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8291B1 -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291B1
KR101138291B1 KR1020090096749A KR20090096749A KR101138291B1 KR 101138291 B1 KR101138291 B1 KR 101138291B1 KR 1020090096749 A KR1020090096749 A KR 1020090096749A KR 20090096749 A KR20090096749 A KR 20090096749A KR 101138291 B1 KR101138291 B1 KR 10113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ocell
fabric
graphitization
based carb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386A (ko
Inventor
박종규
이재열
원용구
조동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JP200928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JP5271887B2/ja
Priority to US12/763,651 priority patent/US20100285223A1/en
Publication of KR2010012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2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16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roducts of vegetable origin or derivatives thereof, e.g. from cellulose acetat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4Carbonising or oxid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 안정화 공정, 탄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yocell based carbon fiber and Lyocell based carbon fabric}
본 발명은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 안정화 공정, 탄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는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는 전구체(precursor)의 종류에 따라 레이온(rayon)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계, 그리고 피치(pitch)계 탄소섬유로 분류된다.
지금까지 레이온계 탄소섬유는 고순도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로 제조되었는데, 제조공정에서 공해물질, 즉 용제로서 이황화탄소(CS2)를 사용하여 정부의 규제를 받을 뿐만 아니라, PAN계 탄소섬유나 피치계 탄소섬유에 비하여 경제성이 없어 시장규모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라이오셀 섬유는 1978년 Akzo-Nobel사가 환경 공해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없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셀룰로오스가 주성분인 천연펄프와 펄프를 용해시키는 용제인 N-메틸몰포린-N-옥사이드(N-methylmorpholine-N-oxide:NMMO)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건습식 방사섬유이다. 라이오셀 섬유의 원료는 목재펄프에서 추출된 셀룰로오스로서, 100% 생분해성 고분자이며, 재생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레이온 섬유가 지니고 있는 큰 문제점인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새로운 공법이 적용된다.
라이오셀 섬유 역시 셀룰로오스계 섬유이며, 화학적 성질은 서로 비슷하지만, 기계적 특성 및 물리적 성질은 우수하며, 결정화도나 결정 배향도 등 미세구조 특성은 매우 다르다.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90년 초가 되어서야 방적사 형태로 생산되었으며, 2000년 초에 필라멘트(filament)사로 소규모로 상업화되었다. 2007년에 국내 (주)효성 및 (주)코오롱에서 라이오셀 필라멘트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의 제조를 위해서는 세개의 공정 단계 즉, 안정화 공정(stabilization), 탄화 공정(carbonization) 그리고 흑연화 공정(graphitization)을 거치게 된다. 상기 공정들은 섬유 상태 또는 직물 상태에서 수행되는데, 탄소섬유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최종 탄화 온도나 흑연화 온도를 결정하게 된다. 탄화 온도 및 흑연화 온도는 탄소섬유의 열전도도, 절연성 또는 탄성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안정화 공정 및 탄화 공정 중에 적용되는 열처리 온도, 승온속도, 승온단계, 섬유표면의 화학처리 및 분위기가스 등의 여러 가지 공정인자에 따라 탄소 섬유의 내부 구조와 물성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안정화 공정은 PAN계 또는 피치계 등 모든 탄소섬유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행하는 열처리 단계로서, 특히 레이온계 탄소섬유에서는 가장 중요한 핵심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공정 중에서 심각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는데, 이후 탄화 공정에 필요한 높은 열처리온도를 견딜 수 있는 안정된 화학구조를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안정화 공정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화학적 전처리공정이 필수적이며, 탄소섬유 제조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안정화 공정 전에 수행하므로써 안정화 공정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은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 안정화 공정, 탄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은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의 예로서는 폴리실록산(Polysiloxane:PS),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PDMS), 실온 경화형 실리콘(Room temperature vulcanizing silicone:RTV), 폴리메틸페닐실록산(Polymethyl phenyl siloxane:PMPS), 폴리실라잔(Polysilazane)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난연성 염의 예로서는 인산 (phosphoric acid:H3PO4),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Na3PO4),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NH4C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에 있어서, 용매로는 극성 용매가 사용되는데, 상기 극성 용매의 예로는 아세톤(Acetone),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e:THF), 메틸에테르케톤(Methyletherketone:MEK), 에틸알코올(Ethylalcohol), 메틸알코올(Methylalcohol)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중의 실리콘계 고분자의 농도 범위는 1~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의 농도가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농도가 너무 낮아 안정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균일성뿐만 아니라 취성이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난연성 염 수용액 중의 난연성 염의 농도 범위는 3~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난연성 염의 농도가 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농도가 낮아 난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포화 상태가 나타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침지처리는 상온(약 25℃)~80℃의 온도에서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과 난연성 염 수용액에 각각 1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분~1시간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침지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상온 미만인 경우에는 안정화 효과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유연성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1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가 용액에서 팽윤되거나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침지처리시에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과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순서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에 먼저 침지시킨 후 난 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 공정은 2단계로 수행되며, 1단계는 100~25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2단계는 300~500℃의 온도범위에서 10~100시간 동안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 공정에 있어서 1단계가 100℃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건조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2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섬유의 열분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10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섬유가 유연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30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안전화 효율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안정화 공정에 있어서 2단계가 300℃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안정화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5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안정화 효과보다는 탄화효과가 두드러져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10시간 미만의 시간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섬유가 유연성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00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안정화 효과 및 효율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화 공정은 900~170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 공정의 온도가 900℃ 미만인 경우에는 탄화율이 80% 이하로 너무 낮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1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보다는 흑연화 효과가 두드러지고, 강도가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탄화 공정이 10시간 미만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탄화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30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탄화수율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전도도, 절연성 또는 내열특성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흑연화 공정은 2000~2800℃의 흑연화 온도까지 승온시켰다가 2000~2800℃의 온도에서 체류시간을 10시간 이하 즉, 0~10시간으로 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가 2000℃ 미만인 경우에는 흑연화도가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28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 대비 흑연화 효과가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2000~2800℃에서의 체류시간이 0시간이라 함은 상기 흑연화 온도까지 승온시켰다가 바로 냉각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체류시간이 10시간이라 함은 상기 흑연화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유지시켰다가 냉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흑연화 온도에서의 체류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탄화수율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먼저 출발물질인 라이오셀 섬유를 직조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 직물구조로 만드는 제직공정(1) 후, 제직된 직물을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공정(2)을 거치면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섬유의 잔류응력을 완화시킨다. 그 후, 실리콘계 고분자와 난연성 염을 포함하는 화학적 전처리제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후 건조시키는 전처리공정(3)을 거친 직물은, 열처리 단계인 안정화 공정(4), 탄화 공정(5) 및 흑연화 공정(6)을 거치면서 탄소직물로 전환된다. 그 후에 탄소직물에 남아있는 타르나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세척공정(7)을 거쳐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을 제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안정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안정화 공정은 2단계로 수행되며, 이 공정동안 주로 탈수소화 반응 및 고리화 반응 등이 일어나고, 약 60~70중량%의 무게 감량이 발생한다. 안정화 공정의 1단계에서 약 100~250℃까지 10~30℃/시간의 승온속도로 승온시키고, 2단계에서는 약 300~500℃까지 2~10℃/시간의 낮은 승온속도로 승온시켜 열처리를 수행하므로써 안정화 직물이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탄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탄화 공정은 불활성 분위기에서, 약 900~1700℃까지 30~100℃/시간의 승온속도로 승온시키고, 10~30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나서 자연냉각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흑연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흑연화 공정은 상기 탄화 공정에서 처리된 탄소섬유 또는 탄소직물을 통상의 열처리로에서 불활성 분위기에서, 약 1000~1500℃까지는 100~200℃/시간의 승온속도로 승온시키고, 그 후 2000~2800℃의 온도까지는 50~100℃/시간의 승온속도로 승온시킨 후, 2000~2800℃의 온도에서 체류시간을 0~10시간으로 하여 열처리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오셀 섬유 또는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안정화 공정 전에 수행하므 로써 안정화 공정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섬도 300tex 정도의 라이오셀 섬유를 라피어직기를 사용하여 능직 직물구조로 제직한 후, 순도 99.8%의 아세톤에 약 2시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하였다. 세척된 직물을 25℃에서 퍼클로로에틸렌에 용해된 실리콘계 고분자인 RTV 실리콘 5중량%의 용액에 약 30분 동안 침지한 후, 난연성 염인 염화암모늄 15중량%의 수용액에 약 30분 동안 침지하고, 이어서 8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전처리된 직물은 열처리로에서, 30℃/시간의 승온속도로 200℃까지 온도를 올린 후, 2℃/시간의 낮은 승온속도로 300℃까지 온도를 올림으로써 안정화처리하였다. 그 후, 50℃/시간의 승온속도로 1700℃까지 온도를 올린 후, 10시간 동안 탄화처리를 하였으며, 그런 다음 100℃/시간의 승온속도로 2000℃까지 온도를 올리고 1시간 동안 유지하여 흑연화 처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의해서 얻어진 탄소직물 및 이 탄소직물로부터 뽑아낸 탄소섬유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인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얻어진 탄소직물 및 이 탄소직물로부터 뽑아낸 탄소섬유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62334214-pat00001
주)
안정화율(%) : 안정화 공정 후 탄소함량%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직물 제조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안정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탄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흑연화 공정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라이오셀 탄소직물의 형상 사진이다.

Claims (14)

  1. 섬유를 이용하여 안정화 공정, 탄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로서 라이오셀 섬유를 사용하고, 상기 안정화 공정 전에 라이오셀 섬유를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는 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실온 경화형 실리콘,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또는 폴리실라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의 용매는 아세톤, 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에테르케톤, 에틸알코올 또는 메틸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은 인산, 인산나트륨 또는 염화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공정은 2단계로 수행되며, 1단계는 100~250℃, 2단계는 300~50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 공정은 900~170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화 공정은 2000~2800℃의 흑연화 온도까지 승온시키고, 상기 흑연화 온도에서 체류시간을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8. 직물을 이용하여 안정화 공정, 탄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을 거쳐 탄소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로서 라이오셀 직물을 사용하고, 상기 안정화 공정 전에 라이오셀 직물을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 및 난연성 염 수용액에 침지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는 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실온 경화형 실리콘,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또는 폴리실라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고분자 용액의 용매는 아세톤, 퍼클로로에틸렌,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에테르케톤, 에틸알코올 또는 메틸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염은 인산, 인산나트륨 또는 염화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공정은 2단계로 수행되며, 1단계는 100~250℃, 2단계는 300~50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 공정은 900~1700℃의 온도범위에서 10~30시간 동안 열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화 공정은 2000~2800℃의 흑연화 온도까지 승온시키고, 상기 흑연화 온도에서 체류시간을 10시간 이하로 하여 처리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오셀계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96749A 2009-05-08 2009-10-12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Active KR10113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4145A JP5271887B2 (ja) 2009-05-08 2009-12-15 ライオセル系炭素繊維及び炭素織物の製造方法
US12/763,651 US20100285223A1 (en) 2009-05-08 2010-04-20 Method for Manufacturing Lyocell Based Carbon Fiber and Lyocell Based Carbon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0089 2009-05-08
KR1020090040089 2009-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86A KR20100121386A (ko) 2010-11-17
KR101138291B1 true KR101138291B1 (ko) 2012-04-24

Family

ID=4340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749A Active KR101138291B1 (ko) 2009-05-08 2009-10-12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104B1 (ko) * 2013-04-18 2013-11-14 삼공물산 주식회사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레이온계 활성 탄소섬유 제조 방법
KR20220134922A (ko) 2021-03-29 2022-10-0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이오셀 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02B1 (ko) * 2012-09-03 2013-07-12 국방과학연구소 섬유강화 복합재료
KR101230532B1 (ko) * 2012-09-03 2013-02-06 국방과학연구소 탄소 복합재료
KR101451384B1 (ko) 2013-09-17 2014-10-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접착제를 포함하는 목재 폐기물로부터 탄소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CN113957557B (zh) * 2021-11-08 2023-10-03 当阳市鸿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阻燃莱赛尔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305626A (zh) * 2022-09-14 2022-11-08 罗莱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芯纱柔软面料及其生产方法
KR102651011B1 (ko) * 2023-03-10 2024-03-25 주식회사 익성 셀룰로오스 니트 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니트 탄소섬유 원단, 흑연화 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흑연화 섬유 원단
KR102651010B1 (ko) * 2023-03-10 2024-03-25 주식회사 익성 셀룰로오스 니트 활성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니트 활성탄소섬유 원단
KR102707970B1 (ko) * 2024-03-19 2024-09-24 주식회사 익성 셀룰로오스 직물 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직물 탄소섬유 원단, 흑연화 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흑연화 섬유 원단
KR102772668B1 (ko) * 2024-11-29 2025-02-26 (주)스마트코리아 레이온 기반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레이온 기반 활성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흡착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3708A (en) 1965-03-16 1970-03-31 Union Carbide Corp Graphite yarn
KR880000496B1 (ko) * 1984-09-14 1988-04-08 다께모도유시 가부시끼가이샤 탄소섬유 제조용 유제
KR20030047072A (ko) * 2001-12-07 2003-06-18 홍성현 레이온계 탄소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4209A (ko) * 2005-12-09 2008-08-12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탄소섬유 제조용 아크릴섬유 유제 및 그것을 사용한탄소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3708A (en) 1965-03-16 1970-03-31 Union Carbide Corp Graphite yarn
KR880000496B1 (ko) * 1984-09-14 1988-04-08 다께모도유시 가부시끼가이샤 탄소섬유 제조용 유제
KR20030047072A (ko) * 2001-12-07 2003-06-18 홍성현 레이온계 탄소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74209A (ko) * 2005-12-09 2008-08-12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탄소섬유 제조용 아크릴섬유 유제 및 그것을 사용한탄소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104B1 (ko) * 2013-04-18 2013-11-14 삼공물산 주식회사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레이온계 활성 탄소섬유 제조 방법
KR20220134922A (ko) 2021-03-29 2022-10-0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라이오셀 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 제조방법
KR20230002184A (ko) 2021-03-29 2023-01-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86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291B1 (ko)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및 탄소직물의 제조방법
JP5271887B2 (ja) ライオセル系炭素繊維及び炭素織物の製造方法
KR101264001B1 (ko) 라이오셀/그래핀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구체 섬유와 이를 이용한 탄소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6470750B2 (ja) 活性炭素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7757A (ko) 촉매를 사용한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및 탄소 재료
EP1819852A1 (en) Method of obtaining yarns or fiber sheets of carbon from a cellulose precursor
KR101230532B1 (ko) 탄소 복합재료
KR102707972B1 (ko) 셀룰로오스 직물 활성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직물 활성탄소섬유 원단
JP2016164313A (ja)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炭素繊維織物
KR102480304B1 (ko) 라이오셀 섬유를 이용한 탄소섬유 제조방법
KR101285702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JP6604118B2 (ja) 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651011B1 (ko) 셀룰로오스 니트 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니트 탄소섬유 원단, 흑연화 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흑연화 섬유 원단
KR102651010B1 (ko) 셀룰로오스 니트 활성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니트 활성탄소섬유 원단
KR102707970B1 (ko) 셀룰로오스 직물 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직물 탄소섬유 원단, 흑연화 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흑연화 섬유 원단
JP2017066540A (ja) 炭素繊維及び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RU274101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ого волокна и материалов на его основе
KR102075114B1 (ko) 라이오셀계 탄소섬유 제조를 위한 탄소 나노 튜브 코팅 및 열처리
De Palmenaer et al. Carbon fibre development: from polyethylene-based precursors to carbon fibres
KR102707973B1 (ko) 셀룰로오스 니들펀칭부직포 활성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셀룰로오스 니들펀칭부직포 활성탄소섬유 원단
KR102707971B1 (ko) 셀룰로오스 니들펀칭부직포 탄소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셀룰로오스 니들펀칭부직포 탄소섬유 원단, 흑연화 섬유 원단의 제조 방법 및 흑연화 섬유 원단
JP5811529B2 (ja) 炭素繊維束の製造方法
JP2017101350A (ja) キュプラ繊維材料を用いた炭素材料の製造方法
KR102206860B1 (ko) 하이브리드 활성탄소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Immanuel et al. Synthesis of carbon cloth by controlled pyrolysis of rayon cloth for aerospace and advanced engineer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