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424B1 -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424B1 KR101135424B1 KR1020100025543A KR20100025543A KR101135424B1 KR 101135424 B1 KR101135424 B1 KR 101135424B1 KR 1020100025543 A KR1020100025543 A KR 1020100025543A KR 20100025543 A KR20100025543 A KR 20100025543A KR 101135424 B1 KR101135424 B1 KR 101135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idity
- control
- heating
- refrigerant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 난방, 가습 및 제습이 동시에 가능한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냉난방과 함께 정밀한 습도조절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냉방과 난방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매의 응축과 팽창시 발생하는 열을 재활용하여 냉난방이 가능한 동시에 적절한 습도의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제조, 고정밀 의약품, 미생물배양실, 박물관, 고서보관실 등과 같이 보관되어야 하는 혹은 처리가 되는 물질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정밀하게 조절되어야 하는 시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밀 온도조절과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는 어렵고 현재 널리 이용하는 방식으로 냉방과 난방을 겸비한 장치를 설치하고, 이 냉난방의 장치에 가습을 위하여 별도의 전열히팅가습장치나 초음파가습장치 등이 부설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열장치나 초음파 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별도의 히팅코일이나 초음파 발생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것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콘트롤 장치의 설치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냉매에 의한 냉난방 작동시, 냉매의 응축이나 팽창시 발생하는 열을 재활용하도록 하여 주는 동시에 모세관이 무수하게 형성된 다공성의 구조이면서 주름진 굴곡구조의 여재를 다층으로 구성하여주고, 이곳을 증발기와 보조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순환풍이 통과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현재 냉난방이 적용되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여 외부 콘덴서에서 낭비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제습도 가능하며, 가습은 포화증기압형태의 습입자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목표한 습도에 도달 할 수 있게 하여 초정밀 측정기, 서버, 각종 문화재, 서류 등이 보관된 곳에 대한 초정밀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capable of cooling, heat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precise humidity control with heating and cooling.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appropriate humidity at the same time capable of cooling and heating by recycling heat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and expansion of a refrigerant generated by cooling and heating.
Increasingly, facilities need to be precisely controlled in term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epending on the materials that must be stored or processed, such a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high-precision pharmaceuticals, microbial culture rooms, museums, and archives. Such precise temperature control and humidity control are difficult to achieve at the same time, and install a device that combines cooling and heating in a widely used manner, and a separate electrothermal heating humidifier or an ultrasonic humidifier is installed to humidify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have. Such a device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ing coil or ultrasonic generator fo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or the ultrasonic device, it is also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i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recycle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ndensation or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by the refrigerant,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of porous and corrugated curved structure in which the capillary tube is formed innumerably, and the evaporator and The circulation wind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was allowed to pa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by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room where current cooling and heating is applied, using waste heat that is wasted in an external condenser. Humidification is a super 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 by supplying wet particles in the form of saturated vapor pressure to reach the target humidity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high-precision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the places where servers, servers, various cultural assets, documents, etc. are sto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도조절과 습도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항온항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밀 습도제어에 의한 항온항습이 가능한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that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y precise humidity control.
본 발명은 온도조절과 함께 정밀한 습도 조절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precise humidity control with temperature control.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은 물론이고 각종 실험실, 보관실, 정밀제어장치들, 서버장치들, 정밀제품 생산시설 등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물질의 변화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거주공간 내의 각종 거주자, 동식물, 물품들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온도와 함께 상대습도에 의한 영향도 크다. 즉, 실내거주자와 이곳에 보관되는 각종물품과 동식물에 대한 온도와 습도의 영향은 거주자의 생활의 쾌적성확보를 보장하는 것이며, 보관실의 경우 보관물품의 변질성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고가의 서화류, 책자, 반도체, 실험기구, 초정밀 제어장치들.. 등 무수히 많은 것들이 온도와 습도에 따라 어떤 것은 치명적인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있다.Precise control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s required for not only the inhabited space but also various laboratories, storage rooms, precision control devices, server devices, and precision product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reason is that the change of matter is affected by various inhabitants, animals and plants in the living space with the change of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 it is also affected by relative humidity.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indoor residents and the various items and animals and plants stored therein ensure the comfort of the residents' lives, and the storage roo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terioration of the stored items. In particular, expensive books, booklets, semiconductors, laboratory equipment, ultra-precision control devices, etc., are expected to act as factors of fatal change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humidity.
이러한 관계로 본 발명자는 실내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공조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작 및 설치를 진행하여 오던 중, 실내의 습도가 온도와 함께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감안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한 냉난방 장치를 개발하였다. 특히 보관물의 변화를 막고자 습도를 제어하는 제습기능을 갖춘 냉난방장치를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제습을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콘덴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고자, 냉매의 일부를 실내로 재순환시켜 보조열교환기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면서 응축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실내공기의 습도를 제거하도록 하였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ndoor humidity has a serious influence with temperature while developing and manufactur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in the room. . In particular, we have developed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with a dehumidifying function to control humidity to prevent changes in storage. In order to use the waste heat generated from the condense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for dehumidification, the refrigerant was recycled to the room to remove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by heat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while condensing the refrigerant by an auxiliary heat exchanger.
이러한 냉매의 응축열을 재사용하여 제습을 하는 것으로 막대한 에너지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습외에 초정밀한 습도와 온도제어를 위하여 가습(加濕)의 필요성도 크게 대두하였다. 항온과 항습을 위해서는 제습도 중요하지만 역으로 가습도 함께 동작하여야 목적한 초정밀 항온항습이 가능한 것이다.By reusing the heat of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to dehumidify, a huge energy saving effect was obtained. However, in addition to such dehumidification, the need for humidification has increased greatly for ultra-precise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 Dehumidification is also important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ut in contrast, humidification must be operated together to achieve high precisio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습도는 자신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습기를 빨아들이는 물질을 ‘흡수성 물질’, 이에 반해 크기의 변화 없이 내부로 물을 빨아 들이는 물질을 ‘친수성(물과 친화적인) 물질’이라고 한다. 흡수성 물질은 주변 환경과의 균형을 이루려는 경향이 있어, 만일 습도가 높은 외부 공기에서 습기를 머금은 목재를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난방이 된 실내로 가져오게 되면, 그 목재는 머금고 있던 습기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갈라지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손상의 경우는 종이, 옷감, 기타 플라스틱 제품, 왁스, 과일, 채소 외 기타 물질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온도보다 더욱 심각하게 제품 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Humidity is called a "absorbent material" that absorbs moisture while changing its size, while a "hydrophilic (water-friendly) material" refers to a substance that draws water inside without changing its size. Absorbents tend to balance their surroundings, so if a wood containing moisture from high humidity outside air is brought into a room with relatively low humidity heating, the wood will retain the moisture it contains. Will be released into the air. In the process, changes in shape such as cracking and bending occur. Such damage is also common in paper, cloth, other plastic products, waxes, fruits, vegetables, and other materials, which adversely affect product production more seriously than temperature.
변형으로부터 흡수성 물질의 보호를 위해서는 그 습도 및 환경을 일정하게 안정시켜야 한다. 공기 중 습도가 너무 낮으면 가습을 실행해 주고, 너무 습도가 높으면 제습을 실시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To protect the absorbent material from deformation, its humidity and environment must be kept constant. If the humidity in the air is too low to perform the humidification, if the humidity is too high to dehumidify.
반도체, IT 관련 첨단 산업을 비롯해 정전기 문제에 민감한 산업이 점차 늘어 나는 추세다. 상대습도가 35% 이상 유지되면 정전기는 현저히 줄어드는데, 이 때문에 습도 조절이 중요하게 된다. Increasing numbers of industries sensitive to static electricity issues, including advanced industries in semiconductors and IT, are increasing. If the relative humidity is maintained above 35%, the static electricity i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is why humidity control becomes important.
오늘날 황사,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된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Today, more time is spent working in confined indoor spaces, which are blocked from outside air inflows due to yellow dust and air pollution.
이러한 실내에서 적절한 습도 조절을 통해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고, 나아가서 실내 온도 유지를 통해 건물 내부의 열 손실을 막아 냉/난방 비용의 절감 효과도 노릴 수 있다. In this room, proper humidity control can be used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and further, by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heat / heating costs by preventing heat loss inside the building.
따라서 냉방, 난방, 제습의 기능외에 가습(可濕)을 겸비하여야 하는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즉, 제습과 가습이 초정밀로 제어되어야만 목적한 습도를 정확하게 유지가능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to combine humidifica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cooling, heating, and dehumidification. In other words, the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must be controlled with high precision to maintain the desired humidity accurately.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구현하여 설치장소에 대한 항온(恒溫)과 항습(恒濕)을 유지하면서, 보관물의 특이성에 기인한 종자류, 식물, 박물관의 유물 등의 경우 제습의 필요성이 대두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가습과 제습의 동시적인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종자를 보존할 경우 단순히 항온 항습만이 아니라 종자의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습도를 함께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제습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면서 일정 수준이하로 습도가 낮아지면 동시에 적절한 습도의 공급이라는 상당히 복잡한 시스템의 구성이 요구되어 지는 것이다.By maintaining cooling and heating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necessity of dehumidification in the case of seeds, plants, and museum artifact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torage is emerging. There is a simultaneous need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to maintain humidity. In other words, when preserving seeds, not only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ut also proper humidity should be maintained together to keep the activity of seeds constant. In other words, if the humidity is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while the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level, the construction of a fairly complex system of supplying adequate humidity is required.
동일한 형태로 고서화, 도서, 조각품, 생활민예품 등의 경우 항온기능과 함께 적절한 습도의 유지를 함께 병행하여야만 그 보관물품의 최적상황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In the same form, old books, books, sculptures, and everyday folk crafts can be maintained in optimal condition only when they have a constant temperature function and proper humidity.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항온항습시스템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 일정한 용기내에 (+)(-)의 전극을 배치하고, 이 용기내에 물을 충진한 다음, 전기를 통전시켜 물이 비등하도록 하는 방식, 초음파에 의한 가습장치, 용기의 저면에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가열하는 가습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가습장치를 항온시스템에 병설하고 있다.To meet these demands, a widely used method as part of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is to place a positive (-) electrode in a constant container, fill the container with water, and then energize it so that the water boils. Various humidifiers are installed in a constant temperature system such as a humidifier by ultrasonic waves and a humidifier for heating by installing a heating device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상기한 가습장치중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는 방식은 용기내에 전극을 놓고 비등(沸騰)처리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에는 가습기능에 문제가 없지만, 사용시간이 경과하면서 (+)전극에는 음이온(주로 유기질 성분)이 (-)전극에는 양이온 성분들( 주로 Na, Mg, Ca, Fe 등의 금속이온들)이 흡착하여 일종의 부동태(不動態)형상의 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이 부동태층으로 인하여 전기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가습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져 일정시간 별로 그 전극에 대한 보수유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형 시스템에 있어 이러한 보수 유지는 전부 인력에 의하여 진행이 되면서 사실상 정확한 보수유지가 되지 못하는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가습입자의 크기가 2 내지 4 ㎛이다.The most widely use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humidifier is the method of placing the electrode in the container and boiling it and supplying it. This method has no problem in the initial humidification function, but as time passes, anion (mainly organic component) is applied to the (+) electrode and cationic components (mainly Na, Mg, Ca, Fe, etc.) are applied to the (-) electrode. Is adsorbed to form a kind of passivation film. Therefore, as time passes, the flow of electricity is blocked due to the passivation layer, so the humidification func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ode is required for a certain time. However, in a large system, such maintenance is all performed by manpower, exposing the problem of inaccurate maintenance. In this way, the size of the humidifying particles is 2 to 4 ㎛.
또 다른 형태인 초음파에 의한 가습의 경우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발생된 물방울이 공기중에 충분히 산포하여 주지 못하고 그 대부분은 저면에 낙하하여 버린다. 그리고 초음파 발생장치 역시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표면에 부동태의 막을 형성하게 되어 이 역시 일정간격으로 보수유지가 되어야 함에도 현실은 인력부족과 사용자의 무지에 의하여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초음파에 의한 가습입자는 0.3 내지 10 ㎛이다.In another form of humidification by ultrasonic waves, the water droplets generated by ultrasonic waves are not sufficiently dispersed in the air and most of them fall to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or also forms a passivation film on the surface as the use time elapses, and this should also be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The humidified particles by this ultrasonic wave are 0.3 to 10 m.
상기한 구성의 또 다른 문제는 가열에 의한 가습시, 발생한 습기에 잠열을 갖고 있어 이 잠열의 발산으로 냉방의 경우 냉방효율를 낮추게 한다. 그리고 이 가열장치에 대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이 전원장치를 설치 장소의 습도에 따라 콘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 부피의 증가 그리고 원가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Another problem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latent heat in the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humidification by heating, and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in the case of cooling by the release of this latent heat. In addition,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for this heating device should be installed, and a separa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installation site should be installed. Occurs.
에너지 절감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일부 히트펌프식으로 고온상태의 냉매를 유입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냉매의 일부를 유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관을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이 냉매가 지나도록 물탱크를 설치하여야하며, 특히 냉매의 공급으로 인한 물의 가열이 정확하게 원하는 수준의 습도를 공급하기 위하여 콘트롤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냉방이 충분히 이루어져 냉매순환이 크지 않을 경우 가열을 위한 고온의 냉매가 불충분하게 된다. 결국 불충분한 고온냉매를 대신하여 별도의 가열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목적한 수분의 가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난방의 경우에는 가열을 위한 고온냉매가 실내에 전부 공급이 되므로, 물의 가열을 위한 충분한 냉매의 공급이 부족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방식은 정밀한 습도 제어가 불필요한 범용의 구조물에 사용이 가능하며, 수십 수백억에 달하는 고서화, 종자보관, 귀금속 등의 보관실에는 적용이 어렵다.In order to save energy and improve efficiency, some heat pump type is used to inject the refrigerant at high temperature to heat the water. However, this structure has no problem in installing a conduit to allow a part of the refrigerant to flow in. However, a water tank must be installed so that the refrigerant passes. In particular, the heating of the water by the supply of the refrigerant provides a precisely desired level of humidity. To control it is very difficult. If the cooling is sufficiently made a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is not large,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or heating is insufficient. As a result, if a separate heating device is not installed in place of the insufficient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the desired moisture cannot be humidifi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heating, since all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or heating is supplied to the room, supply of sufficient refrigerant for heating of water is insufficient. After all, this method can be used in general-purpose structures that do not require precise humidity control,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storage of billions of billions of old books, seed storage, and precious metals.
이외에도 스팀분사식의 경우 가습입자가 2 내지 4 ㎛이고, 미세노즐에 의한 직접 분사식의 경우에는 15 내지 0.0024 ㎛이다. In addition, humidification particles are 2 to 4 µm in the case of steam spraying, and 15 to 0.0024 µm in the case of direct injection using a fine nozzle.
이러한 가습입자의 크기가 크고 불일치하게 되면 습도를 높이는데 이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이 그대로 낙하하여 시설물 저면을 적셔주는 현상만 일으키고 있다. 즉, 가습입자를 가능한 작게 만들수록 가습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If the size and inconsistency of these humidifying particles are not used to increase the humidity, most of them fall as it is, only the phenomenon of wetting the bottom of the facility. In other words, the smaller the humidifying particles as possible, the greater the humidification effect.
항온항습에서 항습을 이루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정하고 공급되어져 있는 팬타입(상기한 +,- 전극에 의한 비등에 의한 수증기공급)의 경우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Problems in the case of the fan type (steam supply by boiling by the + and-electrodes described above), which is recognized and most effective for achieving humidity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as follows.
실내의 높은 온도의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므로 냉각이 된다. 이러한 냉각순환사이클에서 온도가 낮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액화되어지므로 내부의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냉각사이클의 순환으로 온도를 낮추면서 상대습도도 낮아지게 되는데, 이 상대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상기한 팬타입 가습기가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발생한 수증기는 물의 비등온도인 100℃에 거의 근접한 온도이므로, 이것이 열교환기에 접하게 되면 전기가열로 억지로 높여준 수증기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면서 재응축이 일어나게 된다. 즉, 공급된 수증기의 대부분이 열교환기 통과하면서 거의 사라지게 되므로 사실상 실내측 습도는 올라가지 못하고 계속 수증기 공급을 위한 전기가열, 그리고 수증기에 의한 열교환기에서의 재응축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다시 냉각사이클이 순환하여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 고도의 항온항습을 제어할 수 있으면서 냉난방을 겸하기 위한 장치라고 설치되어 있지만 그 효율성이 낮아 다시 별도의 가습기 혹은 제습기를 냉난방 시스템과 별도로 설치운영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The air in the room is cooled because it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In this cooling circulation cycle, the condensation liquid is passed while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having a low temperature, thereby lowering internal humidity. Therefore, the relative humidity is also lowered while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circulation of the cooling cycl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ative humidity, the separate fan-type humidifier operates. The steam generated by this operation is close to the boiling temperature of water at 100 ° C., so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the condensation occurs as the temperature of the vapor that is forcibly increased by electric heating is momentarily lowered. That is, since most of the supplied water vapor disappears almost as it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the humidity in the room does not actually rise, and the cooling cycle is circulated again due to electric heating for continuous water supply and temperature rise by recondensation in the heat exchanger by water vapor. The vicious cycle that should be done is repeated. Therefore, although it is installed as a device that can control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ctual high-temperature, but also the efficiency is low, the current situation is to install and operate a separate humidifier or dehumidifier separately from the heating and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냉매를 이용한 항온항습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장치나 초음파 장치의 이용이 없이 정밀한 제습과 가습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precise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or ultrasonic device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using a refrigerant.
본 발명은 특히 전극에 의한 가열장치나 초음파 장치와 같이 일정 주기별로 보수유지가 필요없이 장기간에 걸쳐 가습이 가능한 항온항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that can be humidified for a long time without the need for maintenance by a certain period, such as a heating device or an ultrasonic device by the electrode in particular.
본 발명은 습도의 조절을 위한 가습입자의 크기를 자연상태에서 공급되는 가장 미세한 입자크기인 자연기화식으로 최소화하여 자연상태의 가습과 동일한 형태로 습도조절이 가능하게 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control the humidity in the same form as the humidification of the natural state 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humidifying particles for the control of humidity to the natural evaporation of the finest particle size supplied in the natural state.
본 발명은 습도조절에 있어 자연계에서 공급되는 습도공급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연스러운 습도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고장이 없고, 특히 유지관리를 위한 전기소모가 극히 적은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device with a natural humidity supply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umidity supply from the nature in the humidity control, there is no failure even in the long-term use, in particular, very low electricity consumption for maintenance.
본 발명은 실내기에 열교환장치, 리히팅장치 그리고 모세관가습장치를 하나의 구조물로 일체화하여 설치하여 버려지는 응축열을 재활용하는 동시에 냉방, 난방, 제습 및 가습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oling, heating,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while recycling the waste heat of condensation installed by integrally installing the heat exchanger, the heating device, and the capillary humidifier in one indoor unit.
본 발명은 특히 막대한 가열전원이나 구동장치, 제어장치가 필요없이 자연스러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모세관장치에 의하여 통과공기의 현열(顯熱)에 의하여 물을 기화증발하도록 하여 가습이 가능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humidify the water by evaporating water by the sensible heat of the passing air by a capillary device which induces natural water flow without the need for enormous heating power, driv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습도의 조절에 있어 전기가열장치, 초음파장치와 같은 고가이면서 관리가 어려운 장치의 사용이 없이, 상부에서부터 자연스럽게 물이 미세한 모세관을 통하여 흘러내리면서 실내순환풍에 접하게 하여 습도의 조절이 자연계의 습도 공급과 동일하게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use of expensive and difficult to manage devices such as electric heating device, ultrasonic device in the control of humidity, water flows naturally through the fine capillary tube from the top to contact the indoor circulating wind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natural system The same as the humidity supply of.
본 발명은 특히 증발식인 동시에 적하(滴下)식의 독자적인 셀프클리닝(자정작용)에 의해 특별한 수처리가 필요 없고 기타 방식의 문제점인 장시간 경과후의 무기물질 침착으로 형성되는 백분(白粉)의 비산이 없는 크린 가습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special water treatment by self-cleaning (self-cleaning) of evaporation and dripping, and does not require scattering of white powder formed by inorganic material deposition after a long time, which is a problem of other methods. Humidific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또한 기존의 전극식, 초음파식 혹은 가열식과 같은 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장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fundamentally solves the problem of failure in existing electrodes, ultrasonic or heated devices.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구조로 열교환부, 보조열교환부 그리고 기화식 가습부의 일체식 설치로 온도조절과 습도조절이 임의로 가능하게 되었다.With the structure of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 and the humidity control are arbitrarily enabled by the integral installation of the heat exchanger,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and the vaporization humidification unit.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구성은 열교환부와 보조열교환부에 냉매를 공급하되, 보조열교환부는 실외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사용하도록 하여 제습이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In the configuration of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and the subsidiary heat exchanger, and the subsidiary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to reuse waste heat generated in an outdoor condenser so that dehumidifica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본 발명에서 기화식가습부는 보조열교환부의 후면에 부착설치하여 순환공기가 관통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과 제습가습이 동시에 가능한 공조장치를 제공하게 되어, 보조열교환부에서는 제습기능을 발휘하며, 모세관 가습부에서는 가습기능이 발휘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ive humidification unit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pable of cooling and heating and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ary heat exchange,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in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n the capillary humidifier, the humidification function was exerted.
상기한 장치로 인하여 전기가열장치나 초음파장치와 같은 기구의 설치가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단순화는 고장이 전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장의 발생이 없게 되면서 전극의 관리나 초음파발생장치의 관리와 같은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없게 되어 비용절감을 극대화하였다.Due to the device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pparatus such as an electric heating device or an ultrasonic device.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this structure is no failure. Since there is no occurrence of such a failure, there is no need for maintenance such as electrode management or ultrasonic generator management, thereby maximizing cost reduction.
본 발명은 특히 가열장치에 의한 수증기 발생인 경우 수증기가 다시 실내에서 수증기에 함유한 잠열을 방출하게 되면서 실내 온도를 상승시켜 주게 되어, 이 실내 온도 상승으로 한 냉방사이클을 다시 회전동작하면서 에너지 소모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heating device to increase the room temperature while releasing the latent heat contained in the steam in the room again, the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while rotating the cooling cycle of the room temperature rise again There is no problem.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기화식가습부는 세라믹재(101)들이 각각의 좌편굴곡부(102)우편굴곡부(103)이 서로 접하도록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을 형성하며,The evaporative humidifying part of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through
프레임의 상부에는 분무도관(107)이 횡배치되어져 측면의 공급조절콘트롤부(108)의 조절에 의하여 노즐(109)로 부터 점적 공급가능하도록 배치하였다. 따라서 모세기공들이 연속적으로 파형으로 구성되어져 이들이 좌우가 서로 굴곡부가 만나서 통공을 구성하게 되면서 이곳을 통하여 도 3의 가와 같이 공기가 순환하면서 노즐을 통하여 내려오는 물이 자연스럽게 기화되어 공급이 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습(濕)입자는 포화공기형태로 0.002㎛이하의 극미세 입자로 단위시간안에 공급된 수분이 전부 습도 상승으로 가용되어 지므로 목표습도의 도달에 가장 최단시간안에 도달이 가능하다.The
또한 본 발명은 공급하는 세라믹재의 미세 공극에 의하여 부수적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미세먼지 혹은 유기휘발물질 등의 흡착 기능과 세정효과를 동시에 발휘하여 실내를 가장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어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adsorption function and cleaning effect of various fine dust or organic volatiles incidentally occurring in the room by the micro voids of the ceramic material to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to make the room closest to nature.
본 발명의 청구항 4 항기재의 발명은 모세관 가습부의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이 상측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게 하여, 도3에 도시하듯이 공급되는 공기가 하부에서 상측으로 통공을 따라 진행하여 공급되는 수분이 상부에서 하부로 서서히 하강하면서 실내에 균질한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본 발명의 청구항 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의 1차냉매로(11)의 분지부(12)에서 분지 된 1차분지로(11a)는 필터드라이어(21)와 제어밸브(22)를 통하여 팽창밸브(70)와 연결하도록 하며,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branch passage 11a branched from the
상기한 1차냉매로에서 분지 된 2차분지로(11b)는 체크밸브(23)과 제어밸브(24)를 통하여 디스트리뷰터(25)에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조열교환기(30)에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공급받아 제습에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한 제어밸브(22)(24)의 적절한 온.오프제어에 의하여 제습의 기능이 가습의 기능으로 전환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기화식가습부(100)를 통하여 가습이 이루어지게 되었다.The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구성은 가습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필요시에 최단시간안에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의 가습은 중단하고 하부의 수저장조만 이용하여 습도의 정밀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6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upply water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umidifying part, so that the humid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shortest time when necessary. If necessary, the upper part of the humidification can be stopped and the lower water reservoir can be used to precisely control the humidity.
본 발명의 청구항 7 은 고온의 냉매가 수저장조에 통과하면서 부분적으로 응축액화가 이루어져 수저장조의 물을 가온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가습용 물이 일정온도로 상승되어져 모세관가습기를 통과하면서 자연기화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냉매의 응축액화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냉난방사이클 전체로 보았을 때 효율이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Claim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is partially condensed liquid is made to warm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refore, the water for humidification is raised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natural vaporization is made more efficiently while passing through the capillary humidifier, and the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is mad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when viewed in the entire cooling and heating cycle.
청구항8의 경우에는 2차냉매로(3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외에도 실내습도가 과할 경우 분기로(76)을 개방하여 보다 많은 양의 냉매가 보조열교환부(30)에 공급되어 제습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claim 8, in addition to the high-temperature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secondary
도 1 은 본 발명의 실내측 열교환부, 보조열교환부 그리고 기화식가습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모세관 가습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 냉난방제습가습의 회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and the vaporized humidific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assembled;
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illary humidif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ntire air-conditioning and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냉난방 그리고 제습과 동시에 가습이 동시에 가능한 모세관 가습장치를 설치한 항온항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equipped with a capillary humidifier capable of simultaneously heating and cooling and dehumidifyin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가습에 있어 자연스러운 순환풍에 의한 증발을 유도하여 공급되는 실내순환공기중에 가장 자연스러운 습도의 공급이 가능하게 한 모세관 가습장치를 설치한 항온항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in which a capillary humidifier is provided which enables the supply of the most natural humidity in indoor circulation air supplied by inducing evaporation by natural circulation wind in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냉방, 난방, 제습 그리고 가습 사이클이 동시에 겸비되어진 항온항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ystem combined with cooling, heating, dehumidification and humidification cycle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냉방사이클은 실외측에 콘덴서(C), 콤프레서(C1) 그리고 어큐뮤레이터(A)를 설치하는 동시에 콘덴서측과 실내측 열교환부에 동시에 팽창밸브를 병설하여 주도록 하며, 특히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실외측 콘덴서에서 응축하여 응축된 냉매가 실내측에 공급토록 하여 실내측 열교환기의 사이에서 인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며,Specifically, the cooli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condenser (C), a compressor (C1) and an accumulator (A) on the outdoor side, and at the same time to install an expansion valve at the same time in the condenser side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condenser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supply the condensed refrigerant to the indoor side to cool the air introduc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난방사이클은 또한 실외측의 콘덴서에 실외의 팽창밸브(70a)를 통하여 냉매를 공급하고, 실내측의 열교환부에는 콤프레서에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도록 하여 상기한 냉방장치와 반대되는 난방이 되도록 구성하며,The heating cycle also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outdoor condenser through the outdoor expansion valve 70a, and condense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to the heat exchanger on the indoor side so that the heating opposite to the above cooling device is prevented. To ensure that
제습사이클은 또한 콘덴서에서 응축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중 일부를 보조열교환부에 순환시켜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절대습(絶對濕)은 증발기에서 결로(結露)현상에 의하여 응축제거하고 온도가 낮은 포화공기형태의 습입자(濕粒子)를 보조열교환부에서 리히팅하여 실내측의 공기를 건조, 드라이시켜 상대습도(相對濕度)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제습이 되도록 구성하며,The dehumidification cycle also circulates some of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secondary heat exchange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while absolute humidity condenses and removes condensation from the evaporator. It is configured to dehumidify to keep the relative humidity low by drying and drying the air in the room by heating the wet particles in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가습 사이클은 상기한 냉방, 난방 그리고 제습 사이클과 함께 보조열교환부와 평행되게 모세관 가습장치로 구성된 기화식 가습부를 설치하여 냉방은 물론 난방사이클에서도 가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세관 가습장치는 모세관이 형성되어진 굴곡이 많은 주름형태로 순환풍이 이곳을 통과하면서 자연스러운 물의 기화(氣化)작용으로 가습동작이 이루지도록 하였다.The humidification cycle wa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auxiliary heat exchange unit along with the above cooling, heating, and dehumidification cycles to install a vaporized humidification unit composed of a capillary humidifier so that humidification is precisely performed in the heating cycle as well as cooling. The capillary humidification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allow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to be effected by the evaporation of natural water while the circulation wind passes through the corrugated form in which the capillary tube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냉방사이클은 실내측에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필터드라이어(21), 팽창밸브(70)를 거쳐 열교환부(10)에서 저온저압으로 상변화하며, 이 저온저압의 냉매는 실외측의 4방밸브(77)에 의하여 어큐뮤레이터(A)로 유도하여 콤프레서(C1)에 의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다음 콘덴서(C)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액화하도록 구성하며,In the cooli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hase changes into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in the
본 발명의 난방사이클은 상기한 냉방사이클과 반대로 고온고압의 냉매를 열교환부(10)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액화하며, 이 냉매는 실외측의 4방밸브에 의하여 실외측의 팽창밸브(70a)와 콘덴서(C)를 거쳐 저온저압으로 상변화하도록 구성하며,In the heati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condensed by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in the
본 발명의 제습사이클은 실외측 콘덴서(C)의 고온고압의 냉매의 일부를 별도의 2차냉매로(31)를 통하여 증발기의 전면에 위치한 보조열교환부(30)로 직접 공급하도록 하여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추도록 구성하며,In the dehumidification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of the outdoor condenser C is directly supplied to the
본 발명의 가습사이클은 열교환부(10)의 후면측(실내측)에 보조열교환부(30)와 기화식가습부(100)를 순환풍(가)이 모두 관통하도록 병렬설치하여 가습동작이 이루지도록 구성하였다.In the humidification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is achieved by installing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한 가습사이클에서 기화식가습부에 공급하는 수분을 냉난방 사이클에서 냉매의 응축액화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가열처리한 다음 가습용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cycle in the humidification cycle is partially heated by using heat generated when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and heating cycle, and then supplied for humidification.
이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1의 부분확대도를 기초로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ased on the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1 specifically showing,
본 발명에서 열교환부의 전면 하측에 1차냉매로(11)를 배치하도록 하되 1차냉매로(11)의 중간에 분지부(12)를 설치하여 1차냉매로가 2차냉매로(31), 1차분지로(11a) 그리고 2차분지로(11b)로 분지되었다. 여기서 1차분지로(11a)는 팽창밸브(70)와 연결하여 열교환부(10)로 연결하며, 2차냉매로(31)는 보조열교환부(30)와 연결하고, 이 보조열교환부에서 응축액화된 냉매는 냉매로(32)를 따라 다시 분지부(12)로 연결된다. 분지부에서 분리한 4차냉매로(11c)는 디스트리뷰터(25)의 하부에 직결되도록 구성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서 가습사이클의 기화(氣化)식가습부는 증발기와 보조열교환부를 통과한 순환공기가 관통가능하도록 배치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ive humidification part of the humidification cycle is arranged to allow passage of the circul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기화식가습부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된 세라믹 재질이 필요한 가습의 속도, 가습량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하여 준 구조이다. 세라믹 재질이란 석영, 장석, 운모와 같은 조성광물을 기본소재로 하여 고온소성한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판상의 구조물로 구성하면서, 파형을 이루도록 하여 내부에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져 있고, 이 주름사이에는 순환풍이 굴절이 되면서 통과하도록 순환풍의 흐름을 변화유도하여 가능한 많은 면적을 공기가 접하도록 유도하였다. Inside the vaporized humidification unit is a structure in which a ceramic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pores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according to the required speed and humidification amount. Ceramic material is a material that is high-temperature fired by using composition minerals such as quartz, feldspar, and mica as a bas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rinkles are formed inside the plate structure to form a wave shape, and there is a circulation between the wrinkles. As the wind is deflected, the flow of the circulating wind is changed to pass so that the air is contacted as much as possible.
즉, 프레임(110)에 의하여 박스형태로 구성된 내부에 파형구조의 세라믹재가 병렬형태로 배치되어 진다. 이렇게 구성한 세라믹재에는 모세기공(106)들이 기공들간에 연결이 되도록 형성한 세라믹재(101)들이 각각의 좌편굴곡부(102)와 우편굴곡부(103)들이 서로 접하도록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을 형성하며,That is, the ceramic material of the corrugated structure is arranged in a parallel form inside the
프레임의 상부에는 분무도관(107)이 횡배치되어져 측면의 공급조절콘트롤부(108)의 조절에 의하여 노즐(109)을 통하여 공급조절콘트롤부에서 설정된 양의 물이 세라믹재의 상측으로 점적(点滴) 분무하도록 배치하였다.Spra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기화식가습부의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이 상측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형성하여, 실내 순환하는 공기가 상향하도록 하여 습기가 실내에 고르게 분산하도록 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화식가습부는 단위부피(1㎥)당 10 내지 23 ㎏/시간의 비율로 가습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공급되는 수분은 일반적인 초음파 혹은 전극가열식의 수분과 달리 포화공기형태의 0.002 내지 0.003㎛이하의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져 최단시간안에 목적한 습도를 이루게 한다. 초음파가습기나 스팀방식의 대형 수분입자처럼 일부만이 공기중에 분산되고 대부분의 입자는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과 달리 공급된 수분입자가 전부 대기중에 분산되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미세입자로 10㎛이하의 크기는 인체의 기관지 모세관을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분은 0.002 내지 0.003㎛로 구성되어져 있어 수분이 필요로 하는 일반 종자, 고서화, 조각이나 미술품, 각종 정밀운용 시스템등에 100% 활용돼 최단시간안에 목적한 수분농도를 유지하게 한다.Evaporative humidification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humidified at a rate of 10 to 23 kg / hour per unit volume (1 ㎥). In particular, the water supplied is composed of fine particles of 0.002 to 0.003 ㎛ or less in saturated air form unlike the general ultrasonic or electrode heating moisture to achieve the desired humidity in the shortest time. Like the ultrasonic humidifiers or large-sized water particles in the steam system, only some of them are dispersed in the air and most of the particles fall to the bottom, whereas all of the supplied water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atmosphere. In general, the microparticle size of less than 10㎛ will pass through the bronchial capillary of the human body as it is. Therefore, the mois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0.002 to 0.003
본 발명에서 열교환부의 1차냉매로(11)의 분지부(12)에서 분지 된 1차분지로(11a)는 필터드라이어(21)와 제어밸브(22)를 통하여 팽창밸브(70)와 연결하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branch furnace 11a branched from the
상기한 1차냉매로에서 분지 된 2차분지로(11b)는 체크밸브(23)와 제어밸브(24)를 통하여 디스트리뷰터(25)에 연결한다.The
본 발명에서 1차냉매로(11)는 실외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통과하는 주요 냉매흐름로인 동시에 본 응축기에서 일부를 유입하여 재순환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한 열교환부(10)가 냉방과 난방으로 겸용이 되어, 냉방시에는 저온액상 냉매가 통과하며, 난방으로 사용시에는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통과하는 응축기로 역활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반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으로 도 4 에 도시한 것은 기화식 가습부의 프레임의 하부에 수저장조(200)를 설치하며, 상기한 수저장조에 세라믹재(101)들의 하부가 수저장조의 저장된 물에 부분침지토록 구성하는 것이다. In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is installed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한 수저장조(200)로 실외측의 콘덴서(C)에서부터 1차냉매로(11)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 일부를 유도하여 콘덴서로부터 유출되어가는 폐열을 이용하여 수저장조의 물을 일부 가온처리한 다음 기화식가습부에 공급하여 보다 효율적인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콘덴서를 통과하여 고온을 유지하는 냉매가 이 수저장조를 통과하면서 가습을 위한 물을 일정하게 가열처리하며, 냉매자체도 부분적이지만 액화가 이루어져 전체 사이클로 보았을 때 효율을 높이면서 가습용 물의 가온으로 가습효과도 더욱 상승하게 한다. In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heat flowing out of the condenser by inducing a part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이러한 구성은 상부에서 점적하는 구성과 겸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겸비할 경우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수분 공급이 이루어져 가습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configur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of dropping from the top or may be used alone. If combined, the moisture is supplied at the top and bottom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humidification can be made more quickl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제습의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4방밸브(77)에서부터 연결된 분기로(76)에 의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유출분기하여 증발기의 후면에 위치한 보조열교환부(30)로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보조열교환부에 공급되는 상대습도를 낮추기 위한 냉매가 콘덴서와 함께 4방밸브에서의 냉매까지 합하여 공급하므로 제습이 급속하게 이루질 수 있는 것이다. 분기로(76)과 2차냉매로(31)의 접속부위에는 별도의 오토콘트롤밸브(76a)를 설치하여 실내의 습도에 따라 필요한 만큼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제습효과를 조절하게 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of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is diverted by a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al features,
실내측에 설치된 습도센서에 의하여 실내의 습도가 부족한 경우에 프레임(110)에 의하여 박스형태로 구성된 내부에 파형구조의 세라믹재의 상측에 분무도관(107)이 횡배치되어져 측면의 공급조절콘트롤부(108)의 조절에 의하여 노즐(109)을 통하여 물을 점적(占滴) 낙하하게 된다. When the indoor humidity is insufficient by the humidity sensor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the
낙하하는 물은 세라믹재의 모세기공(106)들을 통하여 서서히 하부로 전진한다. 이러한 전진의 과정에 세라믹재(101)들이 서로 접하면서 구성한 좌편굴곡부(102)와 우편굴곡부(103)들에 의한 통공(105)으로 도 3과 같이 공기가 순환하면서 세라믹재의 모세관 속에 있는 수분을 기화시켜준다. The falling water slowly advances downward through the
이러한 기화방식은 자연계에서 벌어지는 일반적인 기화방식으로 발생된 수분입자와 거의 동일한 형태의 0.0024 마이크로 미터(㎛) 정도의 극미(極微)구조이다. 일정한 습도에 도달하면 공급조절콘트롤부에 신호를 주어 분무도관에 대한 물공급을 중단하여 습도의 상승을 막는다. This vaporization method is an ultra-fine structure of about 0.0024 micrometers (µm) having almost the same shape as the water particles generated by the general vaporization method in nature. When a certain humidity is reached, a signal is supplied to the supply control control unit to stop water supply to the spray conduit to prevent the increase in humidity.
반대로 제습의 경우에는 분무도관에 대한 물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열교환부(10)에 실외기의 콘덴서(C)로 부터 분지하여 고온고압의 냉매를 입부 공급받아 보조열교환부(3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 지면서 응축이 된다. 이러한 응축열에 의하여 실내공급된 공기에 대한 절대습(絶對濕)은 응축제거하고 온도가 낮은 포화공기형태의 습입자(濕粒子)를 보조열교환부에서 리히팅하여 실내측의 공기를 건조, 드라이시켜 상대습도(相對濕度)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제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동일한 형태로 목적한 습도에 도달하면 보조열교환기에 대한 냉매공급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제습을 차단하여 통상의 냉방 혹은 난방 사이클을 동작시켜주게 된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ehumidification, the water supply to the spray conduit is cut off from the condenser (C) of the outdoor unit in the state of blocking the water supply to the spray conduit. Condensation occurs. Absolute humidity against the air supplied by the heat of condensation is condensed and the wet air of low temperature saturated air type is heated in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to dry and dry the air in the room. The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to keep the relative humidity low. In the same form, when the desired humidity is reached, the refrigerant supply to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is blocked to block further dehumidification to operate a normal cooling or heating cycle.
10:열교환부 1: 필터드라이어, 70:팽창밸브, 77: 4방밸브, A:어큐뮤레이터, C1:콤프레서, C:콘덴서, 70a:팽창밸브, 31:2차냉매로, 30:보조열교환부, 100:기화식가습부, 가: 순환풍10: heat exchanger 1: filter drier, 70: expansion valve, 77: 4-way valve, A: accumulator, C1: compressor, C: condenser, 70a: expansion valve, 31: secondary refrigerant, 30: auxiliary heat exchange Part 100: vaporization humidification part, part: circulation wind
Claims (8)
상기한 냉방사이클과 반대로 실내측에서 고온고압의 냉매를 열교환부(10)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액화하며, 이 응축액화된 냉매는 실외측의 팽창밸브(70a)와 콘덴서(C)를 거쳐 저온저압으로 상변화하도록 구성한 난방사이클,
상기한 냉방사이클에서 실외측 콘덴서(C)의 고온고압의 냉매의 일부를 별도의 2차냉매로(31)를 통하여 증발기의 후면에 위치한 보조열교환부(30)로 직접 공급하도록 하여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추도록 구성한 제습사이클,
상기한 냉방 및 난방 사이클에서 실내측 열교환부(10)의 후면측에 보조열교환부(30)와 기화식가습부(100)를 순환풍(가)이 모두 관통하도록 병렬설치하여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가습사이클로 구성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On the indoor sid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phase changes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 to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via the filter drier 21 and the expansion valve 70, and the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four-way valve 77 on the outdoor side. A cooling cycle consisting of a cycle of inducing the accumulator (A) to compress i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C1) and then condensing the liquid by the condenser (C),
In contrast to the cooling cycle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condensed by exchanging heat with the indoor air in the heat exchange unit 10,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passes through an expansion valve 70a and a condenser C on the outdoor side. Heating cycle configured to change phase at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In the cooling cycle, a portion of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of the outdoor condenser C is directly supplied to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30 located at the rear of the evaporator through a separate secondary coolant 31 to pass through the evaporator. Dehumidification cycle configured to lower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In the cooling and heating cycles,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30 and the vaporized humidifier 100 are installed in parallel to allow the circulation air to penetrate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 so that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precise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composed of configured humidification cycles.
제습사이클은 열교환부(10)의 전면 하측에 1차냉매로(11)를 배치하여 팽창밸브(70)와 연결하도록 하는 동시에 1차냉매로(11)의 중간에 분지부(12)를 설치하여 상기한 팽창밸브와 연결하여 주도록 하되,
2차냉매로(31)를 통하여 실외의 콘덴서(c)와 보조열교환부를 연결하고, 이 보조열교환부(30)에서 응축된 냉매가 냉매로(32)에 의하여 분지부(12)와 연결하여 상기한 열교환부로 공급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humidification cycle, the primary refrigerant path 11 is disposed below the front side of the heat exchanger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70, and the branch 12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imary refrigerant path 11. To connect with the expansion valve,
The outdoor condenser c and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ary refrigerant path 31, 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3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art 12 by the refrigerant path 32.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precise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to one heat exchanger.
기화식가습부는 프레임(110)에 의하여 박스형태로 구성된 내부에 파형구조의 모세기공(106)들이 기공들간에 연결이 되도록 형성한 세라믹재(101)들이 각각의 좌편굴곡부(102)와 우편굴곡부(103)들이 서로 접하도록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을 형성하며,
프레임의 상부에는 분무도관(107)이 횡배치되어져 측면의 공급조절콘트롤부(108)의 조절에 의하여 노즐(109)로 부터 점적 공급가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porative humidification part is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101 formed so that the capillary pores 106 having a corrugated structure to be connected between the pores are formed in a box shape by the frame 110, respectively. 103 forms a through hole 105 by the left side bend and the post ben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frame, the spray conduit 107 is arranged horizontally so that the precise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arranged so that the supply can be supplied from the nozzle 109 by the control of the supply control control 108 of the side Possible thermohygrostat.
모세관 가습부의 좌편굴곡부와 우편굴곡부에 의하여 통공(105)이 상측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rough-hole 105 is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by the left bent portion and the post-curved portion of the capillary humidifica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at the same time.
열교환부의 1차냉매로(11)의 분지부(12)에서 분지 된 1차분지로(11a)는 필터드라이어(21)과 제어밸브(22)를 통하여 팽창밸브(70)와 연결하도록 하며,
상기한 1차냉매로에서 분지 된 2차분지로(11b)는 제어밸브(24)를 통하여 디스트리뷰터(25)에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mary branch passage 11a branched from the branch portion 12 of the primary refrigerant passage 11 of the heat exchange unit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70 through the filter drier 21 and the control valve 22.
The secondary basin furnace branched from the primary refrigerant passage (11b)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25 through a control valve 24,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capable of simultaneous temperature control.
기화식 가습부의 프레임의 하부에 수저장조(200)를 설치하며,
상기한 수저장조에 세라믹재(101)들의 하부가 수저장조의 저장된 물에 부분침지토록 가습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습도 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stall the water storage tank 2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of the vaporized humidification uni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capable of precise humidity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ceramic material 101 in the water reservoir constitutes a humidification cycle to partially immerse in the stored water of the water reservoir.
기화식가습부의 프레임하부에 수저장조(200)를 설치하되,
수저장조의 내부에 분지부(12)와 팽창밸브의 사이에 별도의 분지한 도관을 설치하여 1차냉매로(11)의 냉매가 수저장조내의 저장된 물을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습도제어와 온도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항온항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ater storage tank 200 is installed below the frame of the vaporization humidification unit,
Precision humidity,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branched conduit between the branch portion 12 and the expansion valve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primary refrigerant passage 11 passes through the stored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that can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543A KR101135424B1 (en) | 2010-03-23 | 2010-03-23 |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5543A KR101135424B1 (en) | 2010-03-23 | 2010-03-23 |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500A KR20110106500A (en) | 2011-09-29 |
KR101135424B1 true KR101135424B1 (en) | 2012-04-13 |
Family
ID=4495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5543A KR101135424B1 (en) | 2010-03-23 | 2010-03-23 |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542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44039B (en) * | 2018-02-14 | 2021-04-20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Self-cleaning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KR102383856B1 (en) * | 2021-10-19 | 2022-04-08 | 씨에이엔지니어링(주) | Evaporative humidifier with improved energy and humidification efficiency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
KR102695055B1 (en) * | 2023-11-08 | 2024-08-13 | 전봉기 | Constan Temperatue and Humidity Apparatus Using Spray and Spot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7407A (en) * | 2005-05-30 | 2008-01-18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ing system |
-
2010
- 2010-03-23 KR KR1020100025543A patent/KR1011354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7407A (en) * | 2005-05-30 | 2008-01-18 |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6500A (en) | 2011-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23436B2 (en) | Air conditioning method using a staged process using a liquid desiccant | |
US11639801B2 (en) |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humidifying | |
Shahzad et al. |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solid desiccant system integrated with cross flow Maisotsenko cycle evaporative cooler | |
CN109073324B (en) | Air conditioning by multiphase plate and fin heat exchanger | |
JP4422962B2 (en) | Method and plate apparatus for dew point evaporative cooler | |
US20130340449A1 (en) | Indirect evaporative cooler using membrane-contained liquid desiccant for dehumidification and flocked surfaces to provide coolant flow | |
KR20190005941A (en) | 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precise temperature control | |
AU2008250926A1 (en) | Cooling system | |
EP2274557A1 (en) | Combined heat exchange unit | |
US20150047382A1 (en) | Fully regenerative liquid desiccant system for residential applications | |
Mehere et al. | Review of 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its applications | |
KR101135424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ble to control preciously the humidity within the unit cycle | |
JP5630010B2 (en) | Air purifier | |
JP6787156B2 (en) | Air conditioner | |
KR20190138911A (en) | Air Conditioner Having Double Cooling System | |
TWI479301B (en) | Data center cooling | |
JP5949844B2 (en) | Heat exchanger and humidifier | |
KR102155956B1 (en) | Liquid dehumidifier of energy-saving type | |
Senthilkumar et al. | Application of Taguchi method for the optimization of system parameters of centrifugal evaporative air cooler | |
KR100834101B1 (en) |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cell using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water | |
KR200302333Y1 (en) | Evaporation Air Conditioner of Indirect Cooling | |
Srinivasan | Optimizing Process Parameters of Centrifugal Evaporative Air Cooler | |
WO2022013748A1 (en) | A humidifier-dehumidifier based fluid treatment system | |
JP2004108623A (en) | Ecological air conditioner | |
CN202485109U (en) | Air condition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