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7538B1 -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538B1
KR101127538B1 KR1020090068175A KR20090068175A KR101127538B1 KR 101127538 B1 KR101127538 B1 KR 101127538B1 KR 1020090068175 A KR1020090068175 A KR 1020090068175A KR 20090068175 A KR20090068175 A KR 20090068175A KR 101127538 B1 KR101127538 B1 KR 10112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delete delete
block
support ba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859A (ko
Inventor
강석찬
Original Assignee
강석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찬 filed Critical 강석찬
Priority to KR102009006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38B1/ko
Priority to PCT/KR2010/004865 priority patent/WO2011013955A2/ko
Priority to CN201080033780.XA priority patent/CN102482884B/zh
Publication of KR2011001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과 블록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손쉽고 원활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짐은 물론 누구든지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작업함에 따라 상기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고, 블록 내에 다양한 기능의 부재를 내장 설치함과 함께 블록 외면에 마감부재를 간단하게 설치하므로 상기 벽체 및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건축물의 가치를 한층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위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시공되는 벽체의 하단부 측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설치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부재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바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적층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와 직교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바가 구성된 것이다.
단위블록, 가이드부재, 수직지지바, 수평지지바

Description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BLOCK SYSTEM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를 시공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벽체 시공 시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블록과 블록을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 및 적층함에 따라 상기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견고하면서도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블록의 교체 및 수리에 따른 블록들의 분해 작업이 손쉬워 벽체의 수리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기둥이나 보 및 창호틀 등에 의한 벽체의 형상 변경에 맞도록 상기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용이함에 따라 어떠한 형상을 갖는 벽체의 시공도 원활하게 시공 가능하며, 상기 블록의 무게가 가벼움은 물론 상기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만으로도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든지 간단하게 벽체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고,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의 각종 지지부재를 설치 및 상기 각 지지부재에 의해 블록과 블록이 서로 연결됨은 물론 상기 블록과 블록은 보다 손쉽게 결합 및 적층됨에 따라 상기 벽체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견고한 건축물의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에 각종 지지부재가 설치됨과 함께 단열, 방음부재 등 기능성 부재를 내장 설치함에 따라 실내의 단열이나 방음효과 향상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벽체의 외면에 간단하게 마감부재를 설치하므로 시공된 벽체 및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이로 인한 건축물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이도록 한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축물의 벽체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하거나 또는, 정형화되도록 잘 다듬어진 고가의 자연석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벽돌로 지어진 건축물에서는 콘크리트 자체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오염 물질 및 유리섬유, 스티로폼, 석고보드 등의 유독성 물질에서 방출되는 화학물질 등에 의해 건축물에 사는 사람들은 정신적, 신체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벽돌을 서로 결합할 때 사용하는 몰탈에서도 인체에 유해한 환경오염 물질이 방출됨에 따라 사람에게 여러가지 피해를 주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건강을 생각해서 건축물을 건축할 때 목재를 주재료로 하는 목조건물이나 인체에 흙을 주재료로 하는 흙담집 및 황토가 함유된 황토벽돌을 주재료로 하는 황토집이 각광받는 추세이다.
상기의 황토집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황토벽돌에 함유된 황토에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사됨에 따라 인체의 혈액순환을 원활하면서 피로회복 등의 효과가 탁월하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벽돌이 서로 다른데, 즉 일반 건 축물을 지을 때에는 콘크리트 벽돌을 사용하고, 목조건물을 지을 때는 목재를, 흙담집을 지을 때는 흙을, 황토집을 지을 때는 황토벽돌을 사용한다.
상기의 건축물에서 상기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 시공은, 콘크리트 벽돌을 바닥에 설치하고 수평방향으로 다른 콘크리트 벽돌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콘크리트 벽돌 사이에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을 바르면서 상기 콘크리트 벽돌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콘크리트 벽돌의 상면에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을 바르고 나서 상기의 콘크리트 벽돌의 상부에 다른 콘크리트 벽돌을 쌓아올려 적층하여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를 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 시공은 상기 콘크리트 벽돌과 콘크리트 벽돌 사이에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을 바르면서 상기 콘크리트 벽돌을 서로 결합 및 적층함에 따라 작업공수도 늘어남은 물론 작업시간 및 인력 손실이 많이 소요되는 등 상기 콘크리트 벽돌 간의 결합 및 적층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벽돌과 콘크리트 벽돌 사이에 발라지는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의 양생시간에 의하여 작업 속도가 저하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으로 콘크리트 벽돌과 콘크리트 벽돌을 결합 및 적층함에 따라 시공되는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됨은 물론 상기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에 의해서만 콘크리트 벽돌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벽돌 간의 결합 및 적층이 견고하지 못하므로, 상기 시 공된 벽체의 상태가 불량함은 물론 상기 시공된 벽체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 및, 이로 인하여 상기의 벽체를 재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벽돌의 결합 및 적층에 따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어려움에 따라 오랜 경험을 가진 숙련공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인해 인건비 등과 같은 작업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의 콘크리트 벽돌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벽돌과 콘크리트 벽돌 사이에 발라지는 접착제 및 시멘트 몰탈에 함유된 유독성 물질인 화학물질이 방출되어 인체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의 화학물질에 의한 인체의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모양이나 형상이 밋밋한 직육면체인 상기 콘크리트 벽돌을 겹쳐지도록 적층하여 쌓아 올린 경우 상기 적층된 콘크리트 벽돌 사이의 틈새 및 시멘트 몰탈을 통해 실내에서 실외로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 외부의 공기 및 소리가 통과하므로 인해 건축물 실내의 난방효율 및 방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콘크리트 벽돌로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를 시공한 후에는 상기 건축물의 실내 난방 및 외부와의 소리 차단 등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재 및 방음부재를 설치하고, 또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차단 및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방사되도록 황토나 게르마늄 등 인체에 유익한 친환경부재를 내, 외면 벽체에 별도로 결합하여야 함에 따라 상기 벽체에 설치 및 결합되는 단열부재나 방음부재 및 친환경부재 등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여 상기 건축물을 건축하는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단위블록과 수직지지바, 수평지지바 등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블록과 블록을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 및 적층할 때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각 지지바에 의해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지지바에 의해 각 블록이 서로 연결 결합됨은 물론 적층되면서 벽체를 시공함에 따라 상기 벽체에서 블록의 교체 및 수리하고자 할 때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들의 분해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인해 벽체에서의 블록 교체 및 벽체의 수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이나 보 및 창호틀 등에 의한 벽체의 형상 변경에 맞도록 상기 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용이함에 따라 어떠한 형상을 갖는 벽체의 시공도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의 무게를 최대한 줄여 가볍게 제작함은 물론 상기 블록과 블록을 서로 끼우면서 상기 각 블록과 블록을 서로 결합 및 적층하여 벽체를 시공하므로 인해 전문가가 아닌 누구든지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벽체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 및 인력 손실을 절감하는 등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시공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 내에 단열, 방음재 등 기능성 부재를 내장 설치함으로 상기의 블록으로 시공된 벽체는 단열 및 방음효과뿐만 아니라 내장 설치되는 기능성 부재에 의해 다양한 기능 및 효과가 있으므로 기능성 주택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마감부재를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므로 상기 시공된 벽체 및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건축물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체 시공에 따른 상기 벽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위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시공되는 벽체의 하단부 측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설치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부재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바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적층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와 직교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바가 구성되어, 상기 벽체를 시공 위치인 바닥에 가이드부재를 결합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복수개의 단위블록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각 단위블록 사이에 수직지지바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각 단위블록 상부에 수직지지바와 직교되는 상태로 수평지지바를 설치하며, 상기 수평지지바에 의해 상기의 단위블록 상부에 다른 단위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 및 적층되면서 벽체를 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은, 상기 단위블록의 전면과 배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상, 하면에는 단위블록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수평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상, 하면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의 좌 우측면에는 단위블록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좌, 우측면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중앙부에는 기능성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은, 상기 단위블록의 전면과 배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상, 하면에는 단위블록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수평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상, 하면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의 좌 우측면에는 단위블록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좌, 우측면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중앙부에는 기능성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홈부 내로 수직지지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요홈부가 수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은, 상기 단위블록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인 "Z"자형상의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 전, 후면부의 상, 하면에는 단위블록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수평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상, 하면홈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 전, 후면부의 좌 우측면에는 단위블록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지지바가 삽입 결합되는 좌, 우측면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홈부측인 단위블록 전, 후면부의 중앙부에는 기능성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부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양측면 사이에는 수직지지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상, 하면 사이에는 수평지지바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수직지지바와 각 수평지지바 중 어느 한 지지바의 일단은 다른 지지바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와 각 수평지지바는 서로 직교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양측면 사이에는 수직지지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상, 하면 사이에는 상기 수직지지바 사이에 수평지지바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상, 하면 사이에는 수평지지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양측면 사이에는 상기 수평지지바 사이에 수직지지바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복수개가 연결 결합되는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 사이에는 상기 단위블록의 전, 후면부 중 어느 한 면부 측면에 수직지지바가 위치되어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제 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단위블록과 수직지지바, 수평지지바 등으로 구성된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단위블록을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함은 물론 상기 결합된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의 측면과 상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에 의하여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각 단위블록 간의 결합 적층작업이 손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맞물리는 단위블록 및 각 지지바에 의해 상기 단위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 사이에 각 지지바를 설치함은 물론 상기 각 지지바에 의해 각 단위블록 간에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은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 및 적층되므로 인해 시공된 벽체도 견고하고 이로 인해 건축물도 견고한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은 서로 맞물림은 물론 상기 각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에 의하여 상기 각 단위블록은 서로 연결 결합 및 적층되면서 벽체를 시공하기 때문에 상기 벽체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손상이나 파손되어 상기 단위블록을 교체하거나 벽체를 수리할 때에도 상기 벽체를 헐지않고도 상기 교체 및 수리하고자 하는 벽체의 단위블록을 손쉽게 분해함은 물론 새로운 단위블록의 결합이 용이하여 상기 벽체의 단위블록 교체 및 벽체의 수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 도 있다.
그리고, 벽체에 기둥이나 보 및 창호틀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벽체의 형상이 변경되어도 상기 각 단위블록이 맞물리면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벽체의 형상에 맞도록 상기 단위블록 간의 결합 및 적층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용이한 결합 및 적층작업에 의해 어떠한 형상을 갖는 벽체의 시공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한편, 벽체를 형성하는 단위블록의 무게를 최대한 줄여 가볍게 제작함은 물론 상기 단위블록과 블록을 서로 끼우면서 서로 결합 및 적층함에 따라 상기 벽체를 시공할 때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벽체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간단한 작업으로 벽체를 시공함에 따라 상기 벽체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 및 인력 손실을 절감하는 등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벽체를 시공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단위블록 내에 단열재, 방음재 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숯이나 맥반석, 옥돌가루 및 왕겨, 톱밥, 한약재부산물 등의 기능성 부재를 내장 설치함으로써, 상기의 각 단위블록으로 시공된 벽체는 단열, 방음효과 및, 기능성 부재에 의해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있으므로 상기 단위블록으로 시공된 벽체에 의하여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갖춘 주택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와 함께, 각 단위블록의 외면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마감부재를 간단하게 설치가능함으로써, 상기 마감부재가 설치된 벽체 및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건축물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6을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다른 단위블록을 포함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다른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를 번갈아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 사이에 수평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평지지바 사이에 수직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다른 단위블록에 수직지지바와 수직지지바 결합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측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평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측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 내지 도 3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평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9a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를 번갈아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9b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 사이에 수평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9c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평지지바 사이에 수직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0은 일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대형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1은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대형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2와 도 43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 표면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4a 내지 도 45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6 내지 도 5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 표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3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상의 단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4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단위블록의 상, 하면홈부 형상을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6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단위블록의 좌, 우측면홈부 형상을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면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한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블록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 시공에 따른 벽체(W)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단위블록(1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방에는 상기 시공되는 벽체(W)의 하단부 측에 위치하는 단위블록(100)의 설치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 결합 고정됨은 물론 상기 시공되는 벽체(W)의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가 연결 결합되는데, 즉 시공되는 벽체(W)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하나의 가이드부재(110)로도 충분하나, 시공되는 벽체(W)의 길이가 길 경우 가이드부재(110)를 하나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너무 길 경우에는 성형작업 및 보관 등의 관리가 매우 어려우므로 복수개를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 여건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11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벽체(W)의 가로방향으로 위치 및 결합되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결합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양측면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바(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체(W)의 세로방향으로 위치 및 적층되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결합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바(130)가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와 직교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건축물의 벽체(W) 시공 위치인 바닥에 상기 벽체(W)의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부재(110)를 결합 고정하고 나서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상부에 단위블록(100)를 가로방향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상기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단위블록(100)의 상부에 다른 단위블록(100)을 세로방향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 때, 상기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수직지지바(120)와 수평지지바(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양측면에 수직지지바(120)를 각각 세로방향으로 세워 설치함과 함께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하면에 수평지지바(130)를 각각 세로방향으로 설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각 단위블록(100)은 수직지지바(120)와 수평지지바(130)와 맞물리는 상태로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과 좌, 우측면에서 서로 연결 결합 및 적층됨에 따라 건축물의 벽체(W)가 시공된다.
상기 단위블록(100)은 성형틀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벽체(W)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는데, 즉 시멘트로 성형되는 시멘트 몰탈이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황토로 성형되는 황토블록 및, 상기 시멘트에 황토가 함유된 블록 또는, 철과 같은 금속재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금속재로 제작된 블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합성수지 블록 그리고, 천연의 나무나 인공의 나무 등으로 제작되는 나무블록 등이 있으며, 이는 상기 건축물의 종류 및 시공되는 벽체(W)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은 물론 상기 건축물의 벽체(W)를 시공할 수 있는 재질의 단위블록(100)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단위블록(100)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전면과 배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는 상면홈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는 단위블록(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는 하면홈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는 좌측면홈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우측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는 우측면홈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단열, 방음 및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단열재나 방음재 및 기능성 부재(15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105)가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에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의 상기 단위블록(100)은 도 3a와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전면과 배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는 상면홈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는 단위블록(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는 하면홈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는 좌측면홈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우측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는 우측면홈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단열, 방음 및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단열재나 방음재 및 기능성 부재(15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105)가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에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105)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홈부(105) 내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바(120)가 유동됨없이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요홈부(105a)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의 단위블록(100)과 도 3a의 단위블록(100)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단지 도 3a의 단위블록(100)에는 삽입홈부(105) 내에 한 쌍의 요홈부(105a)가 더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의 한 쌍의 요홈부(105a)는 각 단위블록(100)을 결합 및 적층할 때 상기 수직지지바(120)가 각 단위블록(100)의 삽입홈부(105) 내에 형성된 한 쌍의 요홈부(105a)와도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벽체(W)를 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홈부(105) 내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기능성 부재(15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벽체(W)의 기능을 한층 더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도 1 내지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100)은 수직, 수평지지바(120,130)와의 결합관계 및 상기 단위블록(100)의 제작 또는, 시공되는 벽체(W)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단위블록(1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103,104) 내로 수직지지바(120)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데, 즉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홈부(103) 내로 수직지지바(120)의 일측면이 삽입 결합되면 상기 수직지지바(120)의 타측면은 다른 단위블록(100)의 우측면홈부(104) 내로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101,102) 내로 수평지지바(130)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데, 즉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면홈부(101) 내로 수평지지바(130)의 일측면이 삽입 결합되면 상기 수평지지바(130)의 타측면은 다른 단위블록(100)의 하면홈부(102) 내로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바(1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의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 수평지지바(120,1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은 순차적으로 결합 및 적층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3a에서와 같은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 되는 상, 하면홈부(101,10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101,10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바(130)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바(1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상, 하면홈부(101,102)는 도 5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사각, 육각, 팔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바(130)의 형상에 따라 상, 하면홈부(101,102)를 다양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101,102) 형상에 따라 수평지지바(130)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기 각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면과 하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평지지바(130) 즉, 크기가 작은 대도형태인 수평지지바(1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101,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수평지지바(130)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101,10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도 7과 같은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의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101,102)에 일자형상의 수평지지바(130)가 한 쌍을 이루면서 삽입 결합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는 십자(+)형상을 갖도록 T자형상의 상, 하면홈부(101,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는 십자(+)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상의 상, 하면홈부(101,102) 내로 십자(+)형상의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십자(+)형상의 수평지지바(1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된다.
또,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 중앙부에는 상, 하면홈부(101,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도 9와 같이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101,102)의 일측면에 끼움홈(106)을 각각 형성하거나 또는, 도 10과 같이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101,102)의 양측면에는 끼움홈(1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9와 같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이단 절곡된 형태의 수평지지바(130)가 각각 삽입 결합되거나, 도 10과 같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H자형태의 수평지지바(1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각 수평지지바(130)에 의해 상기 각 단위블록(1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11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면홈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도 11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부(10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106)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12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부(101)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끼움홈(1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06)은 하면홈부와 같은 역활을 함에 따라 상기 서로 맞닿는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도 11과 같은 L자형상의 수평지지바(130)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12와 같은 ㄷ자형상의 수평지지바(130)를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의 각 단위블록(1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 도 5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 형상 및 끼움홈(106)의 위치에 맞춰 수평지지바(130)를 제작하여 상기 제작된 수평지지바(130)를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므로 인해 견고한 벽체(W)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과 도 3a에서와 같은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103,10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103,104)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홈부(103,104)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바(120)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면서 상기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좌, 우측면홈부(103,104)는 도 13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14a와 도 14b에서와 같이, 사각, 육각, 팔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상기 단위블록(1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바(120)의 형상에 따라 좌, 우측면홈부(103,104)를 다양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형상에 따라 수직지지바(120)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기 각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5a와 도 15b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과 우측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직지지바(120) 즉, 크기가 작은 대도형태인 수직지지바(1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103,10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수직지지바(120)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103,104)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도 15a 또는, 도 15b와 같은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103,104)에 일자형상의 수직지지바(120)가 한 쌍을 이루면서 삽입 결합된다.
또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는 십자(+)형상을 갖도록 T자형상의 좌, 우측면홈부(103,1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홈부(103,104)는 십자(+)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상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내로 십자(+)형상의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십자(+)형상의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된다.
또,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좌, 우 측면홈부(103,10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좌측면홈부(103)의 일측면에는 끼움홈(107) 즉, 좌측끼움홈(10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면홈부(103)의 좌측끼움홈(107a)과 대각방향 위치인 상기 우측면홈부(104)의 일측면에는 끼움홈(107) 즉, 우측끼움홈(10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좌, 우측면홈부(103,10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103,104)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끼움홈(107) 즉, 좌측끼움홈(107a)과 우측끼움홈(10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7과 같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이단 절곡된 형태의 수직지지바(120)가 각각 삽입 결합되거나, 도 18과 같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H자형태의 수직지지바(1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상기 각 단위블록(1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19와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우측면홈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도 19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면홈부(104)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107)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20과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면홈부(104)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끼움홈(10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07)은 우측면홈부와 같은 역활을 함에 따라 상기 서로 맞닿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도 19와 같은 L자형상의 수직지지바(120)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20과 같은 ㄷ자형상의 수직지지 바(120)를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의 각 단위블록(100)은 견고하게 적층 결합된다.
이상 도 13 내지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형상 및 끼움홈(107)의 위치에 맞춰 수직지지바(120)를 제작하여 상기 제작된 수직지지바(120)를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100)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므로 인해 견고한 벽체(W)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위블록(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1와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인 "Z"자형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면부(200a)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부(200b)는 상기 전면부(200a)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전면부(200a)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엇갈린 상태로 위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 200b)의 각 상면에는 상기 단위블록(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상면홈부(20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 200b)의 각 하면에는 상기 단위블록(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하면홈부(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 200b)의 각 좌측면에는 단위블록(2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좌측면홈부(20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 부(200a, 200b)의 각 우측면에는 단위블록(2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우측면홈부(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 200b) 상, 하면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201,202)측인 상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 200b)의 각 중앙부에는 단열, 방음 및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단열재나 방음재 및 기능성 부재(25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205)가 상기 단위블록(200)의 상, 하면홈부(201,202)에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삽입홈부(205)는 단위블록(2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삽입홈부(205)는 사각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각 삽입홈부(205)의 내측면에 삽입홈부(205) 내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바(220)가 유동됨없이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요홈부를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 200b) 좌, 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203,204) 내로 수직지지바(220)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데, 즉 상기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 200b) 각 좌측면홈부(203) 내로 각 수직지지바(220)의 일측면이 삽입 결합되면 상기 각 수직지지바(220)의 타측면은 다른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200b) 각 우측면홈부(204) 내로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각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된 상, 하면홈부(201, 202) 내로 수평지지바(230)가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데, 즉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각 상면홈부(201) 내로 각 수평지지바(230)의 일측면이 삽입 결합되면, 상기 각 수평지지바(230)의 타측면은 다른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전, 후면(200a,200b) 각 하면홈부(202) 내로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수평지지바(230)에 의해 각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수평지지바(220,23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순차적으로 결합 및 적층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전,후면부(200a,200b)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201,20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201,20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200b)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201,202)는 도 21과 도 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평지지바(230)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면서 상기 각 수평지지바(23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간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상, 하면홈부(201,202)는 도 23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4a와 도 24b에서와 같이, 사각, 육각, 팔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상기 단위블 록(200)의 상, 하면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바(230)의 형상에 따라 상, 하면홈부(201,202)를 다양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201,202) 형상에 따라 수평지지바(230)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기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25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후면부(200a,200b)의 상면과 하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평지지바(230) 즉, 크기가 작은 대도형태인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201,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수평지지바(230)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201,20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도 25와 같은 수평지지바(23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한 쌍의 상, 하면홈부(201,202)에 일자형상의 수평지지바(230)가 한 쌍을 이루면서 삽입 결합된다.
또한, 도 26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 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상,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단위블록(200)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십자(+)형상을 갖도록 T자형상의 상, 하면홈부(201,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단위블록(200)의 상, 하면홈부(201,202)는 십자(+)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상의 상, 하면홈부(201,202) 내로 십자(+)형상의 수평지지바(230)가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십자(+)형상의 수평지지바(23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된다.
또, 도 27과 도 28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 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상, 하면 중앙부에는 상, 하면홈부(201,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도 27과 같이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상,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201,202)의 일측면에는 끼움홈(206)을 각각 형성하거나 또는, 도 28과 같이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상,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201,202)의 양측면에 끼움홈(2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 27과 같은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이단 절곡된 형태의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삽입 결합되거나, 도 28과 같은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H자형태의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각 수평지지바(23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29와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면홈부(20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도 29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부(201)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206)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30과 같이 상기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 200b)의 하면에는 상기 상면홈부(201)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끼움홈(20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06)은 하면홈부와 같은 역활을 함에 따라 상기 서로 맞닿은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도 29와 같은 L자형형상의 수평지지바(230)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30과 같은 ㄷ자형상의 수평지지바(230)를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의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 도 23 내지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1200a,200b)의 상, 하면에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201,202) 형상 및 끼움홈(206)의 위치에 맞춰 수평지지바(230)를 제작하여 상기 제작된 수평지지바(230)를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 사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200)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므로 인해 견고한 벽체(W)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전,후면부(200a,200b)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203,20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203,204)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좌, 우측면에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203,204)는 도 21과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바(220)의 삽입 결합이 용이하면서 상기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각 단위블록(200) 간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상기 단위블록(200)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좌, 우측면홈부(203,204)는 도 31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32a와 도 32b에서와 같이, 사각, 육각, 팔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상기 단위블록(2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바(220)의 형상에 따라 좌, 우측면홈부(203,204)를 다양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형상에 따라 수직지지바(220)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상기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 블록(200) 간의 결합을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3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좌측면과 우측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수직지지바(220) 즉, 크기가 작은 대도형태인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수직지지바(220)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203,204)이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도 33와 같은 수직지지바(22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한 쌍의 좌, 우측면홈부(203,204)에 일자형상의 수직지지바(220)가 한 쌍을 이루면서 삽입 결합된다.
또한,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십자(+)형상을 갖도록 T자형상의 좌, 우측면홈부(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로 맞닿은 상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좌, 우측면홈부(203,204)는 십자(+)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상의 좌, 우측면홈부(203,204) 내로 십자(+)형상의 수직지지바(220)가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십자(+)형상의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합된다.
또, 도 35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 부(200a,200b)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좌, 우측면홈부(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중앙부에 형성된 좌측면홈부(203)의 일측면에는 끼움홈(207) 즉, 좌측끼움홈(20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홈부(203)의 좌측끼움홈(207a)과 대각방향 위치인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중앙부에 형성된 우측면홈부(204)의 일측면에는 끼움홈(207) 즉, 우측끼움홈(207b)이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36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는 좌, 우측면홈부(203,20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좌, 우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203,204)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끼움홈(207) 즉, 좌측끼움홈(207a)와 우측끼움홈(20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35와 같은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사이에는 이단 절곡된 형태의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삽입 결합되거나, 도 36과 같은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H자형태의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각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상기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37과 도 38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우측면 중앙부에는 우측면홈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도 37과 같이 상기 전, 후면부(200a,200b)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면홈부(204)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207) 즉, 좌측끼움홈(207a)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38과 같이 상기 단위블록(200) 전, 후면부(200a,200b)의 좌측면에는 상기 우측면홈부(204)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끼움홈(207) 즉, 한 쌍의 우측끼움홈(207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좌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07a)은 우측면홈부와 같은 역활을 함에 따라 상기 서로 맞닿은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도 37과 같은 L자형상의 수직지지바(220)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38과 같은 ㄷ자형상의 수직지지바(220)를 결합하므로 인해 상기의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은 견고하게 적층 결합된다.
이상, 도 31 내지 도 38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의 좌, 우측면에 좌, 우측면홈부(203,204)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상기 좌, 우측면홈부(203,204)의 형상 및 끼움홈(207)의 위치에 맞춰 수직지지바(220)를 제작하여 상기 제작된 수직지지바(220)를 상기 이중구조의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 사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므로 인해 견고한 벽체(W)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200)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된 상, 하면홈부 및 좌, 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양한 형상의 홈부에 맞춰 수직지지바 및 수평지지바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 간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함에 따라 상기 견고한 벽체(W)가 시공된다.
여기서, 도 1과 도 3a의 단위블록(100)에 수직지지부(120)와 수평지지 부(130) 간의 결합상태를 도 4a 내지 도 4d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103,104) 내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바(120)가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101,102) 내로 삽입되는 수평지지바(130)가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각 수직지지바(120)와 각 수평지지바(130) 중 어느 한 지지바의 일단은 다른 지지바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즉, 상기 수직지지바(120)의 일단이 수평지지바(130)의 일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지지바(130)의 일단이 수직지지바(12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와 각 수평지지바(130)가 엇갈리는 형태로 서로 직교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과 좌, 우측면에는 각 수평지지바(130)와 각 수직지지바(12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과 좌, 우측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와 수평지지바(130)에 의하여 상기 각 단위블록(100)은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내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 수직지지바(120)가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홈부(101,102)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평지지바(130)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 및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지지바(130)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길이만큼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수직지지바(120) 사이에 각 단위블록(100)이 결합 및 적층됨은 물론 상기 상, 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 사이에 수평지지바(130)가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수직지지바(120)와 수평지지바(1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또는,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101,102)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평지지바(130)가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홈부(103,104)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직지지바(120)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에 각각 위치 및 상기 각 수평지지바(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지지바(120)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높이만큼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130) 사이에 각 단위 블록(100)이 결합 및 적층됨은 물론 상기 좌, 우방향으로 결합되는 각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 사이에 수직지지바(120)가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수평지지바(130)와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상기 단위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부(105)에 도 3a와 도 3b에서와 같이 한 쌍의 요홈부(105a)가 형성된 단위블록(100)의 경우에도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수평지지바(130)가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인 양측면 또는, 한 쌍의 요홈부(105a)에 양측면이 끼워지는 상태로 삽입홈부(105) 내로 삽입되도록 수직지지바(120)가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각 수평지지바(130)는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의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는 각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이 서로 맞닿은 각 단위블록(100)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한 쌍의 요홈부(105a)에 결합되어 삽입홈부(105) 내에 삽입 설치되므로 상기 각 단위블록(100)은 각 수평지지바(130)와 수직지지바(120)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한편, 도 21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에 수직지지바(220)와 수평지지바(230) 간의 결합상태를 도 39a 내지 도 39c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 및 수직지지바(220)와 수평지지바(230) 의 결합은 상기 단위블록(100)이 도 4a 내지 도 4d에서와 같은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39a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203,204) 내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바(220)가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201,202) 내로 삽입되는 수평지지바(230)가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각 수직지지바(220)와 각 수평지지바(230) 중 어느 한 지지바의 일단은 다른 지지바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즉, 상기 수직지지바(220)의 일단이 수평지지바(230)의 일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지지바(230)의 일단이 수직지지바(22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220)와 각 수평지지바(230)가 엇갈리는 형태로 서로 직교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9b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양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좌, 우측면홈부(203,204) 내로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각 단위블록(200) 사이에 수직지지바(220)가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에 형성된 상, 하면홈 부(201,202)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평지지바(230)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부에 각각 위치 및 상기 각 수직지지바(2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지지바(230)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길이만큼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수직지지바(220) 사이에 각 단위블록(200)이 결합 및 적층됨은 물론 상기 상, 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각 단위블록(200)의 상, 하면 사이에 수평지지바(230)가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수직지지바(220)와 수평지지바(23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또는, 도 39c에서와 같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상, 하면에 형성된 상, 하면홈부(201,202)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평지지바(230)가 가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좌, 우측면에 형성된 좌, 우측면홈부(203,204) 내로 삽입 결합되는 수직지지바(220)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좌, 우측면에 각각 위치 및 상기 각 수평지지바(2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좌, 우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지지바(220)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높이만큼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상, 하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바(230) 사이에 각 단위블록(200)이 결합 및 적층됨은 물론 상기 좌, 우방향으로 결합되는 각 단위블록(200)의 좌, 우측면 사이에 수직지지바(220)가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수평지지바(230)와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벽체(W)를 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과 도 3a에서와 같은 단위블록(100)에 수직지지바(120)와 수평지지바(130)를 도 4a 내지 도 4d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도 21에서와 같은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에 수직지지바(220)에 수평지지바(230)를 도 39a 내지 도 39c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결합한다.
즉, 도 1과 도 3 및 도 21에서와 같은 단위블록(100,200)에 상기 각 수평지지바(130,230)와 각 수직지지바(120,220)를 서로 엇갈리게 결합하거나, 상기 수직지지바(120,220)를 결합하고 나서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2230) 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수평지지바(130,230)를 각각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지지바(130,230)를 결합하고 나서 상기 각 수평지지바(130,230) 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수직지지바(120,220)를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결합 및 결합되는 각 단위블록(100,200)에 의해 벽체(W)를 시공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건축물에 따라 시공되는 벽체(W) 및 상기 벽체(W) 시공에 따른 상기 단위블록(100,200) 간의 결합 및 작업자의 작업조건, 작업 형태, 여건 등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100,200)과 수직지지바(120,220)와 수평지지바(130,230)와의 결합방식을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단위블록(100,200) 및, 상기 수직지지 바(120,220)와 수평지지바(130,230)와의 결합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등 견고한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대형 건축물을 짓거나 층수가 높은 건물을 지을 때 상기 건축물이나 건물의 벽체(W)가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의 단위블록(100) 사이에는 도 40에서와 같이 일반 수직지지바보다 크기도 크면서 강도가 강하면서 경도가 센 금속재 수직지지바(120)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금속재 수직지지바(120)에 의해 각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은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단위블록(100)과 수직지지바(12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시공되는 벽체(W)는 견고하게 형성되므로 인해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대형 건축물이나 층수가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도 21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중어느 한 면부 측면에는 도 41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수직지지바(220)가 결합되는데, 즉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복수개가 서로 연결 결합 및 적층되는 상기 각 단위블록(200)의 전, 후면부(200a,200b) 중 어느 한 측면 사이에는 일반 수직지지바보다 크기도 크면서 강도가 강하면서 경도가 센 금속재 수직지지바(220)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금속재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각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과 단위블록(200)은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수직지지 바(220)와 각 단위블록(2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시공된 벽체(W)는 상기 금속재 수직지지바(220)에 의해 지지 고정됨에 따라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해 대형 건축물이나 층수가 높은 건물을 짓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형 건축물이나 층수가 높은 건물을 짓을 때 단위블록(100) 및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에 금속재 수직지지바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 블록 간의 결합이 견고함은 물론 이로 인한 견고한 벽체의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대형 건축물이나 층수가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다.
상기 각 단위블록(100) 및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상, 하면과 좌, 우측면에는 도 1과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과 단위블록(100,200)이 서로 보다 견고하면서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씰링 테이프(160,26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의 씰링 테이프(160,260)는 양면에 일정 점성을 갖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의 상, 하면 및 좌, 우측면 등 각 면에 상기의 씰링 테이프(160,260)를 부착하고 나서 상기의 단위블록(100,200)의 각 면에 다른 단위블록(100,200)의 각 면을 각각 위치시키면, 상기 씰링 테이프(160,260)에 의해 상기 단위블록(100,200)과 다른 단위블록(100,200)이 밀착된 상태로 보다 단단하게 결합 및 적층됨에 따라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은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로 인해 시공되는 벽체(W)도 견고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단위블록(100) 및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의 결합 및 적층작업에 의해 시공된 벽체(W) 및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마감부 재(140,24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마감부재(140,240)는 도 42에서와 같이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의 내면과 외면 중 어느 한 면에 결합하거나 또는 도 43에서와 같이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의 내, 외면 전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에 의해 시공된 벽체(W)의 외관 형상 및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마감부재(140,240)를 단위블록(100,200)의 내, 외면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의 마감부재(140,240)는 도 44a와 도 44b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W)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단위블록(100,200) 표면에 상기 복수개의 단위블록(100,200)을 하나의 마감부재(140,240)로 덮이도록 결합하게 되는데, 즉 상기 복수개의 단위블록(100,200)을 하나의 마감부재(140,240)가 세로방향(도 44a)이나 가로방향(도 44b)으로 결합할 수있다.
또는, 도 45에서와 같이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의 표면에 상기 각각의 단위블록(100,200) 하나 하나에 상기의 마감부재(140,240)를 하나씩 각각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마감부재(140,240)를 결합함에 따라 보여지는 벽체(W)의 외관 형상 및 구매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마감부재(140,240)의 외면은 도 42와 도 43에서와 같이 외관이 편평한 일자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46과 도 47에서와 같이 외관이 편평한 일자형상의 마감부재(140,240)의 상, 하부면은 직선형태로 모따기(도 46)하거나 상기 외관이 편평한 일자형상의 마감부재(140,240)의 상, 하부면은 라운드 형성(도 47) 할 수 있다.
또한, 도 48에서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140,240)의 외면은 반원형태로 상기 외면 전체를 라운드 형성하거나 또는, 도 49 내지 도 51에서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140,240)의 외면은 삼각이나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52에서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140,240)의 외면은 상기 마감부재(140,24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베벨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200)의 내, 외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 전부에 상기와 같은 형태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마감부재(140,240)를 도 44a 내지 도 45에서와 같은 형태로 단위블록(100,200)의 표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140,240)에 의해 벽체(W)의 외관이 미려하는 등 전체적인 건축물의 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부재(140,240)에 의해 단열 및 방음 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와 같은 단위블록(100) 및, 도 21와 같은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200)에 형성된 삽입홈부(105,205)에는 상기의 각 단위블록(100,200)에 의해 시공된 벽체(W)가 단열이나 방음 및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단열재나 방음재 및 기능성 부재(150,250)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삽입홈부(105,205) 내에 기능성 부재(150,250)로서 단열재를 삽입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벽체(W)는 외부와의 열을 차단함에 따라 실내의 난방 및 냉방효율을 높이게 되고, 상기 삽입홈부(105,205) 내에 기능성 부재(150,250)로서 방 음부재를 삽입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벽체(W)를 통해 외부의 소리가 전달되는 것이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부(105,205) 내에 기능성 부재(150,250)로서 원적외선이 방사되거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방사되는 왕겨, 톱밥, 숯, 맥반석, 옥돌가루 및, 한약재부산물 중 어느 하나인 기능성 부재(150,250)를 삽입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벽체(W)는 상기의 물질에 의해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갖도록 함에 따라 상기 기능성 부재(150,250)가 삽입 결합된 각 단위블록(100,200)에 의해 시공된 벽체(W) 및 건축물은 그 가치가 향상된다.
상기에서 건축물의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블록은 도 1과 도 3 및 도 21과 같은 형상 및, 도 53a와 도 53b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단위블록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양한 형태의 각 단위블록의 상, 하면 및 좌, 우측면의 다양한 형상에 맞추어 수평지지바 및 수직지지바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등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을 손쉽고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적층함은 물론 견고한 벽체(W)를 시공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이라면 상기 단위블록과 수평, 수직지지바의 형상을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블록(100,200)의 삽입홈부(105,205) 및 상기 삽입홈부(105,205)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요홈부(105a)는 사각형상 뿐만 아니라 도 54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단위블록의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 및 좌,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는 상술한 것과 더불어 도 55와 도 56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각 단위블록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구매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충족한 단위블록을 제작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다른 단위블록을 포함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다른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를 번갈아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 사이에 수평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평지지바 사이에 수직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d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다른 단위블록에 수직지지바와 수직지지바 결합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측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을 평면에 서 본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22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측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상, 하면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31 내지 도 3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이중구조를 갖는 단위블록을 평면에서 본 다양한 형상의 좌, 우측면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39a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와 수평지지바를 번갈아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9b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직지지바 사이에 수평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9c는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수평지지바 사이에 수직지지바를 설치하면서 벽체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0은 일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대형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대형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낸 도면.
도 42와 도 43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 표면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44a 내지 도 45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에 마감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46 내지 도 52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각 단위블록 표면에 결합되는 마감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상의 단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의 단위블록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삽입홈부 및 상기 삽입홈부에 수직지지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5는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단위블록의 상, 하면홈부 형상을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
도 56은 본 발명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서 단위블록의 좌, 우측면홈부 형상을 다양하게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단위블록 101,201: 상면홈부
102,202: 하면홈부 103,203: 좌측면홈부
104,204: 우측면홈부 105,205: 삽입홈부
110,210: 가이드부재 120,220: 수직지지바
130,230: 수평지지바 140,240: 마감부재
150,250: 기능성 부재 160,260: 씰링 테이프
W: 벽체

Claims (69)

  1. 건축물의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 시공에 따른 상기 벽체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위블록(100)과, 상기 단위블록(10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시공되는 벽체의 하단부 측에 위치하는 단위블록(100)의 설치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부재(110)와,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바(120)와,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단위블록(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블록과 단위블록이 맞물리는 상태로 서로 연결 및 적층되도록 상기 각 수직지지바(120)와 직교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바(130)가 구비된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100)은, 상기 단위블록(100)의 전면과 배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수평지지바(130)가 삽입 결합되는 상, 하면홈부(101,10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 우측면에는 단위블록(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수직지지바(120)가 삽입 결합되는 좌, 우측면홈부(103,10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100)의 중앙부에는 기능성부재(15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부(105)가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105)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홈부(105) 내로 수직지지바(12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요홈부(105a)가 수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블록(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 하면홈부(101,102)는 상기 단위블록 상, 하면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 하면홈부(101,10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끼움홈(10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1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면홈부(103,104)는 상기 단위블록 좌, 우측면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면홈부(103,104)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끼움홈(107)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위블록(100)의 상, 하면과 좌, 우측면에는 상기 각 단위블록(100)을 결합하도록 하는 씰링 테이프(16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69. 제 68 항에 있어서,
    씰링 테이프(160)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1020090068175A 2009-07-27 2009-07-27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Active KR10112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75A KR101127538B1 (ko) 2009-07-27 2009-07-27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PCT/KR2010/004865 WO2011013955A2 (ko) 2009-07-27 2010-07-23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CN201080033780.XA CN102482884B (zh) 2009-07-27 2010-07-23 用于墙体施工的块体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75A KR101127538B1 (ko) 2009-07-27 2009-07-27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59A KR20110010859A (ko) 2011-02-08
KR101127538B1 true KR101127538B1 (ko) 2012-03-23

Family

ID=4352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75A Active KR101127538B1 (ko) 2009-07-27 2009-07-27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27538B1 (ko)
CN (1) CN102482884B (ko)
WO (1) WO201101395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888B1 (ko) 2022-02-08 2023-02-08 김교원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KR102810867B1 (ko) 2023-11-27 2025-05-23 김교원 벽체 조적용 기능성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51Y1 (ko) * 2002-12-30 2003-05-09 (주)우성에스에이씨 기포단열재가 내설된 치장벽돌
KR20030063812A (ko) * 2002-01-24 2003-07-31 구경회 건축용 블록
KR100649984B1 (ko) * 2006-04-24 2006-11-28 유용관 조립식 타일 외장재
KR20090077256A (ko) * 2008-01-10 2009-07-15 오재연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2472B2 (fr) * 1983-02-08 1985-11-08 Ott Renaud Systeme constructif utilisant des coffrages perdus notamment isolants et armes
IT1229626B (it) * 1985-03-07 1991-09-04 Mazzocco Antonio Monoblocco stampato ad incastro per costruzioni in c.a. vibrato e compresso
CA1257100A (en) * 1985-10-28 1989-07-11 Yoshio Takahashi Formwork apparatus for concrete placing
ITVE20030023A1 (it) * 2003-06-10 2004-12-11 Aghebo Sistemi S R L Complesso di elementi strutturali per realizzare pareti in vetroresina.
AU2004267119B2 (en) * 2003-08-25 2008-12-04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Building panels
KR100663923B1 (ko) * 2005-05-24 2007-01-09 이형수 조적블록의 건식 조적방법 및 조적장치
KR100674504B1 (ko) * 2005-07-13 2007-01-29 노태길 벽돌
KR20080022307A (ko) * 2006-09-06 2008-03-11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812A (ko) * 2002-01-24 2003-07-31 구경회 건축용 블록
KR200311851Y1 (ko) * 2002-12-30 2003-05-09 (주)우성에스에이씨 기포단열재가 내설된 치장벽돌
KR100649984B1 (ko) * 2006-04-24 2006-11-28 유용관 조립식 타일 외장재
KR20090077256A (ko) * 2008-01-10 2009-07-15 오재연 건물의 내외장재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888B1 (ko) 2022-02-08 2023-02-08 김교원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KR102810867B1 (ko) 2023-11-27 2025-05-23 김교원 벽체 조적용 기능성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2884B (zh) 2014-10-15
WO2011013955A2 (ko) 2011-02-03
KR20110010859A (ko) 2011-02-08
CN102482884A (zh) 2012-05-30
WO2011013955A3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7823360B1 (en) Open core building blocks system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137668B1 (ko) 건축용 결합블록
KR101127538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101434805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101365173B1 (ko) 조적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0675620B1 (ko) 조립식 벽체판넬과 이를 이용한 건물벽체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CN2869171Y (zh) 隔间墙、天花板结构
KR101132334B1 (ko) 분할골조 방식의 건축구조 및 이를 적용한 한식건축물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KR101353841B1 (ko)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N202324256U (zh) 建筑石膏砌块内隔墙
KR101088872B1 (ko) 단위체블록
CN108951851B (zh) 一种装配式房屋用保温装饰一体化墙板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CN112832454A (zh) 一种装配式钢框架复合轻质墙体房屋建筑
JP3112560U (ja) 壁式木造建築物
JP2006322205A (ja) 壁式木造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