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6873B1 - 클린 워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클린 워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873B1
KR101136873B1 KR1020110044615A KR20110044615A KR101136873B1 KR 101136873 B1 KR101136873 B1 KR 101136873B1 KR 1020110044615 A KR1020110044615 A KR 1020110044615A KR 20110044615 A KR20110044615 A KR 20110044615A KR 101136873 B1 KR101136873 B1 KR 10113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tank
cold wat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포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포유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포유통
Priority to KR102011004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873B1/ko
Priority to PCT/KR2012/003121 priority patent/WO2012153923A2/ko
Priority to JP2014510241A priority patent/JP6014882B2/ja
Priority to SG2013082557A priority patent/SG194832A1/en
Priority to US14/116,028 priority patent/US8779384B2/en
Priority to CA2835299A priority patent/CA2835299A1/en
Priority to CN201280022767.3A priority patent/CN103561838B/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통에 정수조가 끼워져 냉수통과 정수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밀폐되어 외부 공기와 전혀 접촉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조에 담겨있는 살균관을 통해 살균처리된 식수만이 상기 공간에 저장되어 냉각되므로 냉수가 장시간 저장되어 있더라도 세균 번식의 염려가 없는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는,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있어서, 냉수통에 끼워지고, 상기 냉수통과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밀폐된 상기 공간에 냉수가 위치하고, 내부에는 식수가 담겨있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으며, 유입구는 개방되고, 유출구는 상기 정수조를 관통하여 밀폐된 상기 공간에 연결되는 살균관; 상기 살균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살균램프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통과관;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는 상기 식수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통과관을 거쳐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냉수통에 저장된다.

Description

클린 워터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clean water}
본 발명은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수통에 정수조가 끼워져 냉수통과 정수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살균관을 통해 살균처리된 식수만이 저장되어 냉각되므로 사용자는 항상 살균처리된 깨끗한 냉수를 마실 수 있는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요식업소에 비치되어 냉수나 온수를 간편하게 제공하는 급수장치로 필터로 여과시킨 정수나, 생수통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거나, 냉각하여 냉수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냉온수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의 상부에 냉수통(5)이 형성되고, 케이스(2) 내의 중간부에 온수통(7)이 형성된다. 냉수통(5)은 저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으로서 그 외주면에 냉각코일(6)이 감겨져 있으며, 개방된 상부에는 케이스(2)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생수통(1)이 장착된다. 온수통(7)은 저부와 상부가 모두 막힌 원통으로서, 그 외주면에 가열코일(8)이 감겨져 있으며, 그 상부 중심이 연결관(3)을 통해 냉수통(5)의 저부 중심에 연결된다. 그리고, 냉수통(5)과 온수통(7)의 각각의 저부는 연결관(3)을 통해 냉수밸브(51) 및 온수밸브(52)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온수통(7)의 저부에는 배수관(4)이 연결되며, 이 배수관(4)의 말단부는 평소에는 마개에 의해 막혀 있다가 온수통(7) 내의 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 개방된다.
상기 온수통(7) 내의 온수는 가열코일(8)에 의해 상당히 높은 온도까지 가열되므로 세균이 번식하기에 어려운 환경이지만, 상기 냉수통(5)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냉수통(5) 내의 냉수가 케이스(2) 내의 공기와 접촉하여 냉수에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냉수통(5)에 냉수가 장시간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균이 번식하기에 더욱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생수통(1)으로부터 배출된 생수가 냉수통(5) 내에서 냉각코일(6)에 의해 어느 정도 냉각된 후에 연결관(3)을 통해 온수통(7)에 저장되는바, 냉각된 생수를 다시 가열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수통에 정수조가 끼워져 냉수통과 정수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밀폐되어 외부 공기와 전혀 접촉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조에 담겨있는 살균관을 통해 살균처리된 식수만이 상기 공간에 저장되어 냉각되므로 냉수가 장시간 저장되어 있더라도 세균 번식의 염려가 없는 클린 워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냉수통에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를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냉수통에서 문제가 되었던 세균 번식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고, 냉수통의 냉수가 온수통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되지 않은 정수조의 식수가 온수통에 공급되므로 식수의 가열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린 워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는,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있어서, 냉수통에 끼워지고, 상기 냉수통과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밀폐된 상기 공간에 냉수가 위치하고, 내부에는 식수가 담겨있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으며, 유입구는 개방되고, 유출구는 상기 정수조를 관통하여 밀폐된 상기 공간에 연결되는 살균관; 상기 살균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살균램프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통과관;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는 상기 식수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통과관을 거쳐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냉수통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정수조 내부의 식수는 정수조에 담겨 있는 살균관을 통해서만 냉수통과 정수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저장되므로 상기 공간에 공급되는 식수는 모두 살균처리되어 있고, 상기 공간은 밀페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와 전혀 접촉하지 않아서 세균 번식의 염려가 없는 냉수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냉수통에 본 발명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를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냉수통에서 문제가 되었던 세균 번식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어 냉온수기나 정수기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고, 냉수통의 냉수가 온수통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냉각되지 않은 정수조의 식수가 온수통에 공급되므로 냉수의 가열 시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없앨 수 있으며, 살균관이 정수조 내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에 식수가 살균관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중력에 거슬러 상부로 유출되므로 식수가 살균관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살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워터 배출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있어서, 냉수통(5)에 끼워지고, 상기 냉수통(5)과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15)이 형성되며, 밀폐된 상기 공간(15)에 냉수가 위치하고, 내부에는 식수가 담겨있는 정수조(10); 상기 정수조(10)에 담겨있으며, 유입구(21)는 개방되고, 유출구(23)는 상기 정수조(10)를 관통하여 밀폐된 상기 공간(15)에 연결되는 살균관(20); 상기 살균관(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살균램프(30); 및 상기 살균램프(3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상기 유출구(23)에 연결되는 통과관(32);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조(10)에 담겨있는 상기 식수는 상기 유입구(21)로 유입되고 상기 통과관(32)을 거쳐서 상기 유출구(23)를 통해 상기 냉수통(5)에 저장된다.
내부에 식수가 담겨있는 정수조(10)는 냉수통(5)에 끼워져 정수조(10)와 냉수통(5)의 사이에 공간(15)을 형성한다. 공간(15)에는 식수가 냉각되어 냉수로 저장된다. 냉수통(5)의 내면과 정수조(10)의 외면이 체결되는 부분에는 링 형상의 패킹(미도시)을 끼워 냉수통(5)과 정수조(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5)이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차단되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에 의해 냉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정수조(10)에 담겨있는 식수는, 냉온수기의 경우 주로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된 것이고, 정수기의 경우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일 것이다. 정수조(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되고, 공기로부터 식수로 세균이 전염되어 번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수조(10)에는 살균램프(30)가 필요하게 되고, 살균램프(30)의 침투거리가 크지 않으므로 살균램프(30)의 침투거리를 고려하여 살균관(20)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정수조(10)에 담겨있는 살균관(20)은 일측이 개방되어 유입구(21)를 형성하고, 타측에 형성되는 유출구(23)는 정수조(10)를 관통하여 공간(1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정수조(10)에 담겨있는 식수가 냉수통(5)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균관(20)을 통과하여야 한다. 즉, 정수조(10) 내의 식수는 유입구(21)로 유입되어 유출구(23)를 통해 냉수통(5)에 저장되는 것이다.
정수조(10) 내의 식수에 세균이 번식한다하더라도 살균관(20)을 통과하면서 세균은 모두 살균처리되어 멸균된 깨끗한 식수가 공간(15)에 저장된다. 또한, 공간(15)은 외부 공기와 차단되어 세균의 침투가 없으므로 식수가 냉수통(5)에서 냉각되어 장시간 머문다하더라도 세균 번식의 염려는 없는 것이다.
살균관(20)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선(37)이 형성되는 살균램프(30)가 위치하는데, 살균램프(30)의 침투거리를 고려하여 살균관(20)의 직경이 결정된다. 살균관(20)의 내주면과 살균램프(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통과관(32)은 살균램프(3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유출구(23)에 연결된다. 즉, 유입구(21)로 유입된 식수는 통과관(32)을 거쳐서 유출구(23)를 통해 냉수통(5)에 저장된다. 식수가 살균램프(3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통과관(32)을 거쳐야 하므로 식수가 살균램프(30) 주위에 더 오랜 시간 머물수 있어서 통과관(32)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살균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때, 통과관(32)은 석영관으로 제작되는데,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사용 가능하고, 통과관(32)과 유출구(23)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실리콘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연결관(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정수조(10) 내에 살균램프(30)가 형성되더라도 살균램프(30)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정수조(10) 내의 식수는 살균처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정수조(10) 내의 식수가 냉수통(5)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살균램프(30)의 침투거리에 있는 통과관(32)을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므로 아주 효과적으로 냉수통(30)에 저장되는 식수를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살균관(20)의 유입구(21)는 하부에 위치하고, 유출구(23)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살균관(20)이 수직으로 세워지면, 식수가 살균관(20)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중력에 거슬러 상부로 유출되므로 식수가 살균관(2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살균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유입구(21)가 정수조(10)의 바닥에 밀착되는 경우, 유입구(21)에 유입공(22)을 형성하여 식수가 유입공(22)을 통해 살균관(2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정수조(10)의 일측에 정수조(10)와 냉수통(5)을 관통하는 배출관(40)을 형성하여 배출관(40)을 통해 식수가 온수통에도 저장되게 하면, 냉수통(5)의 냉수가 온수통으로 저장되는 일반적인 냉온수기보다 가열을 위한 소모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냉수통 6: 냉각코일
10: 정수조 15: 공간
20: 살균관 21: 유입구
22: 유입공 23: 유출구
30: 살균램프 32: 통과관
37: 전원선 40: 배출관
51: 냉수밸브

Claims (2)

  1.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의 클린 워터 배출장치에 있어서,
    냉수통에 끼워지고, 상기 냉수통과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밀폐된 상기 공간에 냉수가 위치하고, 내부에는 식수가 담겨있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으며, 유입구는 개방되고, 유출구는 상기 정수조를 관통하여 밀폐된 상기 공간에 연결되는 살균관;
    상기 살균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살균램프; 및
    상기 살균램프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싸고,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통과관;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조에 담겨있는 상기 식수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통과관을 거쳐서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냉수통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워터 배출장치.
  2. 삭제
KR1020110044615A 2011-05-12 2011-05-12 클린 워터 배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3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15A KR101136873B1 (ko) 2011-05-12 2011-05-12 클린 워터 배출장치
PCT/KR2012/003121 WO2012153923A2 (ko) 2011-05-12 2012-04-23 클린 워터 배출장치
JP2014510241A JP6014882B2 (ja) 2011-05-12 2012-04-23 クリーンウォーター排出装置
SG2013082557A SG194832A1 (en) 2011-05-12 2012-04-23 Clean water dispensing device
US14/116,028 US8779384B2 (en) 2011-05-12 2012-04-23 Clean water dispensing device
CA2835299A CA2835299A1 (en) 2011-05-12 2012-04-23 Clean water dispensing device
CN201280022767.3A CN103561838B (zh) 2011-05-12 2012-04-23 净水排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15A KR101136873B1 (ko) 2011-05-12 2011-05-12 클린 워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873B1 true KR101136873B1 (ko) 2012-04-20

Family

ID=4614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6873B1 (ko) 2011-05-12 2011-05-12 클린 워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79384B2 (ko)
JP (1) JP6014882B2 (ko)
KR (1) KR101136873B1 (ko)
CN (1) CN103561838B (ko)
CA (1) CA2835299A1 (ko)
SG (1) SG194832A1 (ko)
WO (1) WO20121539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852A (zh) * 2020-12-30 2021-06-01 新疆浩天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三元净化细孔陶瓷滤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5044B1 (fr) * 2013-04-29 2016-02-05 Trefle Groupe Reservoir a filtre integre et appareil de distribution de boisson comprenant un tel reservoir
US20170119205A1 (en) * 2015-10-29 2017-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filter assembly with protective check valve screen
CN107281803A (zh) * 2016-04-13 2017-10-24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饮用水过滤系统及其过滤方法
WO2023041950A1 (en) * 2021-09-14 2023-03-23 Darabos Janos Closed system hygienic water dispen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4U (ko) * 1993-08-21 1995-03-20 박선엽 음용수 살균용 통수관
KR100444766B1 (ko) 1997-02-14 2004-11-03 서순기 생수및물저장통내의살균장치
KR100706775B1 (ko) 2004-12-15 2007-04-11 오희범 냉수 항균 및 살균장치
KR100716469B1 (ko)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5581A (en) * 1985-05-24 1986-12-03 Still & Sons Ltd W M Water dispensing apparatus
US5441179A (en) * 1994-05-18 1995-08-15 Marsh; Stephen A.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adapted for use with bottled water dispenser
DE4447035A1 (de) * 1994-12-28 1996-07-11 Eva Gotthol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duzieren des Nitratgehaltes von Wasser
JP2612238B2 (ja) * 1995-11-28 1997-05-21 横浜ゴム株式会社 飲料水ディスペンサ
JP2000085893A (ja) * 1998-09-17 2000-03-28 Fuji Electric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6193894B1 (en) * 1999-06-23 2001-02-27 Brad C. Holland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water in water dispensers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6419821B1 (en) * 2000-02-25 2002-07-16 Waterhealth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low cost water disinfection
US6927268B2 (en) * 2000-06-21 2005-08-09 Nippon Shokubai Co., Ltd. Production process for water-absorbent resin
US6453799B1 (en) * 2000-11-14 2002-09-24 Ecoaid Corp. Automatic vending machine with functional water generator
CA2434952C (en) * 2001-12-11 2006-01-10 Banpo Marketing Co., Ltd.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US20040046127A1 (en) * 2002-09-09 2004-03-11 Wong Tommy Chi-Kin Turbine-boosted ultraviolet-radiation sterilizing fluid processor
JP2006501059A (ja) * 2002-09-26 2006-01-12 ハイドロ−フォト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断続動作可能な流液型のハイド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ためのuvledベースの浄水モジュール
KR200326897Y1 (ko) * 2003-06-04 2003-09-19 심종섭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JP2005121272A (ja) * 2003-10-15 2005-05-12 Sanden Corp 飲料水供給装置
CN2744270Y (zh) * 2004-09-28 2005-12-07 于乔治 直饮式饮水机的紫外线杀菌系统
JP5163037B2 (ja) * 2007-09-28 2013-03-13 株式会社ノーリツ 飲料水サーバ
US7772566B2 (en) * 2007-11-09 2010-08-10 Banpo Distribution Co., Ltd. Power saving type safe drinking water discharge device
GB0800650D0 (en) * 2008-01-15 2008-02-20 Waterlogic Internat Uk Ltd Water dispensers
DE102008040335B4 (de) * 2008-07-10 2013-05-08 Brita Gmbh Vorrichtung zur Entkeimung von Wasser und Verwendung derselben
JP5187577B2 (ja) * 2008-11-27 2013-04-24 株式会社ノーリツ ウォータサー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4U (ko) * 1993-08-21 1995-03-20 박선엽 음용수 살균용 통수관
KR100444766B1 (ko) 1997-02-14 2004-11-03 서순기 생수및물저장통내의살균장치
KR100706775B1 (ko) 2004-12-15 2007-04-11 오희범 냉수 항균 및 살균장치
KR100716469B1 (ko)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852A (zh) * 2020-12-30 2021-06-01 新疆浩天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三元净化细孔陶瓷滤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79384B2 (en) 2014-07-15
WO2012153923A3 (ko) 2013-01-03
CA2835299A1 (en) 2012-11-15
WO2012153923A2 (ko) 2012-11-15
CN103561838B (zh) 2015-07-22
CN103561838A (zh) 2014-02-05
JP2014514156A (ja) 2014-06-19
US20140124680A1 (en) 2014-05-08
SG194832A1 (en) 2013-12-30
JP6014882B2 (ja)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73B1 (ko) 클린 워터 배출장치
CN2920112Y (zh) 带有热水杀菌系统的桶装水饮水机
ES2398164T3 (es) Dispensador de agua y método de purificación de agua
JP5860404B2 (ja) Uv光源を有する水浄化装置
CN105073629B (zh) 饮水机
CN104640803B (zh) 饮水机
CN105147099A (zh) 一种饮水系统的高温消毒方法及实现该方法的饮水系统
JP2011502896A (ja) 節電型飲用水安全排出装置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KR200424091Y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CN106417065A (zh) 一种液体饲喂机
KR101046185B1 (ko) 냉장고용 살균 정수장치
KR101397385B1 (ko) 음료 공급장치
KR100479423B1 (ko) 단파살균램프가 장착된 생수기
KR101510701B1 (ko) 정수기
JP2017109793A (ja) 二重殺菌機能を持つ冷温水機
CN203653278U (zh) 一种带紫外线杀菌功能的加热装置
CN107115025A (zh) 一种具有加热消毒功能的水龙头
CN218403771U (zh) 一种uv杀菌茶吧饮水机的消毒装置
CN108502273A (zh) 一种液态食品包装消毒装置
CN204151108U (zh) 用于热水器的紫外杀菌装置
CN104146610B (zh) 一种即时加热的饮水机
CN214712055U (zh) 一种uvc抑菌饮水装置
CN107324572A (zh) 一种可提供矿物质水的加热净水器
KR101813266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