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0789B1 -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 Google Patents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89B1
KR101140789B1 KR1020120024470A KR20120024470A KR101140789B1 KR 101140789 B1 KR101140789 B1 KR 101140789B1 KR 1020120024470 A KR1020120024470 A KR 1020120024470A KR 20120024470 A KR20120024470 A KR 20120024470A KR 101140789 B1 KR101140789 B1 KR 101140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heel
rake
shaft
bal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완
Original Assignee
배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완 filed Critical 배상완
Priority to KR102012002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supported on or from floats, e.g. in wate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캐이블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 떠있는 부선의 연결로우프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있어서, 바퀴와 축으로 이루어져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부; 전진방향으로 골을 파기 위한 갈퀴를 포함하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갈퀴부; 및 해저에 케이블이 매설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선로로 포함하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케이블안내부로 이루어진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Sea-bottom cable 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의 수중 지반을 굴착하여 통신용 케이블, 전력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매설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저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한 매설장치는 육지와 도서지방에 통신 또는 전력선로를 구축하거나 바다를 경유한 장거리 통신용 케이블, 전력선 등을 해저면에 매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케이블 등을 매설하는 공법으로는 오픈 컷(Open cut) 공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오픈 컷공법은 수중굴착기(Grab 등)로 굴착위치의 수중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 단면에 구조물을 매설하고 다시 되메우는 방식인바, 이러한 오픈 컷 공법은 시공품질의 불량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며, 그에 따른 높은 시공비와 저서생태환경과 부유물에 의한 환경적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매설방식의 수중굴착 및 매설장치는 잠수정에 구비된 쟁기로 1차 해저 면을 굴착하고, 수중펌프에 연결된 수압분사노즐을 통해 강한 분사력으로 굴착된 해저 면을 터파하고, 그 자리에 케이블 등을 매설한다.
이러한, 수중굴착 및 매설장치는 최초 시공시점에서 종료시점까지의 굴착공정이 끝나고 나서 구조물을 굴착 단면에 안착시켜야 하는데, 상기의 굴착 종료시점에는 이전의 굴착 단면에 유속으로 인해 일부가 되메우기가 되어 버리므로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굴착이 끝난 상태에서 구조물을 해상에서 투하하는 과정에서 유속으로 인해 굴착 단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잠수부에 의한 수중구조물의 이동작업이 요구되므로 그에 따른 인건비용과 시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와 상기의 이동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굴착방식은 터파기 후, 구조물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터파기 된 굴착 단면에 유속으로 인해 일부가 되메우기가 되어 버리므로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넓은 굴착 단면으로 인해 자연의 유속에 의한 완전 되메우기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인공적인 되메우기 공정이 요구되며, 상기 인공적인 되메우기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도 과다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대한민국특허공보 제91-0006816호에서는 포설선을 통해 견인되며, 쟁기와 중량체를 구비한 잠수정 이외에 절삭비트가 부설된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 작동용 유압모터, 분사노즐이 구비된 수압관, 스크류에 의해 굴삭된 토양을 배출함과 동시에 배출된 토양으로 포설되는 케이블을 되메우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관이 구비된 굴삭기로 구성된 해저 케이블 매설기의 줄터파기 및 되메우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 역시 먼저, 터파기 후 구조물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터파기 된 굴착 단면에 유속으로 인해 일부가 되메우기가 되어 버리므로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상기 잠수정에 구비된 굴삭기를 통해 굴착 되는 넓은 굴착 단면으로 인해 자연의 유속에 의한 완전 되메우기가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인공적인 되메우기 공정이 요구되며, 상기 인공적인 되메우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필요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분사노즐 등의 사용으로 해저부유물이 발생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저 암반 등의 위에 케이블이 설치되는 경우 암반 옆에 있는 토양이 제거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암반과 암반 옆에 있는 케이블이 급격히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으로 인해 케이블이 절단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케이블 절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면에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해저부유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에 케이블 등을 설치후에 케이블 절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면에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해저부유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에 떠있는 부선의 연결로우프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있어서, 바퀴와 축으로 이루어져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부; 전진방향으로 골을 파기 위한 갈퀴를 포함하며 상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갈퀴부; 및 해저에 케이블이 매설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선로로 포함하며 상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케이블안내부로 이루어진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부의 축에 연결되는 균형유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균형유지부는 장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수단 및 상기 균형수단을 축에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형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갈퀴부가 쟁기형상의 갈퀴가 1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안내부의 안내선로에 케이블이 용이하게 인도되도록 롤러가 형성되며, 안내선로의 양끝에 안내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는 해저에 케이블을 설치시에 암반 위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 암반 옆에 흙을 많이 제거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을 파기 때문에 케이블이 암반과 암반 옆에 매설되는 케이블의 경사가 크지 않아 케이블이 절단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는 시공면에서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해저면의 파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저서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유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가 진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앞쪽은 매설장치의 전진방향을 의미하고, 뒤쪽은 전진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확보의 위기와 지구온난화라는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드그리드에 맞는 통신용 케이블, 전력선 등을 구축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이다.
본 발명은 수상에 떠있는 부선에 연결로우프를 연결하여 견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설장치는 무동력으로 진행할 수 있어 원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매설도중 작동이 중지되는 가능성을 줄였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퀴부(110), 갈퀴부(120) 및 케이블안내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균형유지부(140) 및 부이(15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퀴부(110)는 바퀴(111) 및 축(112)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바퀴(111)는 본 발명의 매설장치가 앞으로 전진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전진하는 도중에 암반에 부딪히더라도 이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퀴부(110)의 무게 자체에 의해서 해저면에 골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할 갈퀴부(120)에서 추가적으로 골을 형성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형성된 골에 해저케이블이 매설된다.
상기 바퀴부(110)는 해저에 가라앉을 수 있도록 비중이 큰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설장치의 무게에 의해 퇴적물 안으로 어느 정도 깊이로 들어갈 수 있어 골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부(110)는 매설장치를 지탱하면서 부선이 연결로우프를 끌어당겨 바퀴(111)가 구름으로 인해 앞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부(110)는 바퀴(111)와 축(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축(112)에는 갈퀴부(120)와 케이블안내부(130)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퀴부(110)의 바퀴(111) 지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약 2m ~ 15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퀴(111)의 폭은 10 ~ 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111)의 폭은 가운데가 뽀족한 V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하중이 가해질 때 해저면에 더욱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퀴(111)의 원형의 중심에 관통된 축(112)이 구성되는 데, 상기 축(112)은 바퀴(111)가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갈퀴부(120) 및 케이블안내부(130) 등이 힌지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갈퀴부(120)는 지지대(121)와 갈퀴(122)로 구성되는 데, 상기 갈퀴부(120)는 케이블을 매설할 깊이와 폭을 파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구성만으로 하중이 있으며 이로 인해 해저면으로 들어간 매설장치를 견인함에 따라 바퀴(111)가 돌면서 갈퀴(122)로 인해 일정 깊이와 일정 폭 만큼의 해저면 퇴적물을 파낼 수 있다.
바퀴(111)의 중량만으로 해저면에 원하고자 하는 범위의 폭과 깊이를 파내기 어려우므로 갈퀴부(120)를 통해 해저면에 일정이상의 폭과 깊이를 팔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갈퀴부(120)의 지지대(121)는 바퀴부(110)의 양쪽에 축(112)과 힌지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지지대(121)는 케이블안내부(130)의 견인수단(131)과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하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21)는 케이블안내부(130)의 견인수단(131)과 함께 부선의 연결로우프가 연결되어 매설장치를 견인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1)는 견인수단(131)과 0 ~ 45°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지대(121)와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면 견인시에 전진방향으로 이동이 힘들게 될 수 있으며 연결로우프가 엉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범위를 유지하면서 연결로우프를 이용하여 견인할 경우 지지대(121)와 견인수단(131)의 벌어진 각은 좁혀지는 데, 지지대(121)는 아래로 내려오고, 견인수단(131)은 위로 올라가면서 좁혀져 견인수단(131)의 반대쪽에 위치한 매설수단(133)은 해저면 바닥에 닿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1)에 갈퀴(122)가 형성되어 있는 데, 하나의 지지대(121)에는 1이상의 갈퀴(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개의 갈퀴(122)가 지지대(121)에 형성되도록 하여 갈퀴(122)로 해저면의 퇴적물을 파낼 때, 해저면에 있는 퇴적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여러 개의 갈퀴(122)로 구성되어 지지대(121)의 여러 위치에 중복배치됨으로 인해 해저면 퇴적물과의 저항을 감소시켜 쉽게 팔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갈퀴(122)는 쟁기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날이 형성되어 전진방향으로의 해저면 바닥을 팔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되는 케이블이 해저면 밑으로 잘 묻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갈퀴(122)의 날 방향은 전진방향의 앞쪽을 향하도록 하여 바퀴(111)의 무게에 의해 들어간 깊이에서 바퀴(111)의 옆부위를 파낼 수 있다.
상기 갈퀴부(120)에 있어서 갈퀴(122)의 길이는 지지대(121)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데, 갈퀴(122)가 바퀴(111) 주변을 회전함에 있어서 바퀴(111) 지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한다. 상기 갈퀴(122)가 바퀴(111) 지름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의도했던 깊이보다 더 파이게 되고 이로 인해 매설장치의 전진이 힘들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해저에 암반 등의 큰 부착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 갈퀴(122)가 바퀴(111)의 지름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암반에 갈퀴(122)가 걸려 전진이 힘들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바퀴(111)의 지름을 벗어나지 않게 축(112)에 연결된 양 지지대(121)에 갈퀴(122)를 형성하여 일정 깊이를 팔 수 있게 한다. 또한 바퀴(111)의 양쪽 옆부위를 파는 데 약 30~60cm의 폭을 형성하도록 파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갈퀴부(120)는 필요한 깊이만큼만 해저면을 팔 수 있어 암반 등의 위에 케이블이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이 절단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워터젯이나 에어리프트에 의해 케이블을 매설할 경우 암반이 모두 노출되고 암반 옆의 흙이 모두 제거되면서 암반 위에 위치한 케이블과 암반 옆에 위치한 케이블은 급격한 경사를 이루게 되었고 이것이 되메워진 경우, 되메워진 흙의 하중으로 인해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매설장치는 해저면의 흙이 많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로 하는 깊이만이 제거되어 케이블이 매설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케이블이 절단되는 피해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안내부(130)는 매설장치 전체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131)과 케이블을 해저면에 인도할 수 있는 안내선로(134) 및 견인수단(131)과 안내선로(134)를 연결하고 매설장치의 위부분에 안내선로(134)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 수용수단(132) 및 매설수단(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견인수단(131)은 부선의 연결로우프와 연결되어 매설장치를 견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견인수단(131)의 끝에 로우프를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설장치를 견인할 수 있으며, 상기 견인수단(131)은 도 1 ~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 형식으로 매설장치의 앞쪽에 위치해 있으며 로우프와 연결되는 부위가 아닌 견인수단(131)의 다른 한쪽 끝단은 바퀴 수용수단(132)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부(11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퀴부(110)의 축(112)과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바퀴 수용수단(132)은 견인수단(131)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퀴부(110)의 외부를 감싸면서 바퀴가 잘 굴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안내선로(134)를 지탱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퀴 수용수단(132) 하부에는 바퀴(111)가 전진함에 따라 해저면에 있는 진흙 등이 바퀴(111)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물 제거대(13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안내부(130)의 뒤쪽이 해저면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매설수단(133)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수단(131)은 갈퀴부(120)의 지지대(121)와 함께 부선의 연결로우프가 연결되어 매설장치를 견인하는 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견인수단(131)과 지지대(121)가 0 ~ 45°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설장치를 견인시에 연결로우프를 견인수단(131)과 지지대(121)에 연결하여 견인하게 되는 데, 이와같이 견인하는 경우 견인수단(131)과 지지대(121)의 벌어진 각은 좁혀지면서, 지지대(121)는 아래로 내려오고, 견인수단(131)은 위로 올라가면서 벌어진 각이 좁혀져 반대쪽에 위치한 매설수단(133)은 해저면 바닥에 닿게 된다.
상기 바퀴 수용수단(132) 및 매설수단(133)의 위에는 케이블을 해저면에 매설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선로(134)가 존재한다. 즉, 상기 안내선로(134)는 매설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해저케이블이 안내선로(134)를 따라 이동하여 매설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선로(134)의 양끝단에는 안내고리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안내고리는 해저케이블이 이동되는 동안 안내선로(134)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내선로(134)에는 롤러가 구성되어 있어서 케이블이 안내선로(134)를 따라 이동시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내선로(134)에 롤러가 구성되어 케이블이 롤러 위를 지날 때 상기 롤러가 구름회전되어 케이블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매설장치가 전진함에 따라 해저케이블을 안내선로(134) 위로 공급하며 공급되는 해저케이블은 안내선로(134) 위의 롤러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어 위치하고자 하는 골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축(112)의 양쪽에 균형유지부(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균형유지부(140)는 연결바(제1연결바(141), 제2연결바(143)) 및 균형수단(제1균형수단(142), 제2균형수단(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는 균형수단을 축(112)에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축(112)에 연결된 연결바의 부위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112)과 힌지연결될 수 있다.
제1균형수단(142)은 바퀴부(110)의 축(112)의 앞쪽 즉, 전진방향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1균형수단(142)을 연결하는 제1연결바(141)의 회전을 제한하여 축(112)의 뒷쪽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균형수단(144)은 바퀴부(110)의 축(112)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2균형수단(144)을 연결하는 제2연결바(143)의 회전을 제한하여 축(112)의 앞쪽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균형수단(142) 및 제2균형수단(144)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해저면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전진 이동시에 해저면에 걸리지 않도록 앞단 및 뒷단이 곡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바에 연결되는 방법은 제1균형수단(142) 및 제2균형수단(144)이 위아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균형수단(142) 및 제2균형수단(144)은 일측면의 중간지점에서 연결바와 힌지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는 부이(1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이(150)는 매설장치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것인데, 바퀴(111)가 해저면에 깊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매설장치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이(150)는 바퀴부(110)의 축(1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연결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가 진행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 매설장치가 해저면에 도달하게 되면 매설장치의 무게 및 바퀴(111)의 뾰족한 형상(V자 형상)으로 인해 해저면에 일정깊이로 파여진다. 이에 부선에서 연결된 연결로우프가 지지대(121) 및 견인수단(131)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를 견인하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되면 갈퀴(122)는 깊이를 추가적으로 더 파는 것과 동시에 바퀴(111) 옆의 부위를 파게 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균형유지부(140)의 제1균형수단(142) 및 제2균형수단(144)은 해저면 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매설장치의 균형을 유지하고 추가적으로 부이(150)가 존재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매설장치가 전진하면서 골을 파는동안 연결로우프와 연결된 지지대(121)와 견인수단(131)의 벌어진 간격은 좁아져서 케이블안내부(130)의 연결수단(131)은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반대쪽에 위치한 매설수단(133)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골이 패인 부분과 닿아 케이블이 케이블안내부(130)의 안내선로(134)를 통해 공급하도록 한다. 공급된 케이블은 해저면 내부에 매설되고 난 후에 해저 유속 등에 의해 공급된 케이블이 주변의 흙 등에 의해 묻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10 : 바퀴부 111 : 바퀴 112 : 축
120 : 갈퀴부 121 : 지지대 122 : 갈퀴
130 : 케이블안내부 131 : 견인수단 132 : 바퀴 수용수단 133 : 매설수단 134 : 안내선로
140 : 균형유지부 141 : 제1연결바 142 : 제1균형수단 143 : 제2연결바(141) 144 : 제2균형수단
150 : 부이

Claims (5)

  1. 수상에 떠있는 부선의 연결로우프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에 있어서,
    바퀴와 축으로 이루어져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퀴부;
    전진방향으로 골을 파기 위한 갈퀴를 포함하며 상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갈퀴부; 및
    해저에 케이블이 매설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축의 양쪽에 힌지연결된 케이블안내부로 이루어진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바퀴부의 축에 연결되는 균형유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균형유지부는 장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수단 및 상기 균형수단을 축에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균형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부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부는 쟁기형상의 갈퀴가 1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안내부의 안내선로에 케이블이 용이하게 인도되도록 롤러가 형성되며, 안내선로의 양끝에 안내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KR1020120024470A 2012-03-09 2012-03-09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70A KR101140789B1 (ko) 2012-03-09 2012-03-09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70A KR101140789B1 (ko) 2012-03-09 2012-03-09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789B1 true KR101140789B1 (ko) 2012-05-03

Family

ID=4627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789B1 (ko) 2012-03-09 2012-03-09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6270A (zh) * 2016-06-01 2016-08-10 中天科技海缆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缆系统的海底固定装置
WO2016186227A1 (ko) * 2015-05-20 2016-11-24 주식회사 해천 개폐형 케이블 가이드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CN116706778A (zh) * 2023-08-02 2023-09-05 杭州恒胜电子科技有限公司 海底电缆铺设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9389A (ko) 1974-04-26 1975-11-07
JPS50139385A (ko) 1974-04-26 1975-11-07
JPS566613A (en) 1979-06-25 1981-01-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ubmarine cable embedding machine
JPH07231528A (ja) *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海底ケーブル敷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9389A (ko) 1974-04-26 1975-11-07
JPS50139385A (ko) 1974-04-26 1975-11-07
JPS566613A (en) 1979-06-25 1981-01-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ubmarine cable embedding machine
JPH07231528A (ja) *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海底ケーブル敷設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27A1 (ko) * 2015-05-20 2016-11-24 주식회사 해천 개폐형 케이블 가이드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CN105846270A (zh) * 2016-06-01 2016-08-10 中天科技海缆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缆系统的海底固定装置
CN116706778A (zh) * 2023-08-02 2023-09-05 杭州恒胜电子科技有限公司 海底电缆铺设机
CN116706778B (zh) * 2023-08-02 2023-11-28 浙江启明海洋电力工程有限公司 海底电缆铺设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678B2 (en) Method and system of laying underwater pipelines in the bed of a body of water
CN110029696A (zh) 一种双作业模式海底电缆挖沟机
US9523445B2 (en) Self-propelled underwater vehicles and systems for underground laying a continuous elongated member in a bed of a body of water
KR20130050341A (ko) 보조 해저 채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29407B1 (ko) 개폐형 케이블 가이드를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CN112627267A (zh) 一种埋设犁及其工作方法
KR101782456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및 그 방법
CN108233277A (zh) 一种超长距离浅滩海床海缆敷设工艺
KR101648904B1 (ko) 순간 변위를 위한 스키드 분사노즐을 구비한 해저 케이블 매설기
JP4012147B2 (ja) ケーブル又はパイプの回収及び埋設装置及び方法
CA3150493A1 (en) UNDERWATER PLOW FOR BURYING A FLEXIBLE EXTENDED ELEMENT
KR101140789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치
US367380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urying sub-sea pipelines,cables and the like
RU2507431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млеройно-укладочных работ при прокладке подвод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4005782U (zh) 一种埋设犁
EA007692B1 (ru) Пере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под водой лин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или связи в траншею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кладки под водой лин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или связи в траншею
CN1060550C (zh) 驳载托撬式滩海挖沟装置
KR100936941B1 (ko) 워터제트 고압분사와 펌핑을 병행한 수중굴착 및 매설장치
JP6591977B2 (ja) 埋設アセスメント調査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525014A (ja) ケーブル埋設システム
Paulin et al. Trenching considerations for Arctic pipelines
CA2735927C (en) Method and system for temporarily supporting a soil mass susceptible to slide
KR102503867B1 (ko) 해저케이블 매설장비
KR101365184B1 (ko) 수중굴착 및 해저선 매설장치
RU187634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траншейный проходч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