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062B1 -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6062B1 KR101146062B1 KR1020100012410A KR20100012410A KR101146062B1 KR 101146062 B1 KR101146062 B1 KR 101146062B1 KR 1020100012410 A KR1020100012410 A KR 1020100012410A KR 20100012410 A KR20100012410 A KR 20100012410A KR 101146062 B1 KR101146062 B1 KR 101146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shower
- shower head
- water
- row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의 하측으로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대중목욕탕이나 샤워시설에서 별도의 장치 설치가 없더라도 간단하게 거울을 세척할 수 있는 샤워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샤워기헤드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와; 상기 물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다수의 샤워용 분사공이 형성된 전면커버부재와; 상기 전면커버부재가 전면의 개방부을 막고 있고, 그 측면에 상기 물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는 거울세척용 분사공이 형성된 통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wer head that can simply wash the mi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vice installed in the public bath or shower facility that is provided with a mirror under the shower. Accordingly, the show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 front cov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hower spray holes formed therein for spray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The front cover member blocks the opening of the fron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rical case formed with a mirror cleaning injection hole for spray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on th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울 세척기능을 구비한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중목욕탕 등의 벽면에 부착된 거울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분사공을 구비하는 샤워기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er head having a mirror clean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wer head having a water spray hole to wash the mirror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such as public baths.
일반적으로 대중목욕탕이나 샤워시설 등에는 이용자가 서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벽면에 입식 샤워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하측에는 샤워를 하면서 면도를 하거나 샤워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이 부착된다.In general, a public bath or shower is equipped with a standing shower on the wall so that a user can stand and take a shower. In addition, a mirror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user can shave while checking the shower or check the shower condition.
도 1은, 그와 같은 구조의 샤워시설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대중목욕탕 등에서 벽면에 샤워기(10)와, 그 하측의 거울(30)이 설치된 구조이다.Fig. 1 shows a shower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in which a
상기의 구조에 따라, 이용자는 샤워를 하면서 전면에 부착된 거울(30)을 통해 샤워상태나 얼굴의 용모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user can check the shower or the appearance of the face through the
그러나, 통상 샤워기(10)에서 분출되는 샤워수는 온수나 열수이고 대중목욕탕이 수증기로 충만해 있는 상태이므로, 거울(30)에 김서림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거울의 표면을 손으로 닦아내거나 용기에 물을 담아 거울에 뿌림으로써 주기적으로 김이 서린 거울을 세척하고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hower water ejected from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거울 표면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fogging of the conventional mirror surface.
그 대표적인 것으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1-48479호(2001.6.15.공개)에는 거울의 표면에 물을 도포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48479 (2001.6.15.) Discloses an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water to the surface of a mirror.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장이나 대중목욕탕의 사워기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거울(30)의 상부에 다수의 물도포공(45)이 형성된 물도포관(4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물도포관(40)의 일측에는 물도포관(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3)과 스위치(50)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거울에 형성된 김서림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50)을 누르면, 상기 물도포관(40)에 물이 공급되어 다수의 물도포공(45)을 통해 물이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거울에 발생한 김서림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Whe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울의 김서림 제거장치는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부가하여야 하고, 거울 주변에 장치가 노출됨으로써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efogging device of the mirror as described above has to add a separate complicated device to remove the defogging,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s the overall aesthetics by exposing the device around the mirror.
또한, 이용자가 주기적으로 스위치를 눌러야 하는 불편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press the switch periodical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워기의 하측으로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대중목욕탕이나 샤워시설에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하게 거울을 세척할 수 있는 샤워기 헤드와, 그것이 설치된 샤워기 및 거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hower head and a mounting structure of a shower head and a mirror in which a mirror can be easily washed in a public bath or a shower facility provided with a mirror under the shower,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샤워기를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조작없이 샤워기 하측의 거울이 세척될 수 있는 샤워기 헤드와, 그것이 설치된 샤워기 및 거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wer head in which a mirror under the shower can be cleaned without using a shower,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hower head and a mirror in which the shower head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와; 상기 물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다수의 샤워용 분사공이 형성된 전면커버부재와; 상기 전면커버부재가 전면의 개방부에 위치하고, 그 측면에 상기 물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는 거울세척용 분사공이 형성된 통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water inlet and water inlet; A front cov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hower spray holes formed therein for spray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The front cover member is locat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ylindrical case formed with a mirror cleaning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이 상기 통형상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irror washing jet h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ub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along the tubular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형상이 원통형이고,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은 상기 원통형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cylindrical, the mirror cleaning jet ho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It is preferable that this be formed.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샤워기헤드를 구비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샤워기와, 상기 샤워기의 하측 벽면에 설치된 거울과, 상기 샤워기헤드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거울세척용 분사공을 포함하는 샤워기 및 거울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In yet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wer head having a shower head and a mirror mounted on a wall, a mirror provided on a lower wall of the shower head, and a mirror cleaning sprayer installed on a side of the shower head to spray water toward the mirror. It provides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hower and mirror comprising a.
본 발명은 상기 분사공이 상기 샤워기헤드의 길이방향 및 그것에 직각인 둘레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의 행열로 분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공의 각 분사방향에서 상기 거울 또는 상기 벽면과 만나는 점들 중 적어도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점들은 상기 거울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oints in which the injection hole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wer head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hower head, and meets the mirror or the wall surface in each injec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he lowermost points are characterized by meeting with the mirr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 대중목욕탕이나 샤워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설비를 간단하게 수정 또는 대체하는 것만으로 거울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기존 사워기헤드의 측면에 거울세척용 분사공을 형성하거나, 거울세척용 분사공이 형성된 샤워기헤드를 교체하는 작업만으로 거울의 김서림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울을 세척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관련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mist of the mirror by simply modifying or replacing the existing equipment installed in the public bath or shower without adding a separate device. That is, the mist of the mirror may be removed only by forming a mirror cleaning jet hole on the side of the existing sour head or replacing the shower head in which the mirror cleaning jet hole is formed. Therefore, the configuration for cleaning the mirror is very simpl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ssociated costs.
둘째, 대중목욕탕이나 샤워시설의 이용자가 기존의 입욕패턴에 따라 샤워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거울을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거울 세척을 위한 별도의 조작행위나, 세척을 위한 보조장치를 별도로 부가하지 않더라도 샤워기의 이용시간 동안 거울이 세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econd, the user of the public bath or shower can wash the mirror just by using the shower according to the existing bathing pattern. Therefore, even if a separate operation for cleaning the mirror or an auxiliary device for cleaning is not added separately, the mirror can be kept in the cleaned state during the use time of the shower.
도 1은 종래 대중목욕탕 등에 입식샤워기 및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하는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거울 김서림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에서 거울세척용 분사공을 변형하여 구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에서 거울세척용 분사공을 변형한 상태에서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에서 거울세척용 분사공을 변형한 상태에서 분사된 물줄기가 벽면을 타격하는 지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샤워기헤드의 구성도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nding shower and a mirror are installed in a conventional public bath.
2 is a block diagram of a mirror anti-fog device installed to prevent the mist of the conventional mirror
3 is a block diagram of a show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shower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wer jet head is deformed and configured in a shower he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a mirror cleaning jet hole is deformed in a show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oint at which a sprayed water hits a wall surface in a state in which a shower jet hole is deformed in a shower hea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type of show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100)의 외관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헤드(100)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110)와, 샤워용 분사공(122)을 구비하는 전면커버부재(120)와,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이 형성된 케이스(13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물유입구(110)는 급수관(200)과 체결되어 급수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샤워수(400)가 공급되는 통로가 된다. The
상기 급수관(200)은 통상 금속제 파이프로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물유입구(110)와 수밀패킹을 구비하는 연결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통상 상기 연결구조는 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샤워기헤드(100)가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상기 전면커버부재(120)는 샤워수(400)가 부드러운 물줄기로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샤워용 분사공(122)을 구비하고 있다.The
상기 물유입구(110)와 상기 전면커버부재(120)는 각각 케이스(130)의 전측 개방부와 후측 개방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30)는 샤워기헤드(100)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각형의 통체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원통형상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상기 케이스(130)의 측면에는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은 상기 케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샤워기가 설치된 벽면을 향해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물을 분사하게 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은 미소한 직경으로 소수개가 형성되어 거울(300)을 세척할 수 있는 최소한의 물을 분사시킨다. 상기 분사공은 2~4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rror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헤드(100)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헤드(100)가 벽면에 설치된 급수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샤워기헤드(100)의 하측의 벽면으로는 이용자가 샤워상태나 용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300)이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먼저, 샤워기 이용자가 머리 등을 감기 위해 샴푸 등을 사용하면 거품 등의 이물질(500)이 거울(300)에 붙어 있는 상태가 되고, 실내공간에 충만한 수증기로 인하여 거울면은 또한 김서림이 발생된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shower user uses a shampoo or the like to wind the hair, the
그와 같은 상황에서, 도 5와 같이 샤워기 이용자가 수전버턴을 누르면, 이용자의 상측에 구비된 벽면의 샤워기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샤워수(400)가 분출된다.In such a situation, when the shower user presses the faucet button as shown in Fig. 5, the
이때, 샤워기헤드(100)의 측면, 즉 케이스(130)의 측면에는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를 향하는 샤워수(400)의 분출과 함께, 상기 샤워수(400) 중 미소량이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으로 빠져나오면서 벽면을 향하여 별도의 세척수(420)로서 분사된다.At this time, the side of the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으로부터 형성된 물줄기는 거울(300)의 상단부를 향하고 거울(300)의 상단부에 도달한 세척수(420)가 거울(30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린다. 이에 따라, 거울(30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김서림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거울(300)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세척하게 된다.The water stream formed from the mirror
상기의 샤워동작이 완료되면, 거울(300)의 표면이 세척수(420)에 의해 세척되어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샤워기 이용자는 깨끗한 상태의 거울을 면도 등에 활용할 수 있다.When the shower operation is completed, since the surface of the
통상 대중목욕탕 등에 설치된 상기 샤워기와 급수관(200)의 연결부위는, 상기 샤워기헤드(100)의 각도를 손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으로부터 분사된 물줄기가 거울(300)의 상단부의 적정한 위치를 향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ower and the
한편, 도 7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헤드(100)의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을 변형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Meanwhile, FIG. 7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도 7에서 거울세척용 분사공이 샤워기헤드(100)의 길이방향과, 그것에 직각인 둘레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의 열로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In FIG. 7, the mirror cleaning jet hole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7에서는 일예로써 원통형의 케이스(130)의 측면에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이 길이방향으로 2개열(133과 134의 열과, 135와 136의 열), 둘레방향으로 2개열(133과 135의 열과, 134와 136의 열)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In FIG. 7, as an example, two rows (133 and 134 and 135 and 136 rows) and two rows (133 and 136 rows) of mirror cleaning
상기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분사공(133과 134 또는, 135와 136)은 도 8(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사되는 각도가 서로 소정의 각도(α)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분사공(133과 135 또는, 134와 136)은 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3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각 분사공이 향하는 방향이 자연스럽게 서로 소정의 각도(β)를 이루게 된다.The injection holes 133 and 134 or 135 and 136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angles to be injected form a predetermined angle α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8A. In addition, the injection holes 133 and 135 or 134 and 136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installed in a direction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cylindrical case 130 'as shown in FIG. 8 (b).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s are directed naturally forms a predetermined angle β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8(a)를 참고하면,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2개의 분사공(133과 134 또는, 135와 136)에서 분사되는 물줄기는 벽면에 부딪힐 때 더 벌어진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또한,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 2개 분사공(133과 135 또는, 134와 136)의 물줄기도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게 되므로 벽면에 부딪히는 위치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더 벌어진 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ure 8 (a), the water stream sprayed from the two injection holes (133 and 134 or 135 and 136)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ore predetermined when hitting the wall surface There is a gap. In addition, the water stream of the two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 및 그것에 직각인 둘레방향으로 각각 복수개 열(列)의 거울세척용 분사공(133 내지 136)의 구조는 물줄기가 거울면에 부딪히는 타격점(133′내지 136′)이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각 꼭지점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거울면에 부딪히는 물줄기는 상측의 2개의 물줄기가 거울(300)의 상측모서리를 벗어난 그 위쪽을 향하더라도 하측의 2개의 물줄기가 거울(300)의 상부면을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거울면의 세척이 충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측의 2개의 물줄기도 벽면을 타고 거울(300)로 흘러내리는 물을 공급하므로 세척작용을 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rows of mirror
위와 같은 구성의 샤워기헤드(100)는 그것의 설치 시 대략적으로 최소한 하측의 2개 물줄기(도 7의 134′와 136′에 대응하는 물줄기)가 거울면을 향하는 상태 즉, 상기 사각형(133′내지 136′이 이루는 사각형)이 거울(300)의 상측모서리에 걸친 상태로 설치해 둘 수 있으므로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의 방향을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다. The
이는 다수의 샤워기헤드(100)가 설치된 대형의 목욕탕에서 그것의 설치 및 평상 시 유지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This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its installation and normal maintenance work in a large bathroom with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샤워기헤드(100)의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을 설치하는 경우, 거울세척을 위해 샤워기헤드(100)의 방향을 조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수압의 약화 등으로 물줄기가 약해지더라도 상측에 있는 2개의 물줄기가 원래의 벽면의 타격위치에서 거울면으로 내려오게 될 것이므로 별도의 조정없이 그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Accordingly,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mirror
한편, 도 10은 또 다른 구조의 샤워기헤드를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shows a showerhead of another structure.
그와 같은 샤워기헤드는 샤워용 분사공(222)이 전면커버부재(220)와 케이스(230)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고, 거울세척용 분사공(232)과 물유입구(210)는 전술한 경우와 같이 케이스(230)의 측면과 후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Such a shower head has a
본 구조의 샤워기헤드에 있어서도 그 작용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다.Also in the shower head of this structure, the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ase mention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샤워기헤드 110, 210 ; 물유입구
120,220 ; 전면커버부재 122,222 ; 샤워용 분사공
130, 130′, 230 ; 케이스 132~136, 232 ; 거울세척용 분사공
133′~ 136′; 세척수의 타격점 300 ; 거울
400 ; 샤워수 420 ; 세척수
500 ; 샴푸거품 등 이물질100;
120,220; Front cover member 122,222; Shower jet
130, 130 ', 230; Cases 132-136, 232; Mirror Cleaning Blower
133'- 136 '; Hitting point of the
400;
500; Foreign substance such as shampoo foam
Claims (5)
상기 물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다수의 샤워용 분사공(122)이 형성된 전면커버부재(120)와;
상기 전면커버부재(120)가 전면의 개방부에 위치하고, 그 측면에 상기 물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사하는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이 형성된 통형상의 케이스(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세척기능을 구비한 샤워기헤드A water inlet 110 for introducing water;
A front cover member 120 having a plurality of shower spray holes 122 formed therein to spray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10;
The front cover member 120 is locat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and includes a cylindrical case 130 formed with a mirror washing jet hole 132 for spray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110 on the side Shower head with a mirror clea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은 상기 통형상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세척기능을 구비한 샤워기헤드The method of claim 1,
The mirror cleaning jet hole 13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rical,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mirror Shower head with cleaning function
상기 통형상은 원통형이고,
상기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은 상기 원통형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列)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세척기능을 구비한 샤워기헤드The method of claim 1,
The tubular shape is cylindrical,
The mirror cleaning jet hole 132 has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circumference, and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Shower head with function
상기 샤워기의 하측 벽면에 설치된 거울(300)과,
상기 샤워기헤드(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거울(300)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거울세척용 분사공(132)을 포함하는 샤워기 및 거울의 설치구조A shower head having a shower head 100 and installed on a wall;
A mirror 300 installed on a lower wall surface of the shower head,
Mounting structure of the shower head and the mirro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wer head 100 and comprises a mirror washing jet hole 132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mirror 300
상기 분사공은 상기 샤워기헤드(100)의 길이방향 및 그것에 직각인 둘레방향으로 각각 복수개 열(列)의 분사공(133 내지 136)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공의 각 분사방향에서 상기 거울(300) 또는 상기 벽면과 만나는 점들 중 적어도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점들은 상기 거울(300)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및 거울의 설치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jection hol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of injection holes 133 to 13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wer head 100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t least the lowermost points of the points meeting the mirror 300 or the wall surface in each spraying direction of the injection hole is installed in the shower and the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rror 3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410A KR101146062B1 (en) | 2010-02-10 | 2010-02-10 |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410A KR101146062B1 (en) | 2010-02-10 | 2010-02-10 |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785A KR20110092785A (en) | 2011-08-18 |
KR101146062B1 true KR101146062B1 (en) | 2012-05-14 |
Family
ID=4492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2410A Active KR101146062B1 (en) | 2010-02-10 | 2010-02-10 |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606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037Y1 (en) * | 2014-04-16 | 2014-10-31 | 김민환 | fixing type shower water head with assisted water jet |
KR102641292B1 (en) | 2022-09-02 | 2024-02-27 | 김기수 | Multi-functional shower he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7617B1 (en) * | 2021-07-30 | 2023-04-03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Easy cleaning Shower Hea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9000706A1 (en) | 1987-07-22 | 1989-01-26 | Showertek, Inc. | Self-supported, adjustable, condensation-free shower mirror |
JPH07197499A (en) * | 1993-12-28 | 1995-08-01 | Toto Ltd | Shower head fixing structure for washstand |
KR20010048479A (en) * | 1999-11-26 | 2001-06-15 | 정성필 | An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from mirror |
KR20040096674A (en) * | 2003-05-10 | 2004-11-17 | 방기배 | Shower water supplying device to prevent steam on surface of mirror in bathroom |
-
2010
- 2010-02-10 KR KR1020100012410A patent/KR1011460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9000706A1 (en) | 1987-07-22 | 1989-01-26 | Showertek, Inc. | Self-supported, adjustable, condensation-free shower mirror |
JPH07197499A (en) * | 1993-12-28 | 1995-08-01 | Toto Ltd | Shower head fixing structure for washstand |
KR20010048479A (en) * | 1999-11-26 | 2001-06-15 | 정성필 | An 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from mirror |
KR20040096674A (en) * | 2003-05-10 | 2004-11-17 | 방기배 | Shower water supplying device to prevent steam on surface of mirror in bathroo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037Y1 (en) * | 2014-04-16 | 2014-10-31 | 김민환 | fixing type shower water head with assisted water jet |
KR102641292B1 (en) | 2022-09-02 | 2024-02-27 | 김기수 | Multi-functional shower he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785A (en) | 2011-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8054907A3 (en) | Wash chamber for automated appendage-washing apparatus | |
KR200446069Y1 (en) | Ceiling Shower | |
KR101146062B1 (en) | Shower head having mirror-washing function | |
CN105944852B (en) | A kind of shower with antiscale ball | |
CN106000682A (en) | Anti-blocking sprinkler with rotor wing | |
KR20180049472A (en) | Cleaning device for helmet | |
KR100953223B1 (en) | Water spray apparatus for bathroom floor | |
KR20130003328U (en) | Eye washer with recessed emergency shower | |
KR20150000248A (en) | Shower apparatus for autometic scrubbing | |
JP4987044B2 (en) | Spray tower | |
JP2006142272A (en) | Watering plate and showerhead | |
JP3754532B2 (en) | Bathroom cleaning equipment | |
JP2019124033A (en) | Body dryer | |
JP2607660Y2 (en) | Depressed pipe cleaning device | |
JP3211071U (en) | Container cleaning device | |
CN106000683B (en) | A kind of blockage-resistant shower head with cleaner | |
KR200300762Y1 (en) | a body shower apparatus | |
KR20150060140A (en) | Nozzle for car washing | |
JP3121993U (en) | High pressure washing car wash machine | |
KR20110005743U (en) | Self-cleaning shower | |
KR20130004603U (en) | Shower head | |
KR200475037Y1 (en) | fixing type shower water head with assisted water jet | |
JP7391292B2 (en) | Bathtub cleaning device | |
KR200425780Y1 (en) | shower head | |
KR101976273B1 (en) | High-pressure spra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