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3680B1 - 이앙기용 모 선반 - Google Patents

이앙기용 모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680B1
KR101143680B1 KR1020090025550A KR20090025550A KR101143680B1 KR 101143680 B1 KR101143680 B1 KR 101143680B1 KR 1020090025550 A KR1020090025550 A KR 1020090025550A KR 20090025550 A KR20090025550 A KR 20090025550A KR 101143680 B1 KR101143680 B1 KR 10114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mother
main
hing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318A (ko
Inventor
최덕순
도현대
고광명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6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6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모 선반, 이 메인 모 선반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할 모 선반,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된 힌지 파이프, 이 힌지 파이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좌우 중 한쪽에 장착된 힌지 핀,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힌지 파이프와 힌지 핀에 의하여 좌우로의 회전이 가능한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좌우 중 다른 쪽을 체결함으로써 분할 모 선반을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그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25550
이앙기, 모 선반, 식부 장치, 탈착, 회전, 힌지

Description

이앙기용 모 선반{Seedling rack for rice-transplanter}
본 발명은 이앙기용 모 선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좌우 폭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앙기용 모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못자리 등에서 육묘한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데 사용하는 이앙기는 이앙 줄 수에 따라 4조형, 6조형, 8조형 등으로 구분하는데, 8조형 이앙기와 같이 이앙 줄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타입은 그 모 선반의 좌우 폭 또한 더 넓기 때문에 도로를 주행하거나 운반 차량에 실어 운송하거나 창고 등에 격납하거나 하는 때 여의찮은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모 선반의 폭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이앙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그 모 선반이 4조분의 메인 모 선반과 각각 2조분의 두 분할 모 선반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분할 모 선반은 메인 모 선반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가 가운데 쪽으로 밀면 메인 모 선반의 앞에 이 메인 모 선반과 포개지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이 같이 폭이 축소되는 이앙기용 모 선반은 그 두 분할 모 선반이 정하여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나 링크 따위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할 수밖에 없었고, 이 점 때문에 조작을 비롯한 각종 유지, 보수가 어려운 데다 고장 발생이 잦은 편이었으며, 아울러 제작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폭을 편리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이렇게 축소시킨 상태를 안정감 있게 유지할 수 있는 이앙기용 모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한 한 예에 따르면, 이앙기를 구성하는 차량의 뒤쪽에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장착된 메인 모 선반; 상기 메인 모 선반의 좌우 중 적어도 한쪽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할 모 선반;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기 메인 모 선반에서 분리한 분할 모 선반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과 결합시키는 선반 결합 기구를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이 제공되는데, 이때의 선반 결합 기구는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 하단부가 각각 장착되고 가운데 부분에 핀 홀이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제1 마운팅 프레임; 상기 핀 홀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측 좌우 중 한쪽에 장착된 제1 힌지 핀; 상기 핀 홀과 이 핀 홀에 끼워진 제1 힌지 핀에 의하여 회전되는 분할 모 선반을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분할 모 선반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하단부가 장착된 경사 파이프와, 이 경사 파이프의 상단에서 상기 메인 모 선반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선단의 중공 부분을 상기 핀 홀로 하는 직선 파이프를 가지는 제1 힌지 파이프; 상기 직선 파이프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단부가 장착된 지지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직선 파이프의 하단부에 상기 직선 파이프와 나란히 있도록 장착되고 상단의 중공 부분을 핀 홀로 하는 제2 힌지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선반 결합 기구는 상기 제2 힌지 파이프의 핀 홀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측에 장착된 제2 힌지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과 제2 힌지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을 회전시켜 펼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해당의 핀 홀과 헐거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분할 모 선반이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때 상기 제2 힌지 파이프와 이 제2 힌지 파이프의 핀 홀에 끼워진 제2 힌지 핀을 체결하는 제1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크 수단은 위와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측 좌우 중 다른 쪽에 장착된 삽입 부재; 상기 분할 모 선반이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때 상기 삽입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장착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와 이 수용 부재에 삽입된 삽입 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체결 유닛을 함께 갖출 수도 있겠다.
상기 로크 수단은 또,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삽입 부재가 삽입된 때 이 둘 사이에 개재하여 있도록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크 수단은 또,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의 좌우 중 상기 삽입 부재 측에 위치하여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 하단부가 각각 장착된 제2 마운팅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에는 상기 삽입 부재에 상기 수용 부재가 삽입된 때 서로 일치하는 관통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체결 유닛은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의 서로 일치하는 관통 구멍에 끼웠다 빼었다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부재 측에 구비된 체결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할 모 선반은 그 모 적재면 측의 좌우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긴 손잡이가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는 둘 중 상기 제1 힌지 핀 측에 위치한 것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 선반이 적용된 이앙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기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직접 운전하는 승용형의 주행 기체(2)(이하, 차량이라 한다), 이 차량(2)을 따라다니면서 논 에 모를 심는 식부 장치(4), 이 식부 장치(4)에 보급할 모(예비 모)를 보관하여 두는 데 사용되는 한 쌍의 예비 모 선반(6)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밖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부 장치(4)에 의하여 모가 심어지게 될 논바닥을 고르게 하는 플로트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1, 2에 도시된 이앙기의 차량(2)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은 그 구조를 크게 섀시(chassis)와 이를 덮는 바디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기본 골격인 섀시 프레임(11), 이 섀시 프레임(11)의 앞부분에 탑재된 공랭식 엔진(12), 이 엔진(12)이 제공하는 동력을 필요한 회전 속도로 변경하고 변속된 동력을 주행용과 작업용으로 배분하는 트랜스미션(도시되지 않음), 이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주행 동력을 전달받아 구름 운동하는 한 쌍의 전륜(13f)과 후륜(13r)을 포함한다. 바디는 엔진(12)과 그 주변 부분을 덮는 보닛(bonnet)(14), 섀시 프레임(11) 위에서 이 보닛(14)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나머지 대부분을 덮는 차체 커버(15)를 포함하는데, 이 중 차체 커버(15)는 그 윗면을 작업자가 탑승하는 스텝으로 한다.
이와 같은 차량(2)은 또, 가속 페달(16)의 조작에 따라 엔진(12)의 회전수를 변경하는 가속 장치, 브레이크 페달(17)의 조작에 따라 차량(2)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18)의 조작에 따라 조향 가능한 전륜(13f)의 회전축 방향을 바꾸는 조향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밖으로는 탑승한 작업자가 앉는 자리인 시트(19)를 더 포함하는데, 이 시트(19)는 보 닛(14)의 후방에 배치되고, 가속 페달(16)을 비롯한 브레이크 페달(17), 스티어링 휠(18)은 작업자가 직접 다루어야 하는 것들이므로 작업자가 시트(19)에 앉은 자세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이 시트(19)의 주변에 배치된다.
식부 장치(4)는 모가 실리는 복수 조형의 모 선반(22), 이 모 선반(22)에 실린 모를 적정한 분량씩 끄집어내어 논에 옮겨 심는 복수 개의 식부 기구(24),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작업 동력을 제공받아 이 식부 기구(24)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식부 전동 기구(도시되지 않음) 및 이 식부 전동 기구를 수용하는 식부 전동 케이스(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부 전동 케이스(26)는 차량(2)에 이 차량(2)의 뒷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이 링크 기구(8) 등에 의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또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되는바, 이 유압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의 운동 방향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도 4, 5는 식부 장치(4)의 모 선반(2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 선반(22)은 선반 프레임(28) 등에 의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26)의 상측에 앞쪽은 높고 뒤쪽은 낮도록 일정한 각도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7조분의 메인 모 선반(32), 탈착 기구에 의하여 이 메인 모 선반(32)의 좌우 중 뒤쪽에서 보아 좌측에 나란히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1조분의 분할 모 선반(34)을 포함한다. 참고로, 탈착 기구는 메인 모 선반(32)의 측면에 분할 모 선반(34)을 간단히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겠으나, 여기에서는 볼트를 이용하는 타입을 적용하였다.
설명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탈착 기구에 의하여 메인 모 선반(32)에 장착된 분할 모 선반(34)은 탈착 기구의 체결을 해제하면 모 선반(22)의 좌우 폭이 축소되도록 메인 모 선반(32)에서 분리되는데, 모 선반(22)은 도 1, 2, 5와 같이 메인 모 선반(32)에서 분리한 분할 모 선반(34)을 메인 모 선반(32)과 포개 놓을 수 있도록 메인 모 선반(32)과 분할 모 선반(34)을 결합하는 선반 결합 기구를 더 포함한다.
탈착 기구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 메인 모 선반(32)과 분할 모 선반(34)은 후방을 향하는 경사면을 식부할 모가 실리는 모 적재면으로 하는데, 이 경사진 모 적재면에는 실린 모가 모 적재면의 경사를 따라 하단 측으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벽(33,35)이 복수 개 마련된다. 이 가이드 벽(33,35)은 각 조의 좌우에 하나씩 위치되는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각 조에 실리는 모의 이동을 좌우 양쪽에서 안내한다. 참고로, 메인 모 선반(32)은 7조분이므로 총 여덟 개의 가이드 벽(33)을, 분할 모 선반(34)은 1조분이므로 총 두 개의 가이드 벽(35)을 가진다.
선반 결합 기구는 메인 모 적재면(즉,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메인 모 선반(32)에서 분리한 분할 모 선반(34)을 좌우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분할 모 선반(34)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하는 힌지 수단(36),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분할 모 선반(34)을 접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 힌지 수단(36)에 의한 분할 모 선반(34)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제1 로크 수단과 제2 로크 수단(38)을 포함한다.
도 6, 7은 선반 결합 기구의 힌지 수단(36)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수단(36)은 상하 두 개의 핀 홀(H1,H2)을 가지는 제1 마운팅 프레임(41), 이 제1 마운팅 프레임(41)의 두 핀 홀(H1,H2)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 및 제2 힌지 핀(45,46)을 포함한다.
제1 마운팅 프레임(41)은 속이 빈 파이프로 구성된다. 즉, 제1 마운팅 프레임(41)은 제1 및 제2 힌지 파이프(42,43)와 지지 파이프(44)를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데, 이들 중에서 제1 힌지 파이프(42)는 메인 모 선반(32)의 가이드 벽(33) 중 좌측에서 두 번째의 것에 하단부가 장착된 경사 파이프(42a), 이 경사 파이프(42a)의 상단에서 메인 모 선반(32)의 상측으로 곧게 연장된 직선 파이프(42b)로 구성된다. 이 같은 제1 힌지 파이프(42)는 두 핀 홀(H1,H2) 중 상측에 위치한 핀 홀(H1)을 마련하는 것인데, 직선 파이프(42b)는 그 상단의 중공 부분을 상측 핀 홀(H1)로 한다. 물론, 이에 따르면, 상측 핀 홀(H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참고로, 경사 파이프(42a)와 직선 파이프(42b)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힌지 파이프(43)는 두 핀 홀(H1,H2) 중 하측 핀 홀(H2)을 마련하는 것인바, 브래킷 등에 의하여 직선 파이프(42b)의 하단 부분에 직선 파이프(42b)와 나란히 있도록 장착되고 그 상단의 중공 부분을 하측 핀 홀(H2)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측 핀 홀(H2)도 상측 핀 홀(H1)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는 하지만 중심선의 위치가 상측 핀 홀(H1)의 그것과 다르므로 상측 핀 홀(H1)과는 동심이 아닌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참고로, 제2 힌지 파이프(43)는 그 길이가 직선 파이프(42b)에 비하여 짧은 파이프로 구성된다.
지지 파이프(44)는 직선 파이프(42b)의 상단부에 그 하단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메인 모 선반(32)의 가이드 벽(33) 중 경사 파이프(42a)가 장착되는 것(좌측에서 두 번째의 가이드 벽)에 그 상단부가 장착되는바, 외팔보 구조인 제1 힌지 파이프(42)를 구조적으로 보강한다.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제1 마운팅 프레임(41)은 메인 모 적재면 측에 그 상단과 하단 부분이 각각 장착되고 그 가운데 부분에 상측 핀 홀(H1)이 마련되며 이 상측 핀 홀(H1)로부터 하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진 부분에 하측 핀 홀(H2)이 마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8은 힌지 수단(36)의 두 핀 홀(H1,H2)과 두 힌지 핀(45,46) 간의 결합 관계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 및 제2 힌지 핀(45,46)은 분할 모 선반(34)의 이면(모 적재면의 반대면) 측 좌우 중 우측에 브래킷 등에 의하여 각각 견고히 장착되는 것인바, 제1 힌지 핀(45)의 경우에는 상측 핀 홀(H1)에, 제2 힌지 핀(46)의 경우에는 하측 핀 홀(H2)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로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핀 홀(H1,H2)은 제1 및 제2 힌지 파이프(42,43)가 서로 평행하므로 그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에, 두 핀 홀(H1,H2)에 제1 및 제2 힌지 핀(45,46)이 모두 꼭 맞게 끼워진다면, 분할 모 선반(34)은 회전 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힌지 핀(45,4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핀 홀과 헐거움 끼움 결합되는바,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접은 분할 모 선반(34)을 펴기 위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가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10도 ~ 20도)로 제한되도록 해당 핀 홀과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도 8과 같이 제1 힌지 핀(45)은 상측 핀 홀(H1)에 헐겁게 끼워지고 제2 힌지 핀(46)은 하측 핀 홀(H2)에 꼭 맞게 끼워져 제2 힌지 핀(46)이 주된 회전축의 역할을 하고 제1 힌지 핀(45)이 상측 핀 홀(H1)과의 유격(헐거운 정도) 범위 이내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였다.
제1 로크 수단의 구성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 수단은 분할 모 선반(34)이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접힌 때 하측 핀 홀(H2)에 삽입된 제2 힌지 핀(46)과 제2 힌지 파이프(43)를 체결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제1 체결 유닛(48)을 포함한다.
제1 체결 유닛(48)은 제2 힌지 핀(46)의 상단부에 마련된 걸림 턱(48a), 제2 힌지 파이프(43) 장착용의 브래킷에 상단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손잡이 레버(48b), 이 손잡이 레버(48b)의 하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걸림 고리(48c)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하면, 제2 힌지 파이프(43)와 힌지 핀(46)은 걸림 턱(48a)에 걸림 고리(48c)를 건 다음 손잡이 레버(48b)를 하측으로 내리면 서로 체결된다.
도 9는 선반 결합 기구의 제2 로크 수단(38)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크 수단(38)은 메인 모 선반(32)의 가이드 벽(33) 중 좌측에서 세 번째의 그것에 상, 하단부가 각각 장착된 제2 마운팅 프레임(51), 분할 모 선반(34)의 이면 측 좌우 중 좌측에 브래킷 등에 의하여 장착된 삽입 부재(52), 힌지 수단(36)에 의하여 메인 모 적재면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분할 모 선반(34)이 회전되어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접힌 때 삽입 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마운팅 프레임(51)에 장착된 수용 부재(53), 이 수용 부재(53)와 삽입 부재(52)가 결합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54), 서로 결합된 삽입 부재(52)와 수용 부재(53)를 체결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제2 체결 유닛(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마운팅 프레임(51)은 직선 파이프와 이 직선 파이프의 상, 하단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된 두 개의 경사 파이프에 의하여 제1 마운팅 프레임(41)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참고로, 제2 마운팅 프레임(51)의 직선 파이프와 두 경사 파이프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수용 부재(53)는 제2 마운팅 프레임(51)을 구성하는 직선 파이프에 장착되며 삽입 부재(52)의 수용이 가능한 홈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완충재(54)는 고무, 우레탄 폼 등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로 구성되는데, 이 패드는 수용 부재(53)와 여기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52)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도록 수용 부재(53)에 부착된다. 물론, 이 패드는 수용 부재(53)가 아닌 삽입 부재(52)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삽입 부재(52)와 수용 부재(53) 둘 모두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2 체결 유닛(55)은 삽입 부재(52)와 수용 부재(53)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 때 일치하는 관통 구멍에 끼었다 빼었다 할 수 있도록 수용 부재(53) 측에 구비된 체결 핀(56)을 포함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61, 62는 둘 모두 손잡이인데, 이 손잡이(61,62)는 분할 모 선반(34)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또, 손잡이(61,62)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 수단(36) 측에 위치하는 손잡이(61)는 그 길이가 제2 로크 수단(38) 측의 손잡이(62)에 비하여 더 길도록 형성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모 선반(22)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메인 모 적재면 측에 분할 모 선반(34)을 결합하면, 분할 모 선반(34)의 하중은 제1, 제2 마운팅 프레임(41,51)에 가해진다. 그러나 제1, 제2 마운팅 프레임(41,51)은 그 상단과 하단부가 메인 모 적재면 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분할 모 선반(34)의 하중에 의하여 처지거나 휘어지는 등 변형되지 않는다. 게다가, 힌지 파이프(42,43)와 힌지 핀(45,46)이 두 개씩 구비되므로 힌지 연결 구조가 견실한바, 메인 모 적재면 측에 결합되는 분할 모 선반(34)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상측과 하측 핀 홀(H1,H2)은 그 중심이 같지 않고 제1과 제2 힌지 핀(45,46)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의 핀 홀과 헐겁게 끼워지므로, 메인 모 적재면 측에 결합되어 메인 모 선반(32)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34)은 일정한 각도 이상 펼칠 수 없는바, 제1 및 제2 체결 유닛(48,55)을 체결하지 않거나 이 제1 및 제2 체결 유닛(48,55)의 체결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더라도 과도하게 건들거리지 않는다.
수용 부재(53)에 삽입 부재(52)를 삽입하여 수용하는 과정 중 삽입 부재(52)와 수용 부재(53)가 서로 충돌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완충재(54)에 의하여 방지된다.
메인 모 적재면 측에 분할 모 선반(34)을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좌우의 손잡이(61,62)를 양손으로 각각 붙잡아 분할 모 선반(34)을 든 상태에서 제1 및 제2 힌지 파이프(42,43)의 핀 홀(H1,H2)에 제1 및 제2 힌지 핀(45,46)을 각각 맞추어 끼워야 하는바, 이 경우 좌우의 손잡이(61,62) 중 힌지 수단(36) 측에 위치한 그것을 잡고 있는 손 쪽으로 무게가 쏠리기 쉽다. 그렇지만 힌지 수단(36) 측 손잡이(61)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파지 면적을 충분한 확보할 수 있는바, 편안한 자세에서 힘을 덜 들이고 작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는 메인 모 선반(32)이 7조분이고 분할 모 선반(34)이 1조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메인 모 선반(32)과 분할 모 선반(34)의 이앙 줄 수는 실시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증감될 수 있다. 즉, 일례로 분할 모 선반(34)은 2조분 이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로는 이앙기를 9조형으로 구성하거나 10조형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겠다.
또한, 분할 모 선반(34)의 경우에는 탈착 기구에 의하여 메인 모 선반(32)의 좌우 중 뒤쪽에서 보아 좌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분할 모 선반(34)의 장착 위치는 좌측이 아닌 우측일 수도 있다. 또, 분할 모 선반(34)은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비되는 분할 모 선반(34)의 개수는 두 개일 수도 있고, 이렇게 두 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메인 모 선반(32)의 좌우에 하나씩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힌지 수단(36)은 분할 모 선반(34)의 이면 우측에 그 일부가 적용되고 로크 수단(38)은 분할 모 선반(34)의 이면 좌측에 그 일부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힌지 수단(36)과 로크 수단(38)의 적용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마운팅 프레임(41,42)이 장착되는 위치로서 각각 메인 모 선반(32)의 가이드 벽(33) 중 좌측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의 것을 지목하였으나, 제1 및 제2 마운팅 프레임(41,42)의 장착 위치는 메인 모 적재면 측이면 되는 것이므로 메인 모 선반(32)의 가이드 벽(33) 중 앞서 지목한 것 외의 것일 수도 있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이 가이드 벽(33)이 아닌 주변의 구성물이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 선반이 적용된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 2에 도시된 이앙기의 차량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용 모 선반의 사시도로, 도 4는 분할 모 선반이 메인 모 선반의 측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분할 모 선반이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수단의 제1 마운팅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수단의 제1 및 제2 힌지 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7에 도시된 제1 마운팅 프레임과 두 힌지 핀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로크 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차량 22 : 모 선반
32 : 메인 모 선반 34 : 분할 모 선반
41 : 제1 마운팅 프레임 42 : 제1 힌지 파이프
42a : 경사 파이프 42b : 직선 파이프
43 : 제2 힌지 파이프 44 : 지지 파이프
45 : 제1 힌지 핀 46 : 제2 힌지 핀
48 : 제1 체결 유닛 51 : 제2 마운팅 프레임
52 : 삽입 부재 53 : 수용 부재
54 : 완충재 55 : 제2 체결 유닛
61, 62 : 손잡이 H1, H2 : 핀 홀

Claims (9)

  1. 이앙기를 구성하는 차량의 뒤쪽에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장착된 메인 모 선반; 상기 메인 모 선반의 좌우 중 적어도 한쪽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분할 모 선반;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기 메인 모 선반에서 분리한 분할 모 선반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과 결합시키는 선반 결합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선반 결합 기구는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 하단부가 각각 장착되고 상하에 핀 홀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제1 마운팅 프레임; 상기 상, 하측 핀 홀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측 좌우 중 한쪽에 장착된 제1 및 제2 힌지 핀; 상기 핀 홀 및 이 핀 홀에 끼워진 힌지 핀에 의하여 회전되는 분할 모 선반을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분할 모 선반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로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을 회전시켜서 펼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상, 하측 핀 홀은 서로 평행하여 중심이 불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과 제2 힌지 핀 중 하나는 상기 해당의 핀 홀과 헐거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은 상기 제1과 제2 힌지 핀 중 나머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헐거움 끼움 결합된 핀 홀과 힌지 핀의 유격 범위 이내에서 펼쳐지도록 회전되는 이앙기용 모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하단부가 장착된 경사 파이프와, 이 경사 파이프의 상단에서 상기 메인 모 선반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선단의 중공 부분을 상기 제1 힌지 핀이 끼워지는 상측 핀 홀로 하는 직선 파이프를 가지는 제1 힌지 파이프;
    상기 직선 파이프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단부가 장착된 지지 파이프;
    상기 직선 파이프의 하단부에 상기 직선 파이프와 나란하도록 장착되고 상단의 중공 부분을 상기 제2 힌지 핀이 끼워지는 하측 핀 홀로 하는 제2 힌지 파이프를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분할 모 선반이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때 상기 제2 힌지 파이프와 이 제2 힌지 파이프의 하측 핀 홀에 끼워진 제2 힌지 핀을 체결하는 제1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분할 모 선반의 이면 측 좌우 중 다른 쪽에 장착된 삽입 부재;
    상기 분할 모 선반이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때 상기 삽입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장착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와 이 수용 부재에 삽입된 삽입 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메인 모 선반에 대하여 접힌 분할 모 선반의 좌우 중 상기 삽입 부재 측에 위치하여 있도록 상기 메인 모 선반의 모 적재면 측에 상, 하단부가 각각 장착된 제2 마운팅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제2 마운팅 프레임에 장착된 이앙기용 모 선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에는 상기 삽입 부재에 상기 수용 부재가 삽입된 때 서로 일치하는 관통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 체결 유닛은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의 서로 일치하는 관통 구 멍에 끼웠다 빼었다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부재 측에 구비된 체결 핀을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수용 부재에 상기 삽입 부재가 삽입된 때 이 둘 사이에 개재하여 있도록 상기 삽입 부재와 수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하는 이앙기용 모 선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모 선반은 그 모 적재면 측의 좌우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긴 손잡이가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는 둘 중 상기 힌지 핀 측에 위치한 것의 길이가 더 긴 이앙기용 모 선반.
KR1020090025550A 2009-03-25 2009-03-25 이앙기용 모 선반 Expired - Fee Related KR10114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50A KR101143680B1 (ko) 2009-03-25 2009-03-25 이앙기용 모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50A KR101143680B1 (ko) 2009-03-25 2009-03-25 이앙기용 모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18A KR20100107318A (ko) 2010-10-05
KR101143680B1 true KR101143680B1 (ko) 2012-05-11

Family

ID=4312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3680B1 (ko) 2009-03-25 2009-03-25 이앙기용 모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0108B (zh) * 2012-12-05 2016-06-01 黑龙江省水田机械化研究所 八行折叠式四轮驱动水稻插秧机及插秧方法
JP2016082903A (ja) *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田植機
CN116349463B (zh) * 2023-04-13 2025-07-08 江西农业大学 一种钵体苗凸轮顶出式有序取苗装置及抛秧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719A (ja) 1999-02-19 2000-09-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型移植機
JP2000316333A (ja) 1999-05-10 2000-11-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型移植機
KR100336906B1 (ko) 1999-07-09 2002-05-15 미쯔이 고오헤이 이앙기의 모심기장치
KR100651670B1 (ko) 1999-04-02 2006-11-30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벼 이앙기의 모적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719A (ja) 1999-02-19 2000-09-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型移植機
KR100651670B1 (ko) 1999-04-02 2006-11-30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벼 이앙기의 모적재대
JP2000316333A (ja) 1999-05-10 2000-11-2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乗用型移植機
KR100336906B1 (ko) 1999-07-09 2002-05-15 미쯔이 고오헤이 이앙기의 모심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18A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3705B2 (ja) 農作業機
KR101143680B1 (ko) 이앙기용 모 선반
JP5285315B2 (ja) 農作業機
JP4968879B2 (ja) 田植機の予備苗台構造
JP7097830B2 (ja) 乗用型田植機
JP5775203B2 (ja) 農作業機
JP2009240224A (ja) 農作業機
JP4977254B2 (ja) 農作業機
JP5250148B2 (ja) 農作業機
JP5832476B2 (ja) 農作業機
JP2013013423A5 (ko)
JP2013013423A (ja) 農作業機
JP4484787B2 (ja) 乗用型田植機
JP5600363B2 (ja) 農作業機
JP5568269B2 (ja) 乗用型田植機
JP3636870B2 (ja) 乗用田植機
JP7546708B2 (ja) 水田作業機
JP3636869B2 (ja) 乗用田植機
JP6858810B2 (ja) 乗用型田植機
JP4017589B2 (ja) 乗用型田植機の予備苗載置構造
JP4081463B2 (ja) 田植機
JP7169886B2 (ja) 圃場作業機
JP3757039B2 (ja) 田植機
JP2009000018A (ja) 移植機
JP2004041203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