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2467B1 -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467B1
KR101132467B1 KR1020090126344A KR20090126344A KR101132467B1 KR 101132467 B1 KR101132467 B1 KR 101132467B1 KR 1020090126344 A KR1020090126344 A KR 1020090126344A KR 20090126344 A KR20090126344 A KR 20090126344A KR 101132467 B1 KR101132467 B1 KR 10113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rotor
vehicle
ignition key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561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9012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4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4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락 스토퍼를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하도록 설치된 락킹 레버의 두께를 증가시켜 물류 이동 중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 레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로부터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이 최소 길이 만큼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시동키, 로터 케이스, 로우터, 락 스토퍼, 락킹 레버, 보호커버

Description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Start key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 스토퍼를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하도록 설치된 락킹 레버의 두께를 증가시켜 물류 이동 중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 레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로부터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이 최소 길이 만큼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는 시동키가 삽입되도록 차량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어 회전되면 그 회전 단계(예를 들면, 락(LOCK) 모드, 전원공급(ACC) 모드, 시동 온(ON) 모드 및 시동(START) 모드 단계 등)에 따라 차량이 주행 및 주차시 필요한 상태로 전환케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락 바디(미도시)와, 상기 중공부 일단에 배치되되 차량의 실내 측으로 상기 시동키(5)가 삽입되는 키홈(13)이 노출된 로터 케이스(10)와, 상기 로터 케이스(10)에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5)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우터(20)와, 상기 로우터(2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캠부면(25)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로우터(20)의 회전시 직선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구속시키는 락 스토퍼(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락 스토퍼(30)는 차량의 미주행시 미도시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거나 차량의 주행시 그 구속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미도시된 스티어링 핸들의 조작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는, 상기 락 스토퍼(30)는 차량의 주행시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여서는 안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 상기 락 스토퍼(30)를 강제 구속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지 않도록 그 직선 이동을 방지하는 락킹 레버(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 레버(40)는, 일단(40a)이 상기 키홈(13)에 삽입되는 상기 시동키(5)와 접촉되어 일측으로 밀려나가는 슬라이드 피스(15)에 연결되고, 타단(40b)이 상기 락 스토퍼(30)와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가운데 부분(40c)이 힌지 회동의 중심이 되게 상기 중공부에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 락킹 레버(40)는 그 전장이 길고 가느다랗게 형성되어 상기 락킹 레버(40)의 물류 이동 중 휨변형 등 파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레버(40)의 상기 중공부에의 조립시 휨변형 등이 생길 우려도 배제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상기 락킹 레버(40)의 휨변형 등은 정밀함을 요구하는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의 본래 기능인 스티어링 락킹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 우발적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락킹 레버의 물류 이동 중 또는 락 바디에의 조립시 휨변형 등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는, 차량의 운전을 위하여 시동키를 삽입하여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된 락 바디와, 상기 락 바디의 일단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로터 케이스와, 상기 로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로터 케이스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우터와, 상기 로우터와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하는 락 스토퍼와, 상기 락 바디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시동키의 회전량에 따라 움직이면 타단이 상기 락 스토퍼에 접촉 또는 그 접촉 이 해제되도록 이동하는 락킹 레버와,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에 인접하게 상기 락킹 레버의 일부를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 일부 및 일측을 제외하고 상기 락킹 레버를 감싸도록 상기 락 바디에 일체로 "ㄷ"자 형상의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 깊이 및 상기 락킹 레버의 두께는 적어도 2.5t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에 감싸여지지 않는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은 상기 락 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은 적어도 6.4mm 이하의 길이만큼 상기 보호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는, 락킹 레버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전체 길이가 축소되어 쉬라우드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상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쉬라우드의 운전석 방향에 대한 돌출길이가 그 만큼 줄어듦으로써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하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는, 락킹 레버의 자체 두께 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보호커버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자체 강성을 증가시켜 물류 이동 중 예상되는 휨변형 등으로 인한 파손을 현저히 감소시킴은 물론 락 바디에의 조립시 예상되는 휨변형 등으로 인한 파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을 위하여 시동키(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된 락 바디(101)를 포함한다.
상기 락 바디(101)는 대체로 차량 실내의 운전석 일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운전석 전방에는 차량의 주행 방향 조작을 위한 스티어링 핸들(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스티어링 핸들은 그 회전 중심이 되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이 그 전방 하부에 배치된 쉬라우드(미도시) 내부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의 일측에는 상기 락 바디(101)가 상기 쉬라우드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향하도록 관통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락 바디(101)의 내부는 후술하는 소정 부품이 내장되 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부(103)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03)의 일단부에는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도록 키홈(미도시, 도 1의 도면부호 13 참조)이 형성된 로터 케이스(11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키홈은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상기 시동키를 삽입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상기 로터 케이스(110)에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로터 케이스(11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우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우터(120)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되는 동안 후술하는 락 스토퍼(130)와 접촉되면서 상기 락 스토퍼(130)를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티어링 컬럼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캠부면이 일체로 가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부면은 상기 로우터(120)의 외주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캠 형상의 부분이 부가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캠부면이 본래의 외주에서 삭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캠부면은 상기 로우터(120)의 본래의 외주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캠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상기 로우터(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 바디(101)의 일측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일부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컬럼 지지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컬럼 지지부(105)와 상기 락 바디(101)의 중공부(103)는 미도시된 락 스토퍼 이동홈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락 스토퍼 이동홈에는 락 스토퍼(130)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직선 이동가능하게 락 스토퍼(130)가 배치된다.
상기 락 스토퍼(130)에는 상기 로우터(120)가 관통되도록 관통부(133)가 형성되되, 특히, 상기 캠부면이 상기 관통부(133)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캠부면이 상기 관통부(133)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캠부면 접촉을 위한 추가 구조물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락 스토퍼(130)의 전체 두께(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부(140a)는 상기 로터 케이스(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타단부(140b)는 상기 락 스토퍼(13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운데 부분(140c)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힌지 회동되게 배치된 락킹 레버(1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터 케이스(110)에는 상기 키홈에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면 상기 시동키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밀려나가고 상기 시동키가 상기 키홈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슬라이드 피스(115)가 배치된다(상기 슬라이드 피스의 구체적인 형상과 기능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도 1의 도면부호 15 참조).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드 피스(115)에 상기 락킹 레버(140)의 일단부(140a)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피스(115)가 상기 로터 케이스(110)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가면 상기 락킹 레버(140)의 일단부(140a)가 상기 로터 케이스(110)에서 멀어지 는 방향으로 밀려나감과 동시에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부(140b)는 회전 중심인 가운데 부분(140c)을 중심으로 상기 락 스토퍼(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락 스토퍼(130)에는 상기 락 스토퍼(130)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과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으로부터 최대 이탈될 때 접근하는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과 걸림되도록 걸림 홈부(135)가 가공 형성된다.
상기 걸림 홈부(135)에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이 걸림되는 때는 보통 상기 시동키의 회전단계를 락(LOCK) 단계, 전원공급(ACC) 단계, 시동 온(ON) 단계 및 시동(START) 모드 단계로 구분될 경우 상기 락(LOCK) 모드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은 상기 걸림 홈부(135)에 상기 락(LOCK) 모드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걸림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 스토퍼(130)의 두께(T)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락킹 레버(140)의 전체 길이를 축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락 스토퍼(130)의 두께 감소에 따른 상기 락킹 레버(140)의 전체 길이 축소는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으로 이어져 상기 쉬라우드 내부에 대한 각종 부품의 레이아웃 설계에 커다란 이점을 제공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의 전체 길이 축소는 운전자의 하체 공 간을 보다 넓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여유로운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락킹 레버(140)의 두께는 자체 강도의 증가를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락킹 레버(140)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락킹 레버(140)의 두께가 2t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은 그보다 약 1/4의 두께가 증가된 2.5t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두께를 가지는 상기 락킹 레버(140)는 자체 강도가 증가하므로 물류 이동 중이나 상기 락킹 레버(140)의 상기 중공부(103)에의 조립시 휨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종래 협소한 상기 중공부(103) 내로 억지 끼움하는 방식으로 상기 락킹 레버(140)를 조립하는 조립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락킹 레버(140)의 휨변형에 따른 기능성의 저하로 인한 안정성도 큰 문제였던 바 이와 같은 상기 락킹 레버(140)의 두께 선택은 기능성의 향상에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로 이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상기 락 바디(101) 내부의 상기 중공부(103)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레버(140)의 원활한 회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 및 일부를 제외하고 상기 락킹 레버(140)를 감싸는 보호커버(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커버(150)는, 상기 락 바디(101)의 중공부(103) 내측면에 일체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50)는 상기 중공부(103) 측으로 개구 되게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150)는 그 길이가 상기 락킹 레버(140)의 일단(140a)으로부터 시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으로부터는 상기 락 스토퍼(130)의 직선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최대한 근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커버(150)는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으로부터의 이격거리(L)가 6.4mm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50)가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으로부터 근접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커버(150)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락킹 레버(140)의 돌출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락킹 레버(140)의 조립시 휨변형 등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락 바디(101)의 중공부(103)를 교차하도록 화살표 방향(도면 부호 중 "가" 참조)으로 상기 락 스토퍼 이동홈에 상기 락 스토퍼(130)를 끼움 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락 스토퍼(130)가 끼움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락 바디(101)의 중공부(103) 내측면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침입자가 화살표 방향(도면 부호 중 "나"참조)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이 부분은 단단한 철재인 상기 락 바디(101)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는 바, 침입이 용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우터(120)를 상기 관통부(133)를 통과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캠부면이 상기 락 스토퍼(130)의 상기 관통부(133)의 일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락킹 레버(140)의 타단(140b)이 상기 락 스토퍼(130)의 일측에 근접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로우터(12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중공부(103)의 일단부에 상기 로터 케이스(110)를 삽입 배치하고, 상기 로우터(120)의 타단과 접속되도록 상기 중공부(103)의 타단부에 스위칭부(160)를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락 스토퍼(1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170)을 상기 락 스토퍼(130)가 끼움되는 부분에 장착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레버(140)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전체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쉬라우드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상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의 상기 운전석 방향에 대한 돌출길이가 그 만큼 줄어듦으로써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하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상기 락킹 레버(140)의 자체 두께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15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자체 강성을 증가시켜 물류 이동 중 예상되는 휨변형 등으로 인한 파손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시동키 어셈블리 101: 락 바디
103: 중공부 105: 컬럼 지지부
110: 로터 케이스 115: 슬라이드 피스
120: 로우터 130: 락 스토퍼
133: 관통부 140: 락킹 레버
140a: 일단(부) 140b: 타단(부)
140c: 가운데 부분 150: 보호커버
160: 스위칭부 170: 가이드 블록
T: 락 스토퍼의 두께 L: 이격거리

Claims (5)

  1. 차량의 운전을 위하여 시동키를 삽입하여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된 락 바디와;
    상기 락 바디의 일단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시동키가 삽입되는 키홈이 차량의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로터 케이스와;
    상기 로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시동키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로터 케이스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우터와;
    상기 로우터와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로우터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그 구속을 해제하는 락 스토퍼와;
    상기 락 바디에 힌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시동키의 회전량에 따라 움직이면 타단이 상기 락 스토퍼에 접촉 또는 그 접촉이 해제되도록 이동하는 락킹 레버와;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에 인접하게 상기 락킹 레버의 일부를 감싸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 일부 및 일측을 제외하고 상기 락킹 레버를 감싸도록 상기 락 바디에 일체로 "ㄷ"자 형상의 홈 형상으로 가공 형성된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 의하여 감싸여지지 않는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은 상기 락 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킹 레버의 타단은 적어도 6.4mm 이하의 길이만큼 상기 보호커버로부터 노출된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KR1020090126344A 2009-12-17 2009-12-17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113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44A KR101132467B1 (ko) 2009-12-17 2009-12-17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344A KR101132467B1 (ko) 2009-12-17 2009-12-17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61A KR20110069561A (ko) 2011-06-23
KR101132467B1 true KR101132467B1 (ko) 2012-03-30

Family

ID=444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3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2467B1 (ko) 2009-12-17 2009-12-17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24B1 (ko) * 2012-03-23 2013-07-0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665A (ja) * 1986-08-29 1988-03-17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KR100888104B1 (ko) 2007-09-19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
JP2009280969A (ja) 2008-05-19 2009-12-03 Tokai Rika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の操作ノブ及び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665A (ja) * 1986-08-29 1988-03-17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KR100888104B1 (ko) 2007-09-19 200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
JP2009280969A (ja) 2008-05-19 2009-12-03 Tokai Rika Co Ltd エンジン始動装置の操作ノブ及びそれを用いたエンジン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61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721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5632167A (en) Steering look apparatus
US20040148983A1 (en) Electrically-driven steering lock device
JP4496031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4773241A (en) Unlocking prevention device for a steering wheel lock
JP5902685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
US8499596B2 (en) Antitheft device for the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superlockout provided by an intermediate rocker bar
US10556560B2 (en) Vehicle rocker guard with integrated pivoting storable step
JP486383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132467B1 (ko)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US4287786A (en) Steering column jacket on the steering column of motor vehicles
KR102425507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도난방지 장치
EP2998171A1 (en) Steering lock device
US10894565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having hood lock cable routing structure
CN107458344B (zh) 转向锁定装置
KR101283624B1 (ko) 차량의 시동키 어셈블리
JP485724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505165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603016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18358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75623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対する窃盗防止装置、およびこれに関連する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0219138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
EP2070782B1 (en) Attachment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a vehicle steering lock
CN106715205A (zh) 用于机动车辆的防盗设备
KR102678824B1 (ko) 조향휠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