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7778B1 -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78B1
KR101137778B1 KR1020080036827A KR20080036827A KR101137778B1 KR 101137778 B1 KR101137778 B1 KR 101137778B1 KR 1020080036827 A KR1020080036827 A KR 1020080036827A KR 20080036827 A KR20080036827 A KR 20080036827A KR 101137778 B1 KR101137778 B1 KR 10113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oint
conduit
wire
wi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192A (ko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이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filed Critical 이명규
Priority to KR102008003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구성은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지중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하는 단계; 전선관 설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권취롤러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이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상기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맨홀 지점에 위치한 맨홀전선관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전선관 배치 및 절단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맨홀전선관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위치된 맨홀전선관들을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의 굴착된 도로에 투입하고, 투입된 맨홀전선관들의 일측에 제1맨홀을, 타측에 제2맨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하는 맨홀전선관들을 매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하나의 라인으로 맨홀전선관을 포설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는 연결을 위한 접속재가 필요 없어 접속재가 절감됨은 물론, 그로 인해 맨홀전선관의 설치가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맨홀전선관을 하나의 라인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거의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맨홀전선관에 내장되는 케이블 등의 보호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맨홀전선관, 이동수단, 권취롤러, 윈치, 맨홀

Description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EXECUTION METHOD USING INSTALLER OF MANHOLE PIPE}
본 발명은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맨홀과 맨홀 사이를 하나의 라인으로 맨홀전선관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과 맨홀 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전선관을 맨홀과 맨홀 사이에 포설하는 전선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종래에 지상에 설치되었던 복잡한 전기선로들이 지하에 매설되고 있다. 위와 같은 전기선로들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한 지중선로는 합성수지관이나 강관 또는 흄관 등의 관재(pipes)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일정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맨홀 사이에 매설되게 되는 관재들은 일정 길이를 초과하게 되면, 관재를 생산한 공장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운반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30~50m의 길이로 제작되고 있고,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250~300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맨홀과 맨홀 사이에서는 30~50m의 길이로 제작된 관재를 10~20 개씩 서로 맞대어 놓고, 서로 맞대어진 연결부위를 접속부재로 접속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관재의 내부에는 방수처리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이 스며들거나 침전물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관재의 내부에 내장되는 케이블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고장의 원인으로도 발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맨홀과 맨홀 사이에 하나의 라인으로 맨홀전선관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맨홀 사이에서는 맨홀전선관의 연결을 위한 접속재가 필요 없게 되므로 설치비를 절감하면서 동시에 맨홀전선관을 하나의 라인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거의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은,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맨홀전선관들을 매설하기 위한 지중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하는 단계(S10); 이동 가능한 차량과, 상기 차량에 적재되고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감겨져 있는 맨홀전선관과, 상기 맨홀전선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러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이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맨홀전선관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선관 설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S20); 상기 권취롤러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이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상기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S30); 상기 제1맨홀 지점에 위치한 맨홀전선관을 절단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30)과 상기 단계(S40)을 반복하여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매설하고자 하는 맨홀전선관들을 위치시키는 단계(S50); 상기 단계(S50)에서 위치된 맨홀전선관들을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의 굴착된 도로에 투입하고, 투입된 맨홀전선관들의 일측에는 제1맨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맨홀을 형성하는 단계(S60); 및 상기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하는 맨홀전선관들을 매설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맨홀전선관 이동수단은,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는 드럼으로 이루어지는 윈치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단계(S30)는, 상기 제1맨홀 지점 근처에 차량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맨홀 지점 근처에 윈치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제1맨홀 지점에 위치하는 상기 맨홀전선관의 일단부와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 상기 맨홀전선관을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맨홀전선관이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상기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에 의하면, 맨홀과 맨홀 사이에 하나의 라인으로 맨홀전선관을 포설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는 연결을 위한 접속재가 필요 없어 접속재가 절감됨은 물론, 그로 인해 맨홀전선관의 설치가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맨홀전선관을 하나의 라인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거의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맨홀전선관에 내장되는 전선, 전화선 등의 보호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 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10)는 차량(1)과, 상기 차량(1)에 적재된 권취롤러(2)와, 상기 권취롤러(2)에 감겨져 있는 맨홀전선관(3)과, 상기 맨홀전선관(3)을 이동시키기 위한 맨홀전선관 이동수단(9)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1)은 대형트럭과 같은 일반적인 차량을 사용하게 되고, 후술하는 권취롤러(2)를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만 된다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며, 평상시에는 맨홀전선관(3)을 보관하는 보관장비로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권취롤러(2)는 드럼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축(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의 양끝단부에는 회전손잡이(5)가 달려 있으며, 상기 회전축(4)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칸막이(2a)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상기 칸막이(2a) 사이가 권취부(2b)로 형성되고, 도 1에서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구획된 권취부(2b)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각 권취부(2b)는 대략적으로 폭이 2m, 지름은 3m 정도의 치수를 가지며, 따라서 권취롤러(2)는 도 1을 기준으로 하면 길이는 8m, 지름은 3m 정도의 치수를 갖는 대형롤러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맨홀전선관(3)은 지중선로에 매설되게 되는 전선관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전선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서는 ELP(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전선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맨홀전선관(3)은 상기 권취롤러(2)의 각 권취부(2b)에 500~600m의 길이로 감겨져 있으며, 지중에 형성되는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 사이를 중간에 접속부와 같은 이음매가 없이 하나의 맨홀전선관(3)으로 연결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맨홀전선관(3)이 상기 권취롤러(2)에 이음매가 중간에 없이 하나의 전선관으로 즉, 전체 길이가 2,000m가 되도록 감겨져 있는 경우에는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의 간격이 2,000m가 된다 하더라도 이음매가 중간에 없이 하나의 라인으로 일측 맨홀과 타측 맨홀을 맨홀전선관으로 연결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맨홀전선관 이동수단(9)은 권취롤러(2)에 감겨진 맨홀전선관(3)이 권취롤러(2)로부터 풀려질 때, 풀려지는 맨홀전선관(3)을 용이하게 이동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전선관(3)을 일측 맨홀 지점에서 타측 맨홀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와이어(9a)와 상기 와이어(3)가 감기게 되는 드럼(9b)으로 이루어지는 윈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윈치의 와이어(9a)는 그 일단부를 상기 맨홀전선관(3)의 일측단부에 연결시킨 후, 상기 와이어(9a)를 드럼(9b)에 감아 당기게 되면, 상기 와이어(9a)에 연결된 맨홀전선관(3)이 이동되게 되고, 따라서 일측 맨홀 지점에서 타측 맨홀 지점 사이에 맨홀전선관(3)을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인접하는 맨홀 사이의 간격이 통상적으로 250~300m인 점을 감안하면, 맨홀전선관(3)이 300m의 길이로 끌어당기려면 그 자체 무게에 의해 상당한 힘이 들어가야 하므로, 상기 맨홀전선관(3)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받침롤러(8)를 설치하여 받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롤러(8)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부드럽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맨홀과 맨홀 사이에 맨홀전선관(3)이 끌어당겨져 포설되면 처음의 맨홀의 위치에 있는 상기 맨홀전선관(3) 부위를 절단하며, 이후의 자세한 절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맨홀(6a) 지점과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맨홀전선관(3)들을 매설하기 위한 지중선로(15)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한다(S10).
다음에, 전선관 설치장치(10)를 준비한다(S20). 상기 전선관 설치장치(10)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차량(1)과, 상기 차량(1)에 적재되고 중심부를 회전축(4)으로 하여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권취롤러(2)와, 상기 권취롤러(2)에 감겨져 있는 맨홀전선관(3)과, 상기 맨홀전선관(3)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러(2)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3)이 제1맨홀(6a)과 제2맨홀(6b)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맨홀전선관 이동수단(9)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2)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3)이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상기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S30).
이때, 상기 제1맨홀(6a) 지점 근처에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1)을 배치하고, 상기 제2맨홀(6b) 지점 근처에는 맨홀전선관 이동수단(9) 즉, 윈치를 배치한다. 다음에, 상기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9a)의 일단부를 상기 제1맨홀(6a) 지점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와이어(9a)의 일단부와 상기 맨홀전선관(3)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와이어(9a)가 상기 드럼(9b)에 감겨지게 되면, 상기 윈치의 와이어(9a)에 연결되어 있는 맨홀전선관(3)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맨홀(6b) 지점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맨홀전선관(3)은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상기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여기서, 맨홀전선관(3)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맨홀전선관(3)의 하부에 다수의 받침롤러(8)를 설치하게 되면, 맨홀전선관(3)의 이동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제1맨홀(6a) 지점에 위치한 맨홀전선관(3)을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한다(S40). 즉, 맨홀전선관(3)이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1맨홀(6a) 지점에 위치한 즉, 권취롤러(2)에서 풀려 나오는 부분의 맨홀전선관(3)을 절단한다(S40).
다음에, 상기 단계(S30)과 상기 단계(S40)을 반복하여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매설하고자 하는 다수의 맨홀전선관(3)들을 위치시킨다(S50).
상기 단계(S50)에서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제2맨홀(6b) 지점 사이에 위치된 맨홀전선관(3)들을 상기 제1맨홀(6a) 지점과 제2맨홀(6b) 지점 사이의 굴착된 도로에 투입하고, 투입된 맨홀전선관(3)들의 일측에는 제1맨홀(6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맨홀(6b)을 형성한다(S60).
상기 단계(S60)에서 상기 제1맨홀(6a)과 제2맨홀(6b) 사이에 위치하는 맨홀전선관(3)들에 도 2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와 흙(14)을 덮어서 매설하여 지중선로(15)를 형성한다(S70).
위와 같은 단계(S10~S70)들을 거쳐 이루어지는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맨홀(6a)과 제2맨홀(6b) 사이에 매설되게 되는 매설전선관들을 중간에 접속부위와 같은 이음매 없이 매설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맨홀전선관(3)에 내장되는 케이블 등의 보호를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시공하게 되면, 제1맨홀(6a)과 제2맨홀(6b) 사이의 간격이 2,000m 이상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상기 차량(1)에 적재되는 권취롤러(2)에 맨홀전선관(3)을 중간에 절단되는 지점이 없이 하나의 전선관으로 적재하기만 하면, 제1맨홀(6a)과 제2맨홀(6b) 사이의 지중선로(15)에 맨홀전선관(3)을 하나의 라인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가 있으므로 설치비나 유지보수비가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70) 이후에 상기 맨홀전선관(3) 내에는 용도에 따라 하나의 케이블 또는 다수의 케이블을 삽입하게 되는데, 위의 케이블 삽입 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고, 또 위의 케이블 삽입 방법은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의 맨홀과 맨홀사이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 2 : 권취롤러
2a : 칸막이 2b : 권취부
3 : 맨홀전선관 4 : 회전축
5 : 회전축 손잡이 6a : 제1맨홀
6b : 제2맨홀 8 : 받침롤러
9 : 맨홀전선관 이동수단 9a : 와이어
9b : 드럼 10 : 맨홀전선관 설치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맨홀전선관들을 매설하기 위한 지중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로를 굴착하는 단계(S10);
    이동 가능한 차량과, 상기 차량에 적재되고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감겨져 있는 맨홀전선관과, 상기 맨홀전선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러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이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맨홀전선관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전선관 설치장치를 준비하는 단계(S20);
    상기 권취롤러에서 풀려지는 맨홀전선관이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상기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S30);
    상기 제1맨홀 지점에 위치한 맨홀전선관을 절단하는 단계(S40);
    상기 단계(S30)과 상기 단계(S40)을 반복하여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에 매설하고자 하는 맨홀전선관들을 위치시키는 단계(S50);
    상기 단계(S50)에서 위치된 맨홀전선관들을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제2맨홀 지점 사이의 굴착된 도로에 투입하고, 투입된 맨홀전선관들의 일측에는 제1맨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맨홀을 형성하는 단계(S60); 및
    상기 제1맨홀과 제2맨홀 사이에 위치하는 맨홀전선관들을 매설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맨홀전선관 이동수단은,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는 드럼으로 이루어지는 윈치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단계(S30)는,
    상기 제1맨홀 지점 근처에 차량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맨홀 지점 근처에 윈치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윈치에 감겨진 와이어의 일단부를 상기 제1맨홀 지점에 위치하는 상기 맨홀전선관의 일단부와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 상기 맨홀전선관을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맨홀전선관이 상기 제1맨홀 지점과 상기 제2맨홀 지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KR1020080036827A 2008-04-21 2008-04-21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KR10113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27A KR101137778B1 (ko) 2008-04-21 2008-04-21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827A KR101137778B1 (ko) 2008-04-21 2008-04-21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92A KR20090111192A (ko) 2009-10-26
KR101137778B1 true KR101137778B1 (ko) 2012-04-24

Family

ID=4153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827A KR101137778B1 (ko) 2008-04-21 2008-04-21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31B1 (ko) 2019-11-18 2021-02-2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KR20240018775A (ko) *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지중 관로 공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264B1 (ko) 2015-03-31 2016-11-1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KR101675263B1 (ko) * 2016-07-25 2016-11-11 미래이앤시주식회사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840A (ja) * 1995-07-27 1997-02-14 Tokyo Tsushin Network Kk 弾性ローラによるケーブル等の管路内通線及び撤去工法
KR0119431Y1 (ko) * 1994-11-25 1998-08-17 김태구 전선 권취장치
JP2003018715A (ja) * 2001-06-27 2003-01-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光ケーブルの敷設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431Y1 (ko) * 1994-11-25 1998-08-17 김태구 전선 권취장치
JPH0946840A (ja) * 1995-07-27 1997-02-14 Tokyo Tsushin Network Kk 弾性ローラによるケーブル等の管路内通線及び撤去工法
JP2003018715A (ja) * 2001-06-27 2003-01-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光ケーブルの敷設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31B1 (ko) 2019-11-18 2021-02-2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KR20240018775A (ko) * 2022-08-03 2024-02-14 한국전력공사 지중 관로 공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사 방법
KR102753948B1 (ko) * 2022-08-03 2025-01-21 한국전력공사 지중 관로 공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92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2678C (en) Method for laying data cables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a communal gas, pressure or waste-water pip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waste-water drain and a service shaft
US5605419A (en) Underground duct banks
KR101137778B1 (ko) 전선관 설치장치를 이용한 전선관 시공방법
CN101082382A (zh) 使用管架组件对管道和综合管路的铺设方法
JP284874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直埋敷設方法
KR101586067B1 (ko) 단지내 전력 지중케이블 방호구조
JP2009060710A (ja) 地中ケーブルの移設工法
KR101675263B1 (ko) 다조 풀기장치를 이용한 다공 포설방법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JP6578256B2 (ja) 直接埋設用ケーブルの補修方法
JP284874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直埋敷設工法
US66917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ubterranean pipe from damage during excavation
WO2021183766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for telecommunication cables in utility piping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KR100753970B1 (ko) 강선을 이용한 하중 분산형 연약지반용 지중 하수도 박스지지장치
JP2000134779A (ja) 軽量ユニット管
JP2013150445A (ja) 電線共同溝の管路部及び設置構造
US11469583B2 (en) Bore spacers for underground installations
WO2002054553A2 (en) Cable installations and components therefor
KR102398729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타입 관로 부분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의 부분보수공법
JP2014196799A (ja) 勾配補正管路の構築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支持具
JP2017191237A (ja) 直接埋設用ケーブル
KR101106196B1 (ko) 지중 관로보호용 골재타설 격벽장치
JP2005261079A (ja) ケーブル敷設構造
JP2018010196A (ja) 直接埋設用ケーブル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323

Appeal identifier: 2010101005535

Request date: 2010072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3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0721

Decision date: 20120323

Appeal identifier: 2010101005535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