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794B1 -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5794B1 KR101145794B1 KR1020090049213A KR20090049213A KR101145794B1 KR 101145794 B1 KR101145794 B1 KR 101145794B1 KR 1020090049213 A KR1020090049213 A KR 1020090049213A KR 20090049213 A KR20090049213 A KR 20090049213A KR 101145794 B1 KR101145794 B1 KR 1011457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screen
- button
- page
- display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21—Dynamic linking or loading; Link editing at or after load time, e.g. Java class loa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화면표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링크화면이 표출되면 링크화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버튼을 통하여 특정의 인터넷 페이지로 접속하게 하는 링크화면을 표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creen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nk screen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internet page through a link button formed on the link screen when the link screen is displayed by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에서는, 링크화면의 표출 및 표출된 링크화면상에 정의된 각 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처리된 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화면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블록버튼이 형성된 링크바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바의 특정 블록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블록버튼에 정의된 링크화면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화면표출장치가 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lication unit including a program for displaying a link screen and executing a function of each button defined on the displayed link screen; A controller for processing a program of the appl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screen signal to a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When the application unit is driven, a link bar having one or more block button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selected when a specific block button of the link bar is selected. A link screen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 link screen defined in a block button is displayed.
링크화면, 페이지, 사이트, 번역, 광고 Link screen, page, site, translation, advertis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링크화면표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링크화면이 표출되면 링크화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크버튼을 통하여 특정의 인터넷 페이지로 접속하게 하는 링크화면을 표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creen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nk screen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internet page through a link button formed on the link screen when the link screen is displayed by a specific application program.
인터넷상의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특정 사이트에 대한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특정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access a specific site on the Internet, it is common to access a specific site by inputting an address of the specific site through a web browser.
최근 인터넷상의 각종 사이트들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고 그 많은 사이트들에 대한 정확한 주소를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Recently, various sites on the Internet are innumerable,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exact address of such sites.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많은 수의 사이트들 중에서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골라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었다.Therefor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strongly required to select a site that he wants to visit among a large number of sites so that he can easily access i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인터넷 사이트 중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해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select a site to be visi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nternet sites and access the corresponding si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주관점으로서,As a point of view,
링크화면의 표출 및 표출된 링크화면상에 정의된 각 버튼의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처리된 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화면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An application unit including a program for displaying the link screen and executing a function of each button defined on the displayed link screen; A controller for processing a program of the appl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screen signal to a display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블록버튼이 형성된 링크바가 형성되고,When the application unit is driven, a link bar having one or more block butt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is formed.
상기 링크바의 특정 블록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블록버튼에 정의된 링크화면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pecific block button of the link bar is selected, the link screen defined in the selected block button is displayed.
또한, 주관점에 있어서,In addition, in view point,
상기 링크화면은,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성되고,The link screen is composed of one or more sectors,
각 섹터는, 특정 사이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포함되는 제1영역과, 해당 사이트의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링크버튼이 형성된 제2영역으로 구 성되고,Each sector is composed of a first area including an image representing a specific site, and a second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 buttons for accessing pages of the site.
상기 제1영역의 일부에는, 상기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페이지주소가 링크되어 있는 카테고리링크버튼과 상기 특정 사이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홈페이지링크버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A part of the first area may include a category link button to which a page address of each category provided by the specific site is linked, and a homepage link button for accessing the homepage of the specific site.
상기 제1영역의 일부에는,In part of the first region,
상기 특정 사이트의 이미지를 넘겨볼 수 있도록하는 이미지넘김버튼과, 이미지가 회전된 뒷면에 상기 특정 사이트에 대한 설명글이 표시되도록하는 회전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image turning button for turning the image of the specific site and the rotating button for displaying the description text for the specific sit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image is rotated,
한편, 특정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각각의 버튼은,On the other hand, each button for connecting to a specific page,
링크화면의 크기가 마우스 휠의 회전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정 사이즈 이상이 되면 마우스의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자동 인식되어 해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기능하거나, 또는When the size of the link screen becomes larger than a certain size set by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the button on which the mouse cursor is located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selected and functions to access the corresponding page, or
링크화면의 크기가 마우스 휠의 회전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이 되거나 또는 링크화면의 크기와 상관없이 특정 버튼이 클릭되면 해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size of the link screen becomes larger than a certain size set by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o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ink sc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to connect to the page when a specific button is clicked.
다른 한편, 상기 제2영역의 일부 링크버튼은,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link button of the second area,
인터넷상의 번역서버를 경유함으로써 제1언어로 표시되는 페이지가 설정된 다른 언어인 제2언어로 번역되어 표시되는 페이지가 표출되도록 하고,By means of a translation server on the Internet, a page displayed as a first language is translated into a second language, which is another language, and displayed.
상기 일부 링크버튼에는 제1언어로된 페이지를 제2언어로 번역하기 위하여 인터넷상의 번역서버가 부여하는 페이지주소가 링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some link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ge address given by the translation server on the Internet to translate the page in the first language to the second language, characterized in that linked,
또 다른 한편, 상기 섹터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BOX가 더 형성되고,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BOX surrounding the sector is further formed,
상기 BOX에는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글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ement image or advertisement is displayed.
또한, 주관점에 있어서,In addition, in view point,
상기 링크화면은,The link screen,
마우스 휠의 회전에 따라 그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ts size is increas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상기 링크화면은 최대 크기로 확장된 상태에서 마우스 휠의 회전에 따라 링크화면의 크기는 고정된 채 링크화면의 내용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 screen is enlarged or reduced in content while the link screen is expanded to the maximum size while the size of the link screen is fix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또한, 주관점에 있어서,In addition, in view point,
상기 링크화면은,The link screen,
마우스를 이용해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표출되는 화면의 내용이 특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content of the displayed screen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dragging in a specific direction using the mouse,
링크화면의 내용의 이동시에, 어느 특정의 블록버튼에 정의된 링크화면의 내용을 벗어나면 연이어 있는 다른 블록버튼에 정의된 링크화면의 내용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contents of the link screen are moved, the contents of the link screen defined by the other block buttons in succession are displayed when the contents of the link screen defined by any particular block button are out of the r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링크버튼을 가진 하나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사이트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a site that a user wants to access through a single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link buttons for accessing an Internet sit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access.
또한, 외국어로 된 사이트에 대한 번역 페이지가 한 번의 버튼클릭으로 표출되게 함으로써 외국사이트의 번역페이지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lation page for a foreign language site can be displayed with a single click of a button so that a translation page of a foreign site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또한, 부수적으로 각종 광고에 대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various advertisement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화면표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ink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그 구성은 제어부(110), 어플리케이션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40)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 1,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처리하고, 어플리케이션부(120)의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처리된 화면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한다.The
어플리케이션부(120)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여러 작용을 실행하도록 한다.The
디스플레이부(130)는 브라운관, LCD 등의 특정화면을 표출하는 장치로서, 제어부(110)로부터 화면신호를 전송받아 특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The
입력부(140)는 컴퓨터 마우스 등과 같이 동작 제어 신호를 입력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링크화면을 표출하기 위한 링크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k bar for displaying a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구동되면 디스플레이부화면(즉, 모니터 화면)상의 일측(본 예에서는 최상측)에 링크바(210)가 형성된다.When the application unit is driven, a
상기 링크바(210)에는 다수의 블록 버튼(220-1, 220-2,..., 220-n)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block buttons 220-1, 220-2,..., 220-n are formed in the
상기 링크바(210)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우선하여 표시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블록 버튼의 선택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blo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상기 링크바(210)에서 특정의 블록 버튼(220)이 선택(마우스로 클릭)된 초기화면을 설명하고 있다.3A illustrates an initial screen in which a
링크바에서 특정의 블록버튼(220)이 선택되면 특정 블록에 대한 링크화면(221)이 디스플레이부화면의 중앙부에 표출된다.When a
이때, 입력부(140)인 마우스의 휠을 확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화면의 최소화면(221)이 확대된다.At this time, when the wheel of the mouse, which is the
도 3의 b는 확대과정 중 어느 시점의 링크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블록에 대한 링크화면은 디스플레이부화면의 최대영역(링크바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마지 영역)까지 확대될 수 있다.3B shows a link screen at any point in the enlargement process. The link screen for the specific block may be extended to a maximum area of the display unit screen (a region other than the area where the link bar is formed).
도 3의 c는 해당 블록에 대한 링크화면이 최대로 확대된 최대화면을 나타낸다. 특정 블록에 대한 링크화면은 다수 개의 섹터(310-1, 310-2, 310-3,..., 310-n, 본 예에서는 섹터가 9인 경우임)를 포함하고 있다. 지정된 다수개의 섹터 모두가 표출되는 링크화면을 기본링크화면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즉, 기본링크화면은 마우스 휠의 회전에 따라 그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된다.3c shows a maximum screen in which the link screen for the block is enlarged to the maximum. The link screen for a particula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sectors 310-1, 310-2, 310-3, ..., 310-n (in this example, the sector is 9). A link screen in which all of a plurality of designated sectors is expressed will be referred to as a basic link screen. That is, the size of the basic link screen is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최대 기본링크화면까지 확대된 이후에도 마우스 휠을 계속하여 확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면크기는 고정된채 화면의 내용만이 확대되는 줌인(zoom in)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최대 줌인은 링크화면에 있는 하나의 섹터가 링크화면의 전체영역을 차지할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이를 최대줌인링크화면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If the mouse wheel is continuously rotated in the zooming direction even after the screen is enlarged to the maximum basic link screen, the screen size is fixed and only the contents of the screen are zoomed in. In this case, the maximum zoom-in is appropriately performed until one sector of the link screen occupies the entire area of the link screen (we will call this the maximum zoom-in link screen).
최대 기본링크화면이 줌인 상태에서 마우스 휠을 축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면크기는 고정된채 화면의 내용만이 축소되는 줌아웃(zoom out)기능이 기본링크화면까지 진행되되, 더 계속하여 마우스 휠을 축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본링크화면의 크기 자체가 축소된다.If the mouse wheel is rotated in the reduction direction while the main link screen is zoomed in, the screen size is fixed and only the contents of the screen are zoomed out. The zoom out function proceeds to the main link screen, but the mouse wheel is further reduced. Rotate in the direction to reduce the size of the base link screen itself.
기본링크화면의 특정 지점에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후 드래그(마우스 왼쪽버튼을 누른채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면 화면의 내용이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출되고, 이웃하는 다른 블록의 기본링크화면이 표출되게 된다. 이는 줌인링크화면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래그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mouse cursor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basic link screen and dragged (moving the mouse cursor while holding down the left mouse button), the contents of the screen move in the dragging direction, and the basic link screen of another neighboring block is displayed. . Similarly, in the zoom in link screen, the screen can be moved by dragging.
링크화면의 내용의 이동에 대한 또다른 방법으로는 링크화면의 중심부에 원형의 이동금지영역이 존재하고, 마우스 커서가 링크화면상의 이동금지영역 밖에 위치할 경우 이동금지영역의 중심점부터 커서의 현재 위치점까지의 방향 벡터 쪽 또는 그 정반대쪽으로 링크화면의 내용이 이동하게 된다. 이런 화면 내용의 이동은 마우스 커서가 이동금지영역 안에 위치할 때까지 계속되며, 마우스 커서의 위치가 바뀔 경우 바뀐 위치점에 해당하는 방향벡터 쪽 또는 그 반대쪽으로 화면내용이 다시 이동하게 된다.As another method for moving the contents of the link screen, a circular movement inhibiting area exists in the center of the link screen, and if the mouse cursor is located outside the movement inhibiting area on the link scr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ursor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movement inhibiting area. The contents of the link screen are moved to the direction vector to the point or vice versa. This movement of the screen content continues until the mouse cursor is within the movement prohibition area,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mouse cursor is changed, the screen content is moved back to the direction vector or vice vers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osition point.
각 블록에 대한 기본링크화면들은 서로 연이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서, 임의의 기본링크화면에서 다른 기본링크화면으로 화면내용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basic link screens for each block are formed in a continuous form so that the screen contents can be moved from one basic link screen to another basic link scr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대줌인링크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aximum zoom in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본링크화면의 임의의 하나의 섹터가 최대로 줌인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dicates that any one sector of the basic link screen is zoomed in to the maximum.
섹터의 중앙부에는 특정 사이트에 대한 이미지 등이 나타나는 중앙영역(410)과, 중앙영역 주변을 둘러싼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링크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링크버튼영역(420)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tor, a
중앙영역(410)은 다시 상측에,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카테고리링크버튼(430)와, 특정 사이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홈페이지링크버튼(44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특정 사이트의 홈페이지 등의 모습을 이미지로 보여주는 사이트이미지영역(450)이 형성된다.The
상기 사이트이미지영역(450)의 일부분에 특정 사이트에 대한 다수 장의 관련이미지를 넘겨볼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넘김버튼(451, 45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미지넘김버튼이 선택(마우스로 클릭)되면 저장되어 있는 특정 사이트에 대한 관련 이미지들을 하나하나 앞뒤로 넘겨볼 수 있다.
또한, 사이트이미지영역(450)의 일부에는 회전버튼(45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회전버튼이 선택되면 이미지가 회전하면서 이미지 뒷면이 나타나는데, 뒷면에는 특정 사이트에 대한 연혁 등 특정 사이트를 설명하는 설명글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중앙영역(410) 내지 사이트이미지영역(450)까지를 제1 영역으로 구분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From the
상기 링크버튼영역(420)의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그 특정 버튼에 링크되어 있는 인터넷 페이지가 표출된다.When a specific button of the
또한, 상기 링크버튼영역(420)의 일부에는 외국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외국사이트 접속 링크버튼(47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버튼영역(420)과 상기 외국사이트 접속 링크버튼(470)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외국사이트 접속 링크버튼(470)에는 인터넷상의 번역서버에서 제공하는 번역페이지주소가 링크되어 있어서(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번역서버에선 특정 언어로 표시된 특정 페이지가 다른 언어로 번역된 번역 페이지를 특정 주소인 번역페이지주소로 취급하는데, 예로써 영어로 된 USA TODAY의 홈페이지의 한국어번역페이지주소는 http://translate.google.co.kr/translate?u=http%3A%2F%2Fwww.usatoday.com&sl=en&tl=ko&hl=ko&ie=UTF-8로 지정되고, 이 지정된 번역페이지주소가 해당 버튼에 링크되어 있다), 특정 외국사이트 접속 링크버튼이 선택(더블 클릭)되면 해당 외국사이트가 지정된 언어(예를 들면, 한국어)로 번역된 페이지가 표출된다.The foreign site
링크버튼에 의한 해당 링크페이지로의 접속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ess to the corresponding link page by the link button may be performed as follows.
첫째, 기본링크화면의 크기가 마우스 휠의 회전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정 사이즈 이상이 되면 마우스의 커서가 위치한 링크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자동 인식되어 해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First, when the size of the basic link screen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set by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the link button on which the mouse cursor is located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selected and the user can access the corresponding page.
둘째, 기본링크화면의 크기가 마우스 휠의 회전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일정사이즈 이상이 되거나(본 예에서는 최대기본링크화면을 일례로 들었다), 또는 기본링크화면의 사이즈와 상관없이 특정 링크버튼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Second, the size of the base link screen is larger than a certain size set by the rotation of the mouse wheel (in this example, the maximum base link screen is taken as an example), or double the specific link butt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ase link screen. Click to access the p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화면의 또다른 예를 설명하고 있다.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링크화면의 각 섹터의 주변부는 광고 BOX(510-1, 510-2, ..., 510-7)로 둘러싸이고 각 BOX에는 광고 이미지나 광고글이 표시된다.The periphery of each sector of the link screen is surrounded by advertisement boxes 510-1, 510-2,..., 510-7, and an advertisement image or an article is displayed in each box.
최대줌인링크화면에는 이 광고 BOX가 나타나지 않으나, 최대줌인링크화면을 드래그하여 화면이동할 때에는 화면이동시 나타나게 된다.This advertisement box does not appear on the maximum zoom in link screen, but when the screen is moved by dragging the maximum zoom in link screen, the advertisement box appears.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광고 BOX가 포함된 기본링크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link screen including an advertisemen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본링크화면의 각 섹터의 둘레에는 각 섹터에 부속된 광고 BOX들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Each sector of the basic link screen is surrounded by advertisement boxes attached to each s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화면표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ink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링크화면을 표출하기 위한 링크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k bar for displaying a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블록 버튼의 선택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blo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대줌인링크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aximum zoom in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화면의 또다른 예를 설명하고 있다.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link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광고 BOX가 포함된 기본링크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link screen including an advertisement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213A KR101145794B1 (en) | 2009-06-03 | 2009-06-03 |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 |
PCT/KR2010/002609 WO2010123330A2 (en) | 2009-04-24 | 2010-04-26 | Customized advertisement screen and linked screen display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9213A KR101145794B1 (en) | 2009-06-03 | 2009-06-03 |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489A KR20100130489A (en) | 2010-12-13 |
KR101145794B1 true KR101145794B1 (en) | 2012-05-16 |
Family
ID=4350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92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5794B1 (en) | 2009-04-24 | 2009-06-03 |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579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3684A (en) | 2000-06-12 | 2002-03-12 | Sun R & P:Kk | Information browsing system with thumbnail display |
JP2004030145A (en) | 2002-06-25 | 2004-01-29 | Sony Corp | Electronic equipment, data display for electronic equipment, selection method, and web browser |
JP2005033711A (en) | 2003-07-11 | 2005-02-03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program |
KR20080099487A (en) * | 2007-05-09 | 2008-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2009
- 2009-06-03 KR KR1020090049213A patent/KR1011457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3684A (en) | 2000-06-12 | 2002-03-12 | Sun R & P:Kk | Information browsing system with thumbnail display |
JP2004030145A (en) | 2002-06-25 | 2004-01-29 | Sony Corp | Electronic equipment, data display for electronic equipment, selection method, and web browser |
JP2005033711A (en) | 2003-07-11 | 2005-02-03 | Sony Corp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program |
KR20080099487A (en) * | 2007-05-09 | 2008-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0489A (en) | 2010-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31394B1 (en) | Manipulating shared screen content | |
JP6453406B2 (en) | Tile array | |
CN102662566B (en) | Screen content amplific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 |
JP5470861B2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US201001153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displaying web contents | |
EP180664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20060082901A1 (en) | Interacting with detail-in-context presentations | |
US1097046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image, storage medium, and system | |
GB2503654A (en) | Methods of outputting a manipulation of a graphic upon a boundary condition being met | |
CN110574000B (en) | display device | |
JP2012008686A (en) | Information processor and method, and program | |
JP2011130013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2019153049A (en) |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 |
JP2000181436A (en) | Document display device | |
JP5388385B2 (en) |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CN109324736A (en) | The exchange method and device of partial enlargement picture | |
JPWO2008139551A1 (en) |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 |
JP7397946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 |
JP2000172398A (en) | Interface control for performing switching among display areas on display device | |
KR101145794B1 (en) |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icture for link | |
JP4761603B2 (en) | Display control device | |
JP2009288830A (en) |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2014146233A (en) | Material sharing program, terminal device, material sharing method | |
JP2015022675A (en) | Electronic device,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20160059124A1 (en) |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