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5981B1 -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 Google Patents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981B1
KR101145981B1 KR1020110021477A KR20110021477A KR101145981B1 KR 101145981 B1 KR101145981 B1 KR 101145981B1 KR 1020110021477 A KR1020110021477 A KR 1020110021477A KR 20110021477 A KR20110021477 A KR 20110021477A KR 101145981 B1 KR101145981 B1 KR 10114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cover
power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일선
Original Assignee
남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일선 filed Critical 남일선
Priority to KR102011002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커버(10)에 전원 콘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전원 콘센트의 형상에 대응 형성된 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 상부 외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단 내측의 걸림턱(2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돌기부(20)와, 상기 삽입공 하부 외측에 역"U"자 형태로 수직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탄발 작동하되, 하단 내측의 걸림턱(3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하단을 탄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돌기부(30)를 구성하여 커버의 삽입공에 전원콘센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원터치 결합되어 조립 작업성 및 조립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Cover of box for electric wiring}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커버에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되, 커버의 삽입공에 전원콘센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원터치 결합되어 조립 작업성 및 조립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축물 시공시 전원 배선을 위해서 건축물 콘크리트에 별도 박스를 매설하여 전화 또는 전기 배선을 위한 장소나 통로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박스는 주로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에는 전선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을 커넥터에 의해 조립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원 배선 이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콘센트는 별도 마련하기 때문에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446280호에서는 커버판에 전선 보호를 위한 전선관을 커넥터로 연결 설치함과 함께 전원 공급을 위한 콘센트를 집약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커버에서 전원 콘센트는 장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 구조로 결합하였다.
즉, 상기 전원 콘센트 양측과 커버로 장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조립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여 제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사용중 나사 풀림 현상으로 조립 견고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전원 배선용 박스이 커버에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되, 커버의 삽입공에 전원콘센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원터치 결합되어 조립 작업성 및 조립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에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함에 있어; 상기 커버에 전원 콘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전원 콘센트의 형상에 대응 형성된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 상부 외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단 내측의 걸림턱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돌기부와, 상기 삽입공 하부 외측에 역"U"자 형태로 수직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탄발 작동하되, 하단 내측의 걸림턱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하단을 탄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상부 지지돌기부와 하부 지지돌기부의 걸림턱에는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원 콘센트의 상부 요홈부 및 하부 요홈부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작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하부 지지돌기부의 걸림턱은 저면에 전원 콘센트의 삽입 안내를 위해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에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되, 커버의 삽입공에 전원콘센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원터치 결합되어 조립 작업성 및 조립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조립 상태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전선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에 전원 콘센트(5)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10)에 전원 콘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전원 콘센트의 형상에 대응 형성된 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 상부 외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단 내측의 걸림턱(2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돌기부(20)와,
상기 삽입공 하부 외측에 역"U"자 형태로 수직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탄발 작동하되, 하단 내측의 걸림턱(3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하단을 탄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돌기부(30)에 의해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돌기부(20)와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22)(32)에는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23)(3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원 콘센트(5)의 상부 요홈부(7) 및 하부 요홈부(8)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32)은 저면에 전원 콘센트의 삽입 안내를 위해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32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콘센트(5)는 상부 지지돌기부(20)의 걸림턱(22)이 걸려 지지되는 위치로 안착홈부(6)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지지돌기부의 수직 길이를 최소하하면서 전원 콘센트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10)는 도 3에서와 같이 4각 형태는 물론 도 7에서와 같이 원형 및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체결 조립공, 50은 전선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에 전원 콘센트(5)를 원터치로 간단하면서 이탈방지되도록 견고하게 일체 결합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커버(10)에 형성된 삽입공(12)의 하부에서 상부로 전원 콘센트(5)를 삽입 결합한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전원 콘센트(5)의 상부는 삽입공 상부 외측에 수직 형성된 상부 지지돌기부(20)의 걸림턱(22)이 전원 콘센트의 상부 안착홈부(6)에 안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원 콘센트(5)의 하부는 삽입공 하부 외측에 역"U"자 형태로 수직 형성된 하부 지지돌기부(30)가 내외측으로 탄발 이동하면서 지지돌기부 하단 내측의 걸림턱(32)이 전원 콘센트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32) 저면은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32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콘센트의 상부 모서리 부분을 용이하게 삽입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전원 콘센트(5)를 커버(10)의 삽입공(1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하부 지지돌기부(20)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일체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 지지돌기부(20)의 걸림턱(22)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23)가 전원 콘센트의 상부 요홈부(7)로 삽입됨과 함께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32)에 상부를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33)가 전원 콘센트(5)의 하부 요홈부(8)에 삽입되어 걸림작동하기 때문에 유동이 방지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에 형성되는 삽입공으로 전원콘센트를 원터치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원 콘센트를 상,하부 지지돌기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일체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에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전선 보호를 위한 전선관(300)를 연결 설치하는 커넥터(50)를 일체로 조립 구성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50)는 조립 결합부(110)를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100)와 내부 삽입공(210)으로 전선관(300)을 삽입한 상태로 커넉터 본체에 착탈 결합하는 결합구(200)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커넥터 본체(100)는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로 걸림홈(120)(12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200)는 원주상에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되 외측에 커넥터 본체의 걸림홈(120)에 탄발 삽입되어 이탈 방지되도록 결합하는 걸림턱(225)을 갖는 외측 결합돌기(220)와, 커넥터 본체 내부의 경사부(130)에 안내되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되 내측에 전선관(300)을 탄발 가압 고정하여 이탈 방지되도록 결합하는 걸림턱(235)을 갖는 내측 결합돌기(23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본체(100)의 조립 결합부(110)는 선단 양측에 걸림돌기(111)(112)를 대향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의 조립공(310) 양측에 조립 결합부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315)와 상기 삽입부 상부 일측으로 걸림돌기가 걸려 지지되는 안착부(316)를 형성하여 상기 조립결합부를 삽입 회전시켜 원터치로 조립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 결합부의 걸림돌기(111)(112)와 커버의 안착부(316)가 맞물리는 부위로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조립 결합부 삽입 회전시 억지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50)는 먼저 커넥터 본체(100)의 조립 결합부(110)를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의 조립공(310)에 삽입하되, 조립 결합부(110) 선단 양측의 걸림돌기(111)(112)를 조립공의 양측 삽입부(315)를 통해 삽입한 후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111)(112)가 삽입부 일측의 안착부(316)에 걸려 지지되는 형태로 조립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100)에 결합구(200)의 내부 삽입공(210)으로 전선관(300)을 삽입한 상태로 삽입 결합하여 전선관을 파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구(200)를 커넥터 본체(100)에 삽입시키면, 상기 결합구(200)의 외측 결합돌기(220)가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면서 걸림턱(225)이 커넥터 본체(100)의 걸림홈(120)에 탄발 삽입되어 이탈 방지되게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구(200)의 원주상에 형성된 내측 결합돌기(230)가 커넥터 본체(10) 내부의 경사부(130)에 안내되며 내측으로 텐션 가압 작동하면서 상기 내측 결합돌기(230)의 걸림턱(235)이 전선관(300)을 가압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전선관을 이탈 방지되도록 파지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선관(300)을 파지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 해제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구(200)를 커넥터 본체(100)에서 분리 또는 상기 결합구의 외측 결합돌기(220)가 커넥터 본체(100)의 두번째 걸림홈(120')의 위치까지 분리되는 것에 의해 내측 결합돌기(230)가 안내부(130)에서 벗어나 내측 결합돌기(230)에 의한 전선관(300)의 고정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5: 콘센트 10: 커버
12: 삽입공 20: 상부 지지돌기부
30: 하부 지지돌기부
22,32: 걸림턱
23,33: 걸림돌기
7,8: 요홈부

Claims (3)

  1. 전원 배선용 박스의 커버(10)에 전원 콘센트(5)를 일체로 결합하는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에 전원 콘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전원 콘센트의 형상에 대응 형성된 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 상부 외측에 수직 형성되어 상단 내측의 걸림턱(2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상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지지돌기부(20)와,
    상기 삽입공 하부 외측에 역"U"자 형태로 수직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탄발 작동하되, 하단 내측의 걸림턱(32)에 의해 전원 콘센트의 하단을 탄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돌기부(30)에 의해 전원 콘센트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돌기부(20)와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22)(32)에는 하부 및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23)(3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원 콘센트(5)의 상부 요홈부(7) 및 하부 요홈부(8)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작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돌기부(30)의 걸림턱(32)은 저면에 전원 콘센트의 삽입 안내를 위해 내향 경사지는 경사면(3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KR1020110021477A 2011-03-10 2011-03-10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KR10114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77A KR101145981B1 (ko) 2011-03-10 2011-03-10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77A KR101145981B1 (ko) 2011-03-10 2011-03-10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981B1 true KR101145981B1 (ko) 2012-05-15

Family

ID=4627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77A KR101145981B1 (ko) 2011-03-10 2011-03-10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1783A (zh) * 2019-06-19 2019-09-06 江苏科瑞电气有限公司 一种试验变压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06Y1 (ko) 1998-10-13 2002-02-28 광 덕 장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KR200446280Y1 (ko) 2007-10-09 2009-10-14 이용운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06Y1 (ko) 1998-10-13 2002-02-28 광 덕 장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KR200446280Y1 (ko) 2007-10-09 2009-10-14 이용운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1783A (zh) * 2019-06-19 2019-09-06 江苏科瑞电气有限公司 一种试验变压器
CN110211783B (zh) * 2019-06-19 2021-10-22 江苏科瑞电气有限公司 一种试验变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20120067756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145981B1 (ko) 전원 배선용 박스의 전원 콘센트 결합형 커버
KR100655132B1 (ko)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KR200446280Y1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KR20110004076A (ko)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KR101166441B1 (ko) 건물의 배관 지지용 측면행거
KR200426773Y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CN204760954U (zh) 一种预埋式接线盒
KR100974101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KR101019126B1 (ko) 배선덕트 분리공간 구조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20120090426A (ko)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KR200462767Y1 (ko) 라인밸브 및 스프링클러용 고정구
KR101125657B1 (ko) 콘센트 보호커버
CN216587714U (zh) 一种预埋线盒活动工装
CN204858456U (zh) 电线管路预埋用接线暗盒
CN205429274U (zh) 一种开关插座底盒
CN204205486U (zh) 一种模块化的电接线盒
CN217696492U (zh) 一种洗碗机
KR20140006477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KR200427544Y1 (ko) 탁자
KR101281078B1 (ko) 멀티 터미널 블록 박스
KR20080004310U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200461783Y1 (ko) 배선 보호 연결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