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2186B1 - 음료수 테이블 - Google Patents

음료수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86B1
KR101142186B1 KR1020110135039A KR20110135039A KR101142186B1 KR 101142186 B1 KR101142186 B1 KR 101142186B1 KR 1020110135039 A KR1020110135039 A KR 1020110135039A KR 20110135039 A KR20110135039 A KR 20110135039A KR 101142186 B1 KR101142186 B1 KR 10114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upper case
case
supply device
rota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정삼
Original Assignee
(주)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텍 filed Critical (주)제스텍
Priority to KR102011013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47F1/123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for nested articles, e.g. cups, c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2Rotary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수를 제공하는 음료수 제공 장치의 위치를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음료수 제공과 관리 및 청소등이 매우 용이한 음료수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음료수 테이블은 음료수를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장치(10);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마련하는 상부케이스(20);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부(3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와 상기 받침대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가 상기 받침대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부(40);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도 음료수 공급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도 음료수의 제공과 음료수 공급장치의 관리 및 청소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수 테이블{DRINK TABLE}
본 발명은 음료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수를 제공하는 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음료수 테이블에 관한것이다.
콜라맛, 사이다맛, 포도맛, 오렌지맛등의 탄산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수 공급장치가 있다.
보통, 상기한 음료수 공급장치는 박스체 형상으로 구현되어 업소의 데스크 주변에 설치되어 이용된다.
이 경우, 종래의 음료수 공급장치는 고정된 상태로 이용되기 때문에 종업원이 음료수를 손님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정해진 위치에서만 제공해야 하므로, 이용상의 제약이 많이 따르게 된다.
나아가, 음료 주입을 위한 관리 및 청소들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음료수 공급장치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리 및 청소에 대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특히, 협소한 공간에 음료수 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약들이 더욱 가중되어 이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수를 제공하는 음료수 제공 장치의 위치를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음료수 제공과 관리 및 청소등이 매우 용이한 음료수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본 발명의 음료수 테이블은 음료수를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장치(10);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마련하는 상부케이스(20);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부(3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와 상기 받침대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가 상기 받침대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부(40);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료수 테이블은 하부케이스(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50)는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수단부(4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와 함께 상기 회전수단부(40)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50)는 일측에 공간홀(51)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수 테이블은 얼음버림통(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버림통(60)은 상기 공간홀(51)에 수용되며, 상부에 얼음유입구(61)가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수 테이블은 컵홀더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컵홀더부(70)는 상기 하부케이스(50)와 결합되며, 일측으로 컵수용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부(40)는 상기 받침대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형레일(41); 및, 상기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레일(41)의 상부에 접촉되고, 상기 원형레일(41)과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부(42); 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수단부(40)는 가이드부(43)를 더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43)는 상기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레일(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케이스(50)가 상기 원형레일(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우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도 음료수 공급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협소한 공간에서도 음료수의 제공과 음료수 공급장치의 관리 및 청소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에 얼음버림통과 컵홀더부가 장착되어 음료수 공급장치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컵을 찾거나 얼음을 버리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의 하부케이스가 받침대부를 기준으로 회동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을 수직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수 테이블의 하부케이스가 받침대부를 기준으로 회동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을 이루는 구성들과, 상기 구성들의 결합관계 및, 상기 구성들의 각각 역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은 음료수 공급장치(10), 상부케이스(20), 받침대부(30) 및, 회전수단부(40)를 포함하며, 하부케이스(50), 얼음버림통(60) 및, 컵홀더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는 음료수를 공급하는 장치로써, 콜라맛, 사이다맛, 포도맛, 오렌지맛등의 탄산음료 각각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음료수 공급장치(10)는 박스체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부케이스(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20)는 통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케이스(20)는 사각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몸체의 일부에 안착공간을 마련함으로서,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음료수 공급장치(10)를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대부(30)는 판형상으로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케이스(2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받침대부(30)는 판형상의 하부에 높이조절을 위한 복수 개의 다리부가 서로간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부(40)는 상부케이스(20)와 받침대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수단부(40)는 상부케이스(20)가 받침대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부케이스(20) 및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수단부(40)는 상부케이스(20) 및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부케이스(20) 및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인 원형가이드레일이나 원판형 베어링 또는 회전샤프트등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단부(40)에 대한 일 예로써, 회전수단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레일(41) 및 롤러부(42)를 포함하며, 가이드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레일(41)은 받침대부(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형레일(41)은 원형링형상으로 구현되어 하부케이스(50)가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하부케이스(50)가 원형의 경로에서만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부(42)는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롤러부(42)는 원형레일(41)의 상부에 접촉되는데, 하부케이스(50)에 지지된 구성요소들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하부케이스(50)와 원형레일(41)간에 형성되는 마찰을 줄이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43)는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43)는 원형레일(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하부케이스(50)가 원형레일(41)에서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가로막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50)는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회전수단부(40)에 안착되어 상부케이스(20)와 함께 회전수단부(40)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하부케이스(50)는 일측에 공간홀(51)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스(50)는 얼음버림통(60)과 컵홀더부(7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상기 얼음버림통(60)은 상부에 얼음유입구(61)가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50)의 공간홀(51)에 수용된다. 이 경우, 얼음버림통(60)은 얼음유입구(61)가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얼음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얼음버림통(60)은 얼음이 가득찬 경우 얼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공간홀(51)에서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버림통(60)은 음료수 공급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종업원이 음료수를 제공하는 자리에서 음료수에 포함된 얼음을 모아서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컵홀더부(70)는 얼음버림통(60)과 이격된 상태로 하부케이스(50)와 결합된다. 이러한 컵홀더부(70)는 일측으로 컵수용홀(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컵홀더부(70)는 컵수용홀(71)에 종이컵을 수용함으로써, 종업원이 이동하지 않고도 음료수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음료수 테이블의 구동 및 사용방법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은 데스크나 식당 내부 주변에 설치되어 이용된다. 이 경우, 종업원은 손님이 주문한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컵홀더부(70)에 거치된 종이컵을 꺼내 음료수를 담은 후에 손님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후, 종업원은 손님이 음료수를 취식하고 난 후, 음료수에 남은 얼음을 얼음버림통(60)에 버리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은 최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부(40)에 의해 하부케이스(50)와 상부케이스(20) 및 음료수 공급장치(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롤러부(42)가 하부케이스(50)로부터 전달되는 마찰을 줄이고, 원형레일(41)은 하부케이스(50)가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케이스(50)가 원형의 경로에서만 회전하도록 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43)는 하부케이스(50)가 원형레일(41)에서 측방으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은 매우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도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켜가며 음료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며,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음료수 공급장치(10)의 관리 및 청소가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 테이블은 하부케이스(50)에 얼음버림통(60)과 컵홀더부(70)가 장착되어 음료수 공급장치(10)와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컵을 찾거나 얼음을 버리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성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음료수 공급장치 20 ; 상부케이스
30 ; 받침대부 40 ; 회전수단부
41 ; 원형레일 42 ; 롤러부
43 ; 가이드부 50 ; 하부케이스
60 ; 얼음버림통 70 ; 컵홀더부

Claims (5)

  1. 음료수를 공급하는 음료수 공급장치(10);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마련하는 상부케이스(20);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부(30);
    상기 상부케이스(20)와 상기 받침대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0)가 상기 받침대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0) 및 상기 음료수 공급장치(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부(40);
    상기 상부케이스(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수단부(4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20)와 함께 상기 회전수단부(40)에서 회전하고, 일측에 공간홀(51)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50); 및,
    상기 공간홀(51)에 수용되며, 상부에 얼음유입구(61)가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얼음유입구(61)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얼음버림통(60);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부(40)는 상기 받침대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원형레일(41); 및, 상기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레일(41)의 상부에 접촉되고, 상기 원형레일(41)과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부(42); 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50)와 결합되며, 일측으로 컵수용홀(71)이 형성되는 컵홀더부(70); 를 더 포함하는 음료수 테이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부(40)는
    상기 하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레일(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케이스(50)가 상기 원형레일(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43) ; 를 더 포함하는 음료수 테이블.
KR1020110135039A 2011-12-15 2011-12-15 음료수 테이블 Active KR10114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39A KR101142186B1 (ko) 2011-12-15 2011-12-15 음료수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39A KR101142186B1 (ko) 2011-12-15 2011-12-15 음료수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186B1 true KR101142186B1 (ko) 2012-05-07

Family

ID=462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39A Active KR101142186B1 (ko) 2011-12-15 2011-12-15 음료수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442B1 (ko) * 2017-09-12 2018-06-14 (주)제스텍 패스트푸드 매장용 다목적 수납 받침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041U (ko) * 1992-09-16 1994-04-12 김대환 회전 받침대
KR20010033445A (ko) * 1997-12-22 2001-04-25 레스토랑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음료 시스템
KR20090043699A (ko) * 2007-10-30 2009-05-07 김영자 회전식 진열구
KR20110100643A (ko) * 2008-12-08 2011-09-14 에노디스 코포레이션 음료 성분들의 배분 및 배합/혼합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041U (ko) * 1992-09-16 1994-04-12 김대환 회전 받침대
KR20010033445A (ko) * 1997-12-22 2001-04-25 레스토랑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음료 시스템
KR20090043699A (ko) * 2007-10-30 2009-05-07 김영자 회전식 진열구
KR20110100643A (ko) * 2008-12-08 2011-09-14 에노디스 코포레이션 음료 성분들의 배분 및 배합/혼합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442B1 (ko) * 2017-09-12 2018-06-14 (주)제스텍 패스트푸드 매장용 다목적 수납 받침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7901B2 (en)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7780034B1 (en) Portable bar
RU2010107467A (ru) Подставка с двойной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чашек и других емкостей в машинах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11950718B2 (en) Serving pitcher with integrated cup holder
KR101142186B1 (ko) 음료수 테이블
WO2008106558A1 (en) Improved coaster
GB2259239A (en) A plate with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a cup
US20160297667A1 (en) Containers having one or more sloped inner regions for providing an improved ability for dispensing liquids
US9439525B1 (en) Stackable cup with plate cut-out
US20080121766A1 (en) Method and Stand for Handling of Liquid Dispensers
US5944232A (en) Water bottle for water cooler type dispensing apparatus
GB2577012A (en) Beverage making assembly
US20240359964A1 (en) Automated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US11584567B1 (en) Enclosing cup
JP5309961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US877812A (en) Serving-table.
CN105962640B (zh) 一种请客用的餐桌
CN213464376U (zh) 一种酒店用餐品摆放柜
US20190307271A1 (en) Tequila Kit
US20060207992A1 (en) Coffee machine drip catcher
US20170013994A1 (en) Multiple height platform
KR102633333B1 (ko) 역류 방지 및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음료컵
US12324533B1 (en) Rotatable food and beverage holder
US20080251412A1 (en) Food service tray with integrated beverage container holder
FR3064793A1 (fr) Dispositif d'ejection de recipients et distributeurs asso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