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6056B1 -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056B1
KR101136056B1 KR1020090083707A KR20090083707A KR101136056B1 KR 101136056 B1 KR101136056 B1 KR 101136056B1 KR 1020090083707 A KR1020090083707 A KR 1020090083707A KR 20090083707 A KR20090083707 A KR 20090083707A KR 101136056 B1 KR101136056 B1 KR 10113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opening
fixing member
balloon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578A (ko
Inventor
김창국
정순명
Original Assignee
정순명
김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명, 김창국 filed Critical 정순명
Priority to KR102009008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0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0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61M25/10182Inject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61M25/10187Indicators for the level of inflation or def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끝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출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액체의 출입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풍선, 상기 실린더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피스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잡을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피스톤 고정부를 포함한다.
풍선, 레버, 고정부재, 실린더, 피스톤

Description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Volume variable device of Body inserted Balloon}
본 발명은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실린더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원터치 방식에 의해서 피스톤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부에 혈관을 확장하거나, 척추뼈가 골절된 경우 척추뼈 사이에 뼈 강화제를 주입하기 전에 척추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부피가 가변되는 풍선을 혈관이나 척추뼈 사이에 투입한 다음 풍선에 유체를 주입하여 풍선의 부피를 가변 시키면서 혈관 또는 척추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의 치료가 행하여 지고 있다. 그리고 풍선에 부피를 가변 시키기 위해서 풍선에 유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풍선의 부피를 가변하기 위한 장치들은 풍선에 적절한 양의 유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풍선 내부에 유입된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는 피스톤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풍선 부피 가변장치 들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가변장치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시술을 중단한 다음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제3자가 시술자 옆에 있으면서 고정장치를 작동을 시키는 등 별도의 공정 또는 인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혈관, 척추 등 인체의 중요한 부분에 풍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신속한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풍선이 잘못된 위치에 삽입된 경우 신속하게 풍선 내부의 유체를 유출시킬 수 없어서 치명적인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술자가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로 시술을 하면서 원터치 방식에 의해서 피스톤 고정부를 작동할 수 있는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끝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출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액체의 출입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풍선, 상기 실린더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피스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잡을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피스톤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둘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피 스톤과 접촉을 하는 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2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레버의 일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라운드진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홈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의 공간에는 탄성부재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안내 레일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풍선 부피 가변장치로 시술을 하면서 원터치 방식에 레버를 조작하여 신속하게 피스톤을 고정할 수 있어서, 신속한 시술을 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실린더 및 손잡이부를 잡으면서 고정한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을 할 수 있어서, 부풀려진 풍선을 신속하게 원래의 크기로 복원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풍선이 인체의 잘못된 부분에 삽입된 경우 신속하게 부풀어진 풍선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을 하고 풍선을 인체의 정확한 지점으로 다시 삽입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사용자가 손잡이부, 실린더 및 피스톤 고정장치를 한 손에 잡을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전, 후 방향 이동에 의해서 실린더에 전, 후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실린더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풍선이 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가 흔들려서 사용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피스톤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피스톤과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척수시술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는 실린더(10), 피스톤(20), 손잡이부(30) 및 고정부(40)을 포함한다.
실린더(10)는 피스톤(2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끝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20)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피스톤(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의 크기는 가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는 출입부(12)를 통하여 유출되거나, 유입된다.
한편, 실린더(10)의 출입부(12)가 형성된 반대편 끝단은 실린더(10)의 둘레부에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6)는 후술하는 관통홀(33)의 삽입홈(36)에 끼움 결합되면서 실린더(10)는 손잡이부(30)에 고정되게 된다.
출입부(12)는 인체의 척추뼈 사이나 혈관 등에 위치하게 되는 풍선(50)과 연통된다. 그리고 출입부(12)에서 유출되는 풍선(5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풍선(50)을 부풀리게 된다. 그리고 출입부(12)로 유입되는 유체는 풍선(50)의 내부에서 빠져나오면서 풍선(50)의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원시킨다.
한편, 유체의 출입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풍선은 혈관 등 인체에 다양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으나, 이하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풍선(50)은 척추뼈 사이에 삽입되고, 유체의 유입에 따라 크기가 커지면서 척추뼈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을 형성한 다음 풍선(50)의 유체는 풍선(50)에서 빠져 나오고, 풍선(50)은 원래의 크기로 복원된다. 그리고 풍선(50)은 척추뼈 사이에서 빠져 나오고, 척추뼈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뼈 강화제 등이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풍선(50)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유체의 출입에 따라 부피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고, 풍선(50)은 출입부(12)와 튜브 등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0)에는 풍선(50)에 유입되면서 생기는 출입부(12)와 풍선(50) 사이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기(1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20)의 일단에는 그립부(22)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한 손으로 그립부(22)를 잡고, 다른 손으로 실린더(10)와 레버(41)를 잡은 상태에서 피스톤(20)을 실린더(10)의 내부로 밀어 넣거나, 실린더(10)의 외부로 빼낼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0)의 타단은 실린더(10)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실린더(10) 내부에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피스톤(20)의 둘레부에는 나사산(20a)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부재(43)의 나사홈(43a)에 치합된다. 결국 사용자가 그립부(22)를 돌리면 나사산(20a)이 나사홈(43a)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스톤(2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잡이부(30)는 피스톤(20) 및 실린더(10)의 외관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30)는 하부부재(30a) 및 상부부재(30b)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이하 설명하는 손잡이부(30)의 구성은 하부부재(30a) 및 상부부재(30b)가 결합되면서 형성되나, 도2를 참조하여 하부부재(30a)상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실린더(10) 및 피스톤(2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33)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33)은 실린더(1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3개구부(33a) 및 피스톤(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제4개구부(33b)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통홀(33)의 내주면에는 실린더(10)의 돌출부(16)가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부(16)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삽입홈(36)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33)의 제3개구부(33a)와 삽입홈(36)사이의 내주면의 외경은 실린더(10)의 외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33)의 제4개구부(33b)와 삽입홈(36) 사이의 내주면의 외경은 피스톤(20)의 외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33)의 내주면에는 제1개구부(37)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0) 가 삽입되는 면에는 제2개구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개구부(37)와 제2개구부(38)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개구부(37)를 통하여 후술하는 고정부재(43)가 출입을 하고, 제2개구부(39)를 통하여 후술하는 레버(41)의 일부가 손잡이부(30)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1개구부(37)는 고정부재(43)가 제1개구부(37)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개구부(37)를 통하여 출입을 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3)의 형성에 대응하여 사각형으로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제2개구부(38)는 손잡이부(30)의 제3개구부(33a)가 형성된 면에 형성된다. 즉 제2개구부(38)는 제3개구부(33a)의 옆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개구부(38)를 통하여 노출되는 레버(41)는 제3개구부(33a)에 삽입된 실린더(1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와 레버(41)를 한 손에 잡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10)에 전, 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사용자는 실린더(10)를 안정적으로 고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레버(41)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개구부(37)와 제2개구부(38) 사이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43), 탄성부재(45) 및 레버(41)의 일부가 설치되는 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S)에는 고정부재(43)가 제1개구부(37)를 출입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레일(34), 탄성부재(4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35) 및 레버(41)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축(39)가 형성되다.
구체적으로 안내레일(34)는 2개구부(37)에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형성하면서 공간의 상, 하면에 돌출된다. 그리고 안내 레일(34)이 끝단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5)가 지지되는 탄성부재 지지부(35)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은 제2개구부(38)의 내측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레버(4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외력 및 탄성력에 의해서 일정각도만큼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레버(41)의 회전운동에 따라 고정부재(43)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피스톤(20)의 고정하거나 고정에서 해제할 수 있는 공간(S)을 제공하게 된다.
피스톤 고정부(40)는 실린더(10)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피스톤(20)을 고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43), 레버(41) 및 탄성부재(45)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3)는 상기 손잡이부(30)의 공간(S)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37)를 출입하면서 피스톤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3)는 제1개구부(37)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43)의 피스톤(20)과 접촉을 하는 면은 원형의 피스톤(20) 형상에 대응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에 나사홈(43a)이 형성된다.
결국 사용자는 피스톤(20)의 그립부(22)를 회전을 시키고 피스톤(20)의 나사산(20a)가 고정부재(43)의 나사홈(43a)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스톤(2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3)의 제2개구부(38)에 대향하는 면에도 나사홈(43b)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레버(41)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41a)과 치합되고, 고정부재(43)는 레버(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손잡이부(30)의 공간(S)에서 좌, 우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3)에는 안내 레일(34)이 삽입되는 홈(43c)가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43)는 손잡이부(30) 내부 공간(S)의 상, 하면에 형성된 안내 레일(34)을 따라서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개구부(37)를 출입하게 된다.
탄성부재(45)는 고정부재(43)의 후면과 손잡이부(30)의 공간(S)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지지부(3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43)를 상기 제1개구부(37)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41)를 실린더(10) 측으로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재(43)는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20)가 접촉하고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레버(41)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부재(43)의 나사홈(43a)과 피스톤(20)의 나사산(20a)는 치합된 상태이고 피스톤(20)은 고정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는 피스톤(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피스톤(20)의 그립부(22)를 돌리면서 피스톤(2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재(43)의 후면에는 탄성부재(45)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45)를 고정하면서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부재(43)가 일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레버(41)는 사용자가 실린더(10)와 함께 잡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실린 더(10)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레버(4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고정부재(43)를 제1개구부(37)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고정된 피스톤(20)을 해제한다. 그리고 피스톤(20)은 고정부재(43)에 간섭없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레버(41)의 일부는 제2개구부(38)를 관통하여 손잡이부(30)의 공간(S)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2개구부(38)를 관통하여 손잡이부(30) 외부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노출된다. 그리고 실린더(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사용자는 실린더(10)와 함께 레버(41)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레버(41)의 중간 부분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은 손잡이부(30)의 공간에 형성되는 회전축(39)에 끼워진다. 그리고 레버(41)의 일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되고, 라운드 진 레버(41)의 일단에는 나사산(41a)이 형성되고, 나사산(41a)은 고정부재의 나사홈(41c)에 치합된다. 결국 사용자가 레버(41)를 실린더(10) 측으로 당기면 레버(41)는 회전축(39)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고정부재(43)를 제1개구부(37)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레버(42)의 제2개구부(38)를 통하여 실린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출되는 부분은 실린더 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레버(41)가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공간(41b)에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그립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으로 피스톤(20)의 그립부(22)를 잡는다. 그리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부(30), 손잡이부(30) 하부의 실린더(10) 및 레버(41)를 잡게 된다. 이 때 풍선(5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척추뼈나 혈관 등 인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다. 즉 풍선(50)은 혈관 사이에 삽입되어 혈관에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척추뼈 사이에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풍선(50)은 유체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척추뼈 삽입된다. 그리고 이 때 사용자는 레버(41)를 당기지 않은 상태이고, 고정부재(43)의 전면은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개구부(37)를 통하여 관통홀(33) 내부로 진입을 한 상태이다. 그리고 고정부재(43)의 나사홈(43a)는 피스톤(20)의 나사산(20a)와 치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피스톤(20)의 그립부(22)를 돌려서 피스톤(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실린더(10) 내부에 있는 유체는 출입부(12)를 통하여 풍선(5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풍선(50)의 부피가 커지면서 척추뼈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척추뼈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레버(41)를 실린더(10) 측으로 당긴다. 그러면 레버(41)는 회전축(39)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고정부재(43)는 레버(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제1개구부(37)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3)와 피스톤(20)는 분리가 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피스톤(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풍선(50) 내부에 유체가 유출되면서 풍선(50)은 원 크기로 복원된다. 그리고 풍선(50)에서 유출된 유체는 출입 부(12)를 통하여 실린더(1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풍선을 척추뼈에서 빼어낸 다음 풍선(5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뼈 강화제를 넣으면서 척추치료를 하게 된다.
결국 피스톤(20)은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10)에는 전, 후 방향으로 힘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30)가 실린더(10)를 둘러싸면서 형성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30) 전체를 잡으면서 실린더(10)의 일부를 같이 잡을 수 있어서,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를 전, 후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실린더(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풍선이 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가 흔들려서 사용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실린더(10) 및 손잡이부(30)를 잡으면서 고정한 상태에서 레버(41)를 조작을 할 수 있어서, 부풀려진 풍선(50)을 신속하게 원래의 크기로 복원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풍선(50)이 인체의 잘못된 부분에 삽입된 경우 신속하게 부풀어진 풍선(50)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을 하고 풍선을 인체의 정확한 지점으로 다시 삽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 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피스톤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피스톤과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실린더 20: 피스톤
30: 피스톤 고정부 33: 관통홀
37: 제1개구부 38: 제2개구부
40: 피스톤 고정부 41: 레버
43: 고정부재 50: 풍선

Claims (5)

  1. 피스톤;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끝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출입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인체에 삽입되고, 상기 출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의 출입에 따라 부피가 가변되는 풍선;
    상기 실린더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는 면에 제2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를 출입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피스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잡을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는 피스톤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2개구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레버의 일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라운드진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나사홈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공간에는 탄성부재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피스톤과 접촉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둘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피스톤과 접촉을 하는 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공간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안내 레일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KR1020090083707A 2009-09-04 2009-09-04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Active KR10113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707A KR101136056B1 (ko) 2009-09-04 2009-09-04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707A KR101136056B1 (ko) 2009-09-04 2009-09-04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78A KR20110025578A (ko) 2011-03-10
KR101136056B1 true KR101136056B1 (ko) 2012-04-18

Family

ID=4393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707A Active KR101136056B1 (ko) 2009-09-04 2009-09-04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4779B1 (en) 2011-05-06 2018-08-22 Merit Medical Systems, Inc. Mechanically assisted inflation device handle and method of use
USD726311S1 (en) 2012-06-13 2015-04-07 Fred Lampropoulos Mechanically assisted device handle
USD731054S1 (en) 2012-08-21 2015-06-02 Merit Medical Systems, Inc. Graduated inflation device
JP6885532B2 (ja) * 2013-08-16 2021-06-16 メリッ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erit Medical Systems,Inc. 高圧膨張装置及び使用方法
KR101638232B1 (ko) * 2014-07-01 2016-07-08 이병갑 풍선 확장기
USD876622S1 (en) 2016-09-19 2020-02-25 Merit Medical Systems, Inc. High pressure mechanically assisted device handle
CN111729179A (zh) * 2019-03-21 2020-10-02 杭州安杰思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引导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653B1 (en) * 1992-08-03 2001-10-02 Filiberto P. Zadini Cardiac resuscitation device for percutaneous direct cardiac massage
KR100910664B1 (ko) * 2009-04-16 2009-08-05 (주)비엠코리아 의료용 유체주입기 및 이의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6653B1 (en) * 1992-08-03 2001-10-02 Filiberto P. Zadini Cardiac resuscitation device for percutaneous direct cardiac massage
KR100910664B1 (ko) * 2009-04-16 2009-08-05 (주)비엠코리아 의료용 유체주입기 및 이의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78A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056B1 (ko) 인체 삽입용 풍선 부피 가변장치
US3500820A (en) Medical probe for injecting x-ray contrast medium into the body
US3999551A (en) Subcutaneous guide assembly
US20050222495A1 (en) Medical system with over-tube
WO2005030029A3 (en) Marking and guidance method and system for flexible fixation of a spine
EP3675755B1 (en) Surgical cord tensioning systems
EP0027704A3 (en) Surgical snare apparatus
WO2001078581A1 (fr) Endoscope et systeme endoscopique de l&#39;endoscope
CN104720882A (zh) 杆插入装置
EP2901942A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JP5993864B2 (ja) 内視鏡用処置具挿通具
RU22380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WO2012074426A1 (en) Device for concrements extraction from tubular structures
CN112107342B (zh) 血流控制器械
WO2013141011A1 (ja) 医療用チューブの制御ハンドル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装置
KR20200010846A (ko) 내시경치료용 치료기구의 조작정밀성 향상을 위한 이중튜브 및 이를 구비한 치료기구
EP0713374B1 (en) Surgical handle having a controlled leak passage
CN101810507B (zh) 扩张式椎体成形器
WO2017211493A1 (en) Cannulation device
EP3758654A1 (en) Spinal cage holder
KR102419387B1 (ko) 내시경 치료술용 치료기구 조작장치
KR101351822B1 (ko) 카테터
TWI830526B (zh) 脊椎穩定系統
JP6747800B2 (ja) 処置具挿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3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9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