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193B1 -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1193B1 KR101141193B1 KR1020090069792A KR20090069792A KR101141193B1 KR 101141193 B1 KR101141193 B1 KR 101141193B1 KR 1020090069792 A KR1020090069792 A KR 1020090069792A KR 20090069792 A KR20090069792 A KR 20090069792A KR 101141193 B1 KR101141193 B1 KR 101141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er foot
- driving lever
- drive shaft
- fitted
-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물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적당한 압력을 유지하고, 작업조건에 따라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봉제기계의 노루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 왕복 운동하는 노루발대(20); 상기 노루발대(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루발(30); 상기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브래킷(40); 상기 노루발대(2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볼트(B1)체결로 고정되어 하부브래킷(40)의 내부 하측으로 배치되는 서포트(50); 상기 노루발대(20)에 끼워져 서포트(5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압축스프링(60); 상기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브래킷(40)의 상부에 핀(P1)으로 고정되는 상부브래킷(70); 상기 상부브래킷(70)에 행정거리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레버(80); 상기 헤드부(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제1구동레버(80)를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축(90); 상기 구동축(90)에 연결되는 제2구동레버(100); 상기 헤드부(10)의 주축(11)에 하사점 조절가능하게 볼트(B2)체결로 고정되는 편심캠(200); 상기 편심캠(200)과 제2구동레버(100)에 연결되어 구동축(90)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커넥팅로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봉제기계, 노루발, 구동장치, 헤드부, 압축스프링, 편심캠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er foot drive device for a sewing machine that maintains a proper pressur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ickness of a workpiece, and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height, stroke distance and bottom dead center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head portion 10, the presser foot 20 for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A presser foot 3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resser foot stand 20; A lower bracket 40 fitted to the presser foot 20 to be movable up and down; A support 50 fixed to the presser foot 20 to be fastened by fastening the bolt B1 and disposed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racket 40; A compression spring (60) inserted into the presser foot stand (20) and disposed above the support (50); An upper bracket 7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racket 40 by a pin P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resser foot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first driving lever 80 connected to the upper bracket 70 so as to adjust the stroke distance; A drive shaft 9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ead part 10 to reciprocally rotate the first driving lever 8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second driving lever 10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90; An eccentric cam (200) fixed to the bolt (B2) fastening to the bottom dead center adjustable to the main shaft (11) of the head (10); It is connected to the eccentric cam 200 and the second driving lever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rod 300 for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drive shaft 90 in the forward and reverse.
Sewing machine, presser foot, driving device, head part, compression spring, eccentric cam
Description
본 발명은 퀼팅기(누비기),자수기,재봉기 등의 봉제기계 헤드부에 설치되어 봉제 시 작업물의 봉제부분을 눌러주는 노루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적당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조건에 따라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봉제기계의 노루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er foot installed in the head of a sewing machine such as a quilting machine, a quilting machine, a sewing machine, a sewing machine, and the like, to press a sewing part of a workpiece during sew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er foot drive device for a sewing machine that can maintain pressure and easily adjust height, stroke distance, and bottom dead center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일반적으로 퀼팅기(누비기),자수기,재봉기 등의 봉제기계는 작업물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봉제하는 것으로, 이러한 봉제기계의 헤드부에는 바늘이 작업물을 통과할 때부터 빠져 나올 때까지 작업물을 지지하여 바늘이 상승할 때 이루는 실 루프에 로타리 훅 포인트가 안정되게 교차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노루발이 설치된다.In general, sewing machines such as quilting machines, embroidery machines, sewing machines, etc., sew various types of patterns on the workpiece. The head of the sewing machine includes a workpiece from the needle through the workpiece until it exits. A presser foot is installed to hold the rotary hook point in a stable loop when the needle is raised to support it.
이와 같이 노루발은 봉제 시 작업물의 봉제부분을 눌러 윗실의 고리형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리고 실땀의 길이도 균일하게 해주는 동시에 바늘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way, the presser foot serves to help form the upper thread by pressing the sewing part of the workpiece during sewing, and also serves to protect the needle while making the length of the thread uniform.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어 봉제부분의 두께가 변할 경우 적당한 압력을 유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봉제 시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가 노루발의 하사점과 바늘판의 높이 보다 두꺼울 경우 노루발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노루발이 파손되고 봉제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dequately cope with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work sewing part,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a proper pressure when the thickness of the sewing part changes. That is, in the past, when the thickness of the sewing part of the workpiece is thicker than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resser foot and the height of the needle plate,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er foot, which causes the presser foot to be broken and sewing defects to occur. There was this.
또한 종래에는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의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불안정한 조정은 땀의 건너 뜀, 실 끊어짐, 바늘 부러짐 등을 가져 온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re was an uncomfortable problem that the height and stroke distance and bottom dead center of the presser foot cannot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t this time, unstable adjustment may result in skipping of the sweat, thread break, broken needle, and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노루발이 항상 적당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의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이를 통해 노루발의 파손 및 작업물의 봉제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불안정한 조정으로 인한 땀의 건너 뜀, 실 끊어짐, 바늘 부러짐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봉제기계의 노루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vent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rawbacks, and to ensure that the presser foot always maintains the appropriate pressur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work piece sewing portion, and also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nd the height of the presser foot. The stroke length and bottom dead center can be easily adjusted, which prevents the presser foot from being damaged and the sewing failure of the workpiece, while also eliminating sweat skipping, broken thread, and broken needle due to unstable adjustment. To provide a presser foot drive of a sewing mach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봉제기계의 헤드부에 상하 왕복 운동하는 노루발대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노루발대의 하부에 작업물을 눌러주는 노루발을 결합하고, 상기 노루발대에 하부브래킷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노루발대에 서포트를 끼워 높이조절 가능하게 볼트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노루발대에 압축스프링을 끼워 서포트의 상측으로 배치하고, 상기 노루발대에 상부브래킷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 하부브래킷의 상부에 핀으로 고정하고, 상기 상부브래킷에 제1구동레버를 행정거리 조절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1구동레버를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축을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에 제2구동레버를 연결하고, 상기 헤드부의 주축에 편심캠을 하사점 조절가능하게 볼트체결로 고정하고, 상기 편심캠과 제2구동레버에 구동축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커넥팅로드를 연결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vertically installs a presser foot vertically reciprocating to the head of the sewing machine, couples the presser foot pressing the workpiece to the lower part of the presser foot, and the lower bracket up and down the presser foot. To the presser foot, the support is fixed to the presser foot, and the bolt is fasten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The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presser foot, and the upper bracket is disposed on the presser foot.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racket with a pin, and to connect the first driving lever to the upper bracket so as to adjust the stroke distance, and to rotate the drive shaft to reciprocally rotate the first driving lever to the normal and horizontally to the head portion. And a second driving lever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d an eccentric cam attached to the main shaft of the head to adjust the bottom dead center. To be a fixe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for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to the eccentric cam and the second driving lever to reverse.
본 발명 봉제기계의 노루발 구동장치에 따르면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노루발이 항상 적당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의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를 통해 노루발의 파손 및 작업물의 봉제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불안정한 조정으로 인한 땀의 건너 뜀, 실 끊어짐, 바늘 부러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ser foot driving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er foot can always maintain the appropriate pressur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work sewing part, and also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the stroke distance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resser foot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presser foot and the sewing failure of the workpiec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sweat skipping, thread breakage, and broken needle due to unstable adjustment.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의 노루발 구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10a,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 왕복 운동하는 노루발대(20); 상기 노루발대(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작업물을 눌러주는 노루발(30); 상기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브래킷(40); 상기 노루발대(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 가능하게 볼트(B1)체결로 고정되어 하부브래킷(40)의 내부 하측으로 배치되는 서포트(50); 상기 노루발대(20)에 끼워져 서포트(5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압축스프링(60); 상기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브래킷(40)의 상부에 핀(P1)으로 고정되는 상부브래킷(70); 상기 상부브래킷(70)에 행정거리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구동레버(80); 상기 헤드부(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제1구동레버(80)를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구동축(90); 상기 구동축(90)에 연결되는 제2구동레버(100); 상기 헤드부(10)의 주축(11)에 하사점 조절가능하게 볼트(B2)체결로 고정되는 편심캠(200); 상기 편심캠(200)과 제2구동레버(100)에 연결되어 구동축(90)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커넥팅로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Presser foot driving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10a, 10b, the
여기서, 상기 봉제기계는 주지된 바와 같이 작업물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봉제하는 것으로, 이러한 봉제기계에는 헤드부(10)가 구비된다.Here, the sewing machine is to sew various types of patterns on the workpiece as is known, such a sew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10).
상기 헤드부(10)는 도 1과 도 2a,2b에서와 같이 바늘대(N),실채기(T),노루발(30)과 실조절장치(D) 등 4가지의 기능상 필요한 기본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바늘대(N),실채기(T),노루발(30)은 헤드부(10)의 주축(11) 구동 시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The
상기 노루발대(20)는 헤드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노루발대(20)의 상하부에는 상하 왕복 운동을 안내하는 부싱(21)(22)이 각각 끼워진다.The
상기 노루발(30)은 노루발대(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작업물을 눌러주는 것으로, 이러한 노루발(30)은 바늘(N1)이 작업물을 통과할 때부터 빠져 나올 때까지 작업물을 지지하여 바늘(N1)이 상승할 때 이루는 실 루프에 로타리 훅 포인트가 안정되게 교차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와 같이 노루발(20)은 봉제 시 작업물의 봉제부분을 눌러 윗실의 고리형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그 리고 실땀의 길이도 균일하게 해주는 동시에 바늘(N1)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상기 하부브래킷(40)은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브래킷(40)은 노루발대(20)에 고정된 서포트(50)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하부브래킷(40)과 서포트(50) 사이에는 서포트(50)를 받쳐주는 지지링(R)이 장착된다.The
상기 서포트(50)는 노루발대(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높이조절 가능하게 볼트(B1)체결로 고정되어 하부브래킷(40)의 내부 하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서포트(50)에는 도 4와 도 5a에서와 같이 노루발대(20)에 끼워지는 삽입공(51)의 일측으로 중앙부가 절개된 한쌍의 조임편(52)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편(52)에는 볼트(B1)가 체결되는 볼트공(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1)를 풀고 도 8에서와 같이 노루발대(20)를 상하로 움직여 일정 높이에서 볼트(B1)를 잠그면 작업물에 따라 노루발(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축스프링(60)은 노루발대(20)에 끼워져 서포트(50)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압축스프링(60)은 작업물의 변화에도 적당한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상기 상부브래킷(70)은 노루발대(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브래킷(40)의 상부에 핀(P1)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브래킷(70)에는 도 4와 도 5b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홈(71)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71)에는 슬라이드블록(72)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슬라이드블록(72)에는 고정핀(73)이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레버(80)에는 고정핀(73)에 끼워지는 장공(81)이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레버(80)의 장공(81)으로 끼워진 고정핀(73)에는 너트(74)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74)를 풀고 도 9a,9b에서와 같이 장공(81)과 슬라이드홈(71)을 따라 고정핀(73),슬라이드블록(72)을 좌우로 움직여 일정 위치에서 너트(74)를 잠그면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30)의 상하 움직이는 행정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상기 제1구동레버(80)는 상부브래킷(70)에 행정거리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구동레버(8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73)에 끼워지는 장공(81)이 구비되고, 제1구동레버(80)에는 구동축(90)이 연결된다.The
상기 구동축(90)은 제1구동레버(80)를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90)은 헤드부(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구동축(90)에는 제2구동레버(100)가 연결된다.The
상기 제2구동레버(100)는 구동축(90)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구동레버(100)에는 커넥팅로드(300)가 연결된다.The
상기 편심캠(200)은 헤드부(10)의 주축(11)에 하사점 조절가능하게 볼트(B2)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편심캠(200)에는 커넥팅로드(30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B2)를 풀고 주축(11)을 잡고 도 10a,10b에서와 같이 편심캠(200)을 회전시켜 하사점을 조정한 후 볼트(B2)를 잠그면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30)의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상기 커넥팅로드(300)는 편심캠(200)과 제2구동레버(100)에 연결되는 것으 로, 이러한 커넥팅로드(300)는 편심캠(200)의 운동을 제2구동레버(100)에 전달하여 구동축(90)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시킨다.The connec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헤드부(10)의 주축(11)을 구동시키면 편심캠(200)이 편심상태로 회전운동하면서 도 10a,10b에서와 같이 커넥팅로드(300)를 직선 왕복운동으로 구동시키고, 커넥팅로드(300)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제2구동레버(100)는 구동축(90)을 정역으로 왕복 회전운동시키고, 구동축(90)에 의해 제1구동레버(80)는 도 9a,9b에서와 같이 동시에 정역으로 왕복 회전운동하면서 상부브래킷(70)을 도 6a,6b에서와 같이 상하로 왕복 운동시킨다.First, when the
도 6b에서와 같이 상부브래킷(70)은 제1구동레버(80)에 의해 하강하면서 압축스프링(60)을 누르고,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60)은 압축되면서 서포트(50)를 눌러 하강시키고, 서포트(50)가 하강하면 서포트(50)에 고정된 노루발대(20)가 노루발(30)을 동시에 하강시킨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부브래킷(70)은 제1구동레버(80)에 의해 상승하면서 도 6a에서와 같이 하부브래킷(40)을 상승시키고, 하부브래킷(40)은 상승하면서 서포트(50),노루발대(20),노루발(30)을 동시에 상승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노루발(30)이 수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작업물의 봉제부분을 적당한 압력으로 누르게 된다.As shown in FIG. 6B, the
다음, 도 7a에서와 같이 봉제 시 적정 두께를 가지는 작업물의 경우에는 노루발(30)이 하강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작업물을 누르게 된다. 그러나, 도 7b에서와 같이 봉제 시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가 노루발(30)의 하사점보다 두꺼울 경우, 노루발(30)에 고정된 서포트(50)는 압축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노루발대(20)와 노루발(30)이 동시에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꺼운 두께 만큼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노루발(30)의 하사점은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포트(50)가 압축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자동적으로 조절하게 된다.Next, in the case of the workpiece having a suitable thickness when sewing as shown in Figure 7a i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루발(30)의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조정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height and stroke distance and bottom dead center of the
(노루발의 높이 조정)(Adjust the height of the presser foot)
노루발대(20)에 결합되어있는 노루발(30)의 높이는 작업물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에 조정되어야 한다. 노루발(30)의 하사점은 바늘이 하사점을 통과하여 훅 포인트와 교차하는 지점으로 이때의 높이를 기준하여야 한다.The height of the
노루발대(20)를 고정하는 서포트(50)의 볼트(B1)를 풀고, 도 8에서와 같이 노루발대(20)를 상하로 움직여 일정 높이에서 볼트(B1)를 잠그면 작업물에 따라 노루발(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Loosen the bolt B1 of the
(노루발의 행정거리 조정)(Adjustment distance of presser foot)
노루발대(20)에 결합되어있는 노루발(30)의 상하 움직이는 행정거리는 작업조건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며 이는 제1구동레버(80)로 조정이 가능하다. 즉, 제1구동레버(80)의 장공(81)에 끼워진 고정핀(73)의 좌우 이동으로 행정거리의 변화를 줄 수 있다.The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제1구동레버(80)의 장공(81)으로 끼워진 고정핀(73)에 체결된 너트(74)를 풀고, 장공(81)과 슬라이드홈(71)을 따라 도 9a,9b에서와 같이 고정핀(73),슬라이드블록(72)을 좌우로 움직여 일정 위치에서 너트(74)를 잠그면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30)의 상하 움직이는 행정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Loosen the
(노루발의 하사점 조정)(Lower dead center adjustment of presser foot)
노루발대(20)에 결합되어있는 노루발(30)의 상하 움직이는 하사점은 작업조건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면 이는 주축(11)에 끼워진 편심캠(200)의 조정으로 가능하다.The bottom dead center moving up and down of the
편심캠(200)을 주축(11)에 고정하는 볼트(B2)를 풀고, 바늘과 가마촉이 만나는 지점에 편심캠(200)이 하사점으로 위치하도록 주축(11)을 잡고 도 10a,10b에서와 같이 편심캠(200)을 회전시켜 하사점을 조정한 후, 주축(11)을 회전시키면서 노루발(30)의 하사점을 재확인 후 볼트(B2)를 잠그면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30)의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Loosen the bolt B2 fixing the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 한 바와 같이 봉제 시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가 노루발(30)의 하사점보다 두꺼울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작업물 봉제부분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포트(50)가 압축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노루발(30)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노루발(30)이 파손되거나 봉제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sewing portion is thicker than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50)로 노루발(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제1구동레버(80)로 노루발(30)의 행정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편심캠(200)으로 노루발(30)의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작업조건에 따라 노루발(30)의 높이와 행정거리 및 하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불안정한 조정으로 인한 땀의 건너 뜀, 실 끊어짐, 바늘 부러짐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and stroke distance and bottom dead center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헤드부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head portion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2b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와 측단면도.Figure 2a, 2b is a front sectional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3b는 본 발명의 사시도.Figure 3a,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를 보인 사시도.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브래킷과 제1구동레버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racket and a first driving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6b는 본 발명의 승강작동을 보인 예시도.Figure 6a, 6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는 작용을 보인 예시도.Figures 7a, 7b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ac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루발의 높이 조정을 보인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resser 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노루발의 행정거리 조정을 보인 예시도.9a and 9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djustment of the stroke distance of the presser 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노루발의 하사점 조정을 보인 예시도.Figures 10a, 10b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bottom dead center adjustment of the presser 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헤드부 11 : 주축10
20 : 노루발대 30 : 노루발20: presser foot 30: presser foot
40 : 하부브래킷 50 : 서포트40: lower bracket 50: support
60 : 압축스프링 70 : 상부브래킷60: compression spring 70: upper bracket
80 : 제1구동레버 90 : 구동축80: first driving lever 90: drive shaft
100 : 제2구동레버 200 : 편심캠100: second driving lever 200: eccentric cam
300 : 커넥팅로드300: connecting ro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9792A KR101141193B1 (en) | 2009-07-30 | 2009-07-30 |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9792A KR101141193B1 (en) | 2009-07-30 | 2009-07-30 |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2189A KR20110012189A (en) | 2011-02-09 |
KR101141193B1 true KR101141193B1 (en) | 2012-07-12 |
Family
ID=4377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9792A Active KR101141193B1 (en) | 2009-07-30 | 2009-07-30 |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1193B1 (en) |
-
2009
- 2009-07-30 KR KR1020090069792A patent/KR10114119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2189A (en) | 2011-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7184980A (en) | sewing machine | |
JP2007282747A (en) | sewing machine | |
CN210481694U (en) | Layered bone-poking device | |
US9297101B2 (en) | Presser-foo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 |
CN101225589A (en) | Presser foot drive structure of embroidery machine | |
CN105568581A (en) | Computer embroidering machine with independent presser feet | |
CN101275345A (en) | sewing machine | |
KR20140000955U (en) | Thread drawing blade for a sewing machine thread cut-off assembly and sewing machine with a thread drawing blade of this type | |
CN1837442B (en) | Embroidery presser for embroidery machine | |
KR101141193B1 (en) | Press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 |
JP4020692B2 (en) | Needle feed sewing machine | |
US5634417A (en) | Fabric presser foot device of a sewing machine | |
CN105544108A (en) | Embroidering machine head independent pressure applying member drive mechanism | |
CN1619041A (en) | Metal plate duplex supplying device for embroidery machine | |
KR101240386B1 (en) | Sewing machine | |
JP2008237658A (en) | Hole sewing machine | |
JP3301863B2 (en) | Flat stitch sewing machine with upper feed mechanism | |
KR20060035735A (en) | Sewing needle drive of sewing machine | |
CN115948873A (en) | Weaving device convenient to change weaving syringe needle | |
CN118880557B (en) | Adjustment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of sewing machine | |
JP5044224B2 (en) | Embroidery sewing machine | |
CN221398286U (en) | Middle presser foot device and template machine | |
CN204224852U (en) | A kind of machine head of embroidery machine independence presser foot drive | |
CN211665316U (en) | Hemming machine follow-up presser foot mechanism | |
CN222666231U (en) | Presser foot capable of switching pressure and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4 |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Patent event code: PN23012R02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