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958B1 - Flying object - Google Patents
Flying obje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8958B1 KR101128958B1 KR1020090067686A KR20090067686A KR101128958B1 KR 101128958 B1 KR101128958 B1 KR 101128958B1 KR 1020090067686 A KR1020090067686 A KR 1020090067686A KR 20090067686 A KR20090067686 A KR 20090067686A KR 101128958 B1 KR101128958 B1 KR 101128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 drive
- right wing
- propulsion
- aircr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3/00—Ornithopters
- B64C33/02—Wings; Actuating mechanism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40—Ornith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본 발명은 날개운동을 통해 구동력을 얻는 비행체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좌/우측날개의 표면에서 각각 전자기력의 변화를 통해 인력과 척력을 교번 제공하여 좌/우측날개에 상호 독립적 날개운동을 발생시켜서 구동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craft to obtain a driving force through the wing movement, alternately providing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on the surface of the left / right wing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mutually independent wing movement on the left / right wings It is characterized by obtaining a driving force.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간소화하고 경량화하여 비행체의 총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날개에 배치시킴으로써 몸체를 경량화하고 날개운동에 중량 가속도를 증대시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승/하강, 이/착륙, 전진, 선회는 물론 후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향전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light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total weight of the aircraft by simplifying and lightening the drive structu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pulsion by placing the drive structure on the wing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and increase the weight acceleration in the wing move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versibility by enabling the vertical rise / fall, take off / landing, forward, turning, as well as backward.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상승, 정지비행, 비행효율, 추진력 및 방향전환성을 향상시킨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having improved vertical rise, stationary flight, flight efficiency, propulsion and direction change.
일반적으로, 비행체는 비행기(aeroplane), 비행접시(flying saucer), 비행선(airship), 헬리콥터(helicopt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general, the aircraft may be an aeroplane, a flying saucer, an airship, a helicopter, or the like.
상기 비행기의 경우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양 옆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를 부착하며, 몸체의 꼬리부분에는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꼬리날개를 부착한다.In the case of the plane is attached to the wings for generating a lift on both sides of the streamlined body, the tail portion of the body is attached to the tail wing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이때, 상기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의 뒤쪽에 양력의 크기 조정을 통해 이/착륙을 유도할 목적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보조날개를 설치하고, 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날개의 각도를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wing is installed to adjust the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the purpose of inducing takeoff / landing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lift on the rear of the wing generating the lift, the angle of the auxiliary wing using a motor, etc. Adjust
이와 같은 비행기는 날개는 단순히 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별도의 추진을 위한 추진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중량이 많 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다.In such an airplane, the wing is simply a means for generating lift, and a propulsion device for a separate propulsion is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and heavy weight.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날개운동을 통해 추진력을 얻는 잠자리형태의 비행체가 소개되었다. 상기 잠자리형태의 비행체는 몸체에 마련된 모터에서 출력되는 회전운동을 크랭크와 링크 및 링크 선단부가 "X"자로 엮인 2장의 날개로 전달하여 좌우 대칭의 날개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구조이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ragonfly-type aircraft that obtains propulsion through wing motion has been introduced. The dragonfly-type vehicle is a drive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crank, the link and the tip of the link to the two wings woven by the "X" to the wing structure of the drive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ng movement.
이러한 종래, 날개 운동을 하는 잠자리형태의 비행체는 모터에서 출력되는 회전운동을 좌우 각각 한 쌍의 크랭크와 링크가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중간의 축을 중심으로 "X"자로 연결된 날개에 상기 링크가 연결되어 날개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중량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추력이 부족하여 비행거리가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related art, a dragonfly-type aircraft having wing movements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cranks and links converted into linear movements, respectively, and the link is connected to a wing connected by an "X" around an intermediate axis. Since the wing movement is ma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is heavy, an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ight distance is greatly shortened due to the lack of thrust.
또한, 종래, 날개 운동을 하는 잠자리형태의 비행체는 상기 날개운동만으로는 선회가 불가능하여, 헬리콥터와 같이 꼬리 부분에 별도의 로터(ROTOR)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dragonfly-type aircraft that performs the wing movement is not possible to turn only by the wing movement, so as to provide a separate rotor (ROTOR) in the tail portion, such as a helicopter, there is a complex structure problem.
또한, 종래, 날개 운동을 하는 잠자리형태의 비행체는 후진 동작이 불가능하여 방향전환 시 통상적인 비행기와 같이 선회하여야 하는 방향전환성에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agonfly-type aircraft that performs the wing movement has a problem in turning direction that can not be turned backwards to turn like a conventional airplane when changing direction.
본 발명은 날개운동을 통해 구동력을 얻는 비행체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 좌/우측날개의 표면에서 각각 전자기력의 변화를 통해 인력과 척력을 교번 제공하여 좌/우측날개에 상호 독립적 날개운동을 발생시켜서 구동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craft to obtain a driving force through the wing movement, alternately providing the attraction and repuls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on the surface of the left / right wing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mutually independent wing movement on the left / right wings It is characterized by obtaining a driving force.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간소화하고 경량화하여 비행체의 총 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light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total weight of the vehicle by simplifying and lightening the driv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날개에 배치시킴으로써 몸체를 경량화하고 날개운동에 중량 가속도를 증대시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pulsion by placing the drive structure on the wing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and increase the weight acceleration in the wing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직 승/하강, 이/착륙, 전진, 선회는 물론 후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향전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versibility by enabling the vertical rise / fall, take off / landing, forward, turning, as well as backward.
또한, 본 발명은 날개운동 속도를 주파수로 변화를 주어 자유자재로 속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peed of the blade movement in frequency can be easily adjusted freely.
또한, 본 발명은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을 제어할 수 도 있으나, 실제 비행환경에 따라 즉, 비행체의 무게와 바람의 영향에 따라 자동으로 공진점을 찾도록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동작하여 안정된 자동 비행을 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ration by manual operation, but according to the actual flight environment, that is, the program to adjust the resonant frequency to automatically find the resonant poin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aircraft and the influence of the wind is stable and automatic You can also fly.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술의 이해를 돕도록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좌/우측날개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좌/우측날개구동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 중 날개의 각도를 도시한 날개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 중 추진날개부분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 중 추진날개부분의 작용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 중 날개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날개운동 상태를 도시한 날개부분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의 날개운동 상태를 도시한 날개부분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One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Figure 3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g portion showing the angle of the wing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ulsion blades during further configuration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art,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hows the action of the propulsion wing portion of a fur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g por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 and 17 of the 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9 and 20 are wing configuration states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ngs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is shown.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sented as above.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운동을 통해 구동력을 얻는 비행체에 있어서, 본체(1)의 양측에 마련된 좌/우측날개(11)(12)의 표면에서 각각 전자기력의 변화를 통해 인력과 척력을 교번 제공하여 좌/우측날개(11)(12)에 상호 독립적 날개운동을 발생시켜서 구동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 to 3, in the aircraft to obtain a driving force through the wing movement, on the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wings (11, 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force is obtained by alternately providing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through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generate mutually independent wing movements on the left /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좌측날개(11)와 우측날개(12)는 본체(1)의 상/하방에 간격을 두고 일측 단이 각각 고정된 주/종동날개(主/從動翼 ; (11a,11b)(12a,12b))가 대칭으로 마련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주/종동날개((11a,11b)(12a,12b))는 각각 본체(1)에 일측 단이 힌지 결합될 수 도 있고, 주동날개(11a)(12a)만 힌지(H) 결합될 수 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 driven wings (11a, 11b) (12a, 12b) may be hinged on one side to the
상기와 같이, 주/종동날개((11a,11b)(12a,12b))가 모두 본체(1)에 힌지 결합되면, 후기하는 좌/우측날개구동부(13)(14)의 인력과 척력 작용 시에 서로 끌어당겨지거나 반발하면서 날개운동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개운동이 일어나는 반대방향으로의 반발력에 의한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 driven wings ((11a, 11b) (12a, 12b) are all hinged to the
반면, 상기와 같이, 주동날개(11a)(12a)만 본체(1)에 힌지 결합시키면, 종동 날개(11b)(12b)에 대해 주동날개(11a)(12a)가 강하게 인력, 척력 작용하면서 날개 운동하여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종동날개(11b)(12b)가 고정되어 있다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진동(날개운동)이 일어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반발에 의한 요동을 감소시킨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only the main blade (11a) 12a hinged to the
또한, 상기 좌측날개(11)의 주동날개(11a)와 종동날개(11b) 및 우측날개(12)의 주동날개(12a)와 종동날개(12b)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인력/척력 작용하는 좌측날개구동체1,2(13a)(13b)를 포함하는 좌측날개구동부(13) 및 역시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인력/척력 작용하는 우측날개구동체1,2(14a)(14b)를 포함하는 우측날개구동부(14)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좌측날개구동체1,2(13a)(13b) 및 우측날개구동체1,2(14a)(14b)는 각각 코일과 상기 코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코일에 대응하여 인력 척력 작용하는 자기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우측날개구동체1(14a)이 자기회로이면, 상기 좌측날개구동체2(13b)와 우측날개구동체2(14b)는 코일일 수 있고,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우측날개구동체1(14a)이 코일이면, 좌측날개구동체2(13b)와 우측날개구동체2(14b)는 자기회로일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ft wing drive 1 (13a) and the right wing drive 1 (14a) is a magnetic circuit, the left wing drive 2 (13b) and the right wing drive 2 (14b) may be a coil, attached As shown in FIG. 4, if the left wing driver 1 (13a) and the right wing driver 1 (14a) are coils, the left wing driver 2 (13b) and the right wing driver 2 (14b) are magnetic circuits. Can be.
이때, 상기 자기회로는 단순히 마그네트(자성체이면 만족)일 수 도 있으나, 중앙이 돌출된 요크; 상기 요크의 중앙이 돌출된 면의 외측에 고정되어 중앙 돌출부분과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 상부에 안착되는 탑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circuit may be simply a magnet (satisfactory if the magnetic material), but the yoke protruding from the center; A magnet fixed to an outer side of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yoke to form a gap with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p plate seated on the magnet.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코일과 자기회로가 상호 작용하여 날개운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코일로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예컨대,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흐르는 방향에 따라 전자기장을 교번 형성하며, 이에 대해 자기회로가 반발 흡인 반응하면서 진동하여 결과적으로 날개운동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il and the magnetic circuit interact with each other to achieve wing movement. That is, when an electric signal is applied to the coil, for example,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an electromagnetic field is alternately formed according to the flowing direction, and the magnetic circuit vibrates while repulsing and sucking reaction, resulting in vane movement.
이때, 상기 좌/우측날개(11)(12)는 기본적으로는 지면에 대해 기울기 없이 평면상태(양력을 고려하여 일 수 있으나,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전방(전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도 있다. 상기, 기울기의 각도는 10도~ 20도 정도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ft /
이와 같이 되면, 날개 운동이 일어날 때, 공기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wing motion occurs, forward movement is possible while pushing air backward.
상기에서 주동날개(11a)(12a)의 날개운동은 상방 보다는 하방으로의 운동 폭이 더 클 수 도 있다. 그리되면, 날개 운동 시 공기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여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wing movement of the main blades (11a) (12a) may have a greater movement width downward than upward. Then, the force that pushes the air backwards during the wing movement can act to increase the propulsion.
여기서, 상기 좌/우측날개(11)(12)를 날개 운동시키는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는 방향타 및 가속핸들의 조작에 따른 위치 이동정도를 디지털신호인 방향신호와 가감속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동작신호제공부(20)와 상기 동작신호제공부(20)에서 방향신호 및 가감속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방향신호 및 가감속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left and right
이때, 상기 동작신호제공부(20)는 별도의 고주파를 이용한 통상적인 유/무선조정기일 수 도 있고, 본체(1)에 마련된 유/무선조정기(조정석에 구비)일 수 도 있 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또한, 상기 동력신호제공부(20)와 제어부(30)는 서로 다른 전원제공부(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도 있고, 하나의 전원제공부(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동작신호제공부(20)의 가속핸들을 가속방향으로 올리면 가속신호가 제어부(3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되는 가속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높여 상기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로 전달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cceleration handle of the operation
그리하면,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는 해당 주파수만큼 진폭이 좁아진 상태(진폭이 좁아지면 날개운동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진폭이 넓으면 날개운동이 느리게 이루어지)로 인력과 척력 작용하면서 좌/우측날개(11)(12)를 날개 운동시키게 되며, 이때 전원제공부(40)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날개운동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써 속도를 제어할 수 도 있다.Then, the left and right wing drive (13, 14) acts with the attraction force and repulsive force in a state that the amplitude is narrowed by the corresponding frequency (when the amplitude is narrow, the blade movement is made fast, if the amplitude is wide the blade movement is made slow) Left / right wing (11, 12) is to move the blad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eed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blade movement by adjusting the level of power provided from the
이와 같이,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로 입력되는 주파수의 높낮이에 따라 날개운동의 빠르고 느리게 조절되어 이/착륙은 물론 속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requency input to the left / right wing drive (13) 14 is adjusted quickly and slowly the blade movement is possible to take off / landing as well as speed control.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좌/우측날개구동부(13)(14)의 인력과 척력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상기 좌/우측날개구동부(13)(14)의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우측날개구동체1(14a)은 자기회로이고, 좌측날개구동체2(13b)와 우측날개구동체2(14b)는 코일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며, 양측의 구동체가 모두 동일하므로, 하나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left / right
먼저, 상기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우측날개구동체1(14a)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는 상방에 N극이 하방에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상태에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자기장의 방향은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된다.First, the magnets constituting the magnetic circuits of the left wing driver 1 (13a) and the right wing driver 1 (14a) forms a magnetic field in a state in which the N pole is magnetized so that the S pole is located below the N pole. In this state,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s from the N pole to the S pole.
이와 같이 자기장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좌측날개구동체2(13b)와 우측날개구동체2(14b)를 구성하는 코일에 시계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마그네트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상기 코일에 시계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마그네트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주파수에 따라 연속하여 진동하게 된다.When a current flows clockwise in the coils constituting the left wing driver 2 (13b) and the right wing driver 2 (14b) in the state in which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the magnet moves upwards, and the clock When current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agnet moves downward, and this state continuously vibrates with frequency.
이러한 상기 좌/우측날개구동부(13)(14)의 진동은 이들이 고정된 좌/우측날개(11)(12)에 온전히 전달되면서 날개 운동하여 수직 승/하강, 이/착륙과 전진의 추진력을 얻는다.The vibrations of the left and
이와 같은 본 발명 중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상기 좌측날개(11)와 우측날개(12)가 각각 독립적으로 날개 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즉, 좌/우측날개(11)(12)를 각각 구동시키는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로 인가되는 주파수를 조절하게 되면, 헬리콥터와 같은 별도의 로터(ROTOR) 없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requency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예컨대, 비행 중에 좌측으로 회전하고 싶다면, 좌측날개구동부(13)로는 낮은 주파수를 안가하고, 우측날개구동부(14)에는 높은 주파수를 인가한다.For example, if it wants to rotate to the left during flight, low frequency is not applied to the
그리하면, 좌측날개구동부(13)는 인력과 척력 작용이 느리게 작용하여 느린 날개운동을 발생시키고, 우측날개구동부(14)는 인력과 척력 작용이 빠르게 작용하여 빠른 날개운동을 발생시켜,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좌/우측날개(11)(12)는 상기 좌/우측날개구동부(13)(14)가 안착 고정되는 부분은 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널의 전방에서 날개의 측방에 해당하는 테두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유선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부분에 얇은 합성수지 또는 직물지로 이루어진 날개 원단(C)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Left / right wing (11,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13), 14, the part is fixed to the seat is made of a panel,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wing in front of the panel It is made of a streamlined frame up to the edge portion, the wing fabric (C) made of thin synthetic resin or woven paper to the frame portion may be made by fixing by ultrasonic welding or bonding.
그리되면, 상기 패널 부분이 좌/우측날개구동부(13)(14)를 견고히 고정시키고, 날개원단 부분이 날개를 경량화시키고, 펄럭임을 유발하면서 날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n, the panel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13) (14), the wing fabric portion to make the wing movement while making the wings lighter, flapping.
또한, 상기 좌/우측날개(11)(12)는 패널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 도 있으며, 날개 전체의 외곽 테두리 부분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에 얇은 합성수지 또는 직물지로 이루어진 날개 원단(C)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eft /
그리고, 본 발명은 구성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후미에 날개운동을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날개(15)를 더 포함시켜서 될 수 도 있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8 and 9, to further include a
이때, 상기 추진날개(15)는 본체(1)의 후미 상/하방에 간격을 두고 일측 단이 각각 고정된 추진 주/종동날개(15a,15b)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추진 주/종동날개(15a,15b)는 각각 본체(1)에 일측 단이 힌지 결합될 수 도 있고, 주동날개(15a)만 힌지 결합될 수 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pulsion main / driven wings (15a, 15b)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추진 주동날개(15a)와 추진 종동날개(15b)에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호 인력/척력 작용하는 추진날개구동체1,2(16a)(16b)를 포함하는 추진날개구동부(16)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wing blade (15a) and the propulsion driven wing (15b) is provided with a propulsion wing drive unit (16) including a propulsion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동작신호제공부(20)와 제어부(30)를 통해 상기 추진날개구동부(16)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0, the propulsion
즉, 상기 동작신호제공부(20)의 가속핸들을 가속방향으로 올리면 가속신호가 제어부(3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되는 가속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높여 상기 추진날개구동부(16)로 전달한다. That is, when the acceleration handle of the operation
그리하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날개구동부(16)는 해당 주파수만큼 진폭이 좁아진 상태로 인력과 척력 작용하면서 추진날개(15)를 날개 운동시키게 되며, 이때 전원제공부(40)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여 날개운동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써 속도를 제어할 수 도 있다.Then, as shown in Figure 11, the propulsion
그리고, 본 발명은 구성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날개(11)와 우측날개(12)에 각각 전후 한 쌍의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2좌측날개구동부(13-2), 그리고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와 제2우측날개구동부(14-2)를 마련하여서 구성될 수 도 있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2 to 14, a pair of first
이때, 상기 좌/우측날개(11)(12)는 일측 단의 중간부분에 마련된 하나의 자 유회전 가능한 볼 타입의 힌지(H)를 통해 본체(1)와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ft /
이와 같이 되면, 좌/우측날개(11)(12)가 힌지(H)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상하 좌우로 회전 가능하여 유연한 날개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ft /
또한, 상기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2좌측날개구동부(13-2)는 전술한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좌측날개구동체2(13b) 두 쌍이 간격을 두고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와 제2우측날개구동부(14-2) 역시, 전술한 우측날개구동체1(14a)과 우측날개구동체2(14b) 두 쌍이 간격을 두고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eft wing driving unit 13-1 and the second left wing driving unit 13-2 are provided with two pairs of the left wing driver 1 (13a) and the left wing driver 2 (13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right wing drive 14-1 and the second right wing drive 14-2 may als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pair of the right wing drive 1 (14a) and the right wing drive 2 (14b). It may be prepared for.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동작신호제공부(20)와 제어부(30)에 의해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2좌측날개구동부(13-2) 및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와 제2우측날개구동부(14-2)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left wing driving unit 13-1 and the second left
즉, 상기 동작신호제공부(20)의 가속핸들을 가속방향으로 올리면 가속신호가 제어부(3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되는 가속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높여 상기 좌/우측날개(11)(12)로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acceleration handle of the operation
이때, 본 발명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상기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2좌측날개구동부(13-2)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그 날개운동 폭과 속도를 달리하여 날개 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와 제2우측날개구동부(14-2)도 마찬가지이다. At this time,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ependently drive the first left wing drive 13-1 and the second left wing drive 13-2, the frequency applied from the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날개(11)(12) 의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의 날개운동의 폭을 넓게 하고, 제2좌측날개구동부(13-2)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2)의 날개운동의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하면, 날개운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후방으로 향하게 되어 전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6, the wing motions of the first left wing drive 13-1 and the first right wing drive 14-1 of the left and
이때, 도면에는 힌지(H)를 중심으로 날개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하 날개운동과 동시에 좌우로 날개운동하게 되므로, 새들의 날갯짓과 매우 흡사한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At this time, the drawing is shown to rotate the wing to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H), but the wing movement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as the vertical wing movement, very similar to the wing of the birds occurs.
이때,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날개(11)(12)의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의 날개운동의 폭을 좁게 하고, 제2좌측날개구동부(13-2)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2)의 날개운동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면, 날개운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은 전방으로 향하게 되어 후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the widths of the blade movements of the first left wing drive 13-1 and the first right wing drive 14-1 of the left and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날개(11)와 우측날개(12)에 각각 전후 한 쌍의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2좌측날개구동부(13-2), 그리고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와 제2우측날개구동부(14-2)를 마련하되, 상기 좌/우측날개(11)(12)는 일측 단의 양측 부분에 마련된 한 쌍의 볼 타입 힌지(H')를 통해 본체(1)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8, the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양측을 힌지(H')가 본체(1)에 결합된 상태로 날개운동을 지지 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날개(11)(12)의 제1좌측날개구동부(13-1)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1)의 날개운동의 폭과 제2좌측날개구동부(13-2)와 제1우측날개구동부(14-2)의 날개운동의 폭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켜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9 and 20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wing (H ') supports the wing movement in the state coupled to the
이때, 상기 좌/우측날개(11)(12)는 첨부 도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의 테두리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합성수지 또는 직물지로 된 날개원단(C)으로 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날개운동 시 날개원단(C)의 펄럭임에 의해 더욱 더 새의 날갯짓과 유사한 날개운동이 일어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ft / right wing (11) 12,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ure 21, if the wing portion (C) made of synthetic resin or fabric paper, except for the edge portion of the wing,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wing movement, the flap of the wing fabric (C) is more and more wing movement similar to the wing of the bird occur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간소화하고 경량화하여 비행체의 총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flight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total weight of the vehicle by simplifying and reducing the driv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구동구조를 날개에 배치시킴으로써 몸체를 경량화하고 날개운동에 중량 가속도를 증대시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pulsion by placing the drive structure on the wing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and increase the weight acceleration in the wing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수직 승/하강, 이/착륙, 전진, 선회는 물론 후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향전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versibility by enabling the vertical rise / fall, take off / landing, forward, turning, as well as backward.
본 발명은 또한, 첨부 도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날개구동부(13)와 우측날개구동부(14)를 구성하는 수단 중 하나의 실시예인 코일의 외주면 또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비자성체(51)로 차단하고, 코일의 상하부면에 자성체패널(52)로 차단한 하우징(50)에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50)을 좌/우측날개(11)(12)에 접착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means constituting the
이와 같이 하면, 코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자기력을 자성체부분이 집중시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ile protecting the coil from the outside, the magnetic force portion can be concentra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측날개구동부(13)와 우측날개구동부(14)를 좌/우측날개(11)(12) 제조 시 인서트사출을 통해 제조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manufacturing the left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코일의 단말부분(인출되어 전기회로로 연결되는 부분)은 코일이 고정되는 해당 날개 부분의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그 밖의 보호체로 코팅되어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art of the coil (the part which is drawn out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may be protected by coating with a synthetic resin or other protector on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wing part to which the coil is fixed.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날개(11)(12)의 힌지 동작하는 부분 또는 좌/우측날개구동부(13)(14)가 위치한 부분에 스프링이 마련되어, 좌/우측날개(11)(12)의 날개운동에 탄성력을 더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in the hinged portion of the left / right wing (11) (12) or the position where the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13) (14) is located, the left / right wing (11, 12) You can also add elasticity to the wing motion of the.
끝으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날개(도면에서는 우측날개(12)를 예로 도시함) 예컨대, 상기 우측날개(12)를 구성하는 주동날개(12a)와 종동날개(12b)에 각각 마련된 우측날개구동체1(14a)과 우측날개구동체2(14b)의 내/외주면을 각각 만곡지게 구성할 수 도 있다.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3, both wings (the figure shows the
이때, 상기 만곡 정도는 좌/우측날개(11)(12)의 날개운동 시, 좌측날개구동체1(13a)과 우측날개구동체1(14a) 및 좌측날개구동체2(13b)와 우측날개구동체2(14b)의 상호 유동 경로와 각도에 따라 설정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left / right wing (11) 12 during the wing movement, the left wing drive 1 (13a) and the right wing drive 1 (14a) and the left wing drive 2 (13b) and the right wing I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mutual flow path and angle of the drive body 2 (14b).
이와 같이 되면, 날개운동 과정에서 상기 우측날개구동체1(14a)과 우측날개구동체2(14b)가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날개운동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우측날개구동체1(14a)과 우측날개구동체2(14b)의 기울어진 정도가 달라지더라도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고 날개운동하게 되므로, 일정한 전자기력 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right wing driving body 1 (14a) and the right wing driving body 2 (14b) in the wing movement process can be carried out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s well as the right wing driving Even if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sieve 1 (14a) and the right wing driving body 2 (14b) is changed, it maintains a constant gap and wing movement, so that the action of a constant electromagnetic force is mad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좌/우측날개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 right wing drive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좌/우측날개구동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left / right wing driving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 중 날개의 각도를 도시한 날개부분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g portion showing the angle of the wing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Figure 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 중 추진날개부분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9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pulsion wing portion of a fur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구성 중 추진날개부분의 작용을 도시 한 부분 측단면도.Figure 1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propulsion wing portion of a fur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1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 중 날개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g por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날개 제어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w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날개운동 상태를 도시한 날개부분 단면도.16 and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g portion showing the state of the wing mo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1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의 날개운동 상태를 도시한 날개부분 단면도.19 and 20 is a sectional view of the wing portion showing a wing motion of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2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Fig. 2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Fig. 23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비행체 11 : 좌측날개10: aircraft 11: left wing
11a,11b : 좌측 주/종동날개 12 : 우측날개11a, 11b: left main / follower wing 12: right wing
12a,12b : 우측 주/종동날개 13 : 좌측날개구동부12a, 12b: right main / driven wing 13: left wing drive part
13-1 : 제1좌측날개구동부 13-2 : 제2좌측날개구동부13-1: 1st left wing drive part 13-2: 2nd left wing drive part
13a,13b : 좌측날개구동체1,2 14 : 우측날개구동부13a, 13b:
14-1 : 제1우측날개구동부 14-2 : 제2우측날개구동부14-1: 1st right wing drive part 14-2: 2nd right wing drive part
14a,14b : 우측날개구동체1,2 15 : 추진날개14a, 14b:
15a,15b : 추진 주/종동날개 16 : 추진날개구동부15a, 15b: propulsion main / follower wing 16: propulsion wing driving part
16a,16b : 추진날개구동체1,2 H , H': 힌지16a, 16b:
20 : 동작신호제공부 30 : 제어부20: operation signal providing unit 30: control unit
40 : 전원제공부 50 : 하우징40: power supply unit 50: housing
51 : 비자성체 52 : 자성체51: nonmagnetic material 52: magnetic material
1 : 본체1: main body
Claims (3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7686A KR101128958B1 (en) | 2009-07-24 | 2009-07-24 | Flying obj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7686A KR101128958B1 (en) | 2009-07-24 | 2009-07-24 | Flying obje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234A KR20110010234A (en) | 2011-02-01 |
KR101128958B1 true KR101128958B1 (en) | 2012-03-27 |
Family
ID=4377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76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8958B1 (en) | 2009-07-24 | 2009-07-24 | Flying obje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89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42581A (en) * | 2015-09-23 | 2017-03-29 | Shaw Things Ltd | Ornithopter toy |
KR20200062837A (en) * | 2018-11-27 | 2020-06-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Vibrating robo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0840B1 (en) * | 2012-05-31 | 2014-01-16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Variable velocity flapping apparatus for flying object |
KR101438481B1 (en) * | 2013-01-04 | 2014-09-12 | 주식회사 하이소닉 | Drum toy for portable device |
KR102676829B1 (en) | 2022-09-16 | 2024-06-20 | 노동신 | Airship having direction switching function |
CN115783259B (en) * | 2022-11-18 | 2024-10-25 | 吉林大学 | A dual-powered coleopteran beetle bionic micro-aircraf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6515A (en) * | 1997-01-25 | 1998-10-15 | 조영선 | Airborne and Flying Aircraft Toys by Wings |
JP2003135866A (en) | 2001-11-08 | 2003-05-13 | Sharp Corp | Driving mechanism and wing-flapping flying machine |
KR20040035659A (en) * | 2004-04-08 | 2004-04-29 | 최영희 | City Satellite |
JP2008273270A (en) | 2007-04-25 | 2008-11-13 | Fukuoka Institute Of Technology | Flapping aircraft |
-
2009
- 2009-07-24 KR KR1020090067686A patent/KR1011289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6515A (en) * | 1997-01-25 | 1998-10-15 | 조영선 | Airborne and Flying Aircraft Toys by Wings |
JP2003135866A (en) | 2001-11-08 | 2003-05-13 | Sharp Corp | Driving mechanism and wing-flapping flying machine |
KR20040035659A (en) * | 2004-04-08 | 2004-04-29 | 최영희 | City Satellite |
JP2008273270A (en) | 2007-04-25 | 2008-11-13 | Fukuoka Institute Of Technology | Flapping aircraf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42581A (en) * | 2015-09-23 | 2017-03-29 | Shaw Things Ltd | Ornithopter toy |
KR20200062837A (en) * | 2018-11-27 | 2020-06-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Vibrating robot |
KR102129687B1 (en) * | 2018-11-27 | 2020-07-0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Vibrating rob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234A (en) | 2011-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8958B1 (en) | Flying object | |
EP3781790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sing magnetic levitation | |
CN105539830B (en) | A kind of aircraft | |
CN101947389B (en) | Double-wing type insect-like air vehicle | |
US20110278391A1 (en) | Dragonfly unmanned aerial vehicle | |
KR20190039888A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tilting wing configuration | |
CN110914150B (en) | Device for direct control of a blade by means of an electromechanical actuator | |
CN110435888B (en) | Flapping wing aircraft | |
CN107867397B (en) | A miniature flapping-wing aircraft driven by a linear ultrasonic motor | |
CN107089323B (en) | A kind of aircraft rotor driver and aircraft | |
CN213008705U (en) | Electromagnetic steering engine and aircraft | |
JP2011195050A (en) | Small flight device | |
JP2009045406A (en) | Flapping flying body | |
JP2006142913A (en) | Small flight equipment | |
CN110615098A (en) | Aircraft and aircraft control method | |
KR20160002478A (en) |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Main Wings with Enhanced Aerodynamic Performance | |
CN107310723B (en) | Tailless flapping aircraft and its flight control method | |
KR20060110241A (en) | Dragonfly type wing vehicle with two pairs of wings | |
JP2003135866A (en) | Driving mechanism and wing-flapping flying machine | |
CN101293141B (en) | propeller plane toy | |
CN107364576A (en) | One kind vibration rotor aircraft | |
KR200336766Y1 (en) | Driving mechanism of ornithopter | |
CN107200127A (en) | Many flapping wing aircrafts and its flight control method | |
CN107161340A (en) | Bionic flapping-wing aircraft and its flight control method | |
KR100615556B1 (en) | Small aircra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4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