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9966B1 -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 Google Patents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966B1
KR101139966B1 KR1020067022904A KR20067022904A KR101139966B1 KR 101139966 B1 KR101139966 B1 KR 101139966B1 KR 1020067022904 A KR1020067022904 A KR 1020067022904A KR 20067022904 A KR20067022904 A KR 20067022904A KR 101139966 B1 KR101139966 B1 KR 10113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pigment
mol
acid
pig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688A (ko
Inventor
칼헤인즈 호우베네스텔
알프레드 부바트
우도 크라페
바에르벨 게르트젠
요르그 가르린스키
볼프강 프릿친스
Original Assignee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1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9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료 농축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상기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합성 재료의 착색용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인,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안료, 열가소성 합성 재료 및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이외에, 폴리에스테르의 분산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착색용 안료 농축물, 폴리에스테르

Description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DISPERSING AGENT FOR PIGMENT CONCENTRATES, USE THEREOF AND MASTER BATCHES CONTAINING THE DISPERSING AGEN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의 착색용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산제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에 관한 것이다.
습윤제라고도 부르는 분산제를 첨가시킴으로써, 안료, 충전제 및 기타 미립자 고체가 보다 용이하게 피복 조성물 및 플라스틱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 분산에 필요한 에너지가 감소되고, 최종 제품의 균질화 및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다. 나아가, 미세 분산의 결과로서 안료의 착색 강도가 증가되고, 따라서 그 생산성이 증대된다.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 수지를 착색하는 때에는, 수많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착색제로 사용되는 안료의 배합에 있어서 문제점 때문이다. 예컨대, 투명한 안료 또는 광택 안료로 착색된 플라스틱은 외관이 종종 좋지 않다.
안료로 착색된 플라스틱은, 안료 분말의 크기가 보통 15 ㎚ 미만이고, 미세하게 분산되었을 때, 투명하다. 그러나, 이들 작은 1차 안료 분말은 뭉치는 경향이 크다. 도료를 생산하는 때에, 이러한 뭉침은 매우 높은 가격의 특별한 밀에서 분쇄된다. 투명한 산화철 안료, 카본 블랙 안료 및 퍼릴렌 안료와 같이 분산되기 어려운 안료는, 일반적으로 동방향 회전식 트윈 스크류 압출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플라스틱을 불균하게 분해시키는 일이 없이 플라스틱에 배합시 결점이 없는 투명한 착색 재료를 생성하지 않는다.
층상 안료 분말에 기초한 광택 안료의 경우, 안료 분말 크기 및 안료 분말 모양의 변성은 종종 플라스틱에 배합될 때 관찰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착색 재료의 색상은 이들 안료로 생산된 도료의 것보다 덜 매력적이고, 광택 및 전형적인 딥 새틴(deep satin) 광택이 떨어진다.
열가소성 수지의 착색에서 왁스가 분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왁스는 주로 안료를 적시지만 이들을 안정화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이동 문제는 종종 최종 생성물에서 일어난다.
DE 100 57 164 A1은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제로서, 말단 히드록시기가 있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C1-C25 알킬 에스테르의 (코)폴리머와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그 결과 얻어지는 생성물을 암모니아 또는 다관능성 아민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폴리머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의 착색시 더 좋은 성질을 부여하는 분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더 좋은 착색 강도를 얻고, 안료 뭉침(이것은 안료의 반점, 즉 플라스틱의 비균질 착색을 유도함)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 생성물에서의 안료의 이동을 억제하고, 마침내 실온에서 고체인 분산제를 제공하여 그들의 계량화 및 플라스틱으로의 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실온은 25 ℃의 온도이다.
놀랍게도 상기한 목적이 카르복시기 함유 특정 폴리에스테르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고, 분산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처음 언급되었던 형태로서,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내고, 몰 질량이 1000 내지 20000 g/몰 및 산가(酸價)가 3 내지 180 mg KOH/g이며, 실온에서 고체인 것이 특징인 분산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6079858490-pct00001
식 중,
R1은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알코올의 유기 라디칼이거나, 규소 원자에 결합되지 않은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폴리실록산 라디칼이고, R2는 2가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x는 2 내지 18이고, n은 10 내지 500이며, m은 1 내지 3이다.
미국 특허 US-A-3 748 308호는 카르복시기를 함유하고, 유기 액상에서 고체 분말의 분산용 분산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를 개시하고 있다. 공지된 화합물은 이들이 카르복시기의 운반체로서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라디칼을 필수적으로 함유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분산제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열가소성 조성물에서의 공지된 안료 분산용 분산제 및 이와 유사한 것의 용도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스티렌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술폰, 비닐 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특히 적절한 재료는 아크릴 수지, 스티렌 폴리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언급될 수 있는 적절한 아크릴 수지는 (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폴리알킬 및/또는 폴리아릴 에스테르가 있다. 아크릴 수지는 충격 조절형 수지들 중에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충격 조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HI(High-Impact)PMMA)가 특히 바람직하다. PMMA는, 일반적으로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코모노머를 최대 2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HIPMMA는 적절한 부가제에 의하여 내충격성이 부여된다. 사용될 수 있는 충격 조절제의 예는 EPDM 고무,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실록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코폴리머 및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이다. 적절한 충격 조절 PMMA는 문헌 [M. Stickler, T.Rhein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ol. A21, pagea 473-486, VCH Publishere Weinheim, 1992 및 H. Domininghaus, Die Kunststoffe und ihre Eigenschaften [Plastics and their properties], VDI-Verlag Dusseldorf, 1992]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적절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상품명 Lucryl® (BASF AG) 및 Plexiglas® (Rohm GmbH)에 의한 예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스티렌 폴리머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진 (코)폴리머 중 하나이다. 적절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예는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예컨대, 모노알킬 치환, 폴리알킬 치환 및/또는 할로겐 치환 스티렌) 및 대응 나프틸 화합물이다. 좋기로는 스티렌 코폴리머가 이용된다.
이들 중에는, 예에 의하여, ABS 폴리머로 알려진 것으로서(예컨대, BASF AG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 Terluran®) 부티디엔 고무에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의 그라프트 코폴리머, ASA 폴리머로 알려진 것으로서(예컨대, BASF AG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 Luran® S)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에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그라프트 코폴리머, 또는 SAN 코폴리머로 알려진 것으로서(예컨대, BASF AG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 Luran®)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머인 스티렌 폴리머는 ASA 폴리머이다.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용어 폴리카보네이트는 코폴리카보네이트도 포함한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좋기로는 10,000 내지 200,000 g/몰의 몰 질량(중량 평균 MW,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것임)을 가진다. MW는 15,000 내지 100,000 g/몰이 좋다. 이것은, 25 ℃에서 디클로로메탄 중의 0.5 중량%의 농도 (strength) 용액 중에서 측정된, 1.1 내지 1.5의, 좋기로는 1.15 내지 1.33의 상대적인 용액 점도에 대응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계면 폴리축합을 경유하는 DE-C-13 00 266의 방법에 의한 예에 따라 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와 비스페놀의 반응을 경유하는 DE-A-14 95 730의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보통 비스페놀 A라 불리는 2,2-디(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또한 비스페놀 A가 아닌 기타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특히 2,2-디(4-히드록시페닐)펜탄, 2,6-디히드록시나프탈린,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판, 4,4'-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피트, 4,4'-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1,1-디(4-히드록시페닐)에탄, 4,4-디히드록시비페닐 또는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을, 좋기로는 디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또는 디히드록시페닐시클로펜탄을, 특히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또는 상기 언급한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에 기초한 것 또는 비스페놀 A와 상기 언급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최대 80 몰%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US-A-37 37 409에 따른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비스페놀 A 및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및/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에 기초한 코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좋고, 높은 내열성을 보인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료의 예는 폴리카보네이트 Makrolon®(Bayer) 및 Lexan®(GE Plastics)이다.
적절한 폴리아미드(PA)는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의, 예컨대,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의 폴리 축합 생성물 또는 아미노산, 예컨대 아미노언데칸산의 폴리 축합 생성물일 수 있고, 락탐, 예컨대 카프로락탐 또는 라우로락탐의 개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로는 Ultramid®(BASF AG), Zytel® 및 Minlon®(DuPont), Sniamid®, Technyl® 및 Amodal®(Nyltech), Durethan®(Bayer), Akulon® 및 Stanyl®(DSM), Grilon®, Grilamid® 및 Grivory®(EMS), Orgamid® 및 Rilsan®(Atochem) 및 Nivionplast®(Enichem)이 언급될 수 있다.
기타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들로 구성된 혼합물 및 폴리에틸렌 이오노머, 예컨대, 소디움 짝이온, 아연 짝이온 및/또는 리튬 짝이온을 포함하는 에텐-메타크릴산 코폴리머 (특히, 상품명 Surlyn®(Dupont))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적절한 폴리에스테르는 이염기산의, 특히 테레프탈산과 디하이드릭 알코올(특히, 에틸렌 글리콜)의 상대적으로 높은 또는 높은 분자량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일 수 있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Arnite®(Akzo), Grilpet®(EMS-Chemie), Valox®(GEP)이 특히 적절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원칙적으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장쇄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최소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함) 및 폴리히드릭 알코올(최소 3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함)로부터, 특히 폴리에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부터 얻은 폴리우레탄 폼과는 달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가교가 거의 없거나 단지 아주 조금 있어 선형 구조를 가진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Kunststoff-Handbuch[Plastics handbook], Volumn 7, Polyurethane, ed.G. Oertel, 2nd edn., Carl Hanser Verlag, Munich, 1983, 특히 428, 473쪽에 예로 개시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기서 언급할 수 있는 것은 Elastolan®(Elastogran)이다.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술폰의 폴리머류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거 알려진 것과 같고, 상품명 Ultrason® E 및 Ultrason® S가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비닐 폴리머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이다. 공지된 방법(예컨대, 서스펜션, 벌크 또는 에멀젼 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비닐 클로라이드의 코폴리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에테르,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 말레익 모노에스테르, 말레익 디에스테르 또는 올레핀과 같은 코모노머 최대 30 중량%와 비닐 클로라이드의 코폴리머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그라프트 폴리머가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이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이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예컨대 HDPE, LDPE, LLDPE 및 VLDPE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인젝션 몰딩, 압출, 블로우 몰딩, 블로운 필름 압출, 섬유 방적, 회전 몰딩 또는 캘린더링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제를 사용하면 열가소성 수지에 있어서 다양한 범위의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들 안료는 유기 비중성(非中姓) 안료, 백색 안료와 흑색 안료(착색 안료) 및 액정 안료일 수 있다. 무기 안료 역시 착색 안료 또는 광택 안료일 수 있고 무기 안료는 보통 충전제로 사용된다.
적절한 유기 착색 안료의 일부 예를 이하에 개시한다.
- 모노아조 안료:
C.I. 안료 갈색 25;
C.I. 안료 오렌지 5, 36 및 67;
C.I. 안료 빨강 3, 48: 2, 48: 3, 48: 4, 52: 2, 63, 112 및 170;
C.I. 안료 노랑 3, 74, 151 및 183;
- 디아조 안료:
C.I. 안료 빨강 144, 166, 214 및 242;
C.I. 안료 노랑 83;
- 안트라퀴논 안료:
C.I. 안료 노랑 147 및 177;
C.I. 안료 보라 31;
- 벤즈이미다졸 안료;
C.I. 안료 오렌지 64;
- 퀸아크리돈 안료:
C.I. 안료 오렌지 48 및 49;
C.I. 안료 빨강 122, 202 및 206;
C.I. 안료 보라 19;
- 퀴노프탈론 안료:
C.I. 안료 노랑 138;
- 디케토피롤로피롤 안료:
C.I. 안료 오렌지 71 및 73;
C.I. 안료 빨강 254, 255, 264 및 270;
- 디옥사진 안료:
C.I. 안료 보라 23 및 37;
- 인단트론 안료:
C.I. 안료 파랑 60;
-이소인돌린 안료:
C.I. 안료 노랑 139 및 185;
- 이소인돌리논 안료:
C.I. 안료 오렌지 61;
C.I. 안료 노랑 109 및 110;
- 금속 착물 안료:
C.I. 안료 노랑 153:
퍼리논 안료:
C.I. 안료 오렌지 43;
- 퍼릴렌 안료:
C.I. 안료 흑색 32;
C.I. 안료 빨강 149, 178 및 179;
C.I. 안료 보라 29;
- 프탈로시아닌 안료:
C.I. 안료 파랑 15, 15: 1, 15: 2, 15: 3, 15: 4, 15: 6 및 16;
C.I. 안료 녹색 7 및 36;
- C.I. 안료 흑색 1(아닐린 흑색)
적절한 무기 착색 안료의 예는:
- 백색 안료:
이산화티타늄(C.I. 안료 백색 6), 아연백, 안료 등급 산화아연; 황화아연, 리토폰(lithopones);
- 흑색 안료:
산화철 블랙(C.I. 안료 흑색 11), 철 망간 블랙, 스피넬 블랙(C.I. 안료 흑색 27); 카본 블랙(C.I. 안료 흑색 7);
- 비중성 안료:
산화크롬, 산화크롬 수화물 그린; 크롬 그린(C.I. 안료 녹색 48); 코발트 그린(C.I. 안료 녹색 50); 울트라마린 그린;
코발트 블루(C.I. 안료 파랑 28 및 36); 울트라마린 블루, 망간 블루;
울트라마린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및 망간 바이올렛; 산화철 레드(C.I. 안료 빨강 101); 카드뮴 술포세렌니드(C.I. 안료 빨강 108); 몰리브데이트 레드(C.I. 안료 빨강 104); 울트라마린 레드;
산화철 브라운, 혼합 브라운, 스피넬 상 및 코런덤 상(C.I. 안료 갈색 24, 29 및 31), 크롬 오렌지;
산화철 옐로우(C.I. 안료 노랑 42); 니켈 티타늄 옐로우(C.I. 안료 노랑 53; (C.I. 안료 노랑 157 및 164); 크롬 티타늄 옐로우; 황화카드뮴 및 황화 카드뮴 아연(C.I. 안료 노랑 37 및 35); 크롬 옐로우 (C.I. 안료 노랑 34); 바나듐산비스무트(C.I. 안료 노랑 184)이다.
충전제로서 보통 사용되는 무기 안료로 언급될 수 있는 예는 투명한 이산화규소, 분말 석영,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천연 운모, 천연 및 침전 초크 및 황산바륨이다.
유기 액정 안료와 함께, 특히 적절한 안료류는 광택 안료 및 특별한 효과의 안료에 의하여 형성된다.
광택 안료의 광학 효과는 대부분 평평한 모양이고 서로에 대하여 수평방향성이며, 금속이거나 높은 굴절율을 가진 안료 분말에서의 빛의 방향성 굴절에 기초된다. 안료 층의 구성에 따라 간섭 현상, 회절 현상 및 흡수 현상이 각(angle) 의존성 인지되는 색 및 밝기를 생성한다.
광택 안료는 단일 상 구조 또는 다중 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중요한 단일 상 광택 안료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층상과 같은 층상 금속 안료이다.
다중 상 구조의 광택 안료는 한번 이상 피복된 층상 기판 분말 또는 유사한 층형 구조를 가진 분말에 기초하고, 기판 박편에 필름의 형태로 목적하는 층물질을 연속적으로 도포한 후 다중 층 필름으로부터 기판 박편을 제거하고 안료 분말 크기로 파쇄시켜 제조된다.
처음 언급된 변이에서, 상기 언급한 층상 금속 안료, 특히 알루미늄 층상 및 산화 층상(알루미늄 도핑된 산화제2철, 망간 도핑된 산화제2철 및 운모 층상과 같은 것)이 바람직한 기판 재료이다. 두 번째 언급한 변이에서, 중앙 층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재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산화규소와 같은 산화물을 포함한다. 양 변이에 사용되는 피복 물질은 보통 산화금속 및 금속이다.
단일 피막을 가진 안료 층상에 대하여 언급될 수 있는 예는, 이산화티타늄의, 산화제2철의 또는 낮은 산화티타늄 및/또는 산화질화티타늄 피막을 가지는 운모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층상이다. 특히 명백한 각 의존성 색상 변화를 보이는 고니크로마틱(gonichromatic) 광택 안료는 기판 층상(예컨대, 알루미늄 층상, 철 층상 또는 전의 이산화티탄늄 피막 운모 층상)을 이산화규소와 불화마그네슘과 같은 낮은 굴절률 재료 및 산화제2철, 산화티타늄과 기타 상기 언급한 티타늄 화합물과 같은 높은 굴절률 재료의 교호 층으로 피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다중 상 광택 안료는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Paliocrom®와 Variocrom®(BASF), Iriodin®, Xirallic®와 Colorstream®(Merck) 및 Chromaflair®(Flex Products)이다.
상기 라디칼 R1은 좋기로는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40개인, 더욱 좋기로는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18개인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라디칼이다. 좋기로는 2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한다.
규소 원자에 결합되지 않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히드록시-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유럽 특허 EP 0 217 364 B1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다. 기타 적절한 관능성 폴리실록산은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거나, DE-C-1 236 505, US-A-3 960 574, US-A-4 076 695, US-A-3 481 969, US-A-3 442 925, US-A-3 567 499 및 US-A-2 947 771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라디칼 R1을 포함하는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1,2-프로판디올 및 몰질량이 1800 g/몰인 α,ω-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이다.
라디칼 R2는 좋기로는 탄소 원자 수가 2 내지 40개, 특히 좋기로는 탄소 원자수가 2 내지 18개인 지방족 라디칼이다. 아디프산 라디칼은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유리한 실시 상태는 종속항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1개 이상의 고리형 락톤을 개환하면서, 일반식 R1(OH)m (식 중, R1은 유기 라디칼이고, m은 1 내지 3임)의 알코올 또는 규소 원자에 결합되지 않은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폴리실록산과 반응시키고, 전구체로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디카르복실산의 반(半)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고리형 락톤 중에는 β-프로피오락톤, δ-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 및 다음의 산에 대응하는 락톤이 있다: 2-메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3-히드록시노난산, 2-도데실-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시클로펜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3-페닐-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1-나프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부틸-3-시클로헥실-3-히드록시프로피온산, 3-히드록시펜타데칸산, 2-(2-메틸시클로펜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o-톨릴-3-히드록시프로피온산, 3-벤질-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2-디메틸-3-히드록시프로피온산, 2-메틸-5-히드록시발레르산, 3-시클로헥실-5-히드록시발레르산, 4-페닐-5-히드록시발레르산, 2-헵틸-4-시클로펜테닐-5-히드록시발레르산, 2-메틸-3-페닐-5-히드록시발레르산, 3-(2-시클로헥실에틸)-5-히드록시발레르산, 2-(2-페닐에틸)-4-프로필-5-히드록시발레르산, 4-벤질-5-히드록시발레르산, 3-에틸-5-이소프로필-6-히드로카프로산, 2-시클로펜틸-4-헥실-6-히드록시카프로산, 3-페닐-6-히드록시카프로산, 3-(3,5-디에틸시클로헥실)-5-에틸-6-히드록시카프로산, 4-(3-페닐프로필)-6-히드록시카프로산, 2-벤질-5-이소부틸-6-히드록시카프로산, 2,2,4-트리메틸-3-히드록시-3-펜텐산, 2-페닐-6-히드록시-6-옥텐산 및 2,2-디프로페닐-5-히드록시-5-헵텐산. 락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락톤은 ε-카프로락톤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안료, 충전제 및/또는 기타 미립자 고체, 열가소성 수지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내고, 몰 질량이 1000 내지 20000 g/몰이며, 산가가 3 내지 180 mg KOH/g이고, 실온에서 고체이며, 마스터 배치의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배합용 농축물 마스터 배치를 제공한다.
Figure 112006079858490-pct00002
식 중,
R1은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알코올의 유기 라디칼이거나, 규소 원자에 결합되지 않은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폴리실록산의 라디칼이고, R2는 2가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x는 2 내지 18이고, n은 10 내지 500이며, m은 1 내지 3이다.
마스터 배치에 존재하는 분산제의 바람직한 비율은 마스터 배치의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분산제와 함께 이 기술 분야에서 종래에 사용된 기타 부가제가 또한 착색 마스터 배치에 존재할 수 있는데, 예로는 기타 분산제, 열가소성 수지, 가소제, 왁스, 안정화제(광안정화제 포함), 정전기 방지제, 화염 지연제,강화 재료,프로세싱 보조제, 윤활제 및 이형제, 충격 조절제, 항산화제, 블로잉제 또는 형광증백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수한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착색되도록 열가소성 수지에 종래의 기타 성분과 배합하거나 및/또는 상기 언급된 부가제와 함께 배합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된다. 분자적으로 불균일한 물질의 경우, 사용되는 분자량은 수 평균 값이다. 분자량 또는 수 평균 질량 Mn은 종래의 방법, 예컨대, 응고점(凝固點) 강하법(絳下法)적으로 OH가, 산가의 결정에 의하여 또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부는 중량부를,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제조 실시예
전구체 A1
n-데카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5)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n-데카놀 200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3593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L) 0.3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고체 함량)가 98 %에 도달할 때까지 약 6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실온)에서 왁시(waxy) 구조를 가지고, OH가는 23이다.
전구체 A2
글리세롤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6)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글리세롤 27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872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9 %에 도달할 때까지 약 5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에서 왁시이고, OH가는 57이다.
전구체 A3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3)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30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776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7 %에 도달할 때까지 약 7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에서 왁시이고, OH가는 37이다.
전구체 A4
평균 분자량이 2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5)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60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84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7 %에 도달할 때까지 약 8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에서 고체이고, OH가는 44이다.
전구체 A5
1,4-부탄디올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6)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1,4-부탄디올 27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872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7 %에 도달할 때까지 약 6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에서 고체이고, OH가는 45이다.
전구체 A6
평균 분자량이 500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3)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58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42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p-톨루엔술폰산 0.3 부로 처리한 후, 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9 %에 도달할 때까지 약 2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900인 생성물은 RT에서 액체이고, OH가는 63이다.
전구체 A7
스테아릴 알코올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4)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스테아릴 알코올 90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908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8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9 %에 도달할 때까지 약 5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000인 생성물은 RT에서 왁시이고, OH가는 19이다.
전구체 A8
1,2-프로판디올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29)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1,2-프로판디올 7.6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332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8 %에 도달할 때까지 약 6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3,400인 생성물은 RT에서 고체이고, OH가는 34이다.
전구체 A9
1,2-프로판디올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몰 비율 1:43)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1,2-프로판디올 7.6 부 및 입실론 카프로락톤 492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DBTL 0.08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SC가 98 %에 도달할 때까지 약 7 시간 정도 교반시킨다. 분자량이 약 5,000인 생성물은 RT에서 고체이고, OH가는 22이다.
실시예 1
이염기성 C36 이합체산(Unichema의 Pripol 1022) 및 전구체 A6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프리폴 1022 180 부 및 전구체 A6 273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알킬벤젠술폰산 4.5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약 4 시간 후, 물 6 부를 제거시키고, AN(산가)이 41.1에 도달된다.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2
프리폴 1022 및 전구체 A7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프리폴 1022 38 부 및 전구체 A7 197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p-톨루엔술폰산 2.4 부로 처리한 후, 160 ℃로 가열시킨다. 약 2.5 시간 후, 물 1.2 부를 제거시키고, AN이 18.3에 도달된다.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3
프리폴 1022 및 전구체 A1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프리폴 1022 600 부 및 전구체 A1 3103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알킬벤젠술폰산 37 부로 처리한 후, 170 ℃로 가열시킨다. 물 18.6 부를 제거시킨 후 얻은 고체는 AN이 20이고, RT에서 왁시이며; 기타 자료: 밀도 1.021 g/㎖; SC 99 %; 80 ℃에서의 점도: 700 mPas이다.
실시예 4
아디프산 및 전구체 A1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9.3 부 및 전구체 A1 19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4 시간 후, AN은 18에 도달된다.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5
아디프산 및 전구체 A2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27.9 부 및 전구체 A2 19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2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5 시간 후, AN은 52에 도달된다. 밝은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6
아디프산 및 전구체 A3으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18.6 부 및 전구체 A3 19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1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16 시간 후, AN은 23에 도달된다.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7
아디프산 및 전구체 A4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18.6 부 및 전구체 A4 19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1 부로 처리한 후, 18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4 시간 후, AN은 32에 도달된다. 밝은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8
아디프산 및 전구체 A5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18.6 부 및 전구체 A5 191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1 부로 처리한 후, 17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4 시간 후, AN은 33에 도달된다. 밝은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9
아디프산 및 전구체 A8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14.6 부 및 전구체 A8 170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3 부로 처리한 후, 170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4 시간 후, AN은 30에 도달된다. 밝은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실시예 10
아디프산 및 전구체 A9로 이루어진 반에스테르
아디프산 14.6 부 및 전구체 A9 250 부를 불활성 기체하에서 균질화시키고, 도데실벤젠술폰산 2.5 부로 처리한 후, 175 ℃로 가열시킨다. 물을 제거하고 약 6 시간 후, AN은 20에 도달된다. 밝은 갈색의 생성물은 RT에서 왁시 고체이다.
전구체 S1: 실리콘을 함유하는 입실론-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총 몰 질량이 약 1800 g/몰인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35 g을 입실론-카프로락톤 150.4 g과 반응시킨다. 그런 후 혼합물에 DBTL 0.035 g을 첨가하고, 160 ℃, 질소 분위기에서 약 8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때 비휘발성 분율의 결정에 따라 반응이 진행된다. 비휘발성 함량 분율이 98 % 보다 클 때 반응을 종결시킨다. 최종 생성물은 노랑, 왁시 고체이다. 출발 알코올로 사용된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적절한 불포화 알코올(예컨대 이번 실시예에서 사용된 알릴 알코올)을 말단 실란단위를 가진 디메틸폴리실록산에 첨가시키는 반응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전구체 S2 - S7:
다음 기타의 실리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전구체 S1에 비슷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전구체 번호

사용된 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사용된 고리형 에스테르의 양

S2

Mn 1800 g/몰의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300.8 g

S3

Mn 1800 g/몰의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75.2 g

S4

Mn 900 g/몰의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
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75.2 g

S5

Mn 900 g/몰의 알파, 오메가-히드록시알킬-
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120.4 g +
델타-발레로락톤 30 g

S6

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A*1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300.8 g

S7

실라플레인 FM-0425*2 35 g

입실론-카프로락톤 150.4 g
*1 히드록시알킬-관능성 디메틸폴리실록산 A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사슬에 걸쳐 분포된 평균 3개의 히드록시 관능기가 있고, 약 2000 g/몰의 몰 질량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히드록시 관능기는 알릴 알코올을 대응하는 실란 함유 전구체에 첨가 반응시켜 발생된다.
*2 실라플레인 FM-0425는 Chisso Corporation, Japa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성물이다. 이것은 몰질량이 약 10,000 g/몰인 모노히드록시알킬-말단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이다.
제조된 전구체 S2 내지 S7는 왁스형의 백색 내지 노랑색의 고체이다.
실시예 11: 실리콘을 함유하는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가진 입실론-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전구체 S1의 히드록시기의 아디프산과의 반응
전구체 S1 130 g을 아디프산 7.1 g과 반응시킨다. 그리고 2개의 성분에 파라-톨루엔술폰산 0.25 g을 첨가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시키면서 약 4 내지 5 시간 동안 160 ℃까지 가열시킨다. 이때 산가의 감소에 따라 반응이 진행된다. 산가가 출발 혼합물의 이론적인 산가의 반에 도달될 때 반응을 종결시킨다. 여기에서 개시된 경우에는 반응은 산가가 19.9일 때 종결된다.(이론적인 초기값 39.8)
다음의 기타 실시예는 실시예 11과 비슷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실시예 번호

사용된 전구체

사용된 이관능성 카르복실산

12

전구체 S1 100 g

이량체화된 톨유 지방산(AN: 198) 11.9 g

13

전구체 S1 100 g

숙신산 2.5 g

14

전구체 S1 100 g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3.6 g

15

전구체 S2 100 g

아디프산 1.7 g

16

전구체 S3 100 g

아디프산 5.2 g

17

전구체 S4 100 g

아디프산 10.3 g

18

전구체 S5 100 g

아디프산 6.1 g

19

전구체 S6 100 g

아디프산 2.3 g

20

전구체 S8 100 g

아디프산 1.4 g
이들 생성물은 노랑색 내지 갈색의 왁스형 고체이다.
용도 실시예
안료, 열가소성 수지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착색 마스터 배치를 Berstorff ZE 25/40 D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제조하였다. 착색 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백색의 배합 재료를, HDPE(예컨대, Polimeri Europa의 Eraclene MP90; 밀도: 0.96 g/㎖, MFI: 7 g/분, ASTM D1238에 따름) 94.5 부 중에 백색 안료(실란-처리된 TiO2/예컨대, Kronos 2220) 5.5 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Polymix 110L 2개 롤 밀에서 시험된 각각의 착색 마스터 배치 2.5 %를 혼합하여 착색시킨다. 이렇게 착색된 혼합물 22 g은 Polystat 200T 프레스에서 30 초간 가압시킴으로써 착색 강도 측정용 시험 플라크(plaque)을 생산하는 각 경우에 사용된다.
분산제 없는 각각의 0 시편으로부터의 착색 강도 차이는 Byk Gardner Color-Guide Spere d/8 스핀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착색용 안료 마스터 배치는 안료, 종류와 양이 아래의 표에 개시된 분산제 및 나머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생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시험 플라크의 개선된 착색 강도 뿐 아니라 0 시편 및 비교예보다 눈에 띌 정도로 적은 안료 덩어리를 보인다.

HDPE (Eraclene MP90) 중의
Irgalith Yellow WSR,CIBA - (CI P.Y. 62) 2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1

6

110

1

10

111

3

6

111

3

10

114

4

6

109

4

10

110

5

6

115

5

10

140

6

6

113

6

10

124

7

6

124

7

10

128

8

6

115

8

10

130

9

6

121

9

10

140

11

6

127

11

10

145

전구체 A2*

6

101

전구체 A3*

6

102

전구체 A4*

6

102

전구체 A5*

6

101
*: 비발명 비교예
(전구체 A2 내지 A5는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 없이 분산제로서 사용된다)

HDPE (Eraclene MP90) 중의
Hostaperm Pink E, Clariant - (CI P.V. 19) 2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3

6

135

3

10

145

4

6

114

4

10

135

5

6

118

5

10

167

6

6

127

6

10

162

7

6

139

7

10

160

8

6

132

8

10

168

9

6

123

9

10

146

11

6

128

11

10

148

LDPE, MFI 20 g/10분 중의
Heliogen Blue, BASF - (CI P.B. 15:3) 4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A*

6

103

B*

6

105

8

6

120

9

6

121

11

6

123
*: 비발명 비교예
비교예 A (비발명):
이것은 다음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DE 195 16 387의 실시예 2에 따른 용융 혼합물이다: 본질적으로 무정형의 폴리-알파-올레핀(DE 195 16 387의 비교예 B에서와 같음) 47.5 중량%, 폴리올레핀 왁스(DE 195 16 387의 비교예 C에서와 같음) 47.5 중량% 및 DE 195 16 387의 비교예 D에 따른 폴리아크릴레이트 5 중량%.
비교예 B (비발명):
Licowax PE 520, Clariant로부터 비관능화된 저압 폴리에틸렌 왁스가 사용되었다.
비교예 C (비발명):
Licowax PP 230, Clariant로부터 비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왁스가 사용되었다.

LDPE, MFI 20 g/10분 중의
Heliogen Blue, BASF - (CI P.B. 15:3) 4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DIN EN 13900-5[bar/g]에서의 압력 필터 값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2.5

8

20

122

1.0

9

20

126

0.8

10

20

125

1.2

다음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9 및
Melt 1000
(메탈로센-촉매화된 LLDPE, DOW Chemicals)


10
10

129

0.9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MFI 25 g/10분 중의
Heliogen Blue, BASF - (CI P.B. 15:3) 2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A*

10

109

B*

10

114

C*

10

117

8

10

149

9

10

165

11

10

150
*: 비발명 비교예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MFI 25 g/10분 중의
Heliogen Blue, BASF - (CI P.B. 15:3) 4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C*

20

115

8

20

153

9

20

166

11

20

155

다음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9
및 C


10
10

130
*: 비발명 비교예

LDPE, MFI 29 g/10분 중의
Irgalith Red LCB, CIBA - (CI P.R. 53:1) 40 %로 이루어진
마스터 배치

실시예에 따른 분산제

분산제의 사용된 부

% 착색 강도

분산제* 없는 0 시편

0

100

A*

10

98

B*

10

108

8

10

125

9

10

124

11

10

126
*: 비발명 비교예

Claims (6)

  1.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내고,
    몰 질량이 1000 내지 20000 g/몰이고, 산가(酸價)가 3 내지 180 mgKOH/g이며,
    실온에서 고체인
    열가소성 수지를 착색하기 위한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Figure 112011083186260-pct00003
    식 중,
    R1은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의 유기 라디칼 또는 모노히드록시 관능성 내지 트리히드록시 관능성 디알킬 폴리실록산의 라디칼이고,
    상기 R1의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은 라디칼 R1 내에 에테르기 및/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는, 몰 질량이 30 내지 5000 g/몰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알코올이며,
    R2는 탄소수 2 내지 40이며, 2가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x는 2 내지 18이고,
    n은 10 내지 500이며,
    m은 1 내지 3이다.
  2. 삭제
  3. 삭제
  4. 1개 이상의 고리형 락톤을 개환하면서 일반식 R1(OH)m (식 중, R1은 에테르기 및/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는, 몰 질량이 30 내지 5000 g/몰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알코올의 유기 라디칼이고, m은 1 내지 3임)의 알코올, 또는 모노히드록시 관능성 내지 트리히드록시 관능성 디알킬 폴리실록산과 반응시키고, 전구체로서 얻은 폴리에스테르를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서 디카르복실산의 반(半)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분산제의 제조 방법.
  5.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되는 안료, 충전제 및/또는 기타 미립자 고체용 분산제로서,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현되고,
    몰 질량이 1000 내지 20000 g/몰이며, 산가가 3 내지 180 mgKOH/g이고,
    실온에서 고체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분산제.
    Figure 112011083186260-pct00004
    식 중,
    R1은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의 유기 라디칼 또는 모노히드록시 관능성 내지 트리히드록시 관능성 디알킬 폴리실록산의 라디칼이고,
    상기 R1의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은 라디칼 R1 내에 에테르기 및/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는, 몰 질량이 30 내지 5000 g/몰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알코올이며,
    R2는 탄소수 2 내지 40이며 2가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x는 2 내지 18이고,
    n은 10 내지 500이며,
    m은 1 내지 3이다.
  6.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기 위한 마스터 배치로서,
    안료, 충전제 및/또는 기타 미립자 고체, 열가소성 수지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내고, 몰 질량이 1000 내지 20000 g/몰이며, 산가가 3 내지 180 mgKOH/g이고, 실온에서 고체이며, 마스터 배치의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마스터 배치.
    Figure 112011083186260-pct00005
    식 중,
    R1은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의 유기 라디칼 또는 모노히드록시 관능성 내지 트리히드록시 관능성 디알킬 폴리실록산의 라디칼이고,
    상기 R1의 분자당 히드록시기가 1 내지 3개인 화합물은 라디칼 R1 내에 에테르기 및/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 있는, 몰 질량이 30 내지 5000 g/몰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알코올이며,
    R2는 탄소수 2 내지 40이며 2가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x는 2 내지 18이고,
    n은 10 내지 500이며,
    m은 1 내지 3이다.
KR1020067022904A 2004-03-31 2005-03-10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6479.7 2004-03-31
DE102004016479A DE102004016479B4 (de) 2004-03-31 2004-03-31 Verwendung von Polyestern als Dispergiermittel und Polyester enthaltende Masterbatches
PCT/EP2005/002515 WO2005097872A1 (de) 2004-03-31 2005-03-10 Dispergiermittel für pigmentkonzentrate, seine verwendung und das dispergiermittel enthaltende masterbat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688A KR20070012688A (ko) 2007-01-26
KR101139966B1 true KR101139966B1 (ko) 2012-07-06

Family

ID=3496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9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966B1 (ko) 2004-03-31 2005-03-10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47777B2 (ko)
EP (1) EP1742990B1 (ko)
JP (1) JP2007530269A (ko)
KR (1) KR101139966B1 (ko)
CN (1) CN100540593C (ko)
AT (1) ATE376025T1 (ko)
CA (1) CA2561215A1 (ko)
DE (2) DE102004016479B4 (ko)
TW (1) TW200602390A (ko)
WO (1) WO20050978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8391B2 (en) 2013-12-24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s, capacitive deionization apparatuses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5106C5 (de) * 2006-11-14 2018-08-23 Byk-Chemie Gmbh Dispergierverfahren
US9018288B2 (en) 2007-08-02 2015-04-28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Thermoplastic composition
DE102007044302A1 (de) 2007-09-17 2009-03-19 Bühler PARTEC GmbH Verfahren zur Dispergierung von feinteiligen anorganischen Pulvern in flüssigen Medien unter Verwendung von reaktiven Siloxanen
CN101802051B (zh) * 2007-09-24 2012-10-03 普立万公司 用于聚酯制品的液体着色母料
WO2009091774A1 (en) * 2008-01-18 2009-07-23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Thermoplastic composition
EP2113522B1 (de) * 2008-04-30 2013-01-16 Deutsche Amphibolin-Werke von Robert Murjahn Stiftun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rb- Masterbatches, Farb-Masterbatch sowie damit eingefärbter Polymerwerkstoff
DE102008045296A1 (de) 2008-09-02 2010-03-04 Byk-Chemie Gmbh Monocarbonsäureester enthaltendes Dispergiermedium für Feststoffpräparationen
US8604112B2 (en) * 2008-09-18 2013-12-10 The Lubrizol Corporation Acid endcapped caprolactone or valerolactone dispersing agents
DE102009015470A1 (de) 2008-12-12 2010-06-17 Byk-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nanopartikeln und auf diese Weise erhaltene Metallnanopartikel und ihre Verwendung
ES2565057T3 (es) 2009-07-07 2016-03-3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Composición termoplástica
WO2011060050A1 (en) 2009-11-11 2011-05-19 Byk-Chemie Gmbh Coating composition
WO2013180148A1 (ja) * 2012-05-31 2013-12-05 日本化薬株式会社 多価カルボン酸組成物、多価カルボン酸組成物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組成物、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物
JP5968532B2 (ja) 2012-07-06 2016-08-10 アクゾ ノーベル コーティング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ビー ヴィ 無機粒子からなる高分子接着剤組成物を製造する方法
EP2719270A1 (de) 2012-10-11 2014-04-16 BYK-Chemie GmbH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EP3019557B1 (en) 2013-07-12 2018-09-05 PolyOne Corporation Polyester compounds having enhanced hydrophobic surface properties
CN103911019B (zh) * 2014-03-13 2015-10-07 广东波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处理颜料及其制备方法
GB201415528D0 (en) 2014-09-02 2014-10-15 Colormatrix Holdings Inc Polymeric Materials
DK3268413T3 (da) 2015-03-10 2020-04-06 Einar As Masterbatch, der omfatter farvestofpartikler og en polyolpoly(hydroxyfedtsyre)-ester som dispergeringsmiddel
CA3024207A1 (en) 2016-05-19 2017-11-23 Valspar B.V. Candy color paint and refinishing method
TWI662060B (zh) * 2016-12-02 2019-06-11 美商片片堅俄亥俄州工業公司 含聚矽氧之聚酯、含其之塗料組合物及由其形成的塗層
EP3631418B1 (en) 2017-05-24 2024-12-25 Swimc Llc Multi-angle coating composition color strength measurement
US20200407576A1 (en) 2018-03-15 2020-12-31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Storage-stable pigmented formulations containing isocyanate groups and use thereof
US12110389B2 (en) * 2018-09-27 2024-10-08 Dic Corporation Fluidity modifier,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cured product of said composition
EP3931234A1 (de) 2019-02-28 2022-01-05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Lagerstabile pigmentierte isocyanatgruppen-haltige formulierungen mit isocyanatgruppen-haltigem anreibeharz und deren verwendung
EP4067399A4 (en) * 2019-11-25 2023-01-18 LG Chem, Ltd. GRAFT CO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230130740A (ko) * 2021-02-23 2023-09-12 비와이케이-케미 게엠베하 폴리실록산 분산제
CN116897177A (zh) * 2021-03-04 2023-10-17 Dic株式会社 无机填料流动性改性剂、含有无机填料的树脂组合物及该树脂组合物的成形品
TWI873335B (zh) * 2021-04-23 2025-02-2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液態色母組合物及彩色纖維的製備方法
EP4183842A1 (de) 2021-11-23 2023-05-24 Ewald Dörken Ag Pigmentpaste und ihre verwendung
CN114230951B (zh) * 2021-12-31 2022-12-27 广东宏开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丙烯酸色母片及其制备方法
EP4484503A1 (de) 2023-06-27 2025-01-01 Ewald Dörken Ag Wässrig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EP4545612A1 (de) 2023-10-26 2025-04-30 Ewald Dörken Ag Pigmentpaste und ihre verwend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308A (en) * 1971-03-03 1973-07-24 Du Pont Polyesters with polycarboxy terminal groups
JPS60137967A (ja) * 1983-12-26 1985-07-22 Nippon Paint Co Ltd 顔料分散用樹脂
EP0328206A2 (en) * 1988-02-12 1989-08-16 Giuseppe Canestri Method and materials to disperse solid particles in organic compounds
WO2002085507A2 (en) * 2001-04-20 2002-10-31 Avecia Limited Dispersa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5731A (en) * 1947-09-10 1948-12-07 Eastman Kodak Co Resinous condensates of beta-propionolactone and polyhydroxy compounds
US3806473A (en) * 1968-08-14 1974-04-23 Inter Polymer Res Corp Polyurethane foams based on liquid poly(e-caprolactone)polyester polyols
JPS58174455A (ja) * 1982-04-06 1983-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着用エポキシエステル樹脂分散液の製造方法
JPS61123657A (ja) * 1984-11-20 1986-06-11 Daicel Chem Ind Ltd 低収縮化剤および低収縮性熱硬化樹脂組成物
CA2082565A1 (en) * 1991-11-12 1993-05-13 John N. Argyropoulos Polyester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coating compositions which are sprayed with compressed fluids as viscosity reducing diluents
US5306590A (en) * 1991-12-23 1994-04-26 Xerox Corporation High solids liquid developer containing carboxyl terminated polyester toner resin
DE4420307A1 (de) * 1994-06-10 1995-12-14 Bayer Ag Pfropfpolymerisate mit verbessertem Oberflächenglanz
DE69601214D1 (de) * 1995-01-24 1999-02-04 Nippon Paint Co Ltd Härtbare harzzusammensetzung, überzugs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überzugsfilms
US5668288A (en) * 1996-04-16 1997-09-16 Depuy Orthopaedics, Inc. Polyester ionomers for implant fabrication
DE102004033060A1 (de) * 2004-07-08 2006-01-26 Byk-Chemie Gmbh Polyestermodifizierte Polysiloxane und deren Verwendung als Additive für Thermoplaste, Formmassen und Lack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308A (en) * 1971-03-03 1973-07-24 Du Pont Polyesters with polycarboxy terminal groups
JPS60137967A (ja) * 1983-12-26 1985-07-22 Nippon Paint Co Ltd 顔料分散用樹脂
EP0328206A2 (en) * 1988-02-12 1989-08-16 Giuseppe Canestri Method and materials to disperse solid particles in organic compounds
WO2002085507A2 (en) * 2001-04-20 2002-10-31 Avecia Limited Dispersa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8391B2 (en) 2013-12-24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s, capacitive deionization apparatuses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0593C (zh) 2009-09-16
DE102004016479B4 (de) 2007-03-15
ATE376025T1 (de) 2007-11-15
WO2005097872A1 (de) 2005-10-20
TW200602390A (en) 2006-01-16
EP1742990B1 (de) 2007-10-17
KR20070012688A (ko) 2007-01-26
DE102004016479A1 (de) 2005-10-20
US20080319123A1 (en) 2008-12-25
CN1938368A (zh) 2007-03-28
EP1742990A1 (de) 2007-01-17
US7947777B2 (en) 2011-05-24
JP2007530269A (ja) 2007-11-01
DE502005001741D1 (de) 2007-11-29
CA2561215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966B1 (ko) 안료 농축물용 분산제, 그의 용도 및 분산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CN1175045C (zh) 基于磺基聚酯的水分散性薄膜和纤维
CN1109056C (zh) 改性聚酯
HUE031584T2 (en) Polyamides and polyesters blended with a lithium salt interfacial tension reducing agent
AU2011200682B2 (en) Chain extender composition
DE10057164A1 (de) Pigmentzubereitungen
CN106751568A (zh) 一种抗菌pbat/pla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06750253B (zh) 一种pbat/pla共混增容剂及其制备方法
EP1489121B1 (en) Modifier for polylactic acid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ntaining the modifier
JP4207621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印刷インキ組成物、さらにそれを用いてな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被覆物とそのラミネート積層物
JPH0913699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0570511A1 (en) Thermoplastic polymers colored with polyester color concentrates
EP4090714B1 (en) Non-porous microparticles
JP3590554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溶融粘度の改良方法
TW202340391A (zh) 具有混合金屬氧化物粒子之成型人造聚合物製品
KR101334346B1 (ko) 고용융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다층벽 시트용 조성물, 시트및 시트의 제조방법
JPH1087972A (ja) プラスチック製表面化粧材
JPS59232142A (ja) 着色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9124910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用着色剤組成物
JPH09221583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フイルム
JPH08142178A (ja) 鞄用ポリエステル成形品
JPH05331362A (ja) 水系樹脂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92144A (ja) 耐熱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