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8018B1 -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018B1
KR101138018B1 KR1020090119545A KR20090119545A KR101138018B1 KR 101138018 B1 KR101138018 B1 KR 101138018B1 KR 1020090119545 A KR1020090119545 A KR 1020090119545A KR 20090119545 A KR20090119545 A KR 20090119545A KR 101138018 B1 KR101138018 B1 KR 10113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eening system
soil
rooftop greening
bui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730A (ko
Inventor
김창남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0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차열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은, 옥상의 바닥면에서 순차적으로 옥상 녹화시스템의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 옥상 녹화시스템이 다량의 우수(雨水)로 인하여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익사되는 것을 예방하며, 유효 수분 이외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층,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층,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인 육성 토양층,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최상부를 이루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수층 과 방근층 사이에는 버퍼 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퍼 존에는 종단면이 "Ⅰ" 형상의 패널형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단열작용을 하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옥상녹화시스템, 버퍼 존, 지지대, 방수층, 배수층, 방근층, 토양층, 식재층

Description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EXTENSIVE GREEN ROOF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안밖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차열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대부분의 도시는 생활환경 및 자연환경이 악화되었으며, 해마다 도심권에는 많은 건축물 및 조형물이 세워지고, 이러한 개발로 인하여 도시의 자연녹지는 현저하게 감소되고 파괴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고,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도시민의 정서적 안정감을 해치고 있다.
따라서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고자 도시에 녹지를 재조성하고 기존의 녹지를 보존하는 일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옥상 녹화공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 녹화시설을 조경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은 건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민에게 부족한 녹지공간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상기 녹지공간에 각종 식재를 조성하여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공간을 조성하고, 건물의 미관을 살릴 수 있다.
또한, 옥상 녹화는 도시의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 및 차열이나 단열로 인해 기존의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물 냉ㆍ난방 에너지 절약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빗물의 저수 기능, 기온의 조정, 공기 정화, 소음 감소의 효과를 가져올 수 다각적인 연구 및 녹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의 옥상 녹화시스템의 유형은 저관리형-경량형, 관리-중량형 녹화시스템 및 혼합형 녹화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저관리-경량형은 낮은 토심(20cm 이하)과 흙의 무게가 ㎡당 100kg 내외여야 하고, 지피식물 위주로 식재되며, 최소 관리로 최초 식재한 식물이 이입종에 영향을 받지 않고 10~15년간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관수, 시비, 예초 등 지속적인 관리 없이도 식생층이 유지되는 시스템을 말 하며, 이때 토양은 인공토양을 사용한다.
관리-중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은 토심이 20cm 이상으로 지피식물과 교목, 관목 등을 식재한다. 건축물 구조상 토심과 식물종 도입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식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생태계 조성에 가장 적합하나 지붕 하중에 적지않은 영향을 주는 만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신축건물에 주로 적용된다.
혼합형 옥상녹화시스템은 경량형과 중량형을 혼합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10~20cm의 낮은 토심을 유지하지만 부분적으로 언덕을 만들어 키가 큰 관목 등을 식재하게 된다. 관목 등은 가급적 구조적 내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곳에 식재하여야 한다.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 중에 보급형 옥상 녹화시스템은 저관리-경량형 녹화시스템에 해당하므로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수성(내구성) 및 경제성 확보가 기본 전제로 한다. 관리-중량형 녹화시스템 토심 깊이가 20cm 이상이 요구되어 토양의 하중이 중량임에 따라 건물의 적재하중이 증가하게되어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기존 건물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지만, 상기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적재하중이 작기 때문에 신축 건물 및 기존 건물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특히 도시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기존 건물의 옥상에 적용 가능한 녹화시스템이나, 토심이 20cm 이하로 얕기 때문에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떨어진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옥상 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 방법" 이 등록특허 제 0553005호 인데,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설명하면, 건물 외피(1)로부터 순차적으로 식재의 뿌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2), 상기 방근층(2)을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근층 위에 타설하는 누름 콘크리트(3), 상기 누름 콘크리트(3)에 설치하며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4), 상기 방수층(4) 위에 설치하며 다량의 우수(雨水)로 인하여 녹화 시스템이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익사되는 것을 예방하는 배수층(5),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빗물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여과기능의 필터층(6),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인 육성 토양층(7), 녹화시스템에서 최상부를 이루며 식물을 식재하는 식재층(8)으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옥상 녹화시스템은 토심의 깊이를 20cm 이하로 하는 저관리-경중량형 녹화시스템이긴 하나 방근층(2)을 보호하기 위해 타설하는 누름 콘크리트(3)로 인해 건물에 과부하가 걸리기 쉬우므로 건물의 안정성이 취약한 기존 건물에는 사용하기 어렵고, 또한 누름 콘크리트의 타설로 인한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리-중량형 녹화시스템에 비해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버퍼 존(buffer zone)이라는 공기층을 추가로 구성하여 단열층의 역활을 하게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냉ㆍ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토심으로 인한 하중의 증가없이 신축 건물 이나 기존 건물에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은, 옥상의 바닥면에서 순차적으로 옥상 녹화시스템의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 옥상 녹화시스템이 다량의 우수(雨水)로인하여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익사되는 것을 예방하며, 유효 수분 이외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층,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층,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인 육성 토양층,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최상부를 이루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수층 과 방근층 사이에는 버퍼 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버퍼 존에는 종단면이 "Ⅰ" 형상의 패널형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단열작용을 하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은, 기존의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에 비해 버퍼 존(buffer Zone)이 단열층 역할을 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 냉, 난방 에너지 절약에 상당한 효과가 있고, 더불어 토양의 하중은 증가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취약한 기존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옥상녹화시스템이 기본적으로 갖는 녹지에 의한 일사의 반사 및 증발산 작용이 도시 열섬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최소 10cm이내 토심의 옥상 녹화시스템은 토양층이 지닌 흡수능력과 증발량에 의하여 실제 강우량의 70% 내외의 우수(雨水) 유출 저감 효율이 있어 도시 홍수 예방에 효과가 있고, 또한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감소, 도시 경관 향상 및 건물의 내구성 향상 효과 등의 다수의 괄목할 만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버퍼 존(13)이 추가로 구성된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옥상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10)은, 옥상의 바닥면(11)에서 순차적으로 방수층(12), 방근층(15), 배수층(16), 필터층(17), 육성 토양층(18), 식재층(19)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수층(12) 과 방근층(15) 사이에는 버퍼 존(13)이 구성되는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은 옥상 바닥면(11), 방수층(12), 방근층(15), 배수용 토양층(16), 필터층(17), 육성 토양층(18), 식재층(19)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옥상 녹화시스템에서(10)는 상기 방수층(12) 및 방근층(15) 사이에 버퍼 존(buffer zone,13)을 추가로 구성하며, 상기 버퍼 존(13)에는 종단면이 "Ⅰ" 형상의 패널형 지지대(14)를 설치하여 방근층(15) 및 그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14)는 내충격성이 강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4)의 사이에 단열작용을 위한 공기층이 형성된다.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10)은 하절기에는 건물 옥상에 비추는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실내의 기온이 상승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동절기에는 차가운 외기가 옥상을 통해 실내와 직접 접촉하여 실내의 기온이 급격히 하강되는 방지한다. 상기의 옥상 녹화시스템(10)은 하절기 및 동절기에 외기가 건물 옥상면(1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 기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단열재와 같은 단열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10)에서 버퍼 존(13)을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버퍼 존(13)에 형성된 공기층이 단열층의 역활을 하여 옥상 녹화시스템이 지니는 차열 및 단열 성능을 더 한층 향상시킨다.
상기 각 구조의 특징을 설명하면,
상기 방수층(12)은 옥상 녹화시스템(10)의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방수의 정밀도와 내구성은 녹화 시스템 전체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완벽한 방수성을 제공하는 PVC/PO(폴리 올레핀)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옥상 바닥면에 방수막을 형성한다. 상기 방수시트는 PVC(폴리 염화비닐)재질의 방수막으로 미생물에 의한 부패에 강하고, 자외선이나 햇빛에 의한 균열이 없으며, root impervious seal(루트 임퍼비어스 시일) 처리되어 수목의 뿌리가 뚫지 못한다. 또한 일반적인 다른 제품보다 단열효과도 30% 이상 우수하며, 어떠한 모재(母材) 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방수층을 내후성, 기계적 물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노출용 방수제인 폴리우레탄 도막방수, FRP 도막방수 및 우레탄-FRP 복합방수로 시공 처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축시에는 방수, 누름 콘크리트 타설 후 옥상 녹화를 하는데 현재에는 상기 도막방수도 많이 이용된다.
방근층(15)은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함은 물론 녹화시스템을 시공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한다. 상기 방근층(15)의 재료로는 시트형, 조립식 패널형이 사용되고 있다. 시트형 재료는 PVC계, 구리시트계 가 있으며, 패널형에는 주로 합성수지계와 금속계열이 사용된다. 상기 시트형 및 패널형 방근재에 있어서도 시공시에 겹침부나 접합부에 식재 뿌리의 침입이 없도록 시일(seal) 처리를 하거나, 알루미늄 판막, 구리 조인트 테이프로 보완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근층(15)을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필름(PE필름)을 깔아 형성하는데,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겹침부나 접합부에도 시일(seal) 처리를 하거나, 알루미늄 판막, 구리 조인트 테이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근층(15)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방근층(15) 위에 부직포 등의 보온덮개(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12) 과 방근층(15) 사이에는 버퍼 존(13)이 구성되는데, 상기 버퍼 존(13)에는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종단면이 "Ⅰ" 형상의 패널형 지지대(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대는 방근층(15) 및 그 상부의 구조물, 즉 배수층(16), 필터층(17), 육성 토양층(18) 및 식재층(19)을 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지지대(13)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건물에 대해 단열작용을 하여 냉ㆍ난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배수층(16)은 옥상 녹화시스템이 다량의 우수(雨水)로 인하여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익사되는 것을 예방하며, 유효 수분 이외의 물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저장홈(미도시)을 두어 갈수기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층(16)은 E.P.S(Expanded Polystyrene)재질의 패널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인 세듐블럭의 배수재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상기 배수재는 저장홈이 있어 물의 저장 및 배수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단열효과도 지니고 있다. 상기 배수층(16)은 식재의 생장에 중요한 부분이며, 배수는 육성 토양층(18)에서 하부로 흐르는 수직방향 배수와 육성토양의 중앙에서 배수구가 설치된 외측방향으로 흐르는 수평방향 배수가 있는데, 상기 수평방향 배수가 원할하지 못하면 폭우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므로 상기 배수층(16)은 배수구(미도시) 방향으로 구배를 주어 수평방향 배수를 원할하게 하고, 또한 배수구는 상기 배수층(16) 보다 낮은 레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구가 낙엽이나 쓰레기로 막혀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검구(미도시)를 설치한다.
필터층(17)은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여과기능 및 투수기능을 하는 P.P(폴리 프포필렌) 재질의 부직포 등으로 형성시킨다.
육성 토양층(18)은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이면서 옥상 녹화시스템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건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위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경량 토양 위주의 육성 토양층(18)을 형성하는데, 상기 경량 토양은 피트모스(peat moss), 난석 및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피트머스(peat moss), 난석, 펄라이트를 1:1:0.5 의 비율로 섞어서 사용한다. 난석은 중형 사이즈 50% , 대형 사이즈 및 소형 사이즈의 것을 각각 25% 정도 사용하며, 수분을 잘 저장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식재층(19)은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최상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유지 관리, 토양층 및 토양의 특성을 고려하여 식물을 식재를 하여야 한다. 상기 식물을 내건성, 내한성 및 내습성을 지녀야 한다. 지피식물과 화초류 및 소관목 위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의 시공 단계는 하기에서 설명한다.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옥상 녹화시스템(10)은, 옥상 바닥면(11)에 PVC/PO 재질의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12) 위로 버퍼 존(13)을 구성하기 위해 패널형 지지대(14)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14)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PE필름)을 깔아 방근층(15)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근층(15) 위에 E.P.S(Expanded Polystyrene)재질의 패널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인 세듐블럭을 설치하여 배수층(16)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수층(16) 위에 P.P 재질의 부직포를 깔아 필터층(17)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층(17) 위에 경량 토양 위주의 육성 토양층(18)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육성 토양층(18) 위에 소관목 및 지피 식물로 구성된 식재층(19)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은 추가적인 토양 하중의 부가없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신축 건물은 물론 구조적으로 취약한 기존의 건물에도 설치가능한 옥상 녹화시스템 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옥상 녹화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옥상 녹화시스템 11.옥상 바닥면
12.방수층 13.버퍼 존(buffer zone)
14. 지지대 15.방근층
16.배수층 17.필터층
18. 육성 토양층 19.식재층

Claims (8)

  1. 건물의 옥상에 형성된 인공지반을 활용하여 도심의 자투리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 녹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옥상 녹화시스템은 옥상의 바닥면에서 순차적으로 옥상 녹화시스템의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 옥상 녹화시스템이 다량의 우수(雨水)로인하여 침수되어 식물의 뿌리가 익사되는 것을 예방하며, 유효 수분 이외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층, 빗물에 씻겨 내리는 세립토양이 시스템 하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층,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하는 기반인 육성 토양층, 옥상 녹화시스템에서 최상부를 이루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방수층 과 방근층 사이에는 버퍼 존이 구성되며, 상기 버퍼 존에는 종단면이 "Ⅰ" 형상의 패널형 지지대가 설치되어 방근층 및 그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이며,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단열작용을 하는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옥상 바닥면에 PVC/PO 재질의 방수시트를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수층 위로 버퍼 존을 구성하기 위해 패널형 지지대를 설치하여 단열층의 역할을 하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PE필름)을 깔아 방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근층 위에 E.P.S(Expanded Polystyrene)재질의 패널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인 세듐블럭을 설치하여 배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수층 위에 P.P 재질의 부직포를 깔아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층 위에 경량 토양 위주의 육성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육성 토양층 위에 소관목 및 지피식물로 구성된 식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토양은 피트머스(peat moss), 난석 및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 FRP 도막방수 및 우레탄-FRP 복합방수로 시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근층은 폴리에틸렌 필름(PE필름)을 깔아 형성하며,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겹침부나 접합부에도 시일(seal) 처리를 하거나, 알루미늄 판막, 구리 조인트 테이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의 시공 방법.
KR1020090119545A 2009-12-04 2009-12-04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45A KR101138018B1 (ko) 2009-12-04 2009-12-04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45A KR101138018B1 (ko) 2009-12-04 2009-12-04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30A KR20110062730A (ko) 2011-06-10
KR101138018B1 true KR101138018B1 (ko) 2012-04-20

Family

ID=4439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5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8018B1 (ko) 2009-12-04 2009-12-04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0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2009A (zh) * 2014-05-23 2014-08-13 安徽绿建科技有限公司 一种屋顶绿化结构及施工方法
CN106065692A (zh) * 2016-08-02 2016-11-02 上海砼仁环保技术发展有限公司 屋顶绿化结构及绿化方法
KR20190140370A (ko)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3680A (zh) * 2013-09-27 2014-01-15 中国文化遗产研究院 用于遗址区的植物种植方法及遗址区种植层结构
KR101523558B1 (ko) * 2014-12-09 2015-05-28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무관리 및 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CN109302979B (zh) * 2018-11-14 2024-01-30 胡立明 一种采用建筑垃圾在屋顶种植绿化草的方法
CN109944398A (zh) * 2019-04-26 2019-06-28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种植植被屋面防水结构及施工方法
CN117502069B (zh) * 2023-11-24 2025-01-2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用于石漠化地区农村屋顶的绿化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814A (ko) * 1999-11-15 2001-06-15 김만기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100553005B1 (ko) * 2005-12-12 2006-0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97560B1 (ko) * 2004-10-25 2007-03-21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역지붕 외단열 옥상녹화구조
KR100876008B1 (ko) 2006-12-18 2008-12-26 임학순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814A (ko) * 1999-11-15 2001-06-15 김만기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100697560B1 (ko) * 2004-10-25 2007-03-21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역지붕 외단열 옥상녹화구조
KR100553005B1 (ko) * 2005-12-12 2006-02-15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76008B1 (ko) 2006-12-18 2008-12-26 임학순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82009A (zh) * 2014-05-23 2014-08-13 安徽绿建科技有限公司 一种屋顶绿化结构及施工方法
CN106065692A (zh) * 2016-08-02 2016-11-02 上海砼仁环保技术发展有限公司 屋顶绿化结构及绿化方法
CN106065692B (zh) * 2016-08-02 2018-07-03 上海砼仁环保技术发展有限公司 屋顶绿化结构及绿化方法
KR20190140370A (ko)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30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18B1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US7870691B2 (en) Green roof tile system and methods of use
KR950008915B1 (ko) 식물식재용상자
US9453308B2 (en) Lawn grid and method
CN101793079A (zh) 一种新型根系阻拦材料和绿色屋面种植技术
CN107447930A (zh) 集水型绿色屋顶结构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US20110308176A1 (en) Rooftop Cooling and Rainwater Retention Panel and System
CN106522478A (zh) 一种屋顶透水集水绿化一体化雨水利用系统及施工方法
KR100426321B1 (ko)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CN108166800A (zh) 一种生态停车棚
CN108331269B (zh) 一种种植型窑洞屋顶结构及施工方法
CN1676812A (zh) 坡面屋顶草坪
CN206402751U (zh) 一种屋面生态种植系统
Voronkova et al. “Green” roofs as a crucial element for energy efficiency. Cases of library buildings
CN211832097U (zh) 一种模块移动式草坪
CN210491889U (zh) 一种集雨隔盐型日光温室
CN106368460A (zh) 一种生态停车棚
CN210247669U (zh) 一种采风绿植种植面
US20130056172A1 (en) Rooftop Cooling and Rainwater Retention Panel and System
CN221168422U (zh) 屋顶绿化生态结构
CN218346582U (zh) 一种城市建筑顶层绿化隔热系统
KR102811281B1 (ko) 건물의 열조절을 위한 열교환 시스템
JP3587821B2 (ja) 緑化構造及び緑化方法
Vargova et al. From the wetland to the wetland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