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8177B1 -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177B1
KR101138177B1 KR1020090122165A KR20090122165A KR101138177B1 KR 101138177 B1 KR101138177 B1 KR 101138177B1 KR 1020090122165 A KR1020090122165 A KR 1020090122165A KR 20090122165 A KR20090122165 A KR 20090122165A KR 101138177 B1 KR101138177 B1 KR 10113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closed position
state
cylinder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602A (ko
Inventor
박주호
김홍진
양광하
김정운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1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2Manhole covers, e.g. on tanks; Doors on armoured vehicles or structures
    • F41H5/226Doors on armoured vehicles o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는, 회동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를 상기 닫힘 위치 및 상기 열림 위치로 이송시키는 도어 구동부(200)와,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하는 잠금후크(310)를 포함한 잠금 링키지부(300)와, 상기 잠금후크(310)가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잠금 상태와, 상기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어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풀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안전 장치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장치부(400)는, 구동 실린더(410)와, 가이드 부재(460)와, 상하 이동 링크(440)와, 수평 이동 링크(430)와, 회동 링크(45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전방의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후크(310)가 풀림 상태가 되고, 후방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수 차량, 장갑차, 도어, 후방문, 잠금, 안전, 링크, 회동, 유압 실린더

Description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Door appatus for special 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차 등 특수 차량의 후방문의 잠금장치의 풀림을 방지하는 도어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갑차 등 특수 차량에서는 차량 후방에 승무원의 승하차를 위한 후방문이 설치되며, 후방문은 승무원의 신속한 승하차를 위해 자동개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후방문의 자동개폐를 위해 유압 실린더가 설치된다.
도 1은 특수 챠량의 도어, 특히 후방문의 외관을 도시하는 바,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문(100)은 힌지 구조(11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차량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 사이에서 회동하여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수 차량의 경우에는 험지 주행 등 주행 환경이 가혹한 경우가 많으므로 주행 중 외부 진동이 일반 차량의 경우보다 현저히 심하며 이로 인하여 잠금 장치가 헐거워질 우려가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방문의 닫힘 후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유압실 린더를 이용한 잠금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기존의 유압식 잠금 장치의 경우 외부 진동, 잠금 실린더의 누유, 유압 저하 등으로 인하여 잠금 장치가 헐거워지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유압식 잠금 장치의 경우 실린더의 누유, 유압 저하 등으로 잠금 장치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기계적 구조 자체로서 잠금 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특수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계식 링크 구조로 된 안전 장치부(400)를 마련함으로써 잠금 링키지부(300)에서 잠금 상태가 풀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링크 구조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속이 되어 잠금 장치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는, 회동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를 상기 닫힘 위치 및 상기 열림 위치로 이송시키는 도어 구동부(200)와,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하는 잠금후크(310)를 포함한 잠금 링키지부(300)와 함께, 상기 잠금후크(310)가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잠금 상태와, 상기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어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풀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안전 장치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 장치부(400)는, 전후방향으로 왕복이송가능한 실린더 로드(420)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를 전방의 제1 위치와 후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60)와, 상단부가 상기 잠금 링키지부(30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연결점(B)을 구비하며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가 되고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후크(310)가 풀림 상태가 되도록 하는 상하 이동 링크(440)와, 전단부는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의 하단부의 연결점(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 이동 링크(430)와,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와 상기 수평 이동 링크(430) 사이의 연결점(B)을 상기 도어(100)에 고정된 회동점(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링크(4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상기 전방의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후크(310)가 풀림 상태가 되고, 상기 후방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전방의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링크(450)의 회동점(A)이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와 상기 가이드 부재(46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후방의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가 상기 회동링크(450)의 회동점(A)과 상기 가이드 부재(46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금 링키지부(300)에서 잠금이 풀리는 회전힘이 작용하더라도 기계적으로 잠금 상태가 구속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누유, 유압 저하 등으로 잠금 장치의 풀림이 발생하더라도, 잠금 장치의 링크 구조에 의해 기계적으로 잠금 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잠김 상태에서는 상하 이동 링크(440)와 수평 이동 링크(430)와의 연결점(B)이 회동점(A)과 가이드 부재(46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잠김 상태에서 잠김 상태를 해제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여 고정후크(31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수평 이동 링크(430)를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더라도, 이미 수평 이동 링크(430)는 가이드 부재(460)의 후방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이동 링크(430)가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그 결과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김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특수 챠량의 후방문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장치 중 잠금 링키지부(300)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장치 중 안전 장치부(400)에 대한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안전 장치부(400)가 잠김 상태인 경우를, 도 6a 및 도 6b는 안전 장치부(400)가 풀림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는 도어(100), 도어 구동부(200), 잠금 링키지부(300) 및 안전 장치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100)는 회동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어 구동부(200)는 도어(100)를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유압 실린더가 채용된다. 도어 구동부(200)는 유압 실린더(210)와, 실린더 로드(220)와, 도어(100) 하단에 마련된 힌지 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잠금 링키지부(300)는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후크(310), 지지부(320), 연결바(330) 및 연결 링크(340)로 구성된다.
잠금후크(310)는 연결바(330)를 중심축으로 회동하며 하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도어(100) 내면의 돌출부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도어(100)를 닫힘 상태로 구속한다. 잠금후크(310)는 도어(100) 내면의 돌출부를 압박하는 잠금후크 본체(311)과 연결바(33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12)로 구성된다. 잠금후크(31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100) 양측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20)는 잠금 링키지부(300)의 각 구성, 즉 잠금후크(310), 연결바(330), 연결 링크(340)를 도어(100) 내면에 고정 및 지지한다.
연결바(330)는 한쌍의 잠금후크(310)를 연결하고 잠금후크(310)의 회동축 역 할을 수행한다.
연결 링크(340)는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잠금후크(310)의 회동력을 후술할 안전 장치부(400)의 상하 이동 링크(440)에 전달한다. 즉, 잠금후크(310)가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로 구속하는 경우에는 연결 링크(340)도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하 이동 링크(4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와 반대로 잠금후크(310)가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연결 링크(340)도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하 이동 링크(440)를 상방으로 당긴다.
안전 장치부(400)는 잠금후크(310)가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잠금 상태(도 5a 및 도 5b)와,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어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풀림 상태(도 6a 및 도 6b)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장치부(400)는 실린더 로드(420) 및 구동 실린더(410)와, 수평 이동 링크(430), 상하 이동 링크(440) 및 회동 링크(450) 로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와, 가이드 부재(460)로 구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회동 링크 고정부(470) 및 가이드 안내 부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410)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 로드(420)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킨다.
링크 구조는 수평 이동 링크(430), 상하 이동 링크(440) 및 회동 링크(450) 로 구성된다.
수평 이동 링크(430)의 전단부(도 4의 좌측)는 상하 이동 링크(440)의 하단부의 연결점(B)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도 4의 우측)는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가이드 부재(460)에 의해 전방의 제1 위치(도 6a 및 도 6b)과 후방의 제2 위치(도 5a 및 도 5b)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수평 이동 링크(430)는 상하 이동 링크(440)의 상하 왕복 운동을 가이드 부재(460)를 통해 수평 방향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하 이동 링크(440)는 상단부가 잠금 링키지부(300)의 연결 링크(34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연결점(B)을 매개로 수평 이동 링크(430)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하 이동 링크(440)는 연결 링크(340)를 통해 잠금후크(310)의 회동 운동을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즉, 잠금후크(310)가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로 구속하는 경우에는 연결 링크(340)도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하 이동 링크(4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와 반대로 잠금후크(310)가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연결 링크(340)도 연결바(33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하 이동 링크(440)를 상방으로 당긴다.
회동 링크(450)는 도어(100)에 고정된 회동 링크 고정부(470)의 회동점(A)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단부가 상하 이동 링크(440)와 상기 수평 이동 링크(430) 사이의 연결점(B)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회동 링크(450)는 상하 이동 링 크(440)와 상기 수평 이동 링크(430) 사이의 연결점(B)을 회동점(A)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 참조).
가이드 부재(460)는 수평 이동 링크(430)가 전방의 제1 위치(도 6a, 도 6b)와 후방의 제2 위치(도 5a, 도 5b) 사이에서 수평 왕복 이송 가능하도록 가이드한다.
회동 링크 고정부(470)는 도어(100)에 고정되고 회동점(A)에 회동링크(450)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안내 부재(480)는 수평 이동 링크(430)의 후단부, 즉 수평 이동 링크(430)와 실린더 로드(420)의 경계지점에 마련되며 수평 이동 링크(430)가 가이드 부재(46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잠김 상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수평 이동 링크(430)의 후단부가 가이드 부재(430) 후방의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잠김후크(310)가 도어(100)의 돌출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고정된, 소위 잠김 상태가 된다.
즉, 구동 실린더(410)에 의해 실린더 로드(420)가 가이드 부재(460) 후방(도면의 우측)의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수평 이동 링크(430)도 함께 후방(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 이동 링크(430)와 상하 이동 링크(440)의 연결점(B)이 회동점(A)을 중심으로 우측 하방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상하 이동 링크(44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연결 링크(340)를 거쳐 잠금후크(310)는 도어(100)의 돌출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는 상태, 즉 잠김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 장치부(400)의 링크 구조에 의해서, 잠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잠김 상태가 해제되려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기계적 구조에 의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a 및 도 5b의 잠김 상태에서는 상하 이동 링크(440)가 회동점(A)과 가이드 부재(4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하 이동 링크(440)와 수평 이동 링크(430)와의 연결점(B)이 회동점(A)과 가이드 부재(46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잠김 상태에서 잠김 상태를 해제시키려는 외력이 작용하여 고정후크(310)가 상방으로 이동하려 하는 경우, 상하 이동 링크(440) 하단부의 연결점(B)은 회동점(A)을 중심으로 우측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힘이 작용하며, 그 결과 수평 이동 링크(430)를 후방(도면의 우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이미 수평 이동 링크(430)는 가이드 부재(460)의 후방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이동 링크(430)가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그 결과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잠김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풀림 상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수평 이동 링크(430)의 후단부가 가이드 부재(460) 전방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잠김후크(310)가 도어(100)의 돌출부를 하방 으로 압박하는 상태에서 해제된, 소위 풀림 상태가 된다.
즉, 구동 실린더(410)에 의해 실린더 로드(420)가 가이드 부재(460) 전방(도면의 좌측)의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수평 이동 링크(430)도 함께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 이동 링크(430)와 상하 이동 링크(440)의 연결점(B)이 회동점(A)을 중심으로 좌측 상방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상하 이동 링크(44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연결 링크(340)를 거쳐 잠금후크(310)는 도어(100)의 돌출부를 압박하는 상태에서 해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특수 챠량의 후방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장치 중 잠금 링키지부(300)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장치 중 안전 장치부(400)에 대한 상세도.
도 5a 및 도 5b는 안전 장치부(400)가 잠김 상태인 경우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안전 장치부(400)가 풀림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 110: 회동 힌지부
200: 도어 구동부 210: 실린더
220: 실린더 로드 300: 잠금 링키지부
310: 잠금후크 311: 잠금후크 본체
312: 연결부재 320: 지지부
330: 연결바 340: 연결 링크
400: 안전장치부 410: 구동 실린더
420: 실린더 로드 430: 수평 이동 링크
440: 상하 이동 링크 450: 회동 링크
460: 가이드 부재 470: 회동 부재 고정부
480: 가이드 안내 부재

Claims (4)

  1.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로서,
    회동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도어(100);
    상기 도어(100)를 상기 닫힘 위치 및 상기 열림 위치로 이송시키는 도어 구동부(200);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하는 잠금후크(310)를 포함한 잠금 링키지부(300); 및
    상기 잠금후크(310)가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로 구속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잠금 상태와, 상기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되어 상기 도어(100)를 닫힘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송가능하도록 하는 풀림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안전 장치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 장치부(400)는,
    전후방향으로 왕복이송가능한 실린더 로드(420)를 구비한 구동 실린더(410);
    상단부가 상기 잠금 링키지부(30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연결점(B)을 구비하며,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후크(310)가 잠금 상태로 되고,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후크(310)가 풀림 상태로 되도록 하는 상하 이동 링크(440);
    전단부는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의 하단부의 연결점(B)을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 이동 링크(430); 및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와 상기 수평 이동 링크(430) 사이의 연결점(B)을 상기 도어(100)에 고정된 회동점(A)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링크(45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전방의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잠금후크(310)가 풀림 상태로 되고, 후방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부(400)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를 상기 전방의 제1 위치와 상기 후방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420)의 전단부(C)가 상기 후방의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 이동 링크(440)가 상기 회동링크(450)의 회동점(A)과 상기 가이드 부재(46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4. 삭제
KR1020090122165A 2009-12-10 2009-12-10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Active KR10113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65A KR101138177B1 (ko) 2009-12-10 2009-12-10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65A KR101138177B1 (ko) 2009-12-10 2009-12-10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02A KR20110065602A (ko) 2011-06-16
KR101138177B1 true KR101138177B1 (ko) 2012-04-25

Family

ID=4439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65A Active KR101138177B1 (ko) 2009-12-10 2009-12-10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258A (zh) * 2016-12-27 2017-04-26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控制快开舱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7870B (zh) * 2020-11-09 2025-01-14 今创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车辆用随停移门驱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88Y1 (ko) * 2000-10-04 2001-03-15 주식회사태성 버스 화물실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988Y1 (ko) * 2000-10-04 2001-03-15 주식회사태성 버스 화물실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258A (zh) * 2016-12-27 2017-04-26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控制快开舱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02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69B1 (ko) 차량루프용저장공간덮개
RU24861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створки и ниши шасс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варианты) и механизм створки ниши шасси
US8720956B2 (en) Mechanical tailgate locking system
US6595574B2 (en) Removable vehicle roof
FR2513298A1 (fr) Dispositif pour manoeuvrer des serrures de portiere d'un vehicule automobile
JP2007204042A (ja) カブリオレ車両
US9719571B2 (en) Retractable latch bumper
CN105863374A (zh) 用于操作航空器的至少一个门的操作装置
JP4436358B2 (ja) 車両用の引き込み可能なルーフ装置と同装置が装備された車両
KR101138177B1 (ko)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JP6614804B2 (ja) 塵芥収集車の後部扉のロック装置および塵芥収集車
KR101855775B1 (ko) 슬라이딩 도어 컨트롤러 유닛
US20080296914A1 (en) Door opening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KR20110065601A (ko) 도어 개폐를 위한 링크 장치
JP2009513425A (ja) コンバーチブルの折畳式トップコンパートメントカバー用ロック機構
JP200721799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装置
JP2021088291A (ja) 搬送台車の自動連結装置
WO2018012047A1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6619727B2 (ja) トラックの荷台扉開閉機構
EP3269906A1 (en) Door unlock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820391B1 (ko) 차량의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래치
JP200404421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ドアのロック装置
JP2019027099A (ja) 作業機械
JP2000272346A (ja) キャブのスライドドア装置
CN109230074B (zh) 侧开门装置及联体式垃圾压缩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