)과 연결브릿지(21,22,23)의 접촉이 일부씩 차례로 일어남에 의해 다접점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3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력 또는 분리되는 분리력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릿지(21,22,23)들이 상대 터미널(30)의 외면에 접촉되는 위치가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를 둘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따라 설명하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떨어진 3군데의 위치를 둘러 연결브릿지(21,22,23)의 정점부(21',22',23')들이 상대 터미널(3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한 위치를 둘러 접촉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상대 터미널(30)과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된다.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체 연결브릿지(21,22,23)의 간격 및 갯수를 맞추기 위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12)를 각각 링형상으로 하면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서 제2연결브릿지(22)를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보다 한 개 적은 갯수로 했다. 이는 제2 연결브릿지(22)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부분인 제2정점부(22')가 제2연결브릿지(22)의 중간부분이어서 이다. 즉, 만약, 제1 이나 제3 연결브릿지(21,23)가 삭제되었다면, 상대 터미널(30)과의 접촉상태가 편심될 수도 있으나,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를 남겨 두고 제2연결브릿지(22)를 제거함에 의해 상대 터미널(30)에 대해 본 발명의 다접점 터미널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연결브릿지(20)의 종류가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21,23)의 2개가 있거나 연결브릿지(20)의 종류가 4개 이상이 있을 수 있다. 4개 이상의 연결브릿지(20)가 있는 경우, 각각의 정점부의 위치가 달리 되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총 4군데 이상의 위치를 둘러 연결브릿지(20)의 정점부가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4개 이상의 종류의 연결브릿지(20)가 있는 경우에 제1 및 제2 연결부(10,12)가 각각 분리된 링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상대 터미널(30)과 접촉되는 부분이 양단에 해당되는 연결브릿지(20)가 아닌 내측에 해당되는 연결브릿지(20)들 중에서 하나 또는 모두를 삭제하면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브릿지(20)의 연장방향이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연결브릿지(20)들 각각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기는 하나,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10: 제1연결부 12: 제2연결부
20: 연결브릿지 20': 분리슬릿
21: 제1연결브릿지 21': 제1정점부
22: 제2연결브릿지 22': 제2정점부
23: 제3연결브릿지 23': 제3정점부

Claims (9)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브릿지는 각각의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에 해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부가 다른 위치에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정점부는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3군데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들 서로 다른 위치에 정점부가 형성된 연결브릿지가 순차적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부의 위치가 다른 연결브릿지들 중에서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과 각각 접촉하는 정점부를 가지는 각각의 연결브릿지의 갯수는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정점부가 접촉하는 연결브릿지의 갯수보다 하나 더 많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터미널.
  7.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다접점 터미널에 있어서,
    양단부를 구성하는 링형상의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내부를 향해 정점부가 돌출되는 아치형상으로 되며 순차적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브릿지는 그 제1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그 제2정점부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연결브릿지는 그 제3정점부가 상기 제2연결부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제2연결브릿지는 상기 제1 및 제3 연결브릿지보다 갯수가 하나 적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의 사이에는 분리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릿지들은 상기 상대 터미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서로가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터미널.
KR1020100091596A 2010-09-17 2010-09-17 다접점 터미널 Active KR10114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596A KR101146496B1 (ko) 2010-09-17 2010-09-17 다접점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596A KR101146496B1 (ko) 2010-09-17 2010-09-17 다접점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61A KR20120029661A (ko) 2012-03-27
KR101146496B1 true KR101146496B1 (ko) 2012-05-16

Family

ID=4613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596A Active KR101146496B1 (ko) 2010-09-17 2010-09-17 다접점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12B1 (ko) * 2018-07-20 2019-08-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라이트앵글 터미널
KR102550513B1 (ko) * 2021-01-18 2023-07-04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43A (ja) 2000-08-23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7012366A (ja) 2005-06-29 2007-01-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雌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5543A (ja) 2000-08-23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7012366A (ja) 2005-06-29 2007-01-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雌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61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0064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US9780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US10483675B2 (en) Connector with protrusions near contact pieces
CN104335426B (zh) 插座端子
US10283889B2 (en) Electrical terminal with balanced front end protection
CN102324644B (zh) 单一型电触头
US20120003884A1 (en) Contact element with an electronically conductive spring element, plug connector and spring element
EP2613411B1 (en) Connector
WO2005011065A1 (en) Female terminal with sacrificial arc discharge contacts
JP2018530139A (ja) 接触薄板部品及び接触薄板部品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US9735490B2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US9147953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solder-mounting on a circuit board with tolerance compensation
KR101146496B1 (ko) 다접점 터미널
US20140038444A1 (en) Joint connector
KR20120004622U (ko) 다접점 터미널
JP2019153406A (ja) 端子接続構造及び雌端子
US2738484A (en) Solderless terminal
EP2183822B1 (en) Electrical contact
TW201433020A (zh) 連接器
KR102550513B1 (ko)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EP4407808A1 (en) Socket, socket connector, contact element and connection assembly
JP2006331972A (ja) 電線中継コネクタ−
KR20100011827A (ko) 터미널
CN100472888C (zh) 凹形触头
JP2023138424A (ja) 低挿入力の電気コンタクトスリ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