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0804B1 -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 Google Patents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804B1
KR101130804B1 KR1020090111069A KR20090111069A KR101130804B1 KR 101130804 B1 KR101130804 B1 KR 101130804B1 KR 1020090111069 A KR1020090111069 A KR 1020090111069A KR 20090111069 A KR20090111069 A KR 20090111069A KR 101130804 B1 KR101130804 B1 KR 10113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yoke
rotary plate
fixture
nuclear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435A (ko
Inventor
오병은
배상진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3Devices involving rotation of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906Nuclear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과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용접 테이블은, 용접챔버와 상기 용접챔버에 설치되는 용접부 및 회전전달장치와 상기 회전전달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용접테이블을 구비한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이, 상기 회전전달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1 용접회전판의 중심부에 안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지지격자를 고정한 용접치구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용접치구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핵연료봉 지지격자의 용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용접치구,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 용접테이블, 용접치구고정구

Description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WELDING TABLE FOR WELDING SPACER GRID OF NUCLEAR FUEL ROD}
본 발명은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격자의 용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과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란 핵분열 성 물질의 연쇄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열을 발생시키거나 방사성 동위원소 및 플루토늄의 생산, 또는 방사선장 형성 등의 여러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수로 원전에서는 우라늄-235의 비율을 2~5%로 높인 농축우라늄을 사용한다.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우라늄을 5g 정도 무게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만드는 성형가공을 한다. 이 펠렛들을 지르칼로이 피복관에 장입하고 여기에 스프링과 헬륨기체를 넣은 후 봉단마개를 용접하여 연료봉을 제조한다. 상기 연료봉은 골격체 내에 장입되어 최종적으로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하여 원자로 내에서 핵반응을 통하여 연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핵연료집합체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격자의 제작이 필수 적 이다.
도 1은 용접장치의 용접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용접치구(210)를 회전시키면서 용접을 수행하여 지지격자(2)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32770호에 개시된 용접장치의 내부에 장착되는 용접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지지격자(2)의 용접을 위해 지지격자(2)를 용접치구(21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용접치구(210)를 중앙이 중공된 홀더(220)에 고정한 후 용접장치 내부의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 후 제 1 용접회전판지지장치(146)에 지지되어 회전전달장치(114)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용접회전판(350)과, 상기 홀더(220)를 지지하며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용접회전판(360)을 이용하여 용접치구(210)를 회전시키면서 레이저용접부(200)에 의해 지지격자(2)의 교차부에 대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여 지지격자(2)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용접부(200)의 도 3의 레이저용접부(200)의 레이저 집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회전바(371)로 홀더(220)를 고정한 후 제 2 용접회전판(350)을 180도 회전시켜 용접치구(210)가 제 1 용접회전판(350)의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홀더(371)를 제거하지 않으면 용접치구(210)를 제 2 용접회전판(360)를 이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홀더(220)를 고정하는 회전바(371)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 용접치구(210)가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용접장치의 경우에는 용접치구(210)가 용접테이블의 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용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지지격자 용접장치의 경우 용접치구(210) 저면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용접치구(210)를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홀더(220)로부터 분리한 후 상하를 뒤 짚어 고정하여 용접을 수행해야만 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지지격자의 용접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지지격자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핵연료봉 지지격자의 용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지지격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과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테이블은, 용접챔버와 상기 용접챔버에 설치되는 용접부 및 회전전달장치와 상기 회전전달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용접테이블을 구비한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이, 상기 회전전달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1 용접회전판의 중심부에 안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지지격자를 고정한 용접치구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용접치구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치구고정구는, 상기 제 2 용접회전판 상에 안착되는 용접치구를 고정하는 요크;와, 상기 제 2 용접회전판 상에서 상기 요크를 좌우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 1 용접회전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요크를 상기 용접치구와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위해 좌우 이동시키는 회동암; 과, 상기 회동암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요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요크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장치는, 중공의 형상으로 일 측면이 개방된 용접챔버;와, 상기 용접챔버 내부에 장착되는 회전전달장치;와, 상기 용접챔버 내부에서 상기 용접치구를 안착지지하여 구상으로 회전시키는 용접테이블;과, 상기 용접챔버 내부에서 상기 용접치구에 결합된 지지격자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부;와,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수직축에 대한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상기 용접치구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용접치구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격자에 대한 용접을 수행함에 있어 용접장치 내에서 지지격자의 360도 방향에 대한 자유자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지격자의 위치 재설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핵연료봉 지지격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지지격자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격자의 용접 중 위치 변경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최소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지격자 용접장치(이하, '용접장치'라 함)의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용접장치(100)는 용접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용접해야 할 지지격자 또는 용접이 끝난 지지격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장치(510)가 개폐판(381)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용접해야 할 지지격자 또는 용접이 끝난 지지격자를 용접챔버(320) 내부로 밀어 넣거나 빼내기 위한 출입장치(520)가 개폐판(381)과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장치(1)의 내부에는 도면에는 레이저용접부(200, 도 3 참조)와 용접테이블(100, 도 4 참조), 레이저공급장치(미 도시), 용접 테이블의 회전 구동을 위한 각각의 구동장치 등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레이저용접부(200)가 본 발명의 용접부가 된다.
상기 용접장치(1)의 구성은 종래기술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3277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기에서 상기 용접테이블(100)과 레이저용접부(20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용접장치(1)에 장착되는 레이저 용접을 위한 레이저용접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레이저용접부(200)는 용접을 위해 좌우 운동을 하는 x축직선운동장치(160), 전후 운동을 하는 y축직선운동장치(170)와 상하 수직 운동을 하는 z축직선운동장치(180)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레이저용접부(200)는 도 2의 용접챔버(320) 내부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레이저용접부(200)의 각 구성은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용접장치(1)에 장착되는 용접 테이블(100)의 사이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용접테이블(100)은 회전전달장치(144), 제 1 용접회전판지지장치(146), 제 1 용접회전판(350), 제 2 용접회전판(360) 및 용접치구고정구(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전달장치(144)는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용접회전판지지장치(146)는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은 상부에 용접치구(210)가 장착된 상태로 제 2 용접회전판(360)을 중심을 지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접치구고정구(101)는 상기 제 1 회전판(350)에 장착되는 에어실린더축(111)을 구비한 에어실린더(110),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에 장착되는 요크(130)와 지지브라켓(140) 및 상기 에어실린더(110)의 구동력을 상기 요크(130)로 전달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에어실린더(110)의 에어실린더축(111)에 회전 가능 결합되고 중심부는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 단부는 상기 요크(1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하되는 회동암(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용접치구고정구(101)의 구성 상기 회동암(120), 요크(130) 및 지지브라켓(14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회동암(120)의 사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회동암(120)은 L자 형으로 절고 형성되고, 상기 에얼실린더축(111)과 결합되는 단분에는 실린더축공(123)이 형성되며, 절곡되는 위치에는 제 1 용접회전판(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회전축(121a. 도 4 참조)이 결합되는 회전축공(121)이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요크(130)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요크걸림부(122)가 형성된다. 도 5의 경우 상기 요크걸림부(122)는 단턱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나, 상기 요크걸림부(12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요크(130)에 형성되는 요크걸림부홈(134,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요크(130)의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요크(120)는 용접치구(210)의 하부받침판(30, 도 8 참조)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용접치구(210)를 고정하는 고정턱(132)이 형성된 고정블럭(131)과, 상기 고정블록(1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크홈결합부(133)와 요크홈결합부(133)의 단부에 형성되는 요크걸림홈(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럭(131)의 상기 요크홈결합부(133)가 형성되는 면에는 탄성체(150, 도 8 참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체홈(1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홈결합부(133)의 요크걸림홈(134) 측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요크(130)가 하기에 설명될 지지브라켓(140)의 요크결합홈(14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33a)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지지브라켓(140)의 사시도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140)은 사각 블럭 형상의 상부브라켓(140a)과 하부 브라켓(14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140a)은 저면에 상부 요크결합홈(141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요크결합홈(141a)의 양 측에 각각 상부 탄성체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브라켓(140b)은 상부면에 하부 요크결합홈(141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요크결합홈(141b)의 양 측에 각각 하부 탄성체홈(142a)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상부 브라켓(140a)과 하부 브라켓(140b)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4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요크결합홈(141a)과 상기 하부 요크결합홈(141b)이 결합하여 요크홈결합부(133)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요크결합홈(1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탄성체홈(142a)과 상기 하부 탄성체홈(142b) 또한 서로 결합하여 탄성체(150, 도 8 참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체홈(142)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30)와 상기 지지브라켓(140)이 결합되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 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요크(130)는 탄성체(150)에 의해 고정턱(132)이 제 2 용접회전판(360)을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에어실린더(110), 회동암(120), 요크(130) 및 상기 지지브라켓(140)이 본 발명의 용접치구고정구(101)가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용접테이블(1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용접테이블(100)의 각 구성에서 상기 제 1 용접회전 판(350)은 상기 회전전달장치(144)와 제 1 용접회전판지지장치(146)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은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의 중심부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 장착된다.
상기 에어실린더(110)는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의 상부 일측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회동암(120)은 일측 단부의 실린더축공(123)을 통해 상기 에어실린더(110)의 에러실린더축(111)에 호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공(121)에 삽입되는 회전축(121a)에 의해 제 1 용접회전판(350)의 상부에서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후 상기 하부 브라켓(140b)은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상부면 중 상기 용접치구(210)의 하부 받침판(30)의 측면에 인접된 위치에 장착 고정된다.
상기 하부 브라켓(140b)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에 장착 고정된 후에는 상기 요크홈결합부(133)가 상부 브라켓(140b)의 하부 요크결합홈부(141b)에 안착되도록 하부 브라켓(140b)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150)는 하부 탄성체홈(142b)에 일측 단부가 결합된다.
이 후 상기 요크(130)와 탄성체(150)가 결합된 하부 브라켓(140b)의 상부에 상부 브라켓(140a)을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에 요크(130)가 요크결합홈(141)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브라켓(14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요크결함홈(141)의 단면은 상기 요크홈결합부(130)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133a)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130)가 지지브라켓(14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요크(130)의 단부에 형성된 요크걸립부홈(134)는 상기 회동암(120)의 요크걸립부(122)가 위치되는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요크걸림부홈(134)에는 상기 요크걸림부(122)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요크(130)가 지지브라켓(14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요크(130)의 단부에 형성된 요크걸립부홈(134)은 상기 회동암(120)의 요크걸립부(122)가 위치되는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동암(120)의 요크걸림부(122)가 상기 요크걸림부홈(134)에 삽입 결합하거나, 삽입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암(120)이 상기 요크(130)와 결합 해제되는 경우 상기 요크(130)는 탄성체(150)에 의해 고정블럭(131)이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에 지지격자(2)를 고정한 용접치구(2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용접장치(1)와 용접테이블(100)을 이용한 지지격자(2)의 용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용접회전판(350)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110)와, 에어실린더축(111)에 실린더축공(12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암(120)이 장착된다.
상기 요크(130)와 지지브라켓(140)은 상기 요크(130)가 브라켓(140)의 요크결합홈(14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동암(120)의 요크걸림부(121)는 상기 요크(130)의 요크걸림부홈(134)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접테이블(100)을 이용한 지지격자(2)의 용접을 위하여 지지격자판이 서로 격자상으로 결합된 지지격자(2)가 고정된 하부받침판(30)을 포함하는 용접치구(210)를 제 2 용접회전판(360) 상에 안착시킨다. 상기 용접치구(210)의 이송은 크레인과 컨베이어 등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치구(210)는 하부 받침판(30)에 형성된 고정홈(134)이 제 2 용접회전판(360)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361)와 결합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이 후 상기 에어실린더(110)가 구동하여 에어실린더축(111)이 신장되면서 상기 회동암(120)을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동암(120)이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동암(120)의 요크걸림부(122)가 용접치구(210) 측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요크(130)를 용접치구(210)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요크(130)가 상기 회동암(120)에 의해 용접치구(210) 측으로 이동되면 요크(130)의 고정턱(132)이 용접치구(210)의 하부받침판(30)의 모서리에 결합되면서, 용접치구(210)를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130)가 용접치구(2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 1 용접회전판(350) 및 제 2 용접회전판(360)을 회전시키면서 레이저용접부(200)를 이용하여 지지격자(2)의 교차부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은 상기 회동암(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요크(130)와 지지브라켓(140)이 상기 회동암(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요크걸림부(122)가 상기 요크걸림부홈(134)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회동암(120)이 상기 요크(130)와 결합 해제되는 경우 상기 요크(130)는 탄성체(150)에 의해 고정블럭(131)이 제 2 용접회전판(36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계속하여 상기 용접치구(210)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각 구성의 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암(120)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상기 회동암(120)이 상기 요크(130)와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용접치구(21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용접회전판(36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요크걸림부(122)가 상기 상기 요크걸림부홈(134)에 삽입되어 요크(130)의 하부받침판(3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용접테이블(100)을 구비한 용접장치(1)는 용접테이블(100)을 수직 및 수평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지지격자(2)를 용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테이블(100)은 제 1 용접회전판(350)이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도 요크(130)가 용접치구(210)를 고정하면서 회동암(120)과의 결합의 분리되고 결합이 해제될 수 있어, 용접치구(210)가 저면을 향한 상태에서도 제 2 회전판(360)을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용접치구(210)의 재장착을 수행함이 없이 지지격자(2)를 한번에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32770호에 개시된 용접장치의 내부에 장착되는 용접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지지격자 용접장치(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용접장치(1)에 장착되는 레이저 용접을 위한 레이저용접부(200)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용접장치(1)에 장착되는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이하 '용접 테이블'(100)의 사이도,
도 5는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회동암(120)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요크(130)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의 구성 중 지지브라켓(140)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용접 테이블(100)에 지지격자(2)를 고정한 용접치구(2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용접장치 2: 지지격자
100: 용접테이블 110: 에어실린더
120: 구동암 130: 요크
131: 고정블럭 132: 고정턱
133: 요크홈 결합부 133a: 스토퍼
134: 요크걸림부홈 140: 지지브라켓
350: 제 1 용접회전판 360: 제 2 용접회전판
200: 레이저용접부 210: 용접치구
30: 하부받침판

Claims (4)

  1. 용접챔버와 상기 용접챔버에 설치되는 용접부 및 회전전달장치를 구비한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1 용접회전판의 중심부에 안착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 용접회전판;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 상에 안착되는 용접치구를 고정하기 위한 요크;와,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요크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요크와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크를 상기 제 2 용접회전판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제 1 용접회전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요크를 상기 용접치구와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위해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1069A 2009-11-17 2009-11-17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Active KR10113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69A KR101130804B1 (ko) 2009-11-17 2009-11-17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69A KR101130804B1 (ko) 2009-11-17 2009-11-17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35A KR20110054435A (ko) 2011-05-25
KR101130804B1 true KR101130804B1 (ko) 2012-04-12

Family

ID=4436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69A Active KR101130804B1 (ko) 2009-11-17 2009-11-17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7730B (zh) * 2014-06-14 2017-07-11 金华明正科技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的自动控制的电焊机支架
KR101673881B1 (ko) * 2014-11-27 2016-11-09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용 지지격자의 레이저 용접방법
CN108000039A (zh) * 2017-12-24 2018-05-08 上力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旋转焊接工作台
CN108326436B (zh) * 2018-01-25 2018-12-18 绍兴协众进出口有限公司 一种高端数字化模具生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0095U (ko) * 1987-04-27 1988-11-04
KR200195252Y1 (ko) * 2000-03-23 2000-09-01 송성태 원형곡면 자동용접장치
KR200224718Y1 (ko) * 2000-12-05 2001-05-15 주식회사태성양산 클립을 이용한 우산살과 우산포의 자동결합장치(전용기)
KR100922162B1 (ko) * 2007-09-28 2009-10-21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레이저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0095U (ko) * 1987-04-27 1988-11-04
KR200195252Y1 (ko) * 2000-03-23 2000-09-01 송성태 원형곡면 자동용접장치
KR200224718Y1 (ko) * 2000-12-05 2001-05-15 주식회사태성양산 클립을 이용한 우산살과 우산포의 자동결합장치(전용기)
KR100922162B1 (ko) * 2007-09-28 2009-10-21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레이저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35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804B1 (ko)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 테이블
CA2653276A1 (en) Full function prescision welding system
KR101647019B1 (ko)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KR20090032768A (ko) 지지격자용 다축 레이저용접 헤드
JP2531808B2 (ja) 管理された環境中において部品集合体を自動的に溶接するための装置
KR101329083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용 절단장치
JP2009250980A (ja) 着脱可能な原子炉燃料アセンブリ構成要素
KR101162002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상단고정체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단고정체 제거 방법
US4772446A (en) Gripper assembly for inserting and removing burnable absorber rods and thimble plugs in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20120246933A1 (en) Top nozzle for nuclear fuel assembly having spring insert hole improved in fastening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97217B1 (en) Spacer capture mechanism for non-round water rods
US10361006B2 (en) Laser welding apparatus for spacer grid of nuclear fuel assembly
JPS63265192A (ja) 原子炉の炉心及び炉心に装荷するための方法
KR101624828B1 (ko) 배럴포머볼트 검사장치
KR102646369B1 (ko) 원자로 검사 및 정비 장치
KR20080111409A (ko) 원자로 연료 집합체 그리드
US20110235767A1 (en) Inspection tool for top guides of a boiling water reactor
CN104919533A (zh) 核燃料组件搬运装置
US3048532A (en) Cruciform control rod joint
KR100922162B1 (ko) 핵연료집합체 지지격자의 레이저용접장치
JP4965070B2 (ja) 燃料集合体ノズル交換用の工具と方法
KR101149550B1 (ko) 핵연료 집합체용 상단고정체
KR101140674B1 (ko) 핵연료봉 지지격자 용접치구 분리장치
KR101081558B1 (ko) 핵연료봉 지지격자 탭 제거장치
KR100982301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