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5149B1 -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149B1
KR101135149B1 KR1020100066033A KR20100066033A KR101135149B1 KR 101135149 B1 KR101135149 B1 KR 101135149B1 KR 1020100066033 A KR1020100066033 A KR 1020100066033A KR 20100066033 A KR20100066033 A KR 20100066033A KR 101135149 B1 KR101135149 B1 KR 10113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al information
salt
sensor
sensor network
sea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335A (ko
Inventor
주종길
신창선
김진옥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전 내의 환경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모니터링되게 하고, 사용자는 상기 염전 내의 각 구간에 저장된 해수를 다른 구간으로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염전 내의 해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Smart monitoring system for saltern using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전 내의 환경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모니터링되게 하고, 사용자는 상기 염전 내의 각 구간에 저장된 해수를 다른 구간으로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염전 내의 해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전은 해수를 가두어 태양에너지와 바람으로 해수의 수분을 증발시켜 채취되는 소금결정을 모을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염전에 의해 생산된 소금결정은 천일염이라 한다. 염전은 일반적으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지와, 해수를 증발시키는 증발지, 해수가 소금결정으로 채취되게 더 증발시키는 결정지 등으로 나뉘어 진다.
이러한, 천일염의 생산은 기후나 토질, 지세등의 환경적인 영향을 받게 되어, 증발되는 해수의 농도, 일사량과 같은 기후의 적합성, 바람의 세기 등의 다양한 외부의 영향에 따라 천일염의 품질이 좌우된다.
한편, 대개의 천일염 제조는 인력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므로, 천일염전의 환경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염전 내외부의 온도, 습도, 조도 및 해수의 염도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은 인력에 의해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대개의 염전에서는 생산자의 경험에 의해 이러한 외부의 환경을 예측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통상적인 염전은 인력에 의해 저수지에 가두어 둔 해수를 증발지로, 증발지에서 증발된 해수를 결정지로 옮겨 주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특히, 저수지에서 일정시간 저수한 해수를 증발지로 옮겨서 다시 일정시간 해수가 증발시킨 후 증발된 해수를 다시 결정지로 옮기는 과정을 인력이 모두 감당하여야 했다.
또한, 염전 외부의 바닷물을 염전 내부로 유입시켜야 하는 경우 생산자는 해수가 유입되는 수문을 일정시간 동안 열어둔 후 닫아주어야 했으며, 염전 내의 간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생산자가 펌프를 일일이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또한, 염전 주변의 기후가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경우 인력이 급하게 동원되어 기후상황에 대처하여야 했다. 특히, 폭우 시에는 상기 저수지 및 상기 증발지에 저장된 해수로 빗물이 유입되어 해수의 농도가 변하게 됨으로써, 생산되는 천일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폭우로 인해 염전 내의 해수가 범람하는 경우 생산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염전 내,외부의 환경조건을 측정하여 정밀한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가 원격으로 제어하여 염전 내의 해수 농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염전 내,외부의 온도, 습도, 염도, 풍속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조건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가 염전 내부의 해수의 농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염전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염전 내부의 해수 농도를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전에서 작업중인 인력에게는 실시간으로 염전의 환경정보가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력, 저비용으로 염전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전 내부의 다양한 환경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천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우천 시에는 원거리의 사용자가 원격으로 염전 내의 해수를 유동시킬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전 내의 해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여, 폭우 발생 시 염전 내의 해수가 범람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전 내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네트워크, 상기 센서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게이트웨이, 상기 환경정보를 환경정보 데이터로 저장하는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서버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염전 내의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 해주에 설치되어, 해수의 농도를 조절하는 농도조절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정보 서버는, 상기 농도조절 펌프의 동작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농도조절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와 서로 지그비(Zigbee)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상기 염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노드와, 상기 염전 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노드와, 상기 염전 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노드와, 상기 염전 내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노드와, 상기 염전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 센서노드와, 상기 염전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센서노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는, 상기 염전 내에 우천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레인 센서노드 및 상기 염전 내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노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염전의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일일이 측정하지 않고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갑작스런 기후 변화에도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염전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염전으로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지 않고도, 염전 내부의 해수농도가 원활하게 조절되며, 특히, 사용자가 염전과 먼 거리에 있을 경우 염전 주변의 기후변화에 보다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염전에서 일을 하는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염전 내,외부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염전에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유선 통신망을 설비하지 않고도, 환경정보의 전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염전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환경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보다 원활하게 염전을 관리함으로써, 생산되는 천일염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우천의 발생여부를 감지한 후 사용자에 의해 해수를 원격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하여 염전 내의 해수와 빗물이 섞이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폭우 발생 시 염전 내의 수위를 측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해수를 유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염전 내의 각 구간에 저장된 해수가 다른 구간으로 범람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염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센서 네트워크(110), 센서 게이트웨이(120),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 환경정보 서버(140), 사용자단말(150), 농도조절 펌프(160) 및 디스플레이 수단(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는, 염전(10) 내의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환경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염전(10) 내,외부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노드(111), 습도 센서노드(112), 조도 센서노드(113), 염도 센서노드(114), 풍향 센서노드(115), 풍속 센서노드(116), 레인 센서노드(117) 및 수위 센서노드(1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센서 게이트웨이(12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망을 넓은 공간에서 저전력으로 환경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통신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노드(111)는, 상기 염전(10) 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 내부에 저수된 해수의 온도와, 염전(1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습도 센서노드(112)는, 상기 염전(10) 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 주변의 대기중의 수증기를 감지하여 상기 염전(10)의 습도를 측정하며, 이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조도 센서노드(113)는, 상기 염전(10) 내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에 비추는 태양광의 밝기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염도 센서노드(114)는, 상기 염전(10) 내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 내에 저수된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풍향 센서노드(115)는, 상기 염전(10)의 풍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 주변의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고, 이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풍속 센서노드(116)는, 상기 염전(10)의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10) 주변의 바람의 세기 및 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레인 센서노드(117)은, 우천 발생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으로 떨어지는 빗물을 감지하고, 우천 발생여부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또한, 우천 발생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인 센서노드(117)에서는 빗물의 떨어짐을 감지하고, 상기 조도 센서노드(113)에서 태양광의 밝기를 감지한 후 이를 종합하여, 우천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인 센서노드(117)에서 우천 발생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염전 내에 저장된 해수를 해주(14)와 같이 지붕이 있는 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염전 내에 저장된 해수에 빗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여, 생산될 천일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노드(118)는, 상기 염전 내부에 저장된 해수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염전의 각 구간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로 송수신한다.
즉, 상기 수위 센서노드(118)는 상기 염전 내의 각 구간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 구간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폭우와 같이 기상여건이 좋지 않은 경우 염전 내의 각 구간의 해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수가 다른 구간으로 범람하기 전에 대처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와 연결되며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를 통해 측정되는 염전(10) 내,외부의 다양한 환경정보를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수신한다.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환경정보를 환경정보 데이터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에서 수집된 환경정보를 전송받아, 통신망으로 전송가능한 환경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는,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환경정보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망, 전파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150)은,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와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며, 컴퓨팅 장치이거나, 이동통신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염전(10) 내부에 위치해 있지 않더라도, 염전(10)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는, 염전(10) 내의 저수지(11), 증발지(12), 결정지(13), 해주(14)에 설치되어, 해수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수지(11)와, 상기 증발지(12)와, 상기 결정지(13)와, 상기 해주(14)의 사이에서 설치되며, 각각의 구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는, 각각의 구간에 저수된 상기 해수가 다른 구간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배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해수의 농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수지(11)는 바닷물을 저장하는 구간이고, 상기 증발지(12)는 해수를 증발시켜 염도를 높이는 구간이며, 상기 결정지(13)는 상기 해수가 결정화되게 증발시키는 구간이고, 상기 해주(14)는 우천 시와 같이 기후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 상기 해수를 보관할 수 있는 지붕이 구비된 구간이다.
또한,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의 작동상태 여부 및 오작동 여부와 같은 동작상태정보는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에 수집되며, 상기 수집된 동작상태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150)로 전송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50)을 통해 상기 농도조절 펌프의 작동여부 및 고장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의 동작은 사용자단말(150)을 통해 제어되며,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가 상기 사용자단말(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의 동작을 제어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와 같이 상기 염전 내의 각 구간의 해수를 다른 구간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구간을 구획하고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수문 형태의 차단벽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와 같이 원거리의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발지(12) 및 상기 결정지(13)에서 보관중인 해수를 상기 해주(14)와 연결될 수 있게 차단벽을 구비하고, 차단벽이 열릴 시 상기 해주(14)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면서, 상기 염전으로 유입되는 바닷물을 차단하고 있는 수문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문을 열거나 닫도록 함으로써, 상기 염전으로 바닷물을 유입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70)은, 상기 환경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염전(10)의 인근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염전(10)에서 작업을 하는 사용자도 상기 염전(10) 내,외부의 환경정보를 별도의 단말장치없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70)은,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3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환경정보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현재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염전(10)의 내,외부의 각 구간에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의 온도 센서노드(111)와, 상기 습도 센서노드(112)와, 상기 조도 센서노드(113)와, 상기 염도 센서노드(114)와, 상기 풍향 센서노드(115)와, 상기 풍속 센서노드(116)와, 상기 레인 센서노드(117) 및 상기 수위 센서노드(118)가 설치되어, 상기 염전(10)의 온도, 습도, 조도, 염도, 풍향, 풍속, 우천 발생여부 및 해수의 수위와 같은 다양한 환경정보를 측정한다.
다음,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는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에서 수집되게 되며,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에 수집된 환경정보는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로 전송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70)에 전송된다.
다음,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전송된 상기 환경정보는 환경정보 데이터로 추출되어,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70)에 전송된 환경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70)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다음,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환경정보를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에서 입력받아, 이를 외부의 웹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50)을 통해 외부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은 사용자에 의해, 염전(10) 내의 해수농도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150)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에 전송된다.
다음,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는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를 제어하여, 상기 염전(10) 내의 해수를 다른 구간으로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킴으로써, 해수의 농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염전 내부에 저장되어 증발되는 해수의 농도를 측정하고, 최적의 천일염이 생산될 수 있는 농도로 조절하여, 생산될 천일염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자는 원거리에서도 편리하게 상기 염전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염전 11 : 저수지
12 : 증발지 13 : 결정지
14 : 해주
100 : 염전 모니터링 시스템 110 : 센서 네트워크
111 : 온도 센서노드 112 : 습도 센서노드
113 : 조도 센서노드 114 : 염도 센서노드
115 : 풍향 센서노드 116 : 풍속 센서노드
117 : 레인 센서노드 118 : 수위 센서노드
120 : 센서 게이트웨이 130 :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 환경정보 서버 150 : 사용자단말
160 : 농도조절 펌프 170 : 디스플레이 수단

Claims (7)

  1. 저수지(11), 증발지(12), 결정지(13) 및 해주(14)로 이루어진 각 구간에서 해수를 증발시켜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10) 내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네트워크(110);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와 연결되며 상기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게이트웨이(120);
    상기 환경정보를 환경정보 데이터로 저장하는 환경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서버(140);
    상기 환경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염전(10) 내의 각 구간의 해수농도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150);
    상기 저수지(11)와 상기 증발지(12) 사이, 상기 증발지(12)와 상기 결정지(13) 사이, 상기 증발지(13)와 상기 해주(14) 사이 및 상기 결정지(13)와 상기 해주(14)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하는 농도조절 펌프(160)들;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 서버(14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염전(10) 내의 각 구간에 구비된 농도조절 펌프(160)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농도조절 펌프(160)가 상기 각 구간에 저수된 상기 해수를 다른 구간으로 유동시켜 상기 증발지(12), 상기 결정지(13) 또는 상기 해주(14)에 저수된 해수의 염도를 조절하며, 상기 농도조절 펌프(160)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의 정보인 동작상태정보 및 상기 각 구간에 저수된 해수의 변화된 염도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단말(1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에서 작업하는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염전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에 수집된 현재 환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는, 상기 센서 게이트웨이(120)와 서로 지그비(Zigbee)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110)는,
    상기 염전(10)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노드(111);
    상기 염전(10) 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노드(112);
    상기 염전(10) 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노드(113);
    상기 염전(10) 내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노드(114);
    상기 염전(10)의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 센서노드(115); 또는
    상기 염전(10)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센서노드(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110)는,
    상기 염전(10) 내에 우천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레인 센서노드(117);
    상기 염전(10) 내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노드(1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KR1020100066033A 2010-07-08 2010-07-0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13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033A KR101135149B1 (ko) 2010-07-08 2010-07-0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033A KR101135149B1 (ko) 2010-07-08 2010-07-0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35A KR20120005335A (ko) 2012-01-16
KR101135149B1 true KR101135149B1 (ko) 2012-04-16

Family

ID=4561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5149B1 (ko) 2010-07-08 2010-07-08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18B1 (ko) * 2013-04-05 2014-01-03 에스엠소프트웨어 (주) 채염시기 예측 및 결정이 가능한 염전 통합관리 시스템
CN109031985A (zh) * 2018-06-22 2018-12-18 广东容宏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闸门控制器
KR102270180B1 (ko) * 2020-12-30 2021-06-29 (유)장성테크 고품질의 천일염 생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07A (ko) * 1997-05-15 1998-12-05 순조 타가미 해수로부터의 식염제조법
KR20090121923A (ko) * 2008-05-23 2009-11-26 정승혁 지그비 모듈과 온도 및 습도 센서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07A (ko) * 1997-05-15 1998-12-05 순조 타가미 해수로부터의 식염제조법
KR20090121923A (ko) * 2008-05-23 2009-11-26 정승혁 지그비 모듈과 온도 및 습도 센서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335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 et al. Canopy closure estimates with greenorbs: Sustainable sensing in the forest
KR101339918B1 (ko) 채염시기 예측 및 결정이 가능한 염전 통합관리 시스템
KR20090011073A (ko) 환경 센서를 이용한 관개용수 자동제어시스템
CN103149897B (zh) 基于农业物联网技术的精准农业自适应监控方法
KR101135149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천일염 모니터링 제어시스템
CN108445942A (zh) 智能农业环境信息监测系统
AU2020102192A4 (en) A salt drainage system for saline soil
KR20190119918A (ko) 토양 및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04834266A (zh) 智能农业监控系统
CN205206712U (zh) 建筑遮阳风光雨智能控制系统
Bonacci et al. The water on a small karst island: the island of Korčula (Croatia) as an example
Suomi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UHI) in a high latitude coastal city-a case study of Turku, SW Finland
Tseng et al. A study of green roof and impact on the temperature of buildings using integrated IoT system
US11766005B2 (en) Irrigation method for coastal regions
KR101361608B1 (ko)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Tadrist et al. Towards Low-Cost IoT and LPWAN-Based flood forecast and monitoring system
Irianto Design of smart farm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IoT and LoRA
CN105446190B (zh) 温室大棚的卷帘控制方法
KR102268325B1 (ko) 농업배수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관리 시스템
CN21000836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灌溉管控系统
CN209463013U (zh) 一种农业大棚监测系统
CN204719500U (zh) 智能农业监控系统
CN105178422A (zh) 一种城市雨水错峰调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200605A (zh) 气体智能释放、管理、控制系统
Gavrouzou et al. Energy and Water Interventions That Contribute to the Climate-Proofing of Buildings on Multiple Scales: A Literatur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