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250B1 -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 Google Patents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6250B1 KR101136250B1 KR1020090115791A KR20090115791A KR101136250B1 KR 101136250 B1 KR101136250 B1 KR 101136250B1 KR 1020090115791 A KR1020090115791 A KR 1020090115791A KR 20090115791 A KR20090115791 A KR 20090115791A KR 101136250 B1 KR101136250 B1 KR 101136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 touch button
- water
-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상관을 중심으로 하단부로는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이 하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하부 하우징 내로 구비된 개폐구가 상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위치하면서 하부 연결관 내부를 막고, 입상관 상단부로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하여 고정되는 원터치 버튼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이 상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원터치 버튼부 하부로 연결된 개폐봉이 입상관 하단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버튼을 눌러 하부로 위치시키면 이에 연결된 개폐봉이 개폐구를 누르면서 하부 연결관을 개방시켜 물을 공급하다가, 버튼을 눌러 상부로 위치시키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부로 복귀하면서 하부 연결관을 폐쇄시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을 구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 단순하게 부동전을 개폐작동시키고, 회전축이 일정주기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봉의 상하이동이 정확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파손되지않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reeze, and more particularly, a lower housing connected to a water pipe at a lower end of the riser pipe is connected to the riser pipe by a lower connection pipe so that an opening and closing hole provided into the lower housing is elastically upward. The upper housing having a one-touch button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granular tube is fixed to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granular tube by being connected to the granular tube by the upper part of the tube. The opening and closing rod is provided up to the bottom of the standing tube, and when the button is placed downwar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connected to it opens the lower connecting tube while supplying water while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One-touch burr that shuts off the water supply by closing the lower tube while returning to the top By constructing the mold unit coins, a small force in the Fig. And simple operation to section coin opening without separate fixing operation, and so the axis of rotation is to move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rod V POSITION not accurate and breakage even long-term use.
부동전, 원터치 버튼형, 동파, 입상관, 개폐봉 Anti-freeze, one-touch button type, freeze, standing tube, opening and closing rod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전 상부로 돌출된 버튼을 누를 때마다 부동전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함으로써, 부동전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reeze, and more particularly, the one-touch operation of the anti-freeze is performed easily and accurately by operating in a one-touch manner so that the anti-freeze is opened or closed every time the butt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nti-freeze is pressed. It's about a button type float.
주지된 바와 같이 부동전이란, 상수도를 공급하는 수도관과 수도 사이를 연결하는 관 형태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 밸브를 잠그면 수도공급을 중단하는 동시에 관체 내부에 남아 있던 물이 땅속으로 자동 배수되게 하여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여, 수도관 및 수도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한 수도 밸브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부동전 상단부의 핸들을 돌려 밸브를 잠그면 수도관과 연결된 부위가 폐쇄되어 수도공급이 중단되면서 부동전의 관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배수되고, 이를 통해 부동전의 관체 내로 남아있는 물이 없어 동파를 방지하며, 핸들을 반대로 돌려 밸브를 개방시키면 퇴수공을 막으면서 수도관과 연결된 부 위를 개방시켜 수도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floating power is a type of pipe connecting water supply and water supply, and when the low temperature winter valve is shut off,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nd water remaining inside the pipe is automatically drained into the ground. It refers to a water valve that prevents freezing and prevents freezing of water pipes and tap water. Usually, when the valve is turned by turning the handle of the upper part of the floating part, the part connected to the water pipe is clos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nside the pipe before the floating part. The remain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hole, which prevents freezing due to the absence of water remaining in the floating tube, and opens the valve by turning the handle in reverse to open the part connected to the water pipe while blocking the drainage hole. I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tap water.
그런데 기존의 부동전은 핸들을 회전시키면서 밸브를 개폐하기 때문에, 부동전의 개폐가 복잡하고 힘이 들며, 겨울철에는 핸들축의 나사선 내로 침투한 수분이 얼면서 핸들의 회전에 더욱 큰 힘이 들거나 불가능하게 되며, 이 나사선 부분이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녹스는 경우가 잦아 이 때문에 부동전을 자주 교체하는데 따른 자원 및 비용의 낭비가 많고, 어려운 부동전의 개폐방법 때문에 부동전의 폐쇄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동파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anti-freeze is to open and close the valve while rotating the handl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nti-freez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and in winter, the moisture penetrated into the thread of the handle shaft freezes, the greater the force or impossible to rotate the handle. However, this screw part is exposed to moisture and is often rusted. Therefore, there is a lot of waste of resources and costs associated with the frequent replacement of floating grounds. There were many structural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동전 상부로 돌출된 버튼을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 눌러줌에 따라 부동전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동전을 구성함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단순한 방법으로 부동전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 및 파손되지 않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을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single touch the butt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state in a one-touch manner to configure the floating field to maintain the state is selectively open or clo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power switch which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floating power switch in a simple manner without incurring a large force, and which is not broken or damaged even after long-term u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상관을 중심으로 하단부로는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이 하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하부 하우징 내로 구비된 개폐구가 상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위치하면서 하부 연결관 내부를 막고, 입상관 상단부로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하여 고정되는 원터치 버튼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이 상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원터치 버튼부 하부로 연결된 개폐봉이 입상관 하단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버튼을 눌러 하부로 위치시키면 이에 연결된 개폐봉이 개폐구를 누르면서 하부 연결관을 개방시켜 물을 공급하다가, 버튼을 눌러 상부로 위치시키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부로 복귀하면서 하부 연결관을 폐쇄시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을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hile the lower housing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the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granular pipe is connected to the granular pipe by the lower connecting pipe and the elastic opening is located in the lower housing toward the top Closing the insid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and the upper housing having the one-touch button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tanding tube by the upper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standing tube by the upper connecting pi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one-touch button part is opened. When the button is positioned to the bottom, press the button to the lower posi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rod connected to it opens the lower connecting pipe while supplying water while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opening. One-touch button-type floating to close the lower connector and stop the water supply Constitute.
상기 원터치 버튼부의 구동방법은, 상부 하우징 내측면으로 돌출되면서 하단면이 경사를 가지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부 하우징 내측에 밀착하여 삽입되면서 측면으로는 각 가이드레일 사이로 걸림되는 돌기를 가지며 하단부는 요철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가압체가 구비되어 그 상단으로 버튼이 연결되며, 상단면이 요철형태로 경사진 경사돌기를 가지고 하단으로 개폐봉이 연결된 회전축의 경사돌기가 상기 가압체의 경사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버튼을 누르면 가압체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압체의 경사면을 회전축의 경사돌기가 따라 일정주기로 회전하여, 회전축이 가이드레일 사이의 상부로 이동하거나 혹은 가이드레일 하단에 걸려 고정되면서 회전축에 연결된 개폐봉이 상하로 이동 및 유지되도록 한다.The one-touch button driving method includes a guide rail having an inclined bottom surface while being protru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being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having projections that are caught between the guide rails on the side thereof. It is provided with a pressing body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type and the butt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 inclined protrusion of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with the inclined protrusion inclined in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ressing the button moves the pressure body downward while rotat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ssure bod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clined protrus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ning / closing ro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s moved up and down while the rotating shaft moves upwards between the guide rails or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guide rails. To be moved and maintained.
그리고 상기 가압체의 일측으로는 잠금체가 연결되어, 버튼을 눌러 가압체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잠금체를 상부 하우징에 체결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개폐봉의 하단으로는 하부 연결관 내면을 막는 형태에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가지는 밀폐링이 구비되어, 부동전의 개방 시 밀폐링이 퇴수공을 막도록 한다.And the locking body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body, when the pressing body is moved to the lower side by pressing a button, the locking body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housing and fixed, and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to block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A sealing r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ed therein is provided, so that the sealing ring blocks the drain hole when the floating field is opened.
이를 통해, 원터치 버튼부의 버튼을 한번 누를 때마다 개폐봉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개폐구가 막혀 폐쇄되거나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개폐구를 눌러 개방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부동전을 개폐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 단순하게 부동전을 개폐작동시키고, 회전축이 일정주기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봉의 상하이동이 정확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 및 파손되지않는 효과를 가진다.Through this, each time the button of the one-touch button is pressed, the opening / closing rod moves to the upper part and the opening / closing block is closed or it moves to the lower part by maintaining the state of opening / closing the floating power in the one-touch manner by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It is simple to open and close the floating power without additional fixing work, and the rotating shaft rotates up and down while rotating at a certain cycle, so that the shando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s is accurate and does not break or break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게다가, 부동전의 개방 시 잠금체로 잠가 버튼을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오작동에 의해 부동전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동전의 개방 시에는 밀폐링이 퇴수공을 막아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다가 부동전의 폐쇄 시에는 밀폐링이 퇴수공을 열어 부동전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해 부동전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locking the button with the locking body when opening the floating ground, the floating ground is prevented from being closed due to an external malfunction, and during the opening of the floating ground, the sealing ring prevents the drainage hole and prevents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t the time, the sealing ring opens the drain hole and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floating fiel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floating ground from freezing.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전 상부로 돌출된 버튼을 누를 때마다 부동전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함으로써, 부동전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reeze, and more particularly, the one-touch operation of the anti-freeze is performed easily and accurately by operating in a one-touch manner so that the anti-freeze is opened or closed every time the butt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nti-freeze is pressed. It's about a button type float.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입상관을 중심으로 하단부로는 수도관과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이 하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하부 하우징 내로 구비된 개폐구가 상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위치하면서 하부 연결관 내부를 막고, 입상관 상단부로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하여 고정되는 원터치 버튼 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이 상부 연결관에 의해 입상관과 연결되어 원터치 버튼부 하부로 연결된 개폐봉이 입상관 하단까지 위치하도록 구비하여, 버튼을 눌러 하부로 위치시키면 이에 연결된 개폐봉이 개폐구를 누르면서 하부 연결관을 개방시켜 물을 공급하다가, 버튼을 눌러 상부로 위치시키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부로 복귀하면서 하부 연결관을 폐쇄시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을 구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 단순하게 부동전을 개폐작동시키고, 회전축이 일정주기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봉의 상하이동이 정확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 및 파손되지않도록 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escribed, the lower housing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tube, and the lower opening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e by the lower connection pip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provided in the lower housing is elastically positioned upward. Closing the inside of the tube, the upper housing having a one-touch button portion fix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standing tube is connected to the standing tube by the upper connecting pip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o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one-touch button part When the button is positioned to the lower pos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connected to it opens the lower connecting pipe while supplying water while pressing the opening and closing button, and if the button is positioned upward,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is returned to the upper por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One-touch button-type floating power stops supplying water by closing the connector As, with a small force and is also simple to operate a coin opening part without a separate fixing operation,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is to be moved up and down while being rotated periodically opening and closing rod V POSITION not accurate, trouble or damage to be long-term use.
그리고 상기 가압체의 일측으로는 잠금체가 연결되어, 버튼을 눌러 가압체가 하부로 이동 시, 잠금체를 상부 하우징에 체결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오작동에 의해 부동전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봉 하단으로는 하부 연결관 내면을 막는 형태에 관통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가지는 밀폐링이 구비됨으로써, 부동전의 개방 시에는 밀폐링이 퇴수공을 막아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다가 부동전의 폐쇄 시에는 밀폐링이 퇴수공을 열어 부동전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해 부동전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한다.And one side of the pressing body is connected to the locking body, by pressing the button to move the pressing body to the lower side, to lock the locking body to the upper housing, thereby preventing the floating power is closed by an external malfunction,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a sealing r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ed in the form of block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is provided. The sealing ring opens the drain hole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floating field to the outside to prevent freezing.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을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each drawing.
본 발명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입상관(10)을 중심으로 하부 연결관(30)에 의해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20)과 상부 연결관(50)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40)을 구비하고, 수도관(2)과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는 하부 연결관(30)을 탄성적으로 막는 개폐구(23)가 구비되며, 상부 하우징(40) 내부로는 상부로 버튼(64)이 노출된 원터치 버튼부(60)가 구비되어 이 원터치 버튼부(60) 하부로 연결된 개폐봉(70)이 입상관(10)을 거쳐 개폐구(23)까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입상관(10)은, 도1 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2)과 수도꼭지(3) 사이를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는 길이가 긴 관 형태이며, 이러한 입상관(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하부 연결관(30) 및 상부 연결관(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one-touch button-type floating arm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housing (20) and an upper connect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wer connector (30) centering on the tube (10) as shown in Figs. The
이러한 입상관(10)을 중심으로 그 하부로는 하부 하우징(20)을 구비하는데, 도3 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관통된 유입공(21)을 가지고, 상부면으로는 상기 유입공(21)을 포함하여 홈이 파인 안착홈(22)을 형성한 하부 하우징(20)을 형성하면, 상부면이 곡형으로 형성된 개폐구(23) 하부측이 하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리는 스프링(2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시 스프링(24) 타단부가 안착홈(22) 내에 안착하여 하부 하우징(20) 상부를 향해 구비하며, 이러한 하부 하우징(20)의 상단 및 하단은 역시 나사산이 가공되어 수도관(2) 및 하부 연결관(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t has a
상기 개폐구(23)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20)은 하부 연결관(30)에 의해 입상관(10) 하부로 연결되는데, 도3 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관 형태에 그 상단 및 하단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단으로는 입상관(10) 하단과 체결되고, 하단으로는 하부 하우징(20) 상단과 체결되면서 입상관(10)과 하부 하우징(20)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관(30)은, 그 내부 중앙 측을 따라 소폭 돌출된 개폐턱(31)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하우징(20)의 개폐구(23)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연결관(30)의 개폐턱(31) 하부로 밀착하여 걸림되면서 하부 연결관(30) 내부를 탄성적으로 막도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하부 연결관(30)의 개폐턱(31) 상부측은 내?외부가 관통된 퇴수공(32)을 형성하여, 부동전(1)의 폐쇄 시, 부동전(1) 내부의 물이 퇴수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다음으로, 입상관(10)의 상부로는 상부 하우징(40)을 구비하는데, 도2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시 그 중심부가 관통된 관 형태의 상부 하우징(40)은 그 상단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원터치 버튼부(60)의 잠금체(66)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단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부 연결관(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면을 따라서는, 일정간격마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그 하단면이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레일(41)을 형성함으로써, 이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원터 치 버튼부(60)를 설치할 수 있게 하며, 각 가이드레일(41) 사이 하부는 개방되는 부위 및 각 가이드레일(41) 사이를 연결하도록 돌출되어 막힌 부위가 번갈아가며 교대로 형성되어, 후에, 각 가이드레일(41) 사이의 개방된 부위 사이로 원터치 버튼부(60)의 회전축(67)이 삽입되거나, 각 가이드레일(41) 사이의 막힌 부위에 원터치 버튼부(60)의 회전축(67)이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Next, the upper part of the standing
이 상부 하우징(40)은 상부 연결관(50)에 의해 입상관(10) 상부로 연결되는데, 도2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관 형태에 그 상단 및 하단으로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단으로는 상부 하우징(40) 하단과 체결되고, 하단으로는 입상관(10) 상단과 체결되면서 입상관(10)과 상부 하우징(40)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관(30)은, 그 일측으로 분기된 코크(52)를 형성하여, 이 코크(52)에 수도꼭지(3) 등을 연결함으로써,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부 연결관(50)과 연결되는 부위로는 고무재질의 수밀링(51)을 구비하여 상부 하우징(40)과 상부 연결관(50) 사이의 수밀성을 향상함으로써, 상부 연결관(50)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부 하우징(40) 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이와 같이 입상관(10)에 하부 하우징(20)과 상부 하우징(40)이 연결된 구조에서, 상부 하우징(40)의 내부로는 원터치 버튼부(60)가 설치되어, 원터치 버튼부(60)에 연결된 개폐봉(70)이 하부 후우징(20)의 개폐구(23)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원터치 버튼부(60)는 도2 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가압체(61)와 회전축(67)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가압체(61)는, 상부 하우징(20)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되는 크기에 하부면으로 홈을 형성하고, 그 측면을 따라서는 상부 하우징(20)의 가이드레일(41) 사이로 삽입되도록 돌출한 돌기(62)를 형성하여, 상부 하우징(20) 내부로 삽입된 가압체(61)가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한다.As such,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그리고 이러한 가압체(61)의 하단면은 경사진 요철형태의 경사면(63)을 가짐으로써, 후에 하부로 구비되는 회전축(67)이 경사면(63)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체(61)의 상부 중앙으로는 상부 하우징(40)의 외측으로 소폭 돌출된 조립부(64)를 형성하여, 이 조립부(64) 상단으로 버튼(65)을 조립하고, 조립부(64) 하부로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부로 나사산을 형성한 잠금체(66)가 구비되어, 가압체(61)가 하부로 이동했을 때 이 잠금체(66)를 상부 하우징(40) 상단에 연결해 잠가 고정되도록 한다.The lower end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상부 하우징(4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압체(61)의 하부로는 회전축(67)이 구비되는데, 상부가 가압체(61) 하부를 통해 내부로 밀착?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그 측면으로는 상부 하우징(40)의 가이드레일(41)과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부면이 가이드레일(41) 하부면과 동일하게 기울기를 형성한 경사돌기(68)를 형성하며, 이 경사돌기(68)는 가압체(61)의 경사면(63)과 상부 하우징(40)의 가이드레일(41) 하부면에 동시에 접하는 폭을 가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 low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가압체(61)와 회전축(67)이 조립되어 구성된 원터치 버튼부(60)의 작동방법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며, 이 원터치 버튼부(60)의 회전축(67) 하부로는 부동전(1)을 개폐하는 개폐봉(70)이 연결되는데,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바(bar) 형태의 개폐봉(70)은 그 상단이 원터치 버튼부(60)의 회전축(67)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개폐봉(70)의 하단부는 수밀링(51)을 관통하여 입상관(10) 하부의 하부 연결관(30)까지 위치하며, 이 개폐봉(70)의 하단부로는 밀폐링(71)이 일체로 연결된다.In this wa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ne-
상기 밀폐링(71)은 하부 연결관(30) 내부를 밀폐하여 막는 링 형태에, 하부면 중앙으로는 돌출되어 개폐구(23)를 누르는 로드(72)를 형성하고, 측면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73)을 다수개 형성하며, 이 밀폐링(71)의 측면을 따라서는 고무재질의 수밀링(74)이 일체로 끼움되고, 하부 연결관(30)의 개폐턱(31) 상부와 밀폐링(71) 사이로는 하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리는 스프링(75)이 구비됨으로써, 개폐봉(70)이 하부로 이동하면 로드(72)가 개폐구(23)를 눌러 부동전(1)을 개방하는 동시에 수밀링(74)이 퇴수공(32)을 막도록 위치하다가, 개폐봉(70)이 상부로 이동하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개폐구(23)와 이격된 상부로 일측으로 위치하게 된다.The sealin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하부 연결관(30) 하부가 수도관(2)과 연결되고, 상부 연결관(50)의 코크(52)로 수도꼭지(3)를 연결함으로써, 수도관(2)을 통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을 거쳐 공급되는 물을 수도꼭지(3)를 이용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의 개폐작동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봉(70)의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버튼부(60)가 상부로 위치하여 회전축(67)의 경사돌기(68)가 상부 하우징(40)의 각 가이드레일(41) 사이로 위치한 상태는 밀폐링(71)의 로드(72)가 하부 하우징(23)의 개폐구(23)와 이격되어 이 개폐구(23)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 연결관(30)의 개폐턱(31)을 막으면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이 폐쇄되고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One-touch button-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65)을 원터치 하여 한 번 누르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체(6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회전축(67)을 누르고,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회전축(67)은 측면의 경사돌기(68)가 가압체(61)의 경사면(63)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눌러지다가,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가압체(61)의 경사면(63)만큼 회전한 회전축(67)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경사돌기(68)가 상부 하우징(40)의 가이드레일(41) 하부로 접해 가이드레일(41)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다가 각 가이드레일(41) 사이의 막힌 부위에 경사돌기(68)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원터치 버튼부(60)가 하부에 고정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이로써, 원터치 버튼부(60) 하부로 연결된 개폐봉(70) 역시 하부로 이동해 고정되면서 밀폐링(71)의 로드(72)가 개폐구(23)를 눌러, 하부 연결관(31)의 개폐턱(31)을 막던 개폐구(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하부 연결관(30)이 개방되어 하부 하우징(20)에 연결된 수도관(2)을 통해 물이 유입되며, 이렇게 하부 연결관(30)으로 유입된 물은 밀폐링(71)의 관통공(73)을 거쳐 입상관(10)에서 상부 연결관(50)의 코크(52)를 통해 수도꼭지(3)로 공급되고, 이때, 하부 연결관(30)의 퇴수공(32)은 하부로 이동한 밀폐링(71)의 수밀링(73)이 막아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이렇게 개방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수도관(2)을 통한 물의 공급을 원활히 하며, 이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한 원터치 버튼부(60)의 잠금체(66)를 상부 하우징(40)에 체결해 잠금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작동이나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강한 복원력에 의한 오작동으로 원터치 버튼부(60)가 상부로 이동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one-touch button
그리고 이렇게 물을 공급하는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잠금체(66)를 푼 다음 사용자가 버튼(65)을 다시 원터치 하여 한 번 누르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시 가압체(6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회전축(67)을 누르고,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회전축(67)은 측면의 경사돌기(68)가 가압체(61)의 경사면(63)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눌러지다가,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가압체(61)의 경사면(63)만큼 회전한 회전축(67)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경사돌기(68)가 상부 하우징(40)의 가이드레일(41) 하부로 접해 가이드레일(41)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다시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다가 각 가이드레일(41) 사이의 개방된 부위 사이로 위치해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en, in order to close the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이렇게 원터치 버튼부(6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개폐봉(70)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밀폐링(71)의 로드(72)가 개폐구(23)와 이격되고, 개폐구(23) 역시 하부의 스프링(24)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하부 연결관(30)의 개폐턱(31)을 다시 막아 폐쇄하며, 상부로 이동한 밀폐링(71)은 하부 연결관(30)의 퇴수공(32)을 개방해, 입상관(10) 및 하부 연결관(30) 내에 차있는 물이 퇴수공(32)을 통해 외부로 모두 배출되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one-
이상의 구성 및 작동방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터치 버튼방식으로 작동하는 본 발명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관(2) 및 수도꼭지(3)를 연결하면서 원터치 버튼부(60)의 원터치식 작동을 통해 밸브를 잠그거나 여는 등의 복잡하고 힘든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 작은 힘으로도 단순하게 원터 치 버튼형 부동전(1)을 개폐작동시키고, 원터치 버튼부(60)의 회전축(67)이 일정주기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이에 연결된 개폐봉(70)의 상하이동이 정확하게 하면서 이러한 개폐작업을 장기간동안 계속하여 반복해 사용하여도 고장 및 파손되지않고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또한, 개방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잠금체(66)를 잠가 원터치 버튼부(60)를 고정함으로써, 버튼(65)을 잘못 누르는 외부로부터의 오작동 혹은 밀폐링(71)에 접한 스프링(75)의 강한 복원력에 의한 오작동으로 원터치 버튼부(60)가 상부로 이동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의 폐쇄 시에는 개방된 퇴수공(32)을 통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 내부의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해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open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이러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1)은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하는 원터치 버튼부(60)를 핵심기술로 하여 그 외에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거나 개량할 수 있는데, 그 한 실시예로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구(23)를 둥근 원구 형태의 개폐구(23′)로 구성하고, 이 개폐구(23′)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25)를 개폐구(23′) 측면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원구 형태의 개폐구(23′)가 개폐턱(31)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The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power (1) is a on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Of course, such change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 상부의 절취 사시도.Figure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button-type floating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 하부의 절취 사시도.Figure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부의 조립 사시도.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but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의 조립 사시도.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의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의 설치 예시도.Figure 9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원터치 버튼형 부동전 10: 입상관 20: 하부 하우징DESCRIPTION OF SYMBOLS 1: One-touch button type floating type 10: Standing tube 20: Lower housing
21: 유입공 22: 안착홈 23,23′: 개폐구21: inlet 22: seating
24,75: 스프링 25: 지지체 30: 하부 연결관24, 75: spring 25: support 30: lower connector
31: 개폐턱 32: 퇴수공 40: 상부 하우징31: opening and closing jaw 32: water discharge hole 40: upper housing
41: 가이드레일 50: 상부 연결관 51,74: 수밀링41: guide rail 50:
52: 코크 60: 원터치 버튼부 61: 가압체52: Coke 60: One-touch button 61: Pressing body
62: 돌기 63: 경사면 64: 조립부62: protrusion 63: inclined surface 64: assembly
65: 버튼 66: 잠금체 67: 회전축65: button 66: lock 67: axis of rotation
68: 경사돌기 70: 개폐봉 71: 밀폐링68: inclined protrusion 70: opening and closing rod 71: sealing ring
72: 로드 73: 관통공72: rod 73: through hol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791A KR101136250B1 (en) | 2009-11-27 | 2009-11-27 |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791A KR101136250B1 (en) | 2009-11-27 | 2009-11-27 |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9147A KR20110059147A (en) | 2011-06-02 |
KR101136250B1 true KR101136250B1 (en) | 2012-04-20 |
Family
ID=4439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57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6250B1 (en) | 2009-11-27 | 2009-11-27 |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62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7390B1 (en) * | 2018-12-06 | 2021-02-19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The Preventing frost Cold water Cold water conduction block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489Y1 (en) * | 1989-09-06 | 1991-09-27 | 김봉식 | Switchgear of push handle |
KR200219379Y1 (en) | 2000-09-16 | 2001-04-02 | 서종임 | An antifreezing valve |
KR20010046549A (en) * | 1999-11-04 | 2001-06-15 | 서종임 | A nonfreezing valve have no handle |
KR200271466Y1 (en) | 2002-01-18 | 2002-04-09 | 서종임 | A nonfreezing valve |
-
2009
- 2009-11-27 KR KR1020090115791A patent/KR10113625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489Y1 (en) * | 1989-09-06 | 1991-09-27 | 김봉식 | Switchgear of push handle |
KR20010046549A (en) * | 1999-11-04 | 2001-06-15 | 서종임 | A nonfreezing valve have no handle |
KR200219379Y1 (en) | 2000-09-16 | 2001-04-02 | 서종임 | An antifreezing valve |
KR200271466Y1 (en) | 2002-01-18 | 2002-04-09 | 서종임 | A nonfreezing val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9147A (en) | 201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8176B1 (en) | Floating Feeder with Replaceable Function | |
KR200472727Y1 (en) | Self open and close type auto drainage valve using a repulsive force of permanent magnetes and weight of drain flow | |
US7607453B2 (en) | Non-freeze wall hydrant | |
KR101136250B1 (en) | a nonfreezing valve by one touch button type | |
KR101145007B1 (en) | the structure of nonfreezing valve | |
KR100836868B1 (en) | Declutch for Automatic Valve | |
KR200434024Y1 (en) | Drain valve of water purifier | |
JP2012215287A (en) | Mounting structure of accessory device into branch pipe of pipe line, and attaching/detaching method of accessory device, as well as attaching/detaching instrument therefor | |
KR200476028Y1 (en) | A water valve for preventing frozen | |
CN114570540B (en) | Spray gun | |
KR20110106481A (en) | Water supply | |
CN106759703B (en) | Apparatus of drainge spigot | |
KR101165182B1 (en) | The water supply with nonfreezing valve | |
KR102199609B1 (en) | Faucet head | |
KR100311078B1 (en) | Antifreezing device | |
KR200382664Y1 (en) | Locking apparatus for charnel house | |
KR20140126025A (en) | a faucet with drain for freezing protection | |
KR101029692B1 (en) | Water supply | |
KR20070045652A (en) | Vanity drain opening | |
KR101210319B1 (en) | Drain device of washbasin | |
KR200353969Y1 (en) | A water withdrawal hole regulation device of ice-free water works | |
KR100515083B1 (en) | Drain system preventing the flowing backward | |
KR100993001B1 (en) | A nonfreezing valve | |
KR200333083Y1 (en) | Flushing water supply switchgear for toilet bowl | |
KR200405568Y1 (en) | Vanity drain ope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