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8342B1 -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 Google Patents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42B1
KR101138342B1 KR1020090107323A KR20090107323A KR101138342B1 KR 101138342 B1 KR101138342 B1 KR 101138342B1 KR 1020090107323 A KR1020090107323 A KR 1020090107323A KR 20090107323 A KR20090107323 A KR 20090107323A KR 101138342 B1 KR101138342 B1 KR 10113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ap
heater
led lamp
support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796A (ko
Inventor
최병원
최상의
김수한
강덕찬
전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KR102009010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42B1/ko
Priority to PCT/KR2010/001911 priority patent/WO2011055891A1/ko
Priority to CN201010245811.XA priority patent/CN102048637B/zh
Publication of KR2011005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치료기에 사용되는 온구기용 온열투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열원과 광원을 분리시킨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구기의 본체부 내부에 들어있고 덮개부의 지지구멍에 관통 노출되게 장착된 온구기용 온열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지지관과, 지지관의 내부에 구비된 PCB에 장착되는 LED 램프와, 지지관의 상부에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온열캡과, 상기 온열캡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PCB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온열캡으로 열을 전도시키는 히터부를 포함하고 있는 열원과 광원을 분리한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구기용 온열 투광기를 사용할 경우, 온열캡 내부의 온도 상승을 줄여 LED 램프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함으로써 추후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최대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열치료기, LED 램프, 온열캡, 히터부, 히팅코일

Description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Hyperthermo-radiation Projector for the Hyperthermo-therapeutic Apparatus}
본 발명은 온열치료기에 사용되는 온구기용 온열투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부로부터 전열방식에 의해 고온의 열을 신속하게 온열캡으로 전달시켜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온열찜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열원과 광원을 별도로 분리시켜 제조되는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온열치료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열체를 고온으로 발열시키고, 고온으로 발열된 상태에서 옥 성분의 온구기로 하여금 원적외선을 발산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시키거나 마사지하면서 온열찜질 효과 및 마사지효과를 제공하는 제품이다.
오늘날 온열치료기는 종래의 수동형에서 자동형으로 발전되어 왔고, 휴대용에서 침대형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그리고 다시 좌식형으로 진화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온열치료기는 그 종류를 불문하고, 기본적으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의 열원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세라믹재질의 온열캡으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의 온열캡에서는 고온에 의한 온열찜질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그 재질로서 활용되고 있는 옥돌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온열치료기는 그 자체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거나, 그 몸체의 내부에서 좌우(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온열투광기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와 척추, 하체의 골반, 허벅지, 종아리 등에 온열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온열치료기는 몸체에서 분리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외부도자에 의한 온구기를 이용하여 온열찜질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대체적으로 별도의 3구, 6구, 또는 9구의 온구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 옆구리, 또는 팔 등에 온열찜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온열치료기는 사용자에게 온열찜질효과를 제공하는 온열투광기 또는 온구기가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온구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던 온열치료기용 온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온열치료기용 온구기는 내부의 각 부품들을 받쳐주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와 결합되어지고 뚜껑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그 중앙부위에 존재하는 부품들을 지지하고 붙잡아주는 덮개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들어있고 상기의 덮개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사용자에게 온열찜질효과를 제공하는 온열 투광기(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의 온열투광기(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들어있고 외부의 전기에너지에 의해 고온열을 발생시키는 온열램프(40)와, 상기 온열램프(40)의 주위를 감싸면서 상기 온열램프를 보호하는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50)의 위쪽에 얹혀있고 상기 온열램프(40)로부터 고온열을 받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해주는 온열캡(60)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상기의 지지부(50)는 더욱 많은 세부적인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의 온열캡(60)은 상기 온열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과 고온의 열을 받아 이것들을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의해 사용자들이 온열찜질 효과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의 고정형 온구기는 상기 온열캡(60)과 상기 온열램프(40)의 결합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던 것인데, 보다 양호한 온열찜질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온열캡(60)을 옥돌로 가공하여 사용하였고, 상기의 온열램프(40)로서는 헬륨전구, 적외선전구, 또는 통상의 전구 등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종래의 온열투광기(30)는 필연적으로 온열램프(40)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고온의 열을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그 내부에 사용된 필라멘트의 수명이 짧아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었다. 그 이유로서는 종래의 온열투광기는 작동 중에 빛을 발생시키고, 그 빛이 상기의 온열캡(60)에 비추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온열투광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종래의 온열투광기로 하여금 작동 중 에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야 하였고, 빛을 발산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야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온열치료기를 장시간 사용할수록, 그리고 온열치료기를 빈번하게 사용할수록, 상기의 온열램프에 사용된 필라멘트는 그 수명이 단축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종래의 온열램프(40)는 고온의 열을 발산하여 복사열을 통해 온열캡(60)을 가열하였으므로, 온열캡(60)에서 반사된 고온의 열은 필연적으로 온열캡(6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는 복사열 및 반사열로 인한 온도의 상승을 부추겨서, 더욱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온열캡(60)의 좁은 공간에 장착되어 있던 온열램프(40)의 수명을 더욱 짧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처럼, 종래의 온열투광기 또는 온구기의 내부에 사용된 온열램프(40)가 고장을 일으키게 될 경우, 온열치료기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므로, 온열램프(40)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였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애프터서비스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였고, 또한 사후 유지보수 비용을 과다하게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의 온열투광기(30)를 구성하는 온열캡(60)의 상면에 상기 온열램프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광구멍(62)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온열캡(60)은 천연 옥돌을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투광구멍(62)의 가공과정에서 쉽게 깨져 버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불량제품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온열치료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히터부로부터 발생된 열을 복사방식에 의하여 전달하지 않고, 온열캡 내부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온열캡 자체의 온도를 필요한 정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인 온열캡의 상부 부분의 온도를 가장 높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광원을 상기 온열캡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열원과 광원을 분리한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수명이 긴 LED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강한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으로 고휘도의 LED 램프를 제공함으로써 온열캡에 별도의 투광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B를 통해 LED 램프를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고장시 누구나 쉽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구기의 본체부 내부에 들어있고 덮개부의 지지구멍에 관통 노 출되게 장착된 온구기용 온열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상부에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온열캡과, 상기 온열캡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PCB에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단지 열을 발생시켜서 상기의 온열캡으로 열을 전도시키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에서 발생된 열은 전열방식에 의해 상기의 온열캡으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와, 히터를 온열캡의 내부 상부에 부착하는 투명재질의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본체부의 하판에 삽입되어 조립되거나 본체부의 하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CB는 지지관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홀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열투광기는, 히터부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전도방식에 의해 온열캡으로 전달하게 되고, 더 이상 복사방식에 의해 열을 전달하지 않으므로, 상기 온열캡의 온도는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온열캡의 내부 공간의 온도는 크게 달라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열캡 내부의 온도는 낮게 되고, LED 램프의 수명은 최대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사후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으로서 종래의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전열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수명이 반영구적인 반면에, 별도의 광원으로서 LED 광원을 사용하므로, 이 역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원과 광원을 모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온열투광기 내지 온구기의 고장에 의한 온열치료기의 불량현상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인 온열캡의 상부 부분의 온도를 가장 높게 함으로써, 온열찜질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 고휘도의 LED 램프를 사용하여 충분한 투과 빛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온열캡에 별도의 투광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종래 투광구멍의 가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온열캡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PCB를 통해 LED 램프를 간단히 고정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온열투광기를 저가이면서도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투광기(1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투광기(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투광기(100)는, 온열치료기를 구성하는 온구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온구기의 본체부(102) 내부에 들어있고 덮개부(110)에 의해 지지되어지며, 상기 덮개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상기 온구기의 본체부(102)에 구비되는 지지관(120)과, 상기의 지지관(120)의 상부둘레에 끼워지는 연결 고정부(130)와, 상기 본체부(1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열원으로부터 열이 직접 전도됨으로써 가열되어지며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기능을 수행하는 온열캡(140)과,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PCB(122)에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발열되어지는 열원으로서의 히터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온구기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본체부(102)와, 그 위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관(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부(102)와 상기의 지지관(12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착탈식으로 결합될 경우엔, 상기의 본체부(102)는 삽입 조립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삽입 조립부(104)는 본체부(102)의 하판에 형성된 내,외측 돌출턱을 통해 원형으로 형성 됨으로써, 상기의 지지관(120)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삽입 조립부(104)는 본체부(102)의 하판에 형성된 내,외측 돌출턱을 통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관(120)을 상부에서 하부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하거나,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부(104)에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지지관(120)은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내부의 빈 공간에 장착되어지는 부품을 보호하고 지지하게 된다. 상기의 지지관(120)에는 PCB(122)를 지지하고, 상기의 PCB(122)에는 상기 지지관(120)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부품들에 대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연결 고정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 고정부(130)는 링 형상의 연결 고정링(1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연결 고정링(132)은 상기의 지지관(120) 위에 체결되어지고, 상기의 지지관(120)과 그 위에 위치하게 될 부재를 결합시키는 매개체로서 사용되어진다. 상기의 연결 고정링(132)은 그의 하부 둘레에 지지관 고정홈(134)을 형성하고, 그의 상부 둘레에 온열캡 고정홈(13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열결 고정링(132)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지지관 고정홈(134) 및 상기의 온열캡 고정홈(136)은 바깥쪽의 돌출벽면에 의하여 내부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 고정링(132)은, 온열캡의 열이 지지관(120)을 통해 상기의 PCB(122)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 전도성이 낮고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혹은 합성고무, 또는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PCB(122)는 상기 지지관(12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홀(126)에 관통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 삽입홀(126) 중 하나의 삽입홀(126)은 LED 램프(124)가 관통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의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PCB(122)를 지지관(120)의 측부에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온열투광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온열캡(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온열캡(140)은 대체적으로 위쪽으로 둥그런 원형을 형성하고 그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온열캡(140)은 그 내부에 열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열원으로부터 고온의 열을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의 온열캡(140)은 통상적으로 옥돌을 가공하여 제조되어지며, 이는 통상적인 기술에 속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온열캡(140)은 그 내부의 아래쪽에 PCB(122)를 장착시키고, 상기의 PCB(122)에 LED 램프(124)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LED 램프(124)는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단순히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상기의 온열캡(140)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히터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단지 발열 기능만을 수행하고, 종래와는 달리 발광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히터부(150)는 PCB(122)에서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게 되는 히팅코일(15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히팅코일(15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열선, 무자계 전열선, 니크롬선, PTC, 또는 전도성 열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의 PTC는 티탄산바륨계(系)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소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상기의 히팅코일(152)을 고정시키는 히팅몸체(1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히팅몸체(154)는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어 접착부(156)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150)는 PCB(122)에서 전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될 경우,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의 히팅코일(152)에서 발열하게 되고, 발생된 열은 상기의 히팅몸체(154)를 통하여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으로 직접 전달되어지며, 점차적으로 상기 온열캡(140)의 전체로 확산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의 히팅코일(152)은 상기의 히팅몸체(154)에 접착제로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150)는 다른 실시예로서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면상발열체는 탄소섬유 등을 발열체로 하고 상기의 탄소섬유 등을 지지해주는 시트상의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면상발열체는 전원이 인가되어지면, 상기의 탄소섬유가 저항을 일으켜 열을 발생하게 되고, 그 열을 이용하여 발열체로서 사용되어진다. 상기의 면상발열체의 구성 및 작용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150)는 발열체로서 발열기능만을 수행하고,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이는 종래와는 달리 발열기능과 발광기능을 서로 분리시킨 것인데,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접착부(156)에 의해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부(156)는 히팅부(150)를 감싸고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접착 고정시킨 후 고형화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절연성을 지닌 실리카 또는 에폭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156)는 LED 램프(124)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충분히 통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상기의 온열캡(140)에 직접 접촉되어 있고 또한 비교적 넓은 면적을 접촉하고 있으므로, 신속하게 전열방식에 의해 고온의 열을 상기의 온열캡(14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온열캡(140)은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의 히터부(150)에서 공급된 열을 수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찜질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순수하게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반면에, 상기의 LED 램프(124)는 순수하게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양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명백하게 분할시킨 것이다. 이는 종래의 온열램프(40)가 빛과 열을 동시에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온열램프(40)의 필라멘트를 고온하에서 열화시키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히터부(150)로 하여금 빛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자신의 기능에 적합하게 열을 발생시키면 족한 것이고, 빛을 내도록 과열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종래의 복사열에 의한 전도방식을 배제하고, 직접 고온의 열을 상기의 온열캡(140)으로 전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상기의 히팅코일(152)를 통하여 발열되어지면, 그 열은 그 주변의 접착부(156)로 전달되어지고, 다시 상기의 온열캡(140)으로 직접 전열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150)는 다른 실시예로서 면상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면상발열체는 탄소섬유 등을 발열체로 하고 상기의 탄소섬유 등을 지지해주는 시트상의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면상발열체는 전원이 인가되어지면, 상기의 탄소섬유가 저항을 일으켜 열을 발생하게 되고, 그 열을 이용하여 발열체로서 사용되어진다. 상기의 면상발열체의 구성 및 작용은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150)는 발열체로서 발열기능만을 수행하고,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서 LED 램프(124)를 별도로 분리하여 장착하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 중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는 종래와는 달리 발열기능과 발광기능을 서로 분리시킨 것인데,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의 장점을 갖게 된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상기 히터부(150)의 온도를 극히 고온으로 상승시켜야 하고, 고온을 발열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부(150)가 특정한 파장의 빛을 발산하도록 하였으므로, 다량의 전기에너지를 소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히터부(150)로 하여금 발광될 정도로 고온 상태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그만큼 에너지 절약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즉, 에너지의 효율성 측면)
둘째, 본 발명은 히터부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상기의 히터부(150)가 고온으로 가열되어야 하였으므로, 고온의 열에 의해 필라멘트의 열화현상을 초래하였고, 이로 인하여 상기 히터부(150)의 수명이 매우 단축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온으로 가열시킬 필요도 없고, 고온의 열에 약한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히터부(15)의 수명은 반영구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부품의 내구성 측면)
셋째, 본 발명은 부품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발열기능과 발광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형 히터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상기의 전구형 히터는 에너지 과소비형 제품으로서 시장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부품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의 전구형 히터는 점점 더 구매하기 힘든 부품으로 전락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어느 곳에서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전열선 히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부품 조달의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부품 소재의 안정적인 조달 측면)
본 발명에 따른 온열투광기(100)는 상기의 히터부(150)에서 빛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별도의 광원을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광원으로서는 지지관(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122)에 장착되어서 작동되어지는 LED 램프(12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 투광기(100)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 투광기(100)가 장착된 온구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스위치(미도시됨) 조작을 통해 PCB(122)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히터부(150)에 전원이 인가되어지고, 상기의 히팅코일(152)가 발열되어진다. 히팅코일(152)에서 발생된 열은 그 주위에 있는 접착부(156)의 재질로 전달되어지고, 곧바로 그에 접촉되어 있는 온열캡(140)으로 전열되어진다. 상기의 온열캡(140)은 다시 전체 면을 통하여 고온의 열에 의해 데워지게 되고,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와 같이 복사방식이 아니고, 상기의 히팅코일(152)로부터 직접 전달된 전열방식이므로, 그만큼 신속하게 상기 온열캡(140)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LED 램프(124)를 설치할 경우,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LED 램프(124)가 점등되어지고, 이어서 상기의 LED 램프(124)로부터 빛이 발생되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의 LED 램프(124)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LED 램프(124)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의 광원을 구성할 수 있고, 온구기 또는 온열투광기에 따라 적절한 색상의 광원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LED 램프(124)에서 나오는 빛이 히터부(150)를 구성하는 투명재질의 접착부(156)와 온열캡(14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온열캡의 외부 표면에서 빛이 발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히터부(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도열로 인하여 온열캡(140)의 온도만을 상승시키게 되고, 그 자체로서 발광될 정도로 발열시키지 않게 되므로, LED 램프(124)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LED 램프(124)는 히터부(150)에서 온열캡(140)을 향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 경로를 벗어난 위치에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LED 램프(124)의 손상을 저감하여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LED 램프(124)는 내구성이 강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고휘도를 가지는 것으로 광원이 접착부(156)와 온열캡(140)을 통과하여도 빛의 조도가 높음에 따라 온열캡(140)에 별도의 투광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광구멍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온열캡(140)이 손상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온열투광기(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온열투광기(100)는, 지지관(120)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온열투광기를 구성하는 지지관(120)은 본체부(102)의 하판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체부(102)를 사출하면서 지지관(120)을 함께 사출함으로써, 온열투광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온구기용 온열투광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온열치료기용 온구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투광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온열투광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온열투광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본체부, 104 : 삽입 조립부,
110 : 덮개부, 112 : 지지구멍,
120 : 지지관, 122 : PCB,
124 : LED 램프, 126 : 삽입홀,
130 : 연결 고정부, 132 : 연결 고정링,
134 : 지지관 고정홈, 136 : 온열캡 고정홈,
140 : 온열캡, 150 : 히터부,
152 : 히터, 156 : 접착부.

Claims (4)

  1. 온구기의 본체부(102) 내부에 들어있고 덮개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온구기용 온열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2)에 구비되는 지지관(120)과;
    상기 지지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위치한 다른 부재를 고정시키는 연결 고정부(130)와;
    상기 본체부(1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열원으로부터 열이 직접 전도됨으로써 가열되어지며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기능을 수행하는 온열캡(140)과;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열원인 히팅코일(152)와, 상기의 히팅코일(152)을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156)로 구성된 히터부(1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히터부(150)는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에서 전기에너지에 의해 단지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은 전열방식에 의해 상기의 온열캡(140)으로 전달되어지며,
    상기의 히터부(150)에서 상기 온열캡(140)을 향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 경로를 벗어난 곳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LED 램프(124)을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에 장착하며,
    상기의 접착부(156)는 상기 LED 램프(124)에 의한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
  2. 온구기의 본체부(102) 내부에 들어있고 덮개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온구기용 온열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2)에 구비되는 지지관(120)과;
    상기 지지관(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위에 위치한 다른 부재를 고정시키는 연결 고정부(130)와;
    상기 본체부(1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열원으로부터 열이 직접 전도됨으로써 가열되어지며 사용자에게 온열찜질 기능을 수행하는 온열캡(140)과;
    상기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전원이 인가될 경우 단지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으로서의 히터부(150)와,
    상기 지지관(120)에 장착되고, 상기 히터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온열캡(140) 내부에서 빛을 발생시켜주는 LED 램프(124)가 설치된 PCB(122); 를 포함하고,
    열원과 광원이 서로 분리되도록 별도로 이루어진 상기 PCB(122)에 상기 LED 램프(12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히터부(150)에서 상기 온열캡(140)을 향해 전달되는 열의 전달 경로를 벗어난 곳에 상기 LED램프(124)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히터부(150)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팅코일(152)와;
    상기의 히팅코일(152)를 온열캡(140)의 내부 상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156); 로 구성되거나,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착부(156)는 LED 램프(124)에 의한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열치료기의 온구기용 온열투광기.
KR1020090107323A 2009-11-09 2009-11-09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23A KR101138342B1 (ko) 2009-11-09 2009-11-09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PCT/KR2010/001911 WO2011055891A1 (ko) 2009-11-09 2010-03-30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CN201010245811.XA CN102048637B (zh) 2009-11-09 2010-08-03 温热治疗仪用温灸仪的温热投光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23A KR101138342B1 (ko) 2009-11-09 2009-11-09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796A KR20110050796A (ko) 2011-05-17
KR101138342B1 true KR101138342B1 (ko) 2012-04-26

Family

ID=4395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3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342B1 (ko) 2009-11-09 2009-11-09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38342B1 (ko)
CN (1) CN102048637B (ko)
WO (1) WO20110558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90Y1 (ko) 2018-10-19 2019-11-07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스마트 타입 온열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893B1 (ko) * 2012-03-28 2014-02-27 주식회사 엔에스피 온열 및 광마사지기
WO2015084076A1 (ko) * 2013-12-06 2015-06-11 주식회사 세라젬 내부도자용 히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2764B1 (ko) 2014-07-14 2016-10-0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 치료기용 도자
CN114432029B (zh) * 2020-10-31 2024-06-25 左点实业(湖北)有限公司 一种带有贴覆底座的冷敷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0B1 (ko) * 2004-01-28 2004-11-26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구기용 기본단위체와 이것을 이용한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KR200434493Y1 (ko) * 2006-09-29 2006-12-21 신현성 배꼽삽입용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돌기를 장착한 온열기
KR200441718Y1 (ko) * 2007-05-28 2008-09-03 (주)한지 부항식 온열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435U (ja) * 1991-12-02 1993-10-19 田中 三郎 温灸器の加熱部分
KR20020090438A (ko) * 2001-05-25 2002-12-05 진종도 건강증진기구용 원적외선 및 온열 발생장치
CN2544703Y (zh) * 2002-02-04 2003-04-16 孙华锡 温热器
KR200283785Y1 (ko) * 2002-04-02 2002-07-27 조양의료기 주식회사 온열구
KR200302771Y1 (ko) * 2002-10-29 2003-02-05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온열치료기
KR200319997Y1 (ko) * 2003-01-20 2003-07-16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온열치료 투광기
KR200331236Y1 (ko) * 2003-05-22 2003-10-23 대광센서 주식회사 옥부재를 이용한 온열치료기의 발열체
KR100529584B1 (ko) * 2003-07-04 2005-11-22 형 근 이 온열 발생을 겸한 맛사지기용 맛사지구
KR100569888B1 (ko) * 2003-07-21 2006-04-11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빛과 파장 및 열을 집중시켜 발산시키는 온열치료기용투광캡
CN2678604Y (zh) * 2004-02-18 2005-02-16 运长国 玉磁温灸
JP3112041U (ja) * 2005-04-28 2005-07-28 株式会社21リフレッシュ 温熱治療器
CN1981891A (zh) * 2005-12-14 2007-06-20 天津市五方宏运科技开发有限公司 具有中药治疗效果的玉磁温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0B1 (ko) * 2004-01-28 2004-11-26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구기용 기본단위체와 이것을 이용한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KR200434493Y1 (ko) * 2006-09-29 2006-12-21 신현성 배꼽삽입용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돌기를 장착한 온열기
KR200441718Y1 (ko) * 2007-05-28 2008-09-03 (주)한지 부항식 온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90Y1 (ko) 2018-10-19 2019-11-07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스마트 타입 온열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8637A (zh) 2011-05-11
CN102048637B (zh) 2014-11-26
WO2011055891A1 (ko) 2011-05-12
KR20110050796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55B1 (ko) 온열치료기용 온열투광기
KR101138342B1 (ko) 온열치료기용 온구기의 온열투광기
KR101855670B1 (ko) 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매트
KR20010054054A (ko) 반도체소자를 이용한 온열치료기의 발열장치
KR101367893B1 (ko) 온열 및 광마사지기
US20170189713A1 (en) Infrared-ray lamp tube
KR101767485B1 (ko) 엘이디의 발생열을 이용한 원적외선 조사 장치
KR101324463B1 (ko) 청진기 워머
KR200490390Y1 (ko) 스마트 타입 온열 치료기
KR102589173B1 (ko) 열 에너지와 빛 에너지를 이용한 돔형의 온열장치
US20120239119A1 (en) Infant warmer apparatus and method
KR101649266B1 (ko) 원적외선 방사 축열식 찜질기
KR101662764B1 (ko) 온열 치료기용 도자
KR200319997Y1 (ko) 온열치료 투광기
KR200212034Y1 (ko) 원적외선 방사장치
KR20140030374A (ko) 헤어드라이어의 발열체 구조
KR200454760Y1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옥찜질기
KR200212033Y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조명장치
KR20170140620A (ko) 적외선 조사장치
KR20180007163A (ko) 적외선 찜질용 침대 매트리스
KR200283550Y1 (ko) 국부 가열용 의자
KR101633353B1 (ko) 건조기의 발열장치용 히터고정구조
KR100455488B1 (ko) 온열치료 방석
KR101610749B1 (ko)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KR20130004139U (ko) 탄소판이 구비된 좌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