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40300B1 - 입출식 이동 주택 - Google Patents

입출식 이동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00B1
KR101140300B1 KR1020110077277A KR20110077277A KR101140300B1 KR 101140300 B1 KR101140300 B1 KR 101140300B1 KR 1020110077277 A KR1020110077277 A KR 1020110077277A KR 20110077277 A KR20110077277 A KR 20110077277A KR 101140300 B1 KR101140300 B1 KR 10114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external
internal
ca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자
Original Assignee
김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자 filed Critical 김선자
Priority to KR102011007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55Wheeled arch-typ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식 이동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외부건물(10)의 저면은 받침대(12)로 지지되고,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으로 제1내부건물(20)이 서랍식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밖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일측 저면에는 제1캐스터(21)가 장착되고,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타측 저면에는 제2캐스터(22)가 장착되되, 상기 제2캐스터(22)는 제1외부건물(10)의 프레임(1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1잔넬(23)를 따라 서랍식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는 롤러(41)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제2외부건물(30)은 그 내벽이 상기 롤러(41)와 맞닿도록 제2내부건물(40)에 외삽되며, 상기 제2외부건물(30)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면 제2받침기둥(31)이 상기 제2외부건물(30)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어 단층에서 복층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받침기둥(31)의 일측과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43)의 상부로 연결부재(42)가 볼트를 통해 조립되고,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제2외부건물(30)과 제2내부건물(40)의 사이에는 막음부재(32)가 안치되되,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상면과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33)의 상부로 안치되며,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안쪽으로 사다리(4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외부건물(30)의 외벽에 계단(34)이 설치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입출식 이동 주택{Input-output type moving house}
본 발명은 이동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건물과 외부건물로 구분하여, 주택 사용시에는 내부건물을 외부건물에서 인출하여 사용공간을 2배로 확장시켜 사용할 뿐 아니라, 이동시에는 내부건물을 외부건물의 안쪽으로 인입함으로써, 주택의 공간이 축소되어 이동이 용이해지는 입출식 이동 주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주택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을 비롯하여 창호, 문짝, 천장, 내부마감재 및 외벽마감재 등의 제조작업을 공장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한후, 화물 트럭을 이용하여 이동 주택의 설치장소로 운반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주택은 화물 트럭을 통해서 운반할 수 있는 중량물임을 감안할 때, 이동 주택의 넓이는 화물 트럭의 적재칸의 넓이에 맞추어 제작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화물 트럭의 적재칸의 넓이는 통상 4.5톤 트럭에서 18톤 트럭까지 대략 2.2M정도로 규격화 되어있으므로, 이동 주택의 넓이 또한 운반상의 문제로 인해 2~3M를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동 주택의 넓이를 2M로 제작할 때에는 화물 트럭의 적재칸에 편리하게 실을 수 있어서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이동 주택을 사용하는 측면에서는 실내가 너무 좁아 생활이 불편함에 따라, 통상적으로 이동 주택은 그 넓이를 3M로 제작한 후, 화물 트럭의 적재시에는 적재칸의 양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동 주택이 화물 트럭의 양쪽으로 돌출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교통사고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존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넓은 실내공간을 갖는 이동 주택을 사용하고 싶어도, 운반상의 문제로 인해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화물 트럭을 통해 운반되는 이동 주택이라 할지라도, 화물 트럭의 적재칸보다 훨씬 넓은 실내공간을 갖는 입출식 이동 주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은 내부주택이 외부주택의 안쪽으로 인입되는 형태로서, 운반은 동일한 화물 트럭을 이용하더라도 실사용되는 실내공간은 종전에 비하여 거의 2배정도 확장되는 입출식 이동 주택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외부건물(10)의 저면은 받침대(12)로 지지되고,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으로 제1내부건물(20)이 서랍식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밖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일측 저면에는 제1캐스터(21)가 장착되고,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타측 저면에는 제2캐스터(22)가 장착되되, 상기 제2캐스터(22)는 제1외부건물(10)의 프레임(1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1잔넬(23)를 따라 서랍식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외부건물(10)의 저면은 받침대(12)로 지지되고,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으로 제1내부건물(20)이 서랍식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1외부건물(10)의 밖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일측 저면에는 제1캐스터(21)가 장착되고,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타측 저면에는 레일블럭(25)이 장착되되, 상기 레일블럭(25)은 제1외부건물(10)의 프레임(11)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24)를 따라 서랍식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는 롤러(41)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제2외부건물(30)은 그 내벽이 상기 롤러(41)와 맞닿도록 제2내부건물(40)에 외삽되며, 상기 제2외부건물(30)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면 제2받침기둥(31)이 상기 제2외부건물(30)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어 단층에서 복층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받침기둥(31)의 일측과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43)의 상부로 연결부재(42)가 볼트를 통해 조립되고,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제2외부건물(30)과 제2내부건물(40)의 사이에는 막음부재(32)가 안치되되,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상면과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33)의 상부로 안치되며,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안쪽으로 사다리(4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외부건물(30)의 외벽에 계단(34)이 설치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을 사용하게 되면, 화물 트럭의 적재칸의 넓이에 어쩔 수 없이 예속되던 이동 주택의 넓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폭으로 확장되어 독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동 주택이라 할지라도 넓은 공간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면 형상의 지붕을 갖는 입출식 이동 주택의 경우에는 2층으로 배치하여 주차장, 캐노피, 필로티, 테라스 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이동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또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활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에 캐노피를 적용한 활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종래의 이동 주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물 트럭을 통해 운반해야 하는 중량물임을 감안할 때, 이동 주택의 넓이가 화물 트럭의 적재칸의 넓이에 예속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넓은 실내공간을 사용하고자 하더라도 화물 트럭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 주택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제작할 수는 있으나, 넓이를 크게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제1내부건물(20)이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으로 인입과 인출이 될 수 있음에 따라, 이동 주택의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이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1은 화물 트럭을 통해 설치 장소로 운반된 후, 제1내부건물(20)이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1외부건물(10) 밖으로 인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동 주택을 운반하기 위하여 인출되었던 제1내부건물(20)을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으로 인입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건물(20)의 인출 및 인입시에는 작은힘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입출이 가능하도록, 제1외부건물(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1내부건물(20)의 저면에 제1캐스터(21)가 설치된다. 한편, 제1외부건물(10)의 저면에는 이동 주택이 지면에 안정되게 정착될 뿐 아니라, 화물 트럭에 이동 주택을 상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지게차의 포크(Fork) 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받침대(12)가 설치된다.
도 3은 제1내부건물(20)을 제1외부건물(10)에서 인출 및 인입하는 과정에서 작은힘으로도 용이하게 제1내부건물(2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제1외부건물(10)의 안쪽에 위치된 제1내부건물(20)의 작동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외부건물(10)은 형강을 비롯한 철재를 이용하여 프레임(11)이 만들어진다. 프레임(11)의 외측으로는 이동 주택을 미려하게 꾸미고자 외부마감재(13)가 장식되고, 프레임(11)의 바닥면 안쪽으로는 합판(14), 장판(15) 등을 통해 내부 마감이 마무리된다. 한편, 프레임(11)의 바닥면에는 도 3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제1잔넬(23)이 설치되는바, 이 제1잔넬(23)은 제1내부건물(20)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캐스터(22)의 직선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1에서와 같이 제1내부건물(20)을 서랍식으로 끌어낼 때에 제1외부건물(10)의 밖에 위치되는 제1캐스터(21)가 움직임과 동시에, 앞서 설명한 도 3에 도시된 제2캐스터(22)가 제1외부건물(10)의 프레임(1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1잔넬(23)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1내부건물(20)을 서랍식으로 제1외부건물(10) 밖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잔넬(23)은 양측면을 막아줌으로써, 제2캐스터(22)가 작동중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또 다른 단면도로서, 앞서 설명한 제2캐스터(22)와 제1잔넬(23)을 대신하여 도 4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제1외부건물(10)의 프레임(11)의 바닥면에는 레일(24)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24)에는 제1내부건물(20)의 저면에 설치된 레일블럭(25)이 조립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1에서와 같이 제1내부건물(20)을 서랍식으로 끌어낼 때에 제1외부건물(10)의 밖에 위치되는 제1캐스터(21)가 움직임과 동시에, 상기 레일블럭(25)이 레일(24)을 따라 움직임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1내부건물(20)을 서랍식으로 제1외부건물(10) 밖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활용 상태도로써, 이동 주택의 지붕을 도 1, 2에서와 같이 삼각뿔 형태의 합각(16)으로 제작하지 않고, 평면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에 따라, 평면형상의 지붕을 갖는 이동 주택을 2단 쌓기 방식으로 적재한 다음, 제1받침기둥(26)으로 2층에 위치하는 이동 주택의 제1내부건물(20)을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는 주차장으로 활용하거나, 캐노피 또는 필로티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제1내부건물(20)의 상부를 활용하여 테라스로 꾸밀 수 있는 등 다양한 주택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에 캐노피를 적용한 활용 상태도로서, 도 6의 (a)에서와 같이 평면형상을 갖는 제1외부건물(10)의 지붕 위에 캐노피(50)를 설치하되, 캐노피(50)의 일측에는 지면과 맞닿는 제3캐스터(52)가 장착된 캐노피받침대(51)를 설치하여 캐노피(50)를 지지하게 하고, 캐노피(50)의 타측에는 지붕에 장착된 제2잔넬(5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4캐스터(53)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캐노피(50)가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음으로, 제1외부건물(10)의 측방으로 생활공간이 창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는 캐노피(50)를 설치하기 위한 도 6의 (a)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지붕의 형태를 삼각뿔 형태의 합각(16)으로 절반만 형성하고, 나머지 지붕의 공간에 캐노피(50)를 설치하기 위한 제2잔넬(54)을 설치한 후, 캐노피(50)를 서랍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제1외부건물(10)의 측방으로 생활공간이 창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내부건물(40)은 제2외부건물(30)의 안쪽으로 인입되는 구성으로써, 제2내부건물(40)을 복층으로 변형시켜 실내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는 롤러(41)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제2외부건물(30)은 그 내벽이 롤러(41)와 맞닿도록 제2내부건물(40)에 외삽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2외부건물(30)을 크레인, 지게차 등 유압과 전기적 동력을 이용한 리프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면, 제2외부건물(30)이 제2내부건물(40)의 롤러(41)를 따라 용이하게 들어 올려지면서 이동 주택이 복층으로 변형됨으로써 실내공간이 확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제2외부건물(30)은 도 6에서와 같이 제2받침기둥(31)을 통해 하부에서 지지되되, 제2받침기둥(31)의 지지과정에서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도 6의 하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제2받침기둥(31)의 일측과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43)의 상부로 연결부재(42)가 볼트를 통해 조립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부로 올려진 제2외부건물(30)이 제2받침기둥(31)을 통해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상부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제2외부건물(30)과 제2내부건물(40)의 사이에서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바, 상기 이격 공간을 메우고자 막음부재(32)가 사용된다. 상기 막음부재(32)는 도 6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제2내부건물(40)의 상면과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33)의 상부로 안치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복층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2내부건물(40)의 안쪽으로 사다리(44)를 설치하여 상부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2외부건물(30)의 외벽에 계단(34)을 설치하여, 이동 주택의 외부에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상부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이동 주택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동시에는 상부로 올려진 제2외부건물(30)을 내린 다음, 화물 트럭에 상차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로서,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이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 설치된 롤러(41)에 맞닿으면서 외삽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외부건물(30)과 제2내부건물(40)의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이격 공간을 메우기 위한 막음부재(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지지부재(33)가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형강을 비롯한 철재를 이용하여 골격을 만들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조립식 판넬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본 발명의 구성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제1외부건물
11 : 프레임
12 : 받침대
13 : 외부마감재
14 : 합판
15 : 장판
16 : 합각
20 : 제1내부건물
21 : 제1캐스터
22 : 제2캐스터
23 : 제1잔넬
24 : 레일
25 : 레일블럭
26 : 제1받침기둥
30 : 제2외부건물
31 : 제2받침기둥
32 : 막음부재
33 : 제1지지부재
34 : 계단
40 : 제2내부건물
41 : 롤러
42 : 연결부재
43 : 제2지지부재
44 : 사다리
50 : 캐노피
51 : 캐노피받침대
52 : 제3캐스터
53 : 제4캐스터
54 : 제2잔넬

Claims (5)

  1.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는 롤러(41)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제2외부건물(30)은 그 내벽이 상기 롤러(41)와 맞닿도록 제2내부건물(40)에 외삽되며, 상기 제2외부건물(30)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면 제2받침기둥(31)이 상기 제2외부건물(30)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어 단층에서 복층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2받침기둥(31)의 일측과 제2내부건물(40)의 외벽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43)의 상부로 연결부재(42)가 볼트를 통해 조립되며,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제2외부건물(30)과 제2내부건물(40)의 사이에는 막음부재(32)가 안치되되,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상면과 제2외부건물(30)의 내벽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33)의 상부로 안치되며, 상기 제2내부건물(40)의 안쪽으로 사다리(4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외부건물(30)의 외벽에 계단(3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식 이동 주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77277A 2011-08-03 2011-08-03 입출식 이동 주택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77A KR101140300B1 (ko) 2011-08-03 2011-08-03 입출식 이동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77A KR101140300B1 (ko) 2011-08-03 2011-08-03 입출식 이동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300B1 true KR101140300B1 (ko) 2012-05-02

Family

ID=4627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2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300B1 (ko) 2011-08-03 2011-08-03 입출식 이동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44A1 (ko) * 2015-10-20 2017-04-27 임춘만 움직이는 집
KR20190087840A (ko) 2018-01-17 2019-07-25 이승석 공간 가변형 가건물
KR102189646B1 (ko) * 2020-02-19 2020-12-11 주식회사 유원시아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92B1 (ko) * 2008-12-11 2009-07-01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공간 가변형 건물
KR20100016825A (ko) * 2008-08-05 2010-0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25A (ko) * 2008-08-05 2010-0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KR100905492B1 (ko) * 2008-12-11 2009-07-01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공간 가변형 건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44A1 (ko) * 2015-10-20 2017-04-27 임춘만 움직이는 집
US10400439B2 (en) 2015-10-20 2019-09-03 Chun Man LIM Transformable house
KR20190087840A (ko) 2018-01-17 2019-07-25 이승석 공간 가변형 가건물
KR102189646B1 (ko) * 2020-02-19 2020-12-11 주식회사 유원시아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1167333A1 (ko) * 2020-02-19 2021-08-26 주식회사 유원시아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2345B (zh) 一种折叠活动房
KR10090549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US20120255240A1 (en) Prefabricated container house
KR101297303B1 (ko)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JP3906328B1 (ja) 立体格納庫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140300B1 (ko) 입출식 이동 주택
US20090260302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with prefabricated structures joined between them, reusable and transportable
KR10218964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5206127A (ja) トラックの車体に据付け可能な二層式自転車専用積み込みユニットボックス
CN101509326B (zh) 各层独立升降的立体车库
CN102409872B (zh) 一种可整体运输的房屋及其运输车辆
JPS6316442Y2 (ko)
CN213653739U (zh) 多层移动房屋构造
JPH10317497A (ja) 組立建物
KR101076434B1 (ko)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JP4011025B2 (ja) 建物
CN205777676U (zh) 单层集装箱活动板房
CN207314916U (zh) 一种住人集装箱
JP3819810B2 (ja) 蔵階付き建物
CN205531262U (zh) 一种可自动升降钢结构施工平台
CN204983758U (zh) 集装箱房用整体框架
JP5744253B2 (ja) 段状集合住宅
JP7543091B2 (ja) 建物の内装工事の施工方法
JPH02274972A (ja) 屋内置き部材の搬入方法
JP2006016927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