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000B1 -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000B1 KR101129000B1 KR1020040051924A KR20040051924A KR101129000B1 KR 101129000 B1 KR101129000 B1 KR 101129000B1 KR 1020040051924 A KR1020040051924 A KR 1020040051924A KR 20040051924 A KR20040051924 A KR 20040051924A KR 101129000 B1 KR101129000 B1 KR 101129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counseling
- developing
- scattering
- rotat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상담지체와; 상담지체에 마주하여 회전되며, 현상제를 상담지체로 옮겨주는 현상부재와; 상담지체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와 상담지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안내되는 비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elop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nseling member rotated in one direction; A developing member which rotates to face the counseling member and moves the developer to the counseling member;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counseling member and generating air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flow generated between the developing member and the counseling member to suppress scattering of the developer; And a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scattering developer guided by an ai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ng memb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확대도.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인쇄동작시 발생하는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irflow generated during a printing operation in the state of FIG. 2.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본체 20..현상장치10.
30..급지부 40..레이저 스캐닝유닛30.
50..정착유닛 60..전사롤러50. Fixing
100..하우징 101..상담지체100.
102..현상부재 103..공급롤러102. Developing
104..현상제층 규제부재 110..회전부재104. Developing
120..비산 현상제 수용부재 130..판부재120. Scattering
141,143..상/하부 가이드부재 150..전전사램프141,143. Upper /
160..실링부재160.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일반용지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른 화상신호를 인쇄매체인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옮겨서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an LED printer, a digital copier, a general paper facsimile machine, or the like has a function of transferring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digital signal to a paper, which is a print medium, in the form of a visible image.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와, 레이저 스캐닝장치, 정착장치 등을 포함한다.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apparatus, a laser scanning apparatus, a fixing apparatus and the like.
상기 현상장치는, 가시화상이 현상되는 감광드럼과 같은 상담지체와, 그 상담지체에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옮겨주는 현상부재를 구비한다.The developing apparatus includes a counseling member such as a photosensitive drum on which a visible image is developed, and a developing member for transferring a developer such as toner to the counseling member.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장치에서 주사되는 광에 의해 그 표면에 가시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The counseling member is formed wit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a visible image on its surface by the light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apparatus.
상기 현상부재의 일예로서, 상담지체와 소정 현상갭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는 현상롤러가 있다. 이 현상롤러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상기 정전잠상 영역으로 옮겨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현상롤러에 부착된 현상제는 정전잠상과 현상롤러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현상갭을 통해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현상방식을 소위 점핑 현상법이라 한다. 상기 정전잠상으로 이송된 토너는 상담지체와 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인쇄매체는 상기 정착장치를 통과하게 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에서의 고온/고압에 의해 인쇄매체에 고착된다. As an example of the developing member, there is a developing roller which is rotated with a consultation delay and a predetermined developing gap therebetween. This developing roller serves to transfer a developer such as ton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rea. That is,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rea through the developing gap by the electrostatic force caus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the developing roller. This developing method is called a jumping developing method. The toner transferred to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is transferred to a print medium passing between the counseling member and the transfer roller. The printing medium passes through the fixing device, and the visible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medium is fixed to the printing medium by high temperature / high pressure in the fixing device.
한편, 상담지체와 현상롤러가 서로 순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현상갭에서는 일정한 공기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인쇄매체의 이동에 의해, 인쇄매체와 현상장치 사이에서도 공기흐름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s the counseling member and the developing roller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 constant air flow occurs in the developing gap. As a result of the movement of the print medium, air flow also occurs between the print medium and the developing apparatus.
상기 현상갭을 통해 현상롤러에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는 토너입자는 상기와 같은 공기 흐름에 의해 교란되고, 특히 대전량이 불충분한 토너 입자는 정전기력에 비해 공기흐름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어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일부의 토너입자는 상담지체의 비 화상영역에 달라붙어서 상담지체를 오염시킨다.The toner particles moved from the developing roll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through the developing gap are disturbed by the air flow as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the toner particles having insufficient charge amount are more affected by the air flow than the electrostatic force and mov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can not do. That is, some of the toner particles stick to the non-image area of the counseling member to contaminate the counseling member.
또한, 일부 토너 입자는 공기흐름을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비산된다. 비산된 토너는 인쇄매체 및 인쇄매체의 이송경로를 오염시켜서 화상을 품질을 저하시킨다.In addition, some toner particles are scattered in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long with the air flow. The scattered toner contaminates the print medium and the transfer path of the print medium, thereby degrading the image.
또한, 비산토너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장치를 오염시켜서 화상의 결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ttering toner may contaminate the laser scanning device and cause the image to be combined.
또한, 비산토너는 상기 상담지체를 구동시키는 기어와 같은 구동장치에 달라붙어 균일한 동력전달을 방해하고, 구동시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ttering toner sticks to a driving device such as a gear for driving the consultation delay, thereby preventing uniform power transmission and increasing the load during driv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현상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mproved develop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so as to suppress scattering of the develop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되 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마주하여 회전되며, 현상제를 상기 상담지체로 옮겨주는 현상부재와; 상기 상담지체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부재와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안내되는 비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counseling member rotated in one direction; A developing member which rotates to face the counseling member and moves a developer to the counseling member;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counseling member and generating air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flow generated between the developing member and the counseling member to suppress the scattering of the developer; And a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scattering developer guided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ng member.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 외측의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선속도에 대해 5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near velocity outside the rotating member is preferably 50% to 150% relative to the linear velocity of the surface of the counseling member.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상담지체와의 간격은 3mm 이내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nsultation delay is preferably within 3mm.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부재 밑으로 현상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ate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rotating member and prevents the developer from falling below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판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는 간격은 0 내지 3mm 이하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is preferably 0 to 3mm or less.
또한, 상기 판부재는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로부터 연장된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이상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late member extending from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is preferably more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현상부재 및 상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입구 및 출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developing member and the housing containing the developer i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scattering developer receiv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let and an outlet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에 현 상제를 옮겨주는 현상부재와, 상기 현상부재 및 상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가지는 현상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 받는 인쇄매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매체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담지체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부재와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안내되는 비산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상기 매체 가이드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는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ing member for moving the developer to the counseling member, and a housing in which the developing member and the developer are accommodated; A media guide member provided below the developing apparatus to guide movement of a print medium to which an image formed on the consultation member is transferred; A rota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counseling member and generating air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flow generated between the developing member and the counseling member to suppress the scattering of the developer; And a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medium guide member and the housing to accommodate the scattering developer guided by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ng member.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 외측의 선속도는 상기 상담지체 표면의 선속도에 대해 5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inear velocity outside the rotating member is preferably 50% to 150% relative to the linear velocity of the surface of the counseling member.
또한, 회전부재와 상기 상담지체와의 간격은 3mm 이내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onsultation delay is preferably within 3mm.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부재 밑으로 현상제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ate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rotating member and prevents the developer from falling below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판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는 간격은 0 내지 3mm 이하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is preferably 0 to 3mm or less.
또한, 상기 판부재는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로부터 연장된 길이는 상기 회전부재의 반경 이상인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late member extending from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is preferably more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상기 매체 가이드부재와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의 대전전위를 낮추어주는 전전사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fer guide lamp is provided between the medium guide member and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to lower the charge potential of the counseling member.
또한, 상기 매체 가이드부재와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전전사램프를 기준으로 상기 상담지체에 가까운 프런트 쪽과, 먼 리어쪽으로 구분되며, 상기 리어쪽에는 상기 매체 가이드부재와 상기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medium guide member and the scattering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is divided into a front side close to the counseling member and a far rear side based on the transfer lamp, and the rear side of the medium guide member and the scatter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s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elop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현상장치(20)와, 현상장치(20)로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30)와, 레이저 스캐닝유닛(40)과, 정착유닛(50) 등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여기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유닛(40)은 상기 현상장치(20)에 마련된 상담지체(101)로 원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도록 광을 주사한다.Here, the
상기 정착유닛(50)은 현상장치(2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고온, 고압으로 정착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킨다. 상기 레이저 스캐닝유닛(40)과 정착유닛(50)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xing
도면부호 60은 상담지체(60)와 접촉 회전되는 전사롤러를 나타낸다. 상기 상담지체(101)와 전사롤러(70)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상담지체(101)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현상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에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상담지체(101)와, 현상부재(102)와, 회전부재(110)와,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1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developing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새 현상제 즉, 새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현상부재(102)는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 구동되면서 상담지체(101)로 현상제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는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를 사용하는 1성분 비자성 현상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A new developer, that is, a new toner is accommodated in the
현상부재(102)는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고무롤러 또는 원통형의 알루미늄재질의 금속롤러인 것이 좋다. 상기 금속롤러는 표면이 샌드브라스트(sand blast) 처리된 뒤, 니켈(Ni) 도금하여 형성된 것이 좋다.The developing
또한, 하우징(100) 내에는 현상부재(102)로 현상제를 공급해주는 공급롤러(103)와, 현상부재(102) 표면의 현상제층을 일정두께로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층 규제부재(104)가 더 설치된다. 상기 규제부재(104)는 탄성력을 갖는 스테인레스 박판으로 형성되며, 현상부재(102)에 접촉되게 하우징(100) 내에 고정된다. 상기 공급롤러(103)는 현상부재(10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현상부재(102)와 규제부재(104) 사이로 공급한다.In the
상기 구성의 현상부재(102)와, 공급롤러(103) 및 규제부재(104)에는 미도시된 전원공급부로부터 AC 전압과 DC 전압이 중첩 인가된다.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의 특성 예를 들어, Vpp(Peak to peak Voltage), 주파수, Duty ratio 등은 사용환경 및 여러 가지 인쇄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The developing
또한, 하우징(100) 내에는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105)가 회전 가 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여기서, 상기 상담지체(101)는 현상부재(102)와 마주하여 현상부재(102)와 순방향으로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담지체(101)의 회전선속도는 현상부재(102)의 회전선속도보다 작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현상부재(102)와 상담지체(101) 사이에는 소정 현상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부재(102) 표면의 현상제는 소위 점핑 현상법에 의해 상기 상담지체(101)의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된다. 상기 현상갭(G1)은 대략 0.3mm 내지 0.4mm 정도로 유지된다.Here, the
상기 회전부재(110)는 상담지체(101)와 현상부재(102)의 회전에 의해 현상갭(G)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인쇄동작시, 상담지체(101)와 현상부재(102)는 소정 속도로 순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서 현상갭(G)에서는 상담지체 기류(201)가 발생한다. 상기 기류(201)에 의해 대전특성이 약화되고 교란된 미세 현상제들이 하류 쪽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시키도록, 회전부재(110)는 반대방향의 회전부재 기류(208)를 발생시킨다.The rotating
회전부재(110)는 샤프트(111)와, 샤프트(111)의 외주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 마련된 날개(112)를 구비한다. 샤프트(111)와 날개(12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110)는 적어도 일단에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판(113)을 가진다. 상기 회전판(113)은 상담지체(101) 또는 현상부재(102)로부터 동력을 연결기어 등을 이용하여 직/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The rotating
이러한 회전부재(110)는 하우징(100)의 하측에 상담지체(101)와 마주하여 회 전되게 설치된다. 이 회전부재(110)는 상담지체(101)와 소정 거리, 바람직하게는 3mm 이내의 갭(G2)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담지체(101)와 회전부재(110) 사이로 비산 현상제가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rota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회전부재(110)의 최외측에서의 선속도(V1)는 상담지체(101)의 외주에서의 선속도(V2)에 대해 50% 내지 150% 사이의 값을 갖도록 회전되는 것이 좋다. 즉, 인쇄속도가 대략 20 PPM(printing per minute) 정도일 경우에는 상담지체(101)의 선속도(V2)가 작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공기흐름도 많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부재(110)의 선속도(V1)도 상대적으로 낮은 50% 내지 100% 정도로 유지되어도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반면에, 인쇄속도가 30 내지 40PPM 까지 고속일 경우에는, 회전부재(110)의 선속도(V1)를 100% 내지 150%까지 증가시켜서 역방향으로의 공기흐름(208)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inear velocity V1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rotating
또한, 회전부재(110)에 의해 회수되는 비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비산 현상제 수용부재(120)가 하우징(1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 수용부재(120)는 입구(121)와 출구(122)를 가진다. 입구(121)에 인접하여 상기 회전부재(110)가 설치된다. 상기 입구(121)로 유입된 비산 현상제는 수용부재(120) 내로 들어와 적재된다. 그리고, 공기는 출구(122) 쪽으로 흘러서 빠져나간다. 미세 현상제가 출구(122)로 빠져나지 못하도록 출구(122)에는 필터(1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attering
또한, 상기 회전부재(110)의 하측에는 판부재(13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판부재(130)는 탄성변형 가능한 필름 재로서, 수용부재(1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 판부재(130)와 상기 회전부재(110) 사이의 갭은 0 내지 3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 다. 따라서, 입구(121)로 들어가지 못하고 회전부재(110)에 이끌려서 함께 회전되는 기류에 포함된 현상제를 상기 기류(208)에 다시 효과적으로 편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부재(130)의 길이(L)는 회전부재(110)의 최외측을 기준으로 한 반지름 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판부재(130)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서,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기류(208)의 세기와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판부재(130)는 수용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부재(130)는 탄성을 가지는 필름재질을 수용부재(120)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또한, 수용부재(120)의 하측에는 인쇄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부재(141)와 하부 가이드부재(143)가 설치된다. 상/하부 가이드부재(141,143)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41)의 상부에는 전전사램프(150)(PTL: pre transfer lamp)가 지지된다. 상기 전전사램프(150)는 화상이 형성된 상담지체(101)의 화상영역과 비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를 낮추어주기 위한 것이다. 이 전전사램프(150)에 의해 전위차를 낮추게 되면, 상담지체(10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더 용이하게 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전사램프(150)의 설치를 위해서 상부 가이드부재(141)와 수용부재(120)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비산 현상제가 상부 가이드부재(141)와 수용부재(120)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실링부재(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부재(160)는 필름 또는 러버재질로 형성시켜서, 상부 가이드부재(141) 또는 수 용부재(12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160)는 전전사램프(150)의 후방(리어) 쪽에 위치된다.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이하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인쇄동작시 급지부(30)에서는 인쇄매체가 픽업되어 현상장치(20)쪽으로 이송된다. 입력된 인쇄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유닛(40)에서는 상담지체(101)로 광을 주사하여 소정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printing medium is picked up from th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01)와 더불어 회전되는 현상부재(102)는 상담지체(101)의 회전방향에 대해 순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현상제를 상담지체의 정전잠상 영역으로 옮겨준다. 이때, 현상부재(102)와 공급롤러(103)와 규제부재(104)에는 AC 전압과 DC 전압이 중첩되어 인가된다. 따라서, 상담지체(101)와 현상부재(102) 사이의 현상갭(G1)에서는 정전잠상영역의 전위와 현상부재(102)에 발생되는 정전기력의 전위차에 의해 현상제가 상담지체(101)의 정전잠상 영역으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2, the developing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지체(101)와 현상부재(102)의 회전에 의해 현상갭(G1)에서는 상담지체 기류(201)가 발생한다. 이 기류(201)에 의해 일부 현상제가 교란된다. 따라서, 교란된 현상제와 대전특성이 약화된 현상제 등은 기류(201)에 의해 현상갭(G1)의 하류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by the rotation of the
또한, 전사롤러(70)의 회전에 의한 기류(202)가 발생된다. 상기 전사롤러(70)의 기류(202)와 상담지체(101)의 기류(201)가 충돌하여 와류(207)가 발생한다. 이 와류(207)에서 일부는 비산 현상제를 포함한 비산기류(206)로 발전한다. 비산기류(206)는 상부 가이드부재(141)와 수용부재(120) 사이로 이동되다가 실링부재(160)에 막혀서 더 이상의 진행을 멈추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와류(207) 중 또 다른 일부는 회전부재(110)에 의해 회수되어 회전부재 기류(208)로 발전하며, 나머지 와류(207)는 그대로 와류형태로 잔류한다.In addition, another portion of the
회전부재 기류(208) 중 일부는 회전부재(110)의 회전을 따라서 계속 회전되고, 일부 즉 실제적인 비산 방지 기류(205)는 상담지체(101) 기류(201)에서 파생된 기류(203)와 합쳐져서 수용부재(120) 내부로 들어와 대부분 소멸된다. 그리고, 일부는 출구(122)로 빠져나가는 기류(204)로 사라지게 된다. 이 빠져나가는 기류(204)에는 실질적으로 비산 현상제를 거의 소유하지 못할 뿐더러, 일부 포함된 비산 현상제는 필터(123)에 의해 필터링되어 수거된다.Some of the rotating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 선속도(V1)의 크기를 상담지체(101)의 회전선속도(V2)에 비해서 충분히 크게 제어함으로서, 상기 비산기류(206)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회전부재 기류(208)의 발생량을 크게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rotation linear speed (V1) of the
또한, 회전부재(110)와 상담지체(101) 사이의 갭(G2)을 가능한 작게 제어함으로서, 기본적으로 상담지체 기류(201)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재(110)에 의한 비산방지 기류(205)의 흡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비산 기류(206)를 근원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gap G2 between the rotating
또한, 상기 판부재(130)를 설치하고, 그 판부재(130)와 회전부재(110) 사이 의 간격을 가능한 작게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재 기류(208)와 비산 방지 기류(205)가 가능한 크게 발생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Further, by install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갭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에 대해 역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부재를 설치하여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velop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cattering of the developer by installing a rotary member for generating the air flow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air flow generated in the developing gap. have.
또한, 비산되는 일부 현상제를 별도의 수거공간에 수거하여 저장함으로서 현상제 비산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llecting and storing some developer that is scattered in a separate collection space, the in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developer scattering.
또한, 비산된 현상제가 인쇄매체, 레이저 스캐닝장치, 구동기어 등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인쇄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eloper from being scattered to contaminate the print medium, the laser scanning device, the drive gear, etc.,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inted image.
또한, 수거된 비산 현상제가 현상장치 내부에 저장되므로, 현상장치의 수명이 다해서 새것으로 교체시, 함께 교체하여 폐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관리하기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llected developer is stored inside the developing apparatus, when the developing apparatus reaches the end of its life, it can be replaced and disposed of with a new one, which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manag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1924A KR101129000B1 (en) | 2004-07-05 | 2004-07-05 |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10/964,617 US7171137B2 (en) | 2003-10-30 | 2004-10-15 |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CNB2004100879941A CN100426150C (en) | 2003-10-30 | 2004-10-26 | Develop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EP04105388.5A EP1528438B1 (en) | 2003-10-30 | 2004-10-28 | Prin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1924A KR101129000B1 (en) | 2004-07-05 | 2004-07-05 |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3132A KR20060003132A (en) | 2006-01-10 |
KR101129000B1 true KR101129000B1 (en) | 2012-03-26 |
Family
ID=3710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1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9000B1 (en) | 2003-10-30 | 2004-07-05 |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90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176266A1 (en) * | 2022-11-30 | 2024-05-30 | Akimitsu Obana | Image forming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652A (en) * | 1998-02-18 | 1999-08-27 | Fuji Xerox Co Ltd | Developing device |
-
2004
- 2004-07-05 KR KR1020040051924A patent/KR1011290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1652A (en) * | 1998-02-18 | 1999-08-27 | Fuji Xerox Co Ltd | Develop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176266A1 (en) * | 2022-11-30 | 2024-05-30 | Akimitsu Obana | Image 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3132A (en) | 2006-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28438B1 (en) | Printing device | |
US5835822A (en) | Image-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rocess unit | |
JP4505275B2 (en) |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 |
US7289755B2 (en) | Development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100232852A1 (en) | Toner conveying mechanism, cleaning unit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1681604B1 (en) | A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129000B1 (en) | Image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014666B1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344202B2 (en) |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provided with the same | |
CN101221393B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497364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942671A1 (en) |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4333658A (en) |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is, and process cartridge | |
JPH06102743A (en) | Development device | |
KR100529348B1 (en) | Develop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 |
KR100594959B1 (en) |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723252B2 (en) |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644679B1 (en) | Waste toner recovery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5496923B2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22050960A (en) | Toner convey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0002854A (en) |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00046751A (en) | Ima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50007728A (en) |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3043873A (en) |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KR20080072366A (en) | Developing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214 Appeal identifier: 2011101008096 Request date: 20111027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1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0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