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9372B1 -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372B1
KR101139372B1 KR1020110130643A KR20110130643A KR101139372B1 KR 101139372 B1 KR101139372 B1 KR 101139372B1 KR 1020110130643 A KR1020110130643 A KR 1020110130643A KR 20110130643 A KR20110130643 A KR 20110130643A KR 101139372 B1 KR101139372 B1 KR 10113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medicine
microcapsules
licorice
augme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석
임휘용
Original Assignee
(주)케이비친환경
임휘용
김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비친환경, 임휘용, 김금석 filed Critical (주)케이비친환경
Priority to KR102011013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의 약리 성분이 안정적으로 보존되면서 효과적인 체내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료에서 분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돼지의 체중 증가율을 개선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FEED ADDITIVE AND FEED ADDITIVETHERE FROM}
본 발명은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의 약리 성분이 안정적으로 보존되면서 효과적인 체내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료에서 분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돼지의 체중 증가율을 개선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효율을 개선하며, 생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염류의 5대 영양소 외에 축산동물에게 급여하는 물질을 성장촉진제(growth-stimulating substances)라고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성장촉진제로는 항생물질, 호르몬, 생균(生菌), 반추위 동물 발효 촉진제 등이 있다.
그러나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병원균을 억제시켜 축산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고기, 우유, 계란 등 축산물의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나, 가축에게 사용한 항생물질이 우유, 고기, 계란 등의 축산물에 잔류되어 사람에게 항생제 내성을 일으킬 수 있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성장호르몬이나, 이스트(Yeast),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 등의 생균을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는 방법이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옛날부터 한방약은 민간의약으로 여러 가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한약재를 가축의 사육에 도입시켜 보고자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예로는 한약재 찌꺼기를 이용한 돈육의 이화학적 연구,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약재 부산물 첨가 급여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 등 한약재 첨가 급여에 따른 비육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한약재 찌꺼기 및 부산물과 같이 한약재 자체를 이용한 연구가 없었고, 이러한 부산물 혹은 찌꺼기는 항상 똑같은 내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돼지 또는 돈육에 미치는 영향이 내용물에 따라 달라져 그 효과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같은 처방의 한약재 찌꺼기를 얻는다 하여도 사육규모에 적용할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약효 또한 보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원의 출원인이 전용실시권 계약을 맺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6639호에는 감초를 미세캡슐화하여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미세캡슐 제조방법이 공고되어 있으며, 상기 선등록특허에서 감초가 미세캡슐의 벽물질로 활용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른 생리활성물질을 미세캡슐화하고, 이러한 미세캡슐을 사료 총중량 기준으로 1-10% 사용하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등록특허는 단지 감초와 생리활성물질을 미세캡슐로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만 제시하고 있을 뿐 이러한 미세캡슐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종류의 가축에 최적의 증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상기한 선등록특허에 의하면 사료첨가제가 사료 총중량 기준으로 1-10% 사용되지만 이러한 사용 예에 의하면 실제 축산농가에서 사료첨가제의 사용량이 많아서 실제 축산을 위한 비용이 크게 증가되어 사용에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감초를 이용한 미세캡슐화 방법을 이용하여 돼지의 증체목적에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첨가되는 성분을 명확히 제시하면서, 이를 실험실 수준이 아닌 실제 농가에서 활용가능하도록 소량으로도 우수한 증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서 그 부피를 크게 하여 사료에 첨가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 실제 돼지의 증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감초를 포함한 한약재 분말과 영양물질을 중량비로 한약재 : 영양물질은 중량비로 20-30 : 70-80 비율로 투입하고, 여기에 물을 한약재와 영양물질 혼합물 1kg에 대하여 10-30ℓ 첨가하여 균질기로 5~20,000rpm에서 35-60초간 교반하여 나노캡슐화하는 과정, 상기 나노캡슐화 과정을 거친 나노캡슐에 단백피를 나노캡슐 : 단백피를 중량비로 40-60:60-40비율로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20-30rpm으로 10~15분간 혼합하여 50~75℃ 건조기에서 8-12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생산된 사료첨가제에 있다.
상기에서 한약재분말은 음양곽, 감초, 포공영을 포함하며, 이들 음양곽 : 감초 : 포공영은 중량비로 70-80 중량%: 15-25 중량%: 1-10중량% 비율로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분말에는 당귀와 황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양곽 : 감초 : 당귀 : 황기 : 포공영은 한약재분말 총중량기준 46~65중량% : 10~15중량% : 5~10중량% : 4~15중량% : 1~15중량%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영양물질은 말토텍스트린 30-50중량%, 카제인나트륨 10-20중량%, 비타민 1~15중량%, 유기산 1~15중량%, 오일 30-50중량%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음양곽은 동의보감에서 냉증/중풍/심신허약/허리와 무릎이 약한 것/남성의 양기부족으로 인한 발기불능증(남성불임)/치매/신경쇠약/건망증/음경위축 및 통증/강정, 강장/소종, 소염에 유효하다고 나타난다.
감초는 혈맥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항염 및 이뇨작용이 있다.
그리고 포공영은 민들레를 말하는 것으로, 성질이 차고, 맛이 쓰면서 달고 독이 없다.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없애주며 해독작용과 항암효과가 있으며 종기와 종양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임파선염, 인후염, 유선염, 젖몸살, 젖멍울, 종양, 간염 등의 질환에 좋다. 또 비염과 축농증, 중이염, 아토피에도 효과가 있다. 변비와 만성장염에도 효과가 있다. 혈액순환을 개선한다. 흰 민들레 잎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 성분은 유해산소를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고, 비타민A 성분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면역력의 강화에 효과적이다.
당귀는 심장, 소화기를 튼튼히 하고 혈을 생성하고 잘 돌게 하며, 진정작용,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 혈허증, 생리불순, 무월경, 산후 배 아픔, 변비, 자궁발육부진, 신경쇠약, 자궁출혈 등의 증상에 당귀가 도움이 된다. 이러한 당귀의 물추출액은 실험동물의 혈압내림작용이 있고, 이뇨작용, 대뇌의 진정작용, 연수의 흥분과 마비작용이 있다. 당귀는 단백질 합성과 자궁조직의 신생을 돕는다. 포도당의 흡수를 늘리는 등 물질대사를 활성화 시키며 골수를 재생시켜서 조혈작용에 도움을 준다.
황기는 이뇨작용과 심장의 수축력을 세게하고 (강심작용) 강장 보혈작용,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좋게한다.
그리고 생리활성물질인 말토덱스트린은 옥수수 전분을 주원료로 한 DE 20 미만의 전분 가수분해물로 전분과 물엿 사이의 물성을 가진 것을 말토덱스트린 분말이라 하며, 종래의 가루 엿에 비하여 흡습성이 낮고 용해시 분산성이 우수하며 소화흡수가 쉽고, 부형성이 우수하고 갈변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하고 있어 식품가공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이란, 우유에서 분리한 카제인 또는 카제인 응고물을 가용화한 단백질로서, 양질의 우유 단백질을 제공하기 위해 영?유아식 및 환자를 위한 영양보충식에 사용된다.
단백피란 옥수수를 도정하여 옥수수분을 만들 때 생산되는 부산물에 당밀을 코팅처리하여 기호성과 에너지가를 높인 것으로 단백질이 18% 이상 함유되었으며, 상기 옥수수 부산물은 종피, 배아, 전분층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약재를 캡슐화함으로써 영양분이 위에서는 대부분 분해되지 않고 소장까지 도달하는 동안 분해되도록 하여 소화 흡수율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하여 면역기능 강화, 질병예방 및 사료효율이 증대되어 증체율 및 도체품질개선과 생육기간단축으로 출하를 앞당기며 악취감소로 축사환경이 개선되며 질병예방 및 면역증대의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백피를 이용하여 나노캡슐화된 한약재분말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사료에 첨가시 사료에 골고루 부산이 가능하게 되어 사료의 섭취시에 전 기간에 걸쳐서 균일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아래 표 1의 조성비를 따른다.


한약재

영양물질

음양곽

감초

당귀

황기

포공영
말토덱
스트린
카제인
나트륨

비타민E

유기산

팜유

단백피

비육돈

1.85

0.40

0.25

0.35

0.15

3.75

1.25

0.50

0.50

3.50

87.50

자돈

2.25

0.50

0.00

0.00

0.15

3.45

1.30

0.50

0.50

3.50

87.85

모돈

1.10

0.25

0.25

0.25

0.25

3.65

1.45

1.00

0.50

3.50

87.80
우선, 한약재인 음양곽, 감초, 당귀, 황기, 포공영을 분쇄기로 각각 분쇄 후 상기한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칭량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한약재 분말에 표 1의 배합비에 따라 팜유를 혼합한다.
이와 같이 한약재와 팜유를 우선 혼합하는 이유는 유성인 팜유가 한약재에 흡수되면서 이후 첨가된 물과의 반발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팜유와 한약재를 혼합한 후, 생리활성물질인 말토덱스트린, 카제인나트륨과, 유기산, 비타민E 및 물 20ℓ를 혼합하여 균질기를 이용하여 10,000rpm에서 35-60초간 고속 교반하여 나노캡슐화한다.
이후, 상기 나노캡슐화된 물질과 표 1의 단백피 배합량 중 나노캡슐화된 물질과 동량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20-30rpm으로 10~15분간 혼합하여 50~75℃ 건조기에서 8-12시간 건조한다.
이와 같이 나노캡슐화된 물질에 단백피를 혼합하는 이유는 나노캡슐화된 물질은 그 자체로서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사료첨가제로서 사료에 첨가할 경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혼합되지 않고 쏠림 현장이 발생하게 되므로 물질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하여 혼합하며, 이외에도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표 1의 나머지 단백피를 모두 투입하여 혼합기에서 5~10분 동안 20~30rpm으로 혼합하여 포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투입되는 단백피는 생산자가 판매를 위한 채산성을 맞추기 위하여 투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사료첨가제를 사료 : 사료첨가제를 1000: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비육돈, 자돈, 모돈의 4주 후 체중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처리

개시체중

종료체중

증체량

개선효과

비고

비육돈

비급여군

51

75.2

24.2

0.0%

4주

급여군

49

78.5

29.5

21.9%

자돈

비급여군

9.15

17

7.85

0.0%

4주

급여군

9.50

19

9.5

21.0%

모돈

비급여군

2.6

7.2

4.6

0.0%

4주
젖먹이자돈의
체중변화

급여군

2.4

7.9

5.5

19.6%
표 2에서 비육돈은 질 좋은 고기를 많이 내기 위하여 특별한 방법으로 살이 찌도록 기르는 돼지이고, 자돈은 새끼돼지이며, 모돈은 어미돼지를 말한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의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1/1000의 비율로 첨가하더라도 4주 후 비급여군에 비하여 20% 정도의 증체효과를 얻음을 알 수 있으며, 모돈의 증체효과로 인하여 유량이 증대됨으로 젖먹이 자돈의 체중 역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감초를 포함한 한약재 분말과 영양물질을 중량비로 한약재 : 영양물질은 중량비로 20-30 : 70-80비율로 투입하고, 여기에 물을 한약재와 영양물질 혼합물 1 kg에 대하여 10-30ℓ 첨가하여 균질기로 5~20,000rpm에서 35-60초간 교반하여 나노캡슐화하는 과정,
    상기 나노캡슐화 과정을 거친 나노캡슐에 단백피를 나노캡슐 : 단백피를 중량비로 40-60:60-40비율로 혼합하여 교반기에서 20-30rpm으로 10~15분간 혼합하여 50~75℃ 건조기에서 8-12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분말은 음양곽, 감초, 포공영을 포함하며, 이들 음양곽 : 감초 : 포공영은 한약재분말 총중량기준 70-80 중량%: 15-25 중량%: 1-10중량%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분말에는 당귀와 황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양곽 : 감초 : 당귀 : 황기 : 포공영은 한약재분말 총중량기준 46~65중량% : 10~15중량% : 5~10중량% : 4~15중량% : 1~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물질은 말토텍스트린 30-50중량%, 카제인나트륨 10-20중량%, 비타민 1~15중량%, 유기산 1~15중량%, 오일 30-5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4항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감초를 포함한 한약재와 영양물질로 이루어진 미세캡슐의 외주에 단백피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KR1020110130643A 2011-12-08 2011-12-08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43A KR101139372B1 (ko) 2011-12-08 2011-12-08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43A KR101139372B1 (ko) 2011-12-08 2011-12-08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372B1 true KR101139372B1 (ko) 2012-04-26

Family

ID=4614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372B1 (ko) 2011-12-08 2011-12-08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3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7695A (zh) * 2017-10-23 2018-01-30 佛山市正典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禽畜复合维生素微囊及其制备方法
CN108522840A (zh) * 2018-03-06 2018-09-14 张掖市金农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肉羊促生长发育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2149820B1 (ko) * 2020-05-28 2020-08-31 이안스 주식회사 캡슐형 가축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210096807A (ko) * 2020-01-29 2021-08-06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영양개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6806A (ko) 2020-01-29 2021-08-06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미세 영양캡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용 미세 영양캡슐
CN115886155A (zh) * 2022-11-28 2023-04-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奶山羊专用催情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8078929A (zh) * 2024-04-26 2024-05-28 潍坊宇洋药业有限公司 一种家畜中兽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607B1 (ko) 2006-10-18 2008-10-15 이종덕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54305A (ko) * 2008-11-14 2010-05-25 이승철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KR101028119B1 (ko) 2009-01-29 2011-04-08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반추위 증강 항균발효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607B1 (ko) 2006-10-18 2008-10-15 이종덕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54305A (ko) * 2008-11-14 2010-05-25 이승철 가금류 사료의 단계별 제조방법에 따른 사료
KR101028119B1 (ko) 2009-01-29 2011-04-08 주식회사 바이오엔그린텍 반추위 증강 항균발효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7695A (zh) * 2017-10-23 2018-01-30 佛山市正典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禽畜复合维生素微囊及其制备方法
CN108522840A (zh) * 2018-03-06 2018-09-14 张掖市金农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肉羊促生长发育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96807A (ko) * 2020-01-29 2021-08-06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영양개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6806A (ko) 2020-01-29 2021-08-06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미세 영양캡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용 미세 영양캡슐
KR102383405B1 (ko) * 2020-01-29 2022-04-05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영양개껌 및 그 제조방법
KR102458445B1 (ko) * 2020-01-29 2022-10-24 박기원 반려동물용 다기능 미세 영양캡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용 미세 영양캡슐
KR102149820B1 (ko) * 2020-05-28 2020-08-31 이안스 주식회사 캡슐형 가축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CN115886155A (zh) * 2022-11-28 2023-04-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奶山羊专用催情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8078929A (zh) * 2024-04-26 2024-05-28 潍坊宇洋药业有限公司 一种家畜中兽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372B1 (ko)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250872B (zh) 一种中药混合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212857A (zh) 一种用于畜禽养殖与水产养殖的以各种发酵中药为载体的乳化脂肪粉饲料及制备方法与应用
CN104222638A (zh) 一种用于防治鲤鱼鳃霉病的功能性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941923A (zh) 一种肉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124164A (zh) 一种含有中草药的高效猪饲料及其制作方法
CN105558379A (zh) 一种微生物中草药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658239A (zh) 优质畜禽产品风味改善剂
CN106343163A (zh) 一种乳化纳米牛至香酚和大蒜精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462056A (zh) 一种用于妇女产后的药膳鸡
CN105010891A (zh) 一种含中草药添加剂的鸡饲料
CN108771016A (zh) 一种猪用中药饲料添加剂及其应用
CN105535094A (zh) 一种促进畜禽和鱼类生产性能的中药组合物
CN105053621A (zh) 一种黄斑篮子鱼稚鱼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664470B (zh) 一种防治畜禽腹泻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695488B1 (ko) 설사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주사기 패키지
CN107712415A (zh) 一种蛋鸡增蛋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6135667A (zh) 一种可替代抗生素的畜禽用风味草本植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876207A (zh) 一种具有缓释效果的产仔母猪用添加饲料及制备方法
CN105519804A (zh) 一种母猪催奶发情的饲料添加剂、含该饲料添加剂的饲料及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
CN105166484A (zh) 一种含中草药添加剂的鸡饲料
CN110679768A (zh) 一种提高断奶仔猪血液igf-i浓度和促生长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315161A (zh) 一种肉用雏鸡专用饲料添加剂
CN101879210A (zh) 治疗鸡鸭禽类病毒性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184935B (zh) 一种治疗鲁西青山羊拉稀的中草药配方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