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0636B1 -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 Google Patents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636B1
KR101140636B1 KR1020090008174A KR20090008174A KR101140636B1 KR 101140636 B1 KR101140636 B1 KR 101140636B1 KR 1020090008174 A KR1020090008174 A KR 1020090008174A KR 20090008174 A KR20090008174 A KR 20090008174A KR 101140636 B1 KR101140636 B1 KR 10114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data segment
proxy server
side prox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990A (ko
Inventor
전재식
김경환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6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6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특정 컨텐츠의 나머지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와,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 기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며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 중 일부분을 수신하면 기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와 해당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일단에 위치한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서 반대단에 위치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중복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게 되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전송 시간, 비용 및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프록시서버, 세그먼트, WAN

Description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delivery using data segment information, and proxy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의 컨텐츠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컨텐츠(예컨대,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수는 매우 많다. 게다가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한정된 네트워크 자원에서의 데이터 전송량 증가는 전송 품질의 저하를 불러온다. 특히, WAN(Wide Area Network)과 같이 지리적으로 완전하게 떨어져 있는 장거리 지역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통신망의 경우, 한정된 네트워크 자원으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 또는 데이터 전송로를 증설하지 않고도,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해당 프록시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은,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및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는, 일정주기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은,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2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및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가 상기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 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일정주기로 수신하여 저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 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수신하여 저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와 상기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일정주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하고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segment)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시스템은 클라이언트(110),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 컨텐츠서버 측 프 록시서버(130), 컨텐츠서버(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1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컨텐츠서버(14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컴퓨터 등의 장비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110)는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앞으로 상용화될 모든 유선 및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한다.
컨텐츠서버(140)는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가 운용하는 서버이며,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15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WAN(Wide Area Network)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 및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는 컴퓨터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보안이나 관리적 차원의 규제 그리고 캐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컨텐츠서버(14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다. 컨텐츠서버(140)는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요청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 전송하는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는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기 저장하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데이터의 순서에 맞게 온전한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 및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 및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컨텐츠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어 순차적으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 및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최대 전송 옥텟(octet)의 크기에 맞게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150) 상에서 존재하는 라우터 등에서 데이터를 재 패킷화 하는 불경제를 피하면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내부에 저장하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의 전송은, 예를 들어, 일정주기로 이루어지거나 상대적으로 네트워크(150)의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는 송수신부(210), 제 어부(220) 및 메모리부(2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메모리부(230)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제어부(22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20)가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컨텐츠서버(14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컨텐츠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세그먼트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전송한다.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에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컨텐츠의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와,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존재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배열된 순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서 데이터 세그먼트가 포함되는 위 치를 파악하여 온전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배열한 데이터와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우터 등에서 재 패킷화해서 다시 보내는 시간 지연 없이 최대 효율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정보테이블(300)의 형태로 메모리부(230)에 저장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테이블(300)을 참조하면, 컨텐츠, 데이터 세그먼트, 인덱스 및 세그먼트 크기 항목을 포함한다. 컨텐츠 항목은 데이터 세그먼트가 속한 컨텐츠를 나타낸 필드이다. 데이터 세그먼트 항목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인덱스는 컨텐츠의 데이터 중 해당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세그먼트 크기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정보테이블(300)에서 'movie.vod' 컨텐츠의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는 'segment1' 및 'segment2' 이다. 인덱스 항목을 참조하면 'segment1'이 'movie.vod' 컨텐츠 데이터에서 존재하는 위치는 '0...0001'이고, 'segment1'의 데이터 크기는 1 mb(megabyte)이다. 마찬가지로, 'segment2'의 위치는 '0...0010'이며, 데이터의 크기는 2 mb이다.
이때, 인덱스 정보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 및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의 설정에 따라 정해지며, 예를 들어, 각 컨텐츠의 데이터 내에서 세그먼트 데이터의 시작 위치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는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전송하거나, 전송하는 데이터와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조합하고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만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입출력부(310),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31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저장부(330)는 컨텐츠서버(14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관리부(320)는 입출력부(310)를 통해 특정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 전송하여, 기 저장 된 데이터 세그먼트가 다시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 전송이, 예를 들어, 일정주기에 따라 또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후, 관리부(320)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컨텐츠를 이루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와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완전한 컨텐츠의 데이터로 재구성하고, 입출력부(310)를 통해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 만일, 수신한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컨텐츠 데이터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이에 따라 완전한 데이터로 재구성하고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서버(140)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S510).
단계(S510)에서 컨텐츠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설정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다(S520). 예를 들어, 앞부분은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요청이 많으나 뒷부분은 그렇지 않은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앞부분의 데이터 세그먼트 만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고, 웹 페이지에 포함된 객체 중 업데이트 주기가 길어 자주 변경되지는 않으나 클라이언트(110)로부터 빈번히 요청되는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 전송한다(S530). 단계(S530)에서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 전송이 일정주기 또는 데이터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후, 클라이언트(110)가 컨텐츠서버(140)로 컨텐츠를 요청하면(S540), 컨텐츠서버(140)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한다(S550).
단계(S550)에서 컨텐츠를 수신한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130)는 단계(S530)에서 수신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 중 단계(S520)에서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와,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S560). 그리고 배열된 데이터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로 전송한다(S570).
단계(S570)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의 위치에, 대응되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추가하여 완전한 컨텐츠로 재구성한다(S580). 단계(S580)에서 컨텐츠를 재구성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120)는 재구성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한다(S590).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중복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WAN과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량에 따라 전송 품질과 비용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 저비용이고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7)

  1. 컨텐츠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및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octet)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 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는
    일정주기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6.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2 수신단계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및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가 상기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데이터 세그 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단계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9.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컨텐츠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는 제 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일정주기로 수신하여 저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수신하여 저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열한 상기 나머지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최대 전송 옥텟의 크기에 맞게 순차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
  14.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부
    컨텐츠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저장한 저장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서버 측 프록시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데이터와 상기 저장한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나머지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일정주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측 프록시서버.
KR1020090008174A 2009-02-02 2009-02-02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Active KR10114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74A KR101140636B1 (ko) 2009-02-02 2009-02-02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74A KR101140636B1 (ko) 2009-02-02 2009-02-02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90A KR20100088990A (ko) 2010-08-11
KR101140636B1 true KR101140636B1 (ko) 2012-05-03

Family

ID=4275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174A Active KR101140636B1 (ko) 2009-02-02 2009-02-02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6714A (ko) 2023-05-18 2024-11-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 및 이의 데이터 공유 응답성 향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0651B2 (en) * 2011-07-25 2014-11-0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ownload of data package
KR20130074828A (ko) 2011-12-23 201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서버에 의한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11606B1 (ko) * 2019-12-26 2021-02-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록시 서버,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88A (ko) * 1999-04-15 2000-11-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개선된 전송효율을 위한 방법
KR100479334B1 (ko) 2002-11-29 2005-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동적선반입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8361A (ko) * 2005-10-27 2006-05-03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기반의 컨텐츠 분산형 네트워크 시스템과 파일분할, 병합 및 재생 방법
KR100813004B1 (ko) 2001-08-21 2008-03-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셀 절단 공정용 씰 패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88A (ko) * 1999-04-15 2000-11-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개선된 전송효율을 위한 방법
KR100813004B1 (ko) 2001-08-21 2008-03-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셀 절단 공정용 씰 패턴
KR100479334B1 (ko) 2002-11-29 2005-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동적선반입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8361A (ko) * 2005-10-27 2006-05-03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스트리밍 기반의 컨텐츠 분산형 네트워크 시스템과 파일분할, 병합 및 재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6714A (ko) 2023-05-18 2024-11-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 및 이의 데이터 공유 응답성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90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5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video fragment
US8370520B2 (en) Adaptive network content delivery system
US8327013B2 (en) Dynamic index file creation for media streaming
CN102055718B (zh) 一种在http streaming系统中实现分层请求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CN103001964B (zh) 一种局域网环境下的缓存加速方法
CN103581242B (zh) 上传文件的方法、客户端设备、服务器及系统
WO2011088725A1 (zh) 基于http的同步方法和装置
US20240176829A1 (en) Token-based authentication for a proxy web scraping service
CN101237429A (zh) 基于内容分发网络的流媒体直播系统、方法及装置
EP4227828A1 (en) Web scraping through use of proxie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2158518B (zh) 一种cdn网络中的数据传输方法、网络节点及系统
CN103813181A (zh) 一种视频优化系统及方法
KR101140636B1 (ko)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US20020083193A1 (en) Parallel network data transmission
EP3258673B1 (en) E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ervers in content transmission network system
CN105893429A (zh) 用于优化web缓存的方法及系统
KR101158366B1 (ko) 데이터 세그먼트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록시서버
Evensen et al. Adaptive media streaming to mobile devices: challenges, enhancements, and recommendations
CN107249017B (zh) 一种通过cdn网络获取hls内容的方法及服务器
KR101091982B1 (ko) 캐시서버와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캐싱방법 및 그 캐시서버
Davern et al. HTTP acceleration over high latency links
KR101066871B1 (ko) 캐시서버 및 브라우저캐시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시스템 및 방법
CN10254654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及设备
KR20150045891A (ko)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209662B (zh) 一种网络实时互动系统中高并发动态速率数据传输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