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2245B1 -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245B1
KR101132245B1 KR1020090111479A KR20090111479A KR101132245B1 KR 101132245 B1 KR101132245 B1 KR 101132245B1 KR 1020090111479 A KR1020090111479 A KR 1020090111479A KR 20090111479 A KR20090111479 A KR 20090111479A KR 101132245 B1 KR101132245 B1 KR 10113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rtical
horizontal
inclined surfac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724A (ko
Inventor
장원락
임종일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09011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수평블럭 및 수직블럭을 각각 지지토록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면서 교각에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직방향 장착홀에 그 일측이 노출되면서 하단부 적어도 일측에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수직블럭;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가변블럭과 그 일측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 연결되는 지지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간격조절수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블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다 방향에서의 진동 및 하중을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다.
브라켓, 수평변위블록, 수직변위블럭, 교량, 교각

Description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a bearing shoe with regulate the displacement}
본 발명은 교량의 하중을 교각에 전달하는 수직블럭의 높이가 조절토록 하면서 상기 수직블럭의 하부에서 각각 수직블럭의 하중을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수평블럭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 교좌장치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위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GIRDER)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교각 상부와 거더의 접속부에는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교각에 전달하기 위한 교좌장치(BRIDGE SHOE)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이나 거더의 자중과 외력을 교각에 안전하게 전달하고, 상판 및 거더의 변형이나 신축에 따른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교좌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교좌장치의 형식으로는 고정형식, 일방향 가동형식, 양방향가 동형식이 있으며, 고정형식 교좌장치는 교각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의 이동과 틸팅을 허용하고, 거더나 상판의 부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일방향이나 양방향 가동형식의 경우에는 상기의 기능 이외에 가동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고정형식의 교좌장치가 설치된 교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형식의 교좌장치는 각각 별도로 설계되어 제작되므로, 부품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어서 소량 생산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충격하중 흡수식 교좌장치가 등록실용신안 제23105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충격흡수식 교좌장치(100)는 제1고정판(1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고정판(110)은 교량의 상판 또는 빔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저면에는 제1수평방향으로 수평안내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판(110)은 용접 등으로 교량의 빔이나 지지하고자하는 상판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판(110)의 4모서리에 형성되는 돌출부(112)에는 실린더(121)로서 이루어진 완충기구(120)의 피스톤축(123)이 연결되고, 상기 충격흡수식 교좌장치(100)는 제2고정판(1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고정판(130)은 교각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실린더가 고정되는 이동부재(140)가 원형 고무판(미도시)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 교좌장치는, 고무판 및 실린더(121)는 그 탄성력이나 유압의 변동시 제1고정판(110)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어 장시간 사용시 진동 및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고무판 및 실린더(121)의 탄성력이나 압력이 변동될 때 그 탄성력이나 압력의 제어할 수 없어 교좌장치를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여 설치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방향의 충격은 물론 측면에서의 충돌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반복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 저하현상이나 침하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탄성력이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교좌장치를 교각한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 및 수직블럭을 가변하는 구성으로 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수평블럭 및 수직블럭을 각각 지지토록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면서 교각에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직방향 장착홀에 그 일측이 노출되면서 하단부 적어도 일측에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수직블럭;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가변블럭과 그 일측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 연결되는 지지브라켓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간격조절수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블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직블럭은, 볼트가 연결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볼트에 치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도록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블럭몸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고,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축의 일측이 블럭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동기어와 이에 치합되면서 볼트에 치합되는 너트를 갖는 종동기어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는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워엄기어조합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일단이 지지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볼트와 상기 간격유지볼트에 각각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너트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의 충격은 물론 측면에서의 충돌도 용이하게 흡수하며, 반복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 저하현상이나 침하를 조절하여 항상 일정한 탄성력이나 높이를 유지하고, 교좌장치를 교각한 설치한 상태에서 수평 및 수직블럭을 가변하는 구성으로 그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가 적용된 교량을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를 도시한 요부 결합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 면도이다.
본 발명의 교좌장치(D)는, 하우징(100)과 그 내측에 설치되는 수직블럭(150), 상기 수직블럭(1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평블럭(170)의 조립구조로서 교량(B)을 지지하는 교각(P)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그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수평블럭(170) 및 수직블럭(150)을 각각 지지토록 제1,2장착홀(101)(103)을 각각 구비하면서 교각(P)의 상부면에 앵커볼트(135)로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그 하부양측에 돌출되는 브라켓(13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35)로서 지지된다.
상기 수직블럭(150)은, 하우징(100)의 수직방향에 형성되는 제2장착홀(103)에 그 일측이 노출되면서 하단부 적어도 일측에 제1경사면(157)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직블럭(150)은, 상기 제1경사면과 동일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슬라이드면(165)을 갖으면서 볼트(165)가 연결되는 가변프레임(160)이 상기 볼트(165)에 치합되어 수직블럭을 중심으로 가변토록 하는 회전수단(19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190)은, 회전축의 일측이 블럭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동기어(195)와 이에 일정한 감속비를 갖도록 치합되면서 볼트에 치합되는 너트를 갖는 종동기어(193)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더하여, 상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는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워엄이나 베벨기어이다.
상기 수평블럭(170)은, 상기 제1경사면(157) 또는 슬라이드면(165)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77a)을 구비하는 가변블럭(177)과 그 일측에 스프링(173)을 개재하여 탄성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79)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지지브라켓(179)에는 간격조절수단(18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간견조절수단(180)은, 일단이 지지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볼트(183)와 상기 간격유지볼트에 각각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너트(18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교좌장치(D)를 하우징(100)의 하부 양측에 돌출되는 브라켓(130)을 통하여 교각(P)의 상부면에 올려 놓은 후 앵커볼트(135)로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수직블럭(150)의 홈에 교량(B)를 올려놓아 지지토록 하여 교량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교좌장치의 수평블럭(170)에 의해 흡수토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블럭(150)은, 그 하부에 제1경사면(157)과 동일 기울기의 슬라이드면(165)을 갖는 가변프레임(160)이 설치되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수직블럭의 마모시에 가변프레임(160)을 중심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수직블럭(150)의 높이조절은, 제2장착홀(130)을 통하여 노출토록 되는 구동기어(195)의 연결홈(195a)에 렌치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 되면서 가변프레임의 볼트에 치합되는 너트를 갖는 종동기어(193)가 회전하면서 수직블럭을 중심으로 가변프레임의 위치가 가변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수직블럭(150)은, 제1,2경사면을 통하여 수평블럭(170)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수직블럭의 하향시 수평블럭이 수평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토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블럭(170)은, 상기 제1경사면(157) 또는 슬라이드면(165)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77a)을 구비하는 가변블럭(177)과 그 일측에 스프링(173)을 개재하여 탄성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79)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수직블럭으로 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스프링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토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179)은 간격조절수단(180)을 통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스프링에만 그 충격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간견조절수단(180)은, 일단이 지지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볼트(183)와 상기 간격유지볼트에 각각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너트(18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져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시 지지브라켓(179)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그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교좌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가 적용된 교량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를 도시한 요부 결합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30...브라켓
135...앵커볼트 150...수직블럭
160...가변프레임 165...볼트
170...수평블럭

Claims (5)

  1. 하우징(100)과 그 내측에 설치되는 수직블럭(150), 상기 수직블럭(15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평블럭(170)의 조립구조로서 교량(B)을 지지하는 교각(P)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그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수평블럭(170) 및 수직블럭(150)을 각각 지지토록 제1,2장착홀(101)(103)을 각각 구비하면서 교각(P)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블럭(150)은, 하우징(100)의 수직방향에 형성되는 제2장착홀(103)에 그 일측이 노출되면서 하단부 적어도 일측에 제1경사면(157)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블럭(170)은, 상기 제1경사면(157)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77a)을 구비하는 가변블럭(177)과 그 일측에 스프링(173)을 개재하여 탄성 연결되는 지지브라켓(179)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지지브라켓(179)은 간격조절수단(180)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180)은, 일단이 지지브라켓에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볼트(183)와 상기 간격유지볼트에 각각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간격유지너트(18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그 하부양측에 돌출되는 브라켓(13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35)로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블럭(150)은, 상기 제1경사면과 동일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슬라이드면(165)을 갖으면서 볼트(165)가 연결되는 가변프레임(160)이 상기 볼트(165)에 치합되어 수직블럭을 중심으로 가변토록 하는 회전수단(190)으로서 수직블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90)은, 회전축의 일측이 블럭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구동기어(195)와 이에 치합되면서 볼트에 치합되는 너트를 갖는 종동기어(193)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5. 삭제
KR1020090111479A 2009-11-18 2009-11-18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3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79A KR101132245B1 (ko) 2009-11-18 2009-11-18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79A KR101132245B1 (ko) 2009-11-18 2009-11-18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24A KR20110054724A (ko) 2011-05-25
KR101132245B1 true KR101132245B1 (ko) 2012-04-02

Family

ID=4436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2245B1 (ko) 2009-11-18 2009-11-18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9626A1 (ja) * 2014-04-17 2015-10-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免震装置及び複合免震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407B (zh) * 2018-04-20 2020-10-23 丰泽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桥梁支座
CN108589517B (zh) * 2018-04-20 2020-10-23 丰泽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桥梁支座及其安装方法、拆卸方法
CN110847016A (zh) * 2019-12-31 2020-02-28 河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齿轮型桥梁减震构造
KR102664471B1 (ko) * 2021-08-09 2024-05-14 주식회사 야호텍 코일 삽입이 용이한 모터 코일 와인딩기
CN118148267B (zh) * 2024-05-11 2024-08-02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轻质隔声墙板热桥节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89A (ja) 1998-06-12 2000-01-0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除振装置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0726163B1 (ko) 2005-12-01 2007-06-13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773880B1 (ko) 2005-12-29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89A (ja) 1998-06-12 2000-01-0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除振装置
KR100726163B1 (ko) 2005-12-01 2007-06-13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773880B1 (ko) 2005-12-29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KR100716088B1 (ko) * 2006-07-10 2007-05-0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9626A1 (ja) * 2014-04-17 2015-10-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免震装置及び複合免震装置
JP2015206377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免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24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245B1 (ko) 변위 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KR100716088B1 (ko) 마찰을 이용한 수직진동 감쇠베어링
KR101632432B1 (ko) V홈 마찰 댐퍼
US6971795B2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US9829063B2 (en)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US5980162A (en) Seismic shock absorbing pier
US20060174555A1 (en)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ion System
KR100741718B1 (ko)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마찰 감쇠형 전단키
US20030099413A1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KR101162687B1 (ko) 면진장치
JP5302764B2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KR101482082B1 (ko)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US20230374810A1 (en) Sliding seismic isolator
CN1474007A (zh) 一种建筑物绝缘隔震体系
CN105090340A (zh) 一种防振隔震机床地脚
JP5985927B2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US20050011143A1 (en) Damp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natural frequency of damping body in the damping device
KR101289820B1 (ko) 이중패드 면진장치
JP2017510526A (ja) 地震事象における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ための横方向の減衰および中間支持
KR100687452B1 (ko) 교좌장치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803898B1 (ko) 부유 궤도 장치, 부유 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쐐기를 이용한 진동 저감장치
KR102498283B1 (ko) 볼타입 작동체가 구비된 면진장치
KR101785530B1 (ko) 프리캐스트 부유 궤도장치 및 이를 위한 진동 저감장치
CN214738942U (zh) 一种抗震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