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4425B1 - 체결구 - Google Patents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425B1
KR101144425B1 KR1020100039558A KR20100039558A KR101144425B1 KR 101144425 B1 KR101144425 B1 KR 101144425B1 KR 1020100039558 A KR1020100039558 A KR 1020100039558A KR 20100039558 A KR20100039558 A KR 20100039558A KR 101144425 B1 KR101144425 B1 KR 10114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portion
male member
cylindrical
faste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856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2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4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과제) 수부재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체결구를 얻는다.
(해결수단) 규제부(42)를 암부재(16)의 통형상부(24)로 향해서 누르면, 다리부(40)의 돌조부(48)가 압압면(54)에 맞닿음으로써 다리부(40)가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이너 라이너(14)가 보디패널(2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암부재(16)에 삽입되는 수부재(18)의 다리부(40)를 직접 벌려서 이너 라이너(14)를 보디패널(20)에 부착함으로써, 암부재에 삽입되는 수부재가 암부재의 다리부를 벌리는 경우에 비해서 수부재(18)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구{FASTENER}
본 발명은 피부착부재를 부착부재에 부착하는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판형상의 부착부재에 피부착부재를 부착하는, 암부재와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리벳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의 암부재를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암부재에 수부재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상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암부재의 다리부가 이 암부재에 삽입되는 수부재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됨으로써, 피부착부재가 부착부재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실공평 6-4504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체결구에서는 수부재가 암부재의 다리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부재의 삽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부재의 삽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체결구는, 피부착부재 및 상기 피부착부재에 겹쳐진 부착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됨과 아울러 둘레벽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재와 맞닿아서 상기 통형상부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암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수부재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부에 삽입된 상기 다리부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다리부를 상기 부착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눌러 붙이는 압압면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된 수부재의 다리부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압압면에 맞닿아서 개구부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려짐으로써, 상기 다리부가 부착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눌려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서 부착부재가 피부착부재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암부재에 삽입되는 수부재의 다리부를 직접 벌려서 부착부재를 피부착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암부재에 삽입되는 수부재가 암부재의 다리부를 벌리는 경우에 비해서 수부재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체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다리부가 상기 통형상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리부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를 상기 통형상부의 내측에 수납하는 수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납수단이 회전하는 수부재의 다리부와 맞닿아서 다리부를 통형상부의 내측에 수납시킴으로써, 다리부가 부착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리부를 통형상부의 내측에 수납시킴으로써 체결구를 부착구멍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체결구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 측에 형성되며, 회전하는 상기 다리부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는 맞닿음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맞닿음부가 회전하는 다리부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를 내측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다리부를 통형상부의 내측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이한 방법으로 다리부를 통형상부의 내측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체결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다리부가 상기 통형상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리부와 맞닿아서 상기 수부재를 발거(拔去)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부에 삽입된 상태의 수부재를 회전시키면, 이동면이 다리부와 맞닿음으로써 수부재를 발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수부재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수부재를 발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수부재를 잡고서 체결구를 부착구멍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체결구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회전이 종료될 때에 상기 다리부가 타고 넘는 클릭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클릭부가 다리부의 회전이 종료될 때에(즉, 다리부가 클릭부를 타고 넘을 때에) 내는 '클릭'음에 의해서 다리부의 회전이 종료된 것을 알림으로써, 작업자는 다리부의 회전이 종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부재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의 (A)(B)(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부착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에 채용된 암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에 채용된 수부재의 다리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임시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임시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분리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분리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분리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분리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분리공정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가 사용된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체결구의 일례를 도 1~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구성〉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12)의 휠 하우스에 배치되는 판형상의 이너 라이너(14)가 복수개의 체결구(10)에 의해서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구(10)는 수지부재로 형성된 암부재(16)와 수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18)에는, 후술하는 암부재(16)에 삽입됨과 아울러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40)가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4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리부(40)의 일단부(도 2에서의 하단부)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삼각형상의 돌조부(4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40)의 타단부(도 2에서의 상단부)에는 암부재(16)에 맞닿아서 다리부(40)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원반형상의 규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규제부(42)의 하면(42B)에 있어서의 다리부(40)보다 외측에는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돌기부(46)가 상기 다리부(40)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46)는 암부재(16)에 맞닿아서 다리부(40)의 삽입량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규제부(42)의 상면(42A)의 중앙부에는 십자구멍(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수부재(1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암부재(16)에는 이너 라이너(14)와 보디패널(20)에 관통되게 형성된 부착구멍(32)(도 1 참조)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통형상부(24)와, 통형상부(24)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너 라이너(14)와 맞닿아서 통형상부(24)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원반형상의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6)의 상면(26A)은 그 단부측이 하측으로 완만하게 만곡형상으로 경사진 대략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통형상부(24)보다도 큰 지름으로 된 원형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상기 수부재(18)의 규제부(42)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오목부(30)의 바닥면에는 다리부(4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구멍(36)을 에워싸는 원형 오목부(30)의 바닥면에는 삽입방향과는 역방향인 발거(拔去)방향으로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34)이 통형상부(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수부재(18)가 암부재(16)에 완전히 삽입된 고정상태에서 수부재(18)를 회전시키면, 돌기부(46)가 상기 경사면(34)을 따라서 타고 올라옴으로써 수부재(18)가 발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가 삽입되는 통형상부(24)의 둘레벽(22)에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28)가 상기 통형상부(24)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24)의 바닥판(50)에는 삽입구멍(36)(도 3 참조)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상의 테이퍼면(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면(52)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원의 지름은 다리부(40)의 1쌍의 돌조부(48)가 대향하는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테이퍼면(52)의 하측에는, 암부재(16)에 삽입되는 다리부(40)의 돌조부(48)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를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다리부(40)를 부착구멍(32)의 구멍 가장자리부(32A){도 1(B) 참조}에 눌러 붙이는 압압면(54)이, 테이퍼면(52)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원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된 원통부(56)를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8)의 다리부(40)를 암부재(16)의 삽입구멍(36)에 삽입하면, 다리부(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조부(48)가 테이퍼면(52)에 맞닿음으로써 다리부(40)가 약간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그 후 돌조부(48)가 테이퍼면(52)을 타고 넘어서 테이퍼면(52)과 압압면(54)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수부재(18)가 암부재(16)에 임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 수부재(18)가 암부재(16)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수부재(18)가 회전되지 않도록, 압압면(54)의 단부에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의 벽부(6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면(54)의 하단부에는 이 압압면(54)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려진 다리부(40)의 돌조부(48)가 걸어맞춰지는 단차부(62)를 통해서 원기둥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고정된 수부재(18)를 암부재(16)의 통형상부(24) 내로 압입하면, 다리부(40)의 돌조부(48)가 압압면(54)에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가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려짐으로써 돌조부(48)가 단차부(62)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18)의 규제부(42)의 상면(42A)과 암부재(16)의 플랜지부(26)의 상면(26A)이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기둥부(64)의 측방에는, 통형상부(24)에 완전히 삽입된 수부재(18)를 회전시켰을 때에 수부재(18)의 다리부(40)의 일단부가 맞닿는 경사면(이동면)(70)이 상기 압압면(54) 및 원기둥부(64)의 일부를 절결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경사면(70)은 다리부(40)를 밀어 올려서 수부재(18)를 발거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져 있으며, 원기둥부(64)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대향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24)의 개구부(2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6)측에는, 회전하는 수부재(18)의 다리부(40)의 기단부측과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를 내측으로 변형시켜서 통형상부(24)의 내측에 수납하는 맞닿음부(72)가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압면(54) 및 원기둥부(64)의 일부가 경사면(70)에 의해서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40)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더라도 다리부(40)와 압압면(54) 및 원기둥부(64)가 맞닿는 일이 없다.
또, 도 13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24)의 둘레벽(22)의 내주면에는 상기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될 때에 다리부(40)가 타고 넘는 볼록형상의 클릭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가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려진 상태에서 수부재(18)를 회전시키면,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의 기단부가 맞닿음부(72)에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가 내측으로 변형됨과 아울러, 다리부(40)의 일단부가 경사면(70)에 맞닿아서 발거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8)를 회전시키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통과할 때에,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올라탐으로써 둘레벽(22) 또는 다리부(40)가 탄성변형되게 된다. 또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통과하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타고 넘음으로써 둘레벽(22) 또는 다리부(40)가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귀하게 되며, 다리부(40)가 임시 고정상태의 위치(도 5 참조)에 재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너 라이너(14)와 보디패널(20)에 형성된 부착구멍(32)에 끼워지는 체결구(1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8)가 암부재(16)에 임시 고정된 상태의 것으로서, 수부재(18)의 다리부(40)가 암부재(16)의 통형상부(24)에 수용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는 통형상부(2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 라이너(14)를 차체의 보디패널(20)에 부착할 때에는, 작업자는 한 손으로 이너 라이너(14)를 지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체결구(10)의 통형상부(24)를 이너 라이너(14)와 보디패널(20)에 형성된 부착구멍(32)(도 1 참조)에 삽입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구(10)를 부착구멍(32)에 삽입하면, 암부재(16)의 플랜지부(26)가 이너 라이너(14)의 외표면에 맞닿음으로써 통형상부(24)의 삽입량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18)의 원반형상의 규제부(42)가 암부재(16)의 플랜지부(26)에서 돌출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부재(18)의 규제부(42)를 암부재(16)의 원형 오목부(30) 내로 향해서 압입하면, 수부재(18)의 다리부(40)가 암부재(16)의 압압면(54)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도 4의 실선 화살표 참조) 부착구멍(32)의 구멍 가장자리부(32A)에 눌려 붙여짐으로써 이너 라이너(14)가 보디패널(20)에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고정된 수부재(18)의 다리부(40)를 암부재(16)의 통형상부(24) 내로 향해서 누르면, 다리부(40)의 돌조부(48)가 압압면(54)에 맞닿음으로써 다리부(40)가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 후, 돌조부(48)가 단차부(62)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다리부(40)는 벌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수부재(18)의 규제부(42)의 상면(42A)과 암부재(16)의 플랜지부(26)의 상면(26A)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이너 라이너(14)의 부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후공정이나 시장에서 상기 체결구(10)를 빼내고서 이너 라이너(14)를 교환하고 싶은 경우 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십자 드라이버를 규제부(42)에 형성된 십자구멍(44)에 끼우고서 상기 규제부(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도 4의 2점쇄선 화살표 참조)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를 통형상부(24) 내측에 수납한다. 그리고, 규제부(42)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수부재(18)가 발거방향으로 밀어 올려짐으로써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고정상태의 위치에 재배치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부재(18)의 규제부(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리부(40)의 기단부가 맞닿음부(72)에 맞닿아서 다리부(40)가 내측으로 변형되어 통형상부(24) 내측에 수납됨과 아울러, 다리부(40)의 일단부가 경사면(70)에 맞닿아서 발거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다리부(40)가 발거방향으로 밀어 올려짐과 동시에, 규제부(42)의 하면(42B)에 형성된 돌기부(46)가 플랜지부(26)의 원형 오목부(3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면(34)(도 3 참조)을 따라서 타고 올라옴으로써, 수부재(18)가 발거방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통과할 때에,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올라탐으로써 둘레벽(22) 또는 다리부(40)가 탄성변형되게 된다. 또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통과하면,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타고 넘음으로써 둘레벽(22) 또는 다리부(40)가 원래의 형상으로 탄성복귀하게 되며, 수부재(18)가 임시 고정상태의 위치(도 5 참조)에 재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암부재(16)에 삽입되는 수부재(18)의 다리부(40)를 직접 벌려서 이너 라이너(14)를 보디패널(20)에 부착함으로써, 암부재에 삽입되는 수부재가 암부재의 다리부를 벌리는 경우에 비해서 수부재(18)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다리부(40)의 기단부가 맞닿음부(72)에 맞닿아서 다리부(40)가 내측으로 변형되어 통형상부(24) 내측에 수납됨으로써, 다리부(40)가 부착구멍(32)의 구멍 가장자리부(32A)에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가 경년변화나 피로변화{크리프(creep) 등}로 인하여 다리부가 복원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 체결구(10)를 부착구멍(32)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규제부(42)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수부재(18)가 암부재(16)에서 떨어져서 발거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돌출된 수부재(18)를 잡고서 체결구(10)를 부착구멍(32)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 통형상부(24)에 형성된 클릭부(78)가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될 때에{즉, 다리부(40)가 클릭부(78)를 타고 넘을 때에} 내는 '클릭'음에 의해서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된 것을 알린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된 때에는 수부재(18)가 임시 고정상태의 위치에 재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0)를 그대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10 - 체결구 14 - 이너 라이너(부착부재)
16 - 암부재 18 - 수부재
20 - 보디패널(피부착부재) 22 - 둘레벽
24 - 통형상부 26 - 플랜지부
28 - 개구부 32 - 부착구멍
32A - 구멍 가장자리부 40 - 다리부
42 - 규제부 54 - 압압면
70 - 경사면(이동면) 72 - 맞닿음부(수납수단)
78 - 클릭부

Claims (5)

  1. 피부착부재(20) 및 상기 피부착부재(20)에 겹쳐진 부착부재(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부착구멍(32)에 삽입됨과 아울러 둘레벽(22)에 개구부(28)가 형성된 통형상부(24)와, 상기 통형상부(24)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재(14)와 맞닿아서 상기 통형상부(24)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플랜지부(26)를 구비하는 암부재(16)와;
    상기 암부재(16)의 통형상부(24)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40)와, 상기 다리부(4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6)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의 삽입량을 규제하는 규제부(42)를 구비하는 수부재(18)와;
    상기 통형상부(24)에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부(24)에 삽입된 상기 다리부(40)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를 상기 개구부(28)를 통해서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다리부(40)를 상기 부착구멍(32)의 구멍 가장자리부(32A)에 눌러 붙이는 압압면(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24)에는, 상기 다리부(40)가 상기 통형상부(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18)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리부(40)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를 상기 통형상부(24)의 내측에 수납하는 수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개구부(28)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26)측에 형성되며, 회전하는 상기 다리부(40)와 맞닿아서 상기 다리부(40)를 내측으로 변형시키는 맞닿음부(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24)에는, 상기 다리부(40)가 상기 통형상부(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18)를 회전시키면, 상기 다리부(40)와 맞닿아서 상기 수부재(18)를 발거(拔去)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면(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24)의 내주면에는, 상기 다리부(40)의 회전이 종료될 때에 상기 다리부(40)가 타고 넘는 클릭부(7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KR1020100039558A 2009-05-13 2010-04-28 체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144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6347 2009-05-13
JP2009116347A JP2010265952A (ja) 2009-05-13 2009-05-13 締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56A KR20100122856A (ko) 2010-11-23
KR101144425B1 true KR101144425B1 (ko) 2012-05-10

Family

ID=4308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4425B1 (ko) 2009-05-13 2010-04-28 체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65952A (ko)
KR (1) KR101144425B1 (ko)
CN (1) CN102422030A (ko)
WO (1) WO20101317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312A (ko) * 2016-07-15 2018-01-24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연결 파스너
KR20180054082A (ko) 2016-11-15 2018-05-24 (주)성일프라스틱 차량용 플라스틱 리벳
KR102179054B1 (ko) * 2019-05-30 2020-11-19 국도피엔텍(주) 패스너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0894B2 (ja) * 2009-12-18 2014-07-1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WO2014137773A1 (en) * 2013-03-07 2014-09-12 Illinois Tool Works Inc. Clip assembly
JP6116396B2 (ja) * 2013-06-19 2017-04-19 株式会社ニフコ 取付具
KR101721473B1 (ko) * 2015-06-23 2017-03-30 박수경 파이프용 길이조절장치
CN109062341A (zh) * 2018-06-27 2018-12-21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快速拆装结构及旋转卡扣
JP7119749B2 (ja) * 2018-08-14 2022-08-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締結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112020005647T5 (de) * 2019-11-07 2022-09-01 Nitto Denko Corporation Belüftungskomponente
CN113497370B (zh) * 2021-09-06 2021-11-19 常州协和光电器件有限公司 一种固定良好的线路板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7112U (ko) * 1987-11-11 1989-05-24
JPH0554808A (ja) * 1991-08-27 1993-03-05 Sanyo Electric Co Ltd マグネトロン
JP2007170460A (ja)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02646A (ja) 2006-06-26 2008-01-10 Nifco Inc 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888Y2 (ja) * 1991-12-26 1996-09-04 アイワ株式会社 結合装置
JPH0681822A (ja) * 1992-08-31 1994-03-22 Pop Rivet Fastener Kk クリップ
JP4091859B2 (ja) * 2003-03-03 2008-05-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JP4485281B2 (ja) * 2004-08-05 2010-06-16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US20080298925A1 (en) * 2007-05-30 2008-12-04 Piolax Inc. Two-piece cl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7112U (ko) * 1987-11-11 1989-05-24
JPH0554808A (ja) * 1991-08-27 1993-03-05 Sanyo Electric Co Ltd マグネトロン
JP2007170460A (ja)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02646A (ja) 2006-06-26 2008-01-10 Nifco Inc 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312A (ko) * 2016-07-15 2018-01-24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연결 파스너
KR102242482B1 (ko) * 2016-07-15 2021-04-20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연결 파스너
KR20180054082A (ko) 2016-11-15 2018-05-24 (주)성일프라스틱 차량용 플라스틱 리벳
KR102179054B1 (ko) * 2019-05-30 2020-11-19 국도피엔텍(주) 패스너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65952A (ja) 2010-11-25
CN102422030A (zh) 2012-04-18
KR20100122856A (ko) 2010-11-23
WO2010131710A1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425B1 (ko) 체결구
KR101481360B1 (ko) 2피스 클립
US20020063189A1 (en) Clip arrangement for releasably fastening an object to at least one line
US7484919B2 (en) Fastener assembly
JP6255033B2 (ja) 止め具
CN106979201B (zh) 具有漏斗引导件的紧固件夹具组件
JP2005527752A (ja) 弾性クリップ式ファス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9051A (ja) クリップ
WO2010052960A1 (ja) クリップと取付部材との組付構造
CN111033062B (zh) 卡夹
US8585337B1 (en) Panel moun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CN115388071A (zh) 用于将构件紧固到载体构件上的装置
JP6851850B2 (ja) シート状部材の取付具
WO2019035273A1 (ja) クリップ
JP6396277B2 (ja) クリップ
US20070243046A1 (en) Simple Fastening Device
JP4719132B2 (ja) 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US20090094800A1 (en) Trim clip
JP2004263791A (ja) クリップ
JP4638389B2 (ja) クリップ
KR20090105848A (ko) 클립
JPS6114736Y2 (ko)
JP2013185354A (ja) 連結継手、調芯部材及びセグメント
JP4550691B2 (ja) 釣具の釣糸保持構造
JP2009250249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