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3171B1 - 무선 음향 측심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음향 측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171B1
KR101133171B1 KR1020100131551A KR20100131551A KR101133171B1 KR 101133171 B1 KR101133171 B1 KR 101133171B1 KR 1020100131551 A KR1020100131551 A KR 1020100131551A KR 20100131551 A KR20100131551 A KR 20100131551A KR 101133171 B1 KR101133171 B1 KR 10113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main body
sound wave
wave detector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브이울트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0013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1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밀봉 가능한 몸체를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음파를 이용하여 주위 상황을 탐지하는 음파탐지기;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상기 음파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비접촉성의 물리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비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음향 측심장치{WIRELESS ECHO SOUNDER}
본 발명은 음향 측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파의 반향(Echo)을 이용하여 측심과 수중 데이터 수집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측심장치는 반향을 통해 해저의 깊이를 측정하거나 수중 물체의 탐색, 해수 중에 존재하는 생물체의 분포나 정량화된 생물량 도출에 사용되는 수중 장비를 지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향 측심장치는 선박(5)에 의해 예인케이블(3)로 예인되는 수중음향탐지기(1)의 형태로 제공되었다.
예인케이블을 사용하는 수중 탐지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은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35568호, 공개특허공보 제1999-0054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35568호는 수중 음파탐지용 센서부, 예인 선박에 상기 센서부를 연결시켜주는 예인용 케이블, 상기 센서부의 케이블 반대쪽에 접합되어 있는 꼬리로프를 구비한 예인형 수중음파탐지기에 있어서, 온도센서 조립체, 온도센서 조립체 결합용 커넥터 조립체 및 꼬리로프 접합용 꼬리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형 수중음파탐지기를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999-0054190호는 예인케이블을 이용하는 선배열 예인형 수중음향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 감지센서와, 기준전압발생부와, 전압증폭출력부와, 두 개의 연산증폭기를 포함하여 음향탐지기 주변의 해수온도를 감지하는 수중음파 탐지 시스템의 온도감지부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예인작업을 진행하면서 예인케이블을 활용하여 유선으로 음향 측심장치로부터 소정의 외부 데이터 취합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예인작업 완료 후에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을 음향 측심장치에 연결하여 외부 데이터 취합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예인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은 운용 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향 측심장치를 예인하는 선박의 운행에 따른 환경변화로 인해 데이터의 신뢰성도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향 측심장치는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연결부에 대한 방수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중에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예인 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무선으로 제어명령이나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를 가진 무선 음향 측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밀봉 가능한 몸체를 갖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음파를 이용하여 주위 상황을 탐지하는 음파탐지기;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상기 음파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비접촉성의 물리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비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로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음파탐지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외부로 발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와 상기 음파탐지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는 상기 음파탐지기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는 수중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 작업이 필요치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 장치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주변에 예인용 선박이 존재하지 않는 수중 환경에 설치되어 자체적으로 측정을 진행하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 수거 후 데이터를 취합할 때에는 연결 케이블이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본체 하우징에 대한 방수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 측심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는 본체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100)에 수납되는 음파탐지기(102), 전원부(107) 및 비접촉식 스위치(101)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00)은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침수가 방지되도록 밀봉 가능한 몸체를 갖는다. 여기서, 본체 하우징(100)의 몸체 일부 또는 전체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이 자력의 통과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체 하우징(100)에는 전원부(107) 등의 교체나 출입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커버 결합부에는 방수가 가능하도록 오링(O-ring) 형태의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00)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100)의 형태에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파탐지기(102)는 본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음파를 이용하여 주위 상황을 탐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음파탐지기(102)는 반향을 통해 해저의 깊이를 측정하거나 수중 물체의 탐색, 해수 중에 존재하는 생물체의 분포나 정량화된 생물량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음파탐지기(102)는 본체 하우징(100)의 외부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트랜스듀서(Ultrasonic transducer)(102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음파탐지기(102)가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를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는 송신 펄스를 입력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한편, 소정의 수중 물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압전세라믹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07)는 본체 하우징(100) 내에 수납되어 음파탐지기(10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접촉식 스위치(101)는 본체 하우징(100) 내의 회로모듈에 실장되고, 본체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비접촉성의 물리력에 의해 작동된다. 여기서, '비접촉성의 물리력'은 예컨대 광, 전파, 자력, 전기력 등과 같이 본체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비접촉식으로 통과 가능한 물리력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비접촉식 스위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본체 하우징(100)의 외부에 근접하는 소정의 마그네트 부재(200)의 자력에 반응하여 온(On)/오프(Off) 됨으로써 음파탐지기(102)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음향 측심장치에는 전원부(107)나 음파탐지기(10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Indicator)(103)가 구비된다. LED 인디케이터(103)는 본체 하우징(100)의 일면 외부로 발광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MCU(104)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08)가 장착된다. 온도센서(108)로는 써미스터(Thermistor)가 채용 가능하다. 온도센서(108)에 의해 감지된 수중 온도는 수중 환경 측정 데이터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초음파 거리 측정을 위한 음속 세팅(Setting)의 기초 데이터로도 사용된다.
초음파의 조사 방향과 온도 감지 성능, 동작 표시의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LED 인디케이터(103)와 온도센서(108)는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의 외곽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심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데이터를 장치 내에 저장해 두었다가 데이터의 취합시 외부로 무선전송하기 위한 메모리(106) 및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105)을 구비한다.
메모리(106)는 본체 하우징(100) 내에 구비되어 음파탐지기(102)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비롯하여, 그밖에 온도 측정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플래쉬 메모리(106)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05)은 본체 하우징(100) 내에서 MCU(104)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106)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본체 하우징(100)의 외부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05)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소정의 송수신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 메모리(106)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접촉식 스위치(101)는 블루투스 모듈(105)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로도 겸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접촉식 스위치(101)에 요구되는 온/오프 횟수나 스위칭 지속시간은 전원 온/오프 모드와는 차별화되어야 한다.
도 4에서, MCU(104)는 비접촉식 스위치(101)가 온 상태가 되었을 때 음파탐지기(102)의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를 작동시켜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에서 발생된 후 소정의 타겟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반향은 다시 음파탐지기(102)에 수신되고, MCU(104)에서는 수신된 반사파로부터 산출되는 초음파의 전달시간과, 음속을 이용하여 측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측심장치(E)의 사용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음향 측심장치(E)에는 비접촉식 스위치(101)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소정의 비접촉성 물리력 발생수단, 예컨대 마그네트 부재(200)를 본체 하우징(100) 외부에 정해진 모드로 근접시키는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무선 음향 측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후, 무선 음향 측심장치(E)는 해수면(10) 아래의 바닥면이나 수중에 일정기간(예컨대, 수개월) 동안 설치된다. 이때 무선 음향 측심장치(E)는 그 초음파 트랜스듀서(102a)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음향 측심장치(E)는 자체적으로 초음파 반향을 이용하여 측심을 비롯한, 수중 물체의 탐색, 해수 중에 존재하는 생물체의 분포 등에 대한 측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무선 음향 측심장치(E)에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들은 모두 내장 메모리(106)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정해진 측정 기간이 경과되었을 때 사용자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E)를 수거한 후 블루투스 방식으로 측정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취합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할 수 있다. 이때에도 사용자는 별도의 연결 케이블 없이 상기 마그네트 부재(200)를 본체 하우징(100) 외부에 정해진 모드로 근접시키는 조작만으로 장치 내부의 블루투스 모듈(105)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측정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하우징 101: 비접촉식 스위치
102: 음파탐지기 102a: 초음파 트랜스듀서
103: LED 인디케이터 104: MCU
105: 블루투스 모듈 106: 메모리
107: 전원부 108: 온도센서
E: 무선 음향 측심장치 200: 마그네트 부재

Claims (7)

  1. 수중에서 사용되는 음향 측심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커버 결합부에는 실링부재가 방수가 가능하게 개재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음파를 이용하여 수중의 주위 상황을 탐지하는 음파탐지기;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상기 음파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비접촉성의 물리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원부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비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력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탐지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발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와 상기 음파탐지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음파탐지기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중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음향 측심장치.
KR1020100131551A 2010-12-21 2010-12-21 무선 음향 측심장치 Active KR10113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551A KR101133171B1 (ko) 2010-12-21 2010-12-21 무선 음향 측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551A KR101133171B1 (ko) 2010-12-21 2010-12-21 무선 음향 측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171B1 true KR101133171B1 (ko) 2012-04-06

Family

ID=4614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551A Active KR101133171B1 (ko) 2010-12-21 2010-12-21 무선 음향 측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14029159A1 (zh) * 2012-08-21 2014-02-27 付建国 无线网络测深仪
RU2523101C2 (ru) * 2012-08-10 2014-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холо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47Y1 (ko) * 2001-02-21 2001-07-03 주식회사 신일 엔지니어링 야간 점등 부자의 방수 스위치
KR20020043561A (ko) * 1999-08-20 2002-06-10 노바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형화된 초음파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561A (ko) * 1999-08-20 2002-06-10 노바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소형화된 초음파 장치 및 방법
KR200230347Y1 (ko) * 2001-02-21 2001-07-03 주식회사 신일 엔지니어링 야간 점등 부자의 방수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RU2523101C2 (ru) * 2012-08-10 2014-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холот
WO2014029159A1 (zh) * 2012-08-21 2014-02-27 付建国 无线网络测深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519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visualizing underwater objects
RU2009149468A (ru) Облегченный беспроводно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датчик
CN110789670B (zh) 一种用于深海的声学潜标系统
CN106840365B (zh) 一种小型水下自主工作的光纤矢量水听器系统
CN103869321A (zh) 一种超声波测距系统及控制其测距的方法
CN102305621B (zh) 一种水文综合测量装置
KR101133171B1 (ko) 무선 음향 측심장치
CN105988116A (zh) 一种水下声学测距、投放与回收系统及方法
RU182146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бора мусора
CN104062662B (zh) 一种多方位扫描网位仪
CN201673255U (zh) 水下测距跟踪用接近觉传感器
CN209734483U (zh) 一种基于调制超声波的盲人裸耳导盲装置
CN103557843B (zh) 一种紧凑型水下微地形测量仪
CN207317800U (zh) 一种深海逆式回声测量系统
CN206224242U (zh) 一种水下多普勒导航控制装置
CN212872888U (zh) 一种通信信标
CN203458415U (zh) 智能无线自启式压力感应超声检测系统
CN206057574U (zh) 一种水下定位装置
JP2017194885A (ja) 水中センサ
CN215219154U (zh) 一种超声波测距船
KR100731784B1 (ko) 낚시용 탐지장치
CN104434184A (zh) 基于光电感应激活的智能b超检测系统
CN104304114B (zh) 一种基于超短基线的深水网箱网衣监测的方法及装置
JP7365672B2 (ja) 水中探査装置
CN203431513U (zh) 一种勘探用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