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11B1 - Wall structure of building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of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2111B1 KR101142111B1 KR1020090060584A KR20090060584A KR101142111B1 KR 101142111 B1 KR101142111 B1 KR 101142111B1 KR 1020090060584 A KR1020090060584 A KR 1020090060584A KR 20090060584 A KR20090060584 A KR 20090060584A KR 101142111 B1 KR101142111 B1 KR 101142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sealing
- wall
- sheet
- wall pane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57 miner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82 polyisocyanu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5 polyisocyan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한 지지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그 시공성, 방수성, 내식성, 평활도 등을 향상시킨 건축물의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improves the construction support, waterproofness, corrosion resistance, smoothness and the like, while achieving a solid support rigidity.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벽체구조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시트, 상기 제1 및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를 가진 복수의 벽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벽체패널은 상하방향 및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벽체패널은 그 상단 및 하단에 돌출부 및 홈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돌출부 및 홈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벽체패널들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며,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는 벽체패널들 사이에는 밀봉연결부재가 밀봉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시트는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는 상기 내측플레이트 보다 그 두께가 얇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anels hav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sheet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Wall panels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each of the wall panel has a protrusion and a groove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the wall pane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is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A sealing connecting member is sealingly installed between the wall panels connected in the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formed of an outer plate and an inner plate, and an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The out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made thinner than the inner plate.
건축물, 벽체, 패널, 밀봉연결부재, 시트, 외측플레이트, 내측플레이트 Building, Wall, Panel, Sealing Member, Sheet, Outer Plate, Inner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한 지지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그 시공성, 방수성, 내식성, 평활도 등을 향상시킨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structure using a prefabricated panel which improves the construction support, waterproofness, corrosion resistance, smoothness and the like, while achieving a rigid support rigidity.
급속한 산업발전 및 인구 증가로 인해 보다 많은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벽체구조, 루프구조, 바닥 등과 더불어 실내공간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의 비?눈?이슬 등을 비롯해 온도?습도?음향?일광?바람?시선?외적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have resulted in more buildings being built. These buildings form an interior space along with wall structures, roof structures, floors, etc., and have a function of blocking temperature, humidity, sound, sunlight, wind, eyes, and outside from rain, snow, and dew from the outside. .
한편, 건축물의 벽체구조는 건축물의 측면을 마감하는 부분으로, 루프구조와 같이 외부에 면해 있으므로 의장적(意匠的)으로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그 형상이나 마감재료는 건축물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On the other hand, the wall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the part that finishes the side of the building, and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design because it faces the outside like a roof structure, and the shape and the finishing materia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
벽체구조의 시공에는 콘크리트 구조 또는 벽돌 등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 시공성 및 미려한 외관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조립식 패널이 콘크리트 구조와 혼용되거나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조립식 패널은 한 쌍의 마감시트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한 구조로 구성되고, 이러한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건축 물은 일반 주택 뿐만 아니라 문화시설, 공장, 강당, 쇼핑몰,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tructure is mainly used as a concrete structure or a brick, but recently, in order to give the workability and beautiful appearance, prefabricated panel is mixed with the concrete structure or used alone. The prefabricated panel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insulation is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finishing sheets, and the building using the prefabricated panel is widely used not only in general houses but also in large building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factories, auditoriums, shopping malls, and gymnasiums. .
한편, 이러한 벽체구조를 구성하는 조립식 패널은 마감시트의 두께가 얇을 경우 그 지지강성이 취약하여 전체 벽체구조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또한 조립식 패널 사이의 결합부들 사이의 결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마감시트의 낮은 강성으로 인해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저항성 내지 방수성이 저하됨으로써 잦은 수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panel constituting such a wall structure has a weak support rigidity when the thickness of the finish sheet is thin, the rigidity of the entire wall structure can be lowered, and also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prefabricated panel can be lowered. In addition, due to the low stiffness of the finish sheet, the resistance to temperature, humidity, or the like is degraded, so that frequent repairs are required.
이에 패널 자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시트 자체의 두께를 증대시키거나 마감시트 자체의 재질을 강성이 높은 고가의 재질을 적용하여야 하지만, 이 경우 그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시공 시에 그 가공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anel itself,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sheet itself or to apply the expensive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o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sheet itself, but in this case, not only can it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but also There was a disadvantage of poor work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조립식 패널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wall structure using a panel which can increase the overall supporting rigidity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assembled panel itself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현장시공성, 방수성, 내식성, 평활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 structure using a panel that can improve the field construction, waterproofing, corrosion resistance, smoothnes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는, Wall structure using th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시트, 상기 제1 및 제2 시트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를 가진 복수의 벽체패널을 포함하고, It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anels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heets, the first and second sheets disposed facing each other,
상기 복수의 벽체패널은 상하방향 및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벽체패널은 그 상단 및 하단에 돌출부 및 홈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돌출부 및 홈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벽체패널들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며,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는 벽체패널들 사이에는 밀봉연결부재가 밀봉적으로 설치되고,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nd each of the wall panels has protrusions and grooves at the top and bottom thereof, respectively, and wall pane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aling connection member is sealingly installed between the wall panels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 및 제2 시트는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레이트 및 내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플레이트는 상기 내측플레이트 보다 그 두께가 얇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re formed of an outer plate and an inner plate, and an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is thinner than the inner plate.
상기 벽체패널의 각 측면가장자리에는 측면 마감재가 장착되고, 상기 측면 마감재는 상기 제1 및 제2 시트의 측면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마감재의 외측에는 상기 밀봉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Side finishes are mounted at each side edge of the wall panel, and the side finishes are positioned inside sid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and outer side of the side finishes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sealing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One step of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상기 밀봉연결부재는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리브 및 상기 중심리브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밀봉리브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밀봉리브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밀봉리브는 상기 측면마감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aling connecting member has a center rib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ealing rib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rib, the plurality of sealing ribs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sealing ribs are coupling grooves of the side finish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상기 결합홈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밀봉리브들은 소정각도로 경사지며, 복수의 밀봉리브들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봉연결부재는 상기 밀봉리브들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끼움리브를 가지고, 상기 끼움리브는 상기 결합홈의 단턱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plurality of sealing rib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aling ribs have a different length. In addition, the sealing connecting member has a pair of fitting ribs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ribs, the fitting ri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상기 벽체패널의 돌출부 및 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에는 발포성재질의 보강단열재가 개재되고,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벽체패널들의 돌출부 및 홈부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inforcement insulating material made of a foam material is interposed inside a por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of the wall panel are formed, and a sealing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grooves of the wall panel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벽체패널의 제1 및 제2 시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트 내측에는 보강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베이스부 및 이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시트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ets of the wall panel, and the reinforcing plate has a base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heet.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 및 시트 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have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eet.
상기 베이스부 및 시트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흡음재가 개재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흡음재와 인접한 부분에 복수의 흡음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ound absorbing material is inter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eet, and the sheet has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조립식 패널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체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supporting rigidit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assembled panel itself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현장시공성, 방수성, 내식성, 평활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field construction, waterproof, corrosion resistance, smoothness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도시한다. 1 to 4 show a wall structure using a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구조는 복수의 벽체패널(11, 12, 13, 14)을 포함하고, 복수의 벽체패널(11, 12, 13, 14)들은 그 상하방향 및 측면방향으로 상호 연결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도번 11은 제1패널(11), 도번 12는 제2패널(12), 도번 13은 제3패널(13), 도번 14는 제4패널(14)로 지칭한다. As shown, the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anels (11, 12, 13, 14), the plurality of wall panels (11, 12, 13, 14) mutu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thereof Connected.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1, the
각 벽체패널(11, 12, 13, 14)들은 제1 및 제2 시트(110, 120)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시트(110, 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시트(110)는 건물의 외측공간에 인접하고, 제2시트(120)는 건물의 실내공간에 인접한다. 제1 및 제2 시트(110, 120) 사이에는 광물섬유 또는 중합체 수지 등과 같이 섬유상 또는 분말상 재재질로 구성된 단열재(130)가 개재될 수 있다. Each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단열재(130)는 미네랄 울(mineral wool) 등과 같은 광물 섬유로 구성된 단열재(130)가 내장된다. 여기서, 미네랄 울은 암석(岩石)을 인공으로 제조한 내열성이 높은 광물 섬유로서, 불연성, 경량성, 단열, 흡음성, 내구성의 특징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시트(110, 120) 각각은 외측플레이트(111, 121) 및 내측플레이트(112, 122)의 2중 복합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제1시트(110)의 외측플레이트(111)는 건물의 외부공간과 인접하고, 제2시트(120)의 외측플레이트(121)는 건물의 실내공간과 인접한다. Meanwhil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 each of the first and
외측플레이트(111, 121) 및 내측플레이트(112, 122)의 2중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음과 더불어 고가의 재질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각 시트(110, 120)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As the double structure of the
외측플레이트(111, 121)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그 재질은 가공성(표면처리 및 표면가공성), 내식성, 외관성 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동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The
내측플레이트(112, 1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 전체 성형가공성 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외측플레이트(111, 121)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내측플레이트(111, 12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저가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The
외측플레이트(111, 121) 및 내측플레이트(112, 122) 사이에는 접착층(113, 123)이 개재되고, 이 접착층(113, 123)에 의해 외측플레이트(111, 121)와 내측플레이트(112, 122)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다. The
접착층(113, 123)은 에틸아세테이트, 아클리 코폴리머, 이소프로필 알코올, 톨루엔, 비닐 아세테이트, 아세트 알데히드 등을 함유한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착층(113, 123)은 외측플레이트(111, 121)와 내측플레이트(112, 122)의 접착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다. The
한편, 접착층(113, 123)은 2000~5000cps 정도의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그 두께가 0.01~0.1mm 정도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측플레이트(111, 121) 및 내측플레이트(112, 122)의 접착 뿐만 아니라 각 시트(110, 120)의 제진성, 흡음성, 단열성을 향상시킴에 기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그리고, 외측플레이트(111, 121)는 내측플레이트(112, 122) 보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가 재질인 외측플레이트(111, 121)의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외측플레이트(111, 121)의 두께는 0.1~0.4mm 정도이고, 내측플레이트(112, 122)의 두께는 0.4~1.2mm 정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시트(110, 120)는 외측플레이트(111, 121) 및 내측플레이트(112, 122)가 접착층(113, 12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2중 복합플레이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각 시트(110, 120)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으며서도 전체 지지강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그 가공성 및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패널(11, 12, 13, 14)들은 그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벽체패널(11과 12, 13과 14)들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다. 각 벽체패널(11, 12, 13, 14)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는 돌출부(150) 및 홈부(160)가 형성되고, 이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하는 벽체패널들은 제1패널(11)과 이 제1패널(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패널(12)이 서로 결합되고, 제3패널(13)과 이 제3패널(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패널(14)이 서로 결합된다. 예컨대, 제1패널(11)의 돌출부(150)가 제2패널(12)의 홈부(16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패널(11, 12)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고, 제3패널(13)의 돌출부(150)가 제4패널(14)의 홈부(16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제3 및 제4 패널(13, 14)들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1 and 3, the
제1 및 제2 시트(110, 120)는 제조공정 상에서 패널의 규격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상단 및 하단이 서로 이격되게 절곡됨으로써 도 2와 같이 틈새(136)가 형성된다. 이에 섬유재질의 단열재(130) 일부가 이 틈새(136)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어 환경문제 등을 유발한 뿐만 아니라 틈새(136)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의 침투로 인해 벽체패널(11, 12, 13, 14)의 단열성능 및 강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standardization of the pane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first and
이에 본 발명은, 각 벽체패널(11, 12, 13, 14)들의 상단 및 하단 즉, 돌출부(150) 및 홈부(160)가 형성된 부분의 내부(즉, 제1 및 제2 시트(110, 120)의 각 상단 및 하단 사이 공간)에는 단열재(130)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단열재(140)가 개재되고, 이 보강단열재(140)는 각 벽체패널(11, 12, 13, 14)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틈새(136)를 통해 단열재(130)의 일부가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단열재(140)는 벽체패널(11, 12, 13, 14)들의 돌출부(150) 및 홈부(160)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단열재(140)로는 그 강도가 우수한 올레핀(olefin) 난연발포폼 등과 같은 발포성 수지가 바람직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and bottom of each of the wall panels (11, 12, 13, 14), that is, the interior (that is, the first and
또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벽체패널(11과 12, 13과 14)들의 돌출부(150) 및 홈부(160) 사이에 실런트, 실리콘고무, 합성수지, 천연고무 등과 같은 실링재(176)를 개재함으로써 외부의 수분 또는 이물질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posing the sealing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패널(11, 12, 13, 14)들은 측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벽체패널(11과 12, 13과 14)들은 건물의 프레임(18)에 체결구 등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측면방향으로 연결되는 벽체패널(11과 12, 13과 14)들 사이에는 밀봉연결부재(200)가 밀봉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벽체패널(11과 12, 13과 14)의 측면결합부는 밀봉적으로 마감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각 벽체패널(11, 12, 13, 14)의 각 측면가장자리에는 측면 마감재(170)가 장착되고, 이 측면 마감재(170)는 제1 및 제2 시트(110, 120)의 측면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한다. 측면 마감재(170)의 외측에는 밀봉연결부재(200)가 결합되는 결합홈(171)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71)의 일측에는 단턱부(173)가 형성된다. 이 결합홈(171)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밀봉연결부재(200)의 측면이 결합홈(171)에 보다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Side finishes 170 are mounted to each side edge of each
밀봉연결부재(200)는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리브(201) 및 중심리브(20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밀봉리브(202)를 가진다. 중심리브(201)는 그 내부에 한 쌍의 중공부(201a)가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각 밀봉리브(202)들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밀봉리브(201)는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그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이에, 밀봉연결부재(200)의 밀봉리브(202)들은 측면 마감재(170)의 결합홈(171) 내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또한, 밀봉연결부재(200)는 밀봉리브(202)들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끼움리브(203)를 가지고, 이 끼움리브(203)는 결합홈(171)의 단턱부(173)에 끼워짐으로써 밀봉연결부재(200)의 양측은 인접한 벽체패널(11과 13, 12와 14)들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밀봉연결부재(200)의 선단은 건물의 프레임(17)과 인접하고, 밀봉연결부재(200)의 선단과 건물의 프레임(17) 사이에는 실런트 등과 같은 실링재(18)가 개재될 수 있고, 이 실링재(18)에 의해 밀봉연결부재(200)의 밀봉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벽체구조를 도시한 다. 5 to 8 show the wall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130)는 폴리 이소시아누네이트수지(poly isocyanurate resin), 폴리 우레탄수지(poly uretan resin) 등과 같은 중합체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시트(110) 또는 제2시트(120)는 단열재(130)에 의해 충분한 지지강성을 부여받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제1시트(110) 또는 제2시트(120)의 내측에 보강플레이트(180)가 설치된다. 보강플레이트(180)는 제1시트(110) 및 제2시트(1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시트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시트(110) 및 제2시트(120)의 양자 모두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시트(110)측에 보강플레이트(180)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shown, the
보강플레이트(180)는 베이스부(181) 및 이 베이스부(181)에서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182)를 가지고, 복수의 지지돌기(182)는 제1시트(110)의 내측면 특히, 제1시트(110)의 내측플레이트(11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The reinforcing
그리고, 복수의 지지돌기(182)는 그 내부에 중공부(182a)를 가지고, 이 중공부(182a)에는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공기층을 형성한다. 각 지지돌기(182)는 그 일측에 접촉면(182b)을 가지고, 이 접촉면(182b)이 제1시트(110)의 내측플레이트(112)와 접촉함에 따라 제1시트(110)는 구조적 강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벽체패널(11, 12, 13, 14)은 그 내부에 공기층을 가짐으로써 단열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돌기(182)는 도 5 내지 도 8에서는 각형 단면구조로 구성되었지만, 그외 반원형 또는 원호상의 곡률진 단면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또한, 보강플레이트(180)의 베이스부(181)와 제1시트(110) 사이의 공간(189)에 별도의 충전물이 개재되지 않음으로써 공간(189)은 별도의 공기층이 될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filling is not interpose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180)의 지지돌기(182)들이 제1시트(110)의 내측면을 지지함으로써 벽체패널(11, 12, 13, 14) 자체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고, 또한 공기층(182a, 189)을 통해 공기가 유동함에 따라 외부 온도조건(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제1시트(110)의 열팽창 및 열수축 등에 자유롭게 대응함으로써 제1시트(110)의 평활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별도의 공기층(182a, 189)이 제1 및 제2 시트(110, 120) 사이에 형성된 구조로 인해 그 단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대안적으로, 도 9와 같이 보강플레이트(180)의 베이스부(181)와 제1시트(110) 사이의 공간에는 흡음재(190)가 충전되고, 제1시트(110)에는 복수의 흡음공(117)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재(190)는 유리섬유계 또는 폴리에스터계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흡음재가 이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5.
도 8은 도 5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5.
도 9는 도 8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12, 13, 14: 벽체패널 110, 120: 제1 및 제2 시트11, 12, 13, 14:
111, 121: 외측플레이트 112, 122: 내측플레이트111, 121:
113, 123: 접착층 130: 단열재 140: 보강단열재 170: 측면 마감재113, 123: Adhesive layer 130: Insulation material 140: Reinforcing insulation material 170: Side finish material
180: 보강플레이트 200: 밀봉연결부재 180: reinforcing plate 200: sealing connection memb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584A KR101142111B1 (en) | 2009-07-03 | 2009-07-03 | Wall structure of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584A KR101142111B1 (en) | 2009-07-03 | 2009-07-03 | Wall structure of buil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009A KR20110003009A (en) | 2011-01-11 |
KR101142111B1 true KR101142111B1 (en) | 2012-05-11 |
Family
ID=4361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0584A Active KR101142111B1 (en) | 2009-07-03 | 2009-07-03 | Wall structure of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211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6762B1 (en) * | 2013-11-22 | 2015-05-04 | (주)에이스지앤월드 | Structural panel having side brims and assembling structure for the sames |
KR101517141B1 (en) | 2012-06-12 | 2015-05-04 |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 Metal panel to prevent water leak |
KR101539605B1 (en) * | 2014-12-19 | 2015-07-28 | (주) 세광토탈판넬 | Sandwich Panels Building materials |
KR101577017B1 (en) | 2014-08-12 | 2015-12-21 | 주식회사 광스틸 | An Architecture panel assembling system for shutting off thermal bridge and water-proof |
KR102157195B1 (en) * | 2020-01-23 | 2020-09-18 | 주식회사기린산업 | Fabrication adiabatic panel |
KR20210157843A (en) * | 2020-06-22 | 2021-12-29 | 닛폰 패널 가부시키가이샤 | A reinforcing member of a fire resistance panel and the fire resistance panel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0219A (en) * | 2013-07-18 | 2015-01-28 | 채수하 |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6778Y1 (en) * | 2000-04-11 | 2000-09-15 | 주식회사기린산업 | Gasket |
KR200351300Y1 (en) * | 2004-02-21 | 2004-05-20 | 김흥섭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diabatic panel |
KR200377961Y1 (en) * | 2004-12-01 | 2005-03-11 | 주식회사기린산업 | Structural composite panel with strengthening unit |
KR20060061207A (en) * | 2004-12-01 | 2006-06-07 | 주식회사기린산업 | Multifunctional building composite panel |
-
2009
- 2009-07-03 KR KR1020090060584A patent/KR1011421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6778Y1 (en) * | 2000-04-11 | 2000-09-15 | 주식회사기린산업 | Gasket |
KR200351300Y1 (en) * | 2004-02-21 | 2004-05-20 | 김흥섭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diabatic panel |
KR200377961Y1 (en) * | 2004-12-01 | 2005-03-11 | 주식회사기린산업 | Structural composite panel with strengthening unit |
KR20060061207A (en) * | 2004-12-01 | 2006-06-07 | 주식회사기린산업 | Multifunctional building composite panel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7141B1 (en) | 2012-06-12 | 2015-05-04 |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 Metal panel to prevent water leak |
KR101516762B1 (en) * | 2013-11-22 | 2015-05-04 | (주)에이스지앤월드 | Structural panel having side brims and assembling structure for the sames |
KR101577017B1 (en) | 2014-08-12 | 2015-12-21 | 주식회사 광스틸 | An Architecture panel assembling system for shutting off thermal bridge and water-proof |
KR101539605B1 (en) * | 2014-12-19 | 2015-07-28 | (주) 세광토탈판넬 | Sandwich Panels Building materials |
KR102157195B1 (en) * | 2020-01-23 | 2020-09-18 | 주식회사기린산업 | Fabrication adiabatic panel |
KR20210157843A (en) * | 2020-06-22 | 2021-12-29 | 닛폰 패널 가부시키가이샤 | A reinforcing member of a fire resistance panel and the fire resistance panel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
KR102476088B1 (en) * | 2020-06-22 | 2022-12-12 | 닛폰 패널 가부시키가이샤 | A reinforcing member of a fire resistance panel and the fire resistance panel using the reinforcing mem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009A (en) | 2011-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2111B1 (en) | Wall structure of building | |
KR101052478B1 (en) | Curtain wall insulation unit panel for curtain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US9469984B2 (en) | Continuous wall assemblies and methods | |
KR100889615B1 (en) | Exterior panel sealing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building, and exterior panel assembly system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same | |
KR102157195B1 (en) | Fabrication adiabatic panel | |
WO2008129281A2 (en) | Insulating panel | |
KR100717568B1 (en) | Exterior Skylight Panel for Building | |
KR101356423B1 (en) | Non-exposure heat insulated structure of steel curtain wall | |
US8250820B2 (en) | Semi-curtain facade | |
KR102144119B1 (en) | Waterproof Connector for Polycarbonate Panels | |
US11230845B2 (en) |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 |
KR20070029137A (en) | Molded Insulation Panel and Insulation Structure | |
JP5189326B2 (en) | Composite panel for outer heat insulation and joint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2229529B1 (en) | Architectural Exterior Panel Assembly Structure | |
KR20100114250A (en) | Method execution thermal insulation wall of building | |
CN211114527U (en) | Exterior veneer for building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 |
KR102775833B1 (en) | Slim Curtain wall System | |
KR102541626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lip stone panel for curtain wall | |
KR102610417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lip stone panel for curtain wall | |
KR102769881B1 (en) | Building soundproofing materials | |
KR102245236B1 (en) | External panel for improving airtight and heat insulation | |
KR102569925B1 (en) | Capture-type Combination structure of slip stone panel for curtain wall | |
KR102775376B1 (en) | Intaglio truss deck plate integrated insulation system for both roof exterior insulation and flooring interior insulation of bulding | |
KR102541628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lip stone panel for curtain wall | |
KR102541627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lip stone panel for curtain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