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6800B1 -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800B1
KR101126800B1 KR1020100056052A KR20100056052A KR101126800B1 KR 101126800 B1 KR101126800 B1 KR 101126800B1 KR 1020100056052 A KR1020100056052 A KR 1020100056052A KR 20100056052 A KR20100056052 A KR 20100056052A KR 101126800 B1 KR101126800 B1 KR 10112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content
server
data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6203A (en
Inventor
오규삼
송성학
박주현
이창훈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80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0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위치 추정을 하거나, 또는 상기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인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추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위치 추적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면 사용중인 컨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를 서비스할 때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서비스가 가능하여 서버와의 통신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사용자가 컨텐츠를 가지고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에 대해 컨텐츠의 사용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position by using observation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or estimates position by using the observation data. A device for generating the base data and a server for receiving location estima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ce,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using the location tracking based data, and providing the device with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The device or the server handles the use of the content being used when the device is out of the designated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based on a client can be used to service location-based content, thereby minimizing a communication cost with a server, and a device user can control whether the content is used for leaving the designated location with the content. It works.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무선랜이나 기지국, 위성 정보를 활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추적 기술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푸쉬 또는 폴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위치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만 제공되고 있으며 이전에 제공된 컨텐츠를 삭제, 수정하는 등의 관리에 대한 방법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서버와의 접속없이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공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Position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ing WLAN, base station, and satellite information are known. In addition, cases of providing location-based content using a method such as pushing or polling the content using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have been reported. However, until now, only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has been provided, and methods for managing such as deleting or modifying previously provided content are rarely reported. In particular, there is no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without access to a server.

종래의 위치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서버 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정해진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주어 서버의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위치정보는 무선랜 신호세기, 신호각도 등을 이용하거나, 위성, 액세스포인트(AP), 기지국, 중계기 등의 정보를 통해 추정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is a technology for providing server-based cont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erver by transmit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The user's device transmit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gives permission to use the predetermined content or the content accordingly to use the content of the server.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used may be estimated by using the WLAN signal strength, the signal angle, or the like, or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a satellite, an access point (AP),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종래 기술은 사용자에게 위치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지만, 컨텐츠 제공자가 미리 지정한 위치를 디바이스 사용자가 벗어나면 이를 관리 할 수 없다. 따라서 회사의 중요한 컨텐츠나, 특정 지역에서만 가능한 유료 컨텐츠를 위치기반으로 제공하는데 기술적 문제가 있었다. The prior art provides a user with content suitable for a location, but if a device user leaves a location previously designated by a content provider, the user cannot manage the content. Therefore, there was a technical problem in providing location-based important contents of the company or paid contents only available in specific regions.

또한, 지정된 지역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컨텐츠의 사용을 종료하지 않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였을 경우 그 컨텐츠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지정되지 않은 지역에서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된다. 그리고 서버에서 컨텐츠의 권한을 제어하는 경우 계속해서 서버와 통신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전력 및 통신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ho used the content in the designated area moves to another place without ending the use of the content, the content can continue to be used, which is a problem because the content is used in the unspecified area. If the server controls the rights of the content,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must be continued, resulting in loss of power and communication of the user device.

또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기지국, 중계기, AP의 접속 정보만을 사용할 경우 위치의 정확도가 부족하며, 실내에서는 GPS 등의 위성 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하여 신호세기, 위성정보 등의 단편적인 정보가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 위치하지 않더라도 실제 위치하는 것처럼 위치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only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repeater, AP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is in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use satellite information such as GPS indoors.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fragmentary information such as signal strength and satellite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 user.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manipulated as if the user is actually located even if the user is not actually loc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정된 위치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허용된 장소 이외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designated location and preventing the user from using the content other than the permitted place.

또한, 서버-클라이언트간 통신을 최소화하여 통신 비용을 줄이고 디바이스의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며, 서버간 통신을 통해 컨텐츠, 정책, 로케이션 키 등의 수평적, 계층적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server-client communication to reduce communication costs, minimizing device power usage, and enabling horizontal and hierarchical delivery of content, policies, and location keys through server-to-server communication. Its purpose is to.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위치 추정을 하거나, 또는 상기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인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추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위치 추적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면 사용중인 컨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처리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itself by using observation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or estimates the location using the observation data. Receive position estima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ce and the device for generating position estimation-based data, which is the data required to obtain the data, or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device using the position tracking-based data, the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position to the device It includes a server for providing, the device or the server to prevent the use of the content in use when the device is out of the designated location.

상기 서버는 미리 생성된 위치에 기반한 로케이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수신하면, 컨텐츠에 포함된 로케이션 키와 동일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의 생성 및 열람을 포함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The server encrypts the content using a location key based on a pre-generated location, and when the device receives the location-based content, the server generates a location key identical to a location key included in the content to generate and view the content. It can obtain the right including.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관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상기 서버에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 상기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receives observation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collects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necessary for other position estimation, and uses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to automatically position the device. A client-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for estimating a location, requesting a server to estimate a location of a device, generating a location key, or authenticating a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using the location key; A client side data processor for uploading or downloading data to the server and a local database for storing the data.

상기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은, 상기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보내오는 관측 데이터와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클라이언트측 위치추정부 및 상기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서버측 위치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ent-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observation data and other location-based data required for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LA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atellite, the collected location A client-side position estimation unit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device by using the estimation-based data and a server-side position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position estimation-based data to the server and requesting the server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device. Can be.

상기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는,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와 추가적인 정보를 조합하여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로케이션 키 생성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컨텐츠 인증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ent-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may include a location key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cation key by combin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content authenticator for authentica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using the location key. Can be.

상기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업로더와,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ent-side data processor may include a data uploader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server and a data downloader for receiving data from the server.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서버측 위치 추정 엔진,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고,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컨텐츠와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a server-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device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transmitted from the device, registers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and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device and the user of the device Set a policy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rver, a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that registers a raw location key for each content, transmits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and interlocks a policy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And a server-side data 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raw location key to the device, and a server-side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and the raw location key.

상기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 등록기,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등록기 및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원시 로케이션 키 등록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may include a content register for register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a policy register for setting a policy to transmit content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device and a user of the device, and a raw location key for each content. It may include a content-raw location key register for registering the.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위치 추정 기반 컨텐츠 전송기,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서버간 정책 및 컨텐츠 연동기 및 상기 디바이스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side data processor includes a location estimation-based conten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a server-to-server policy and content interlocker for interworking policies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and a raw location to the device. It may include a raw location ke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key.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side database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and a raw location key database for storing the raw location key.

상기 로케이션 키는 무선랜 AP(Access Point) 맥(Mac) 어드레스(Address), 맥(Mac) 지문, 기지국의 셀(Cell) ID, GPS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location key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information including a WLAN AP (Mac) address, a MAC fingerprint, a cell ID of a base station, and a GPS signal.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데이터와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수신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ent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device and a serve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to the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the device acquiring the content, generating a location key of the content, and authenticating the content, wherein the device originates the content Generating a location key and registering it with the server; and receiving, by the server,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from the device, and registering and storing the raw location key in th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server. May include .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한다고 판단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to the server may include collecting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at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o estimate the location at the device, and determining that the location is estimated at the device. The method may include estimating a current location, uploading the estimated location to the server, and upload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o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s not estimated by the device.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정책을 반영하여 상기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may transmit the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wherein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is estimated location data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by us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interworked with another server, and interworking the content and the policy with another server. If determined, the method may include interworking content and policies between different servers, selec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ocation by reflecting the policy,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device.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요청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인증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상기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 및 상기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quiring of the content by the device and generating a location key of the content to authenticate the content comprises: requesting content based on a location from the device to obtain corresponding content; and generating a location key at the device. And authenticating the acquired content using the location key,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authenticated,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make the content available, an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method may include returning to the step of generating and if the authentication fails, making the content unusable, deleting the content, or adjusting the right to view the content.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을 한다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 추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raw location key of the content and registering the content in the server may include collecting location estimation-based data in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s estimated in the device, and performing location estimation in the device. Estimating the current location, generating a raw location key, uploading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aw location key to the server, and generating a raw location ke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does not estimate the location. Uploading the estimate-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to the server.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데이터와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수신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이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정책을 반영하여 상기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from the device, and register and store the raw location key in th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server, wherein the server receives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data is the estimated location data or the location-based data; if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is location-based data,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location-based data;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interworked with each other; interworking the content and the policy with another server; selec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ocation by reflecting the policy; Step, the raw locale to the selected content And registering the option key and storing the content in a database.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는,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 있다.In the registering of the raw location keys in the selected content, a plurality of raw location keys may be registered in one content.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에 동일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 있다.
In the registering of the raw location key with the selected content, the same raw location key may be registered with a plurality of contents.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를 서비스할 때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서비스가 가능하여 서버와의 통신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사용자가 컨텐츠를 가지고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에 대해 컨텐츠의 사용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의 중요 문서를 사용할 때 지정 위치 외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based on a client can be used to service location-based content, thereby minimizing a communication cost with a server, and a device user can control whether the content is used for leaving the designated location with the content. It works. Therefore, when using important location-based documents, you can prohibit the use of content outside of the designated location.

또한, 유료 컨텐츠를 위치 기반으로 서비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유료 컨텐츠를 이용하는 중에 지정된 위치 밖으로 이동할 경우 구매를 권유하는 등으로 확장이 가능하여 구매 유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aid content can be serviced based on the location, when the user moves out of the designated location while using the paid content, the user can expect the purchase incentive effect by expanding the product to recommend the purch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cont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관리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device 100 and a server 200.

디바이스(100)는 무선랜 AP(Access Point)(103), 기지국(106), 통신 위성(104)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위치 추정을 하거나, 또는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인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피쳐폰,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전자책, 넷북, 노트북 뿐만 아니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The device 100 estimates its own location by using observation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LAN access point (103), a base station 106,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104, or generates observation data. The location estimation data is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estimation dat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0 includes a smartphone, a feature phone,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n e-book, a netbook, a notebook, as well as all devices tha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서버(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위치 추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위치 추적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제공한다. 또한, 서버(200)는 원격서버(300) 간에 수평적, 수직적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컨텐츠, 로케이션 키, 정책 등을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다.The server 200 receives location estimation information from the device 100,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using location tracking based data, and provides the device 100 with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deliver and share content, location keys, policies, and the like thr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remote server 300.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100) 또는 서버(200)는 디바이스(100)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면 사용중인 컨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처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0 or the server 200 processes to prevent the use of the content being used when the device 100 leaves the designated location.

본 발명에서 서버(200)는 미리 생성된 위치에 기반한 로케이션 키를 사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디바이스(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를 수신하면, 컨텐츠에 포함된 로케이션 키와 동일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의 생성 및 열람을 포함하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encrypts the content using a location key based on a previously generated location, and when the device 100 receives the location-based content, the server 100 generates a location key that is the same as a location key included in the content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Authorization including creation and viewing of content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로케이션 키는 무선랜 AP(Access Point) 맥(Mac) 어드레스(Address), 맥(Mac) 지문, 기지국의 셀(Cell) ID, GPS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key is generated by combining information including a WLAN AP (Mac) address, a MAC fingerprint, a cell ID of a base station, and a GPS signal. ca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110),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120),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130), 로컬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device 100 includes a client 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110, a client side location based content manager 120, a client side data processor 130, and a local database 140.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110)은 무선랜 AP(103), 기지국(106), 통신 위성(104)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관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서버(200)에 디바이스(100)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The client-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110 receives observation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LAN AP 103, a base station 106,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104, collects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necessary for other position estimation, The device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by us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or requests the server 200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110)은 무선랜 AP(103), 기지국(106), 통신 위성(104)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보내오는 관측 데이터와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수집부(111),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하는 클라이언트측 위치추정부(113),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에 디바이스(100)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서버측 위치요청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110 provides the observation data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WLAN AP 103, the base station 106, and the communication satellite 104 and other position estimation-based data necessary for position estimation.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collector 111 to collect, the client-side location estimation 113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by itself using the collected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he collected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erver (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server-side location request unit 115 which transmits to the server 200 and requests the server 200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120)는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거나,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The client-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120 generates a location key or authenticates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using the location key.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120)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와 추가적인 정보를 조합하여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로케이션 키 생성기(121) 및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컨텐츠 인증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120 authenticate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location key generator 121 and the server 200 by generating location key by combining location estimation-based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the location key. It may include a content authenticator 123 to.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130)는 서버(200)로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130)는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업로더(131)와,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더(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lient-side data processor 130 serves to upload or download data to the serv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side data processor 130 may include a data uploader 131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server 200 and a data downloader 133 for receiving data from the server 200. .

로컬 데이터베이스(14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The local database 140 is responsible for storing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서버측 위치 추정 엔진(210),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220),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230), 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200 includes a server 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210, a server side location based content manager 220, a server side data processor 230, and a server side database 240.

서버측 위치 추정 엔진(210)은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서버측 위치 추정부(211)를 포함한다. The server-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210 includes a server-side position estimator 211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device 100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transmitted from the device 100.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220)는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고,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고,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The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220 registers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sets a policy to transmi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and the user of the device 100, and provides raw content for each content. It is responsible for registering location keys.

본 발명에서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220)는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 등록기(221),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등록기(223) 및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원시 로케이션 키 등록기(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220 transmits the content register 221 for registering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100,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an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the device 100. The policy register 223 may set a policy and a content-raw location key register 225 for registering a raw location key for each content.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230)는 디바이스(100)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고, 디바이스(100)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server-side data processor 230 transmits content based on the posi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100 to the device 100, interlocks policies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and transmits a raw location key to the device 100. do.

본 발명에서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230)는 디바이스(100)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하기 위한 위치 추정 기반 컨텐츠 전송기(231),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서버간 정책 및 컨텐츠 연동기(233) 및 디바이스(100)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전송기(235)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ide data processor 230 is a location estimation based content transmitter 231 for transmitt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100 to the device 100, a server for interworking policies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The inter-policy and content interlocker 233 and the raw location key transmitter 235 for transmitting the raw location key to the device 100 may be included.

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0)는 컨텐츠와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측 데이터베이스(240)는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 및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데이터베이스(243)를 포함할 수 있다.
Server-side database 240 is responsible for storing content and raw location key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ide database 240 may include a content database 241 for storing content and a raw location key database 243 for storing a raw location key.

이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content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to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에서 서버(200)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100 to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한다(S401).Referring to FIG. 4, the device 100 collects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401).

다음, 디바이스(100)에서 위치를 추정할지를 판단한다(S403).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100 estimates a location (S403).

디바이스(100)에서 위치를 추정한다고 판단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S405). 그리고, 추정된 위치를 서버(200)에 업로드한다(S409).If the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s estimated, the current location is estimated (S405). The estimated location is uploaded to the server 200 (S409).

S403 단계에서 디바이스(100)에서 위치를 추정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서버(200)에 업로드한다(S40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3 that the device 100 does not estimate the location, the device 100 uploads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o the server 200 (S40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서 디바이스(100)의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device 100 to the device 100 in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S501).Referring to FIG. 5, the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is estimated location data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501).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한다(S503).If the received data is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he location of the device 100 is estimated us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503).

그리고, 서버(200)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판단한다(S505).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한다(S507).In operation S505,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interworked with another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and policy are interlocked with another server, the content and policy are interlocked between the other servers (S507).

그리고, 정책을 반영하여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한다(S509, S511). 본 발명에서 정책이란 사용자별로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위치에 따라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시간별로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position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policy (S509 and S5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may include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for each user,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location, and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over time.

그리고, 서버(200)는 컨텐츠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S513).
In operation S513,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device 1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컨텐츠를 획득하고, 컨텐츠의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컨텐츠를 인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device 100 acquires content, generates a location key of the content, and authenticates th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에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서버(200)에 요청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획득한다(S601).Referring to FIG. 6, the device 100 requests content based on a location from the server 200 to obtain corresponding content (S601).

다음, 디바이스(100)에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한다(S603). Next, the device 100 generates a location key (S603).

그리고, 생성된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획득한 컨텐츠를 인증한다(S605).The obtained content is authenticated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key (S605).

컨텐츠의 인증여부를 판정하여(S607), 인증에 성공하면 컨텐츠를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다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인 S603 단계로 되돌아간다(S60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ntent has been authenticated (S607).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content is made available,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03, in which the location key is generat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S609).

S607 단계에서 인증에 실패하면, 컨텐츠를 사용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S611),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컨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조정한다(S613).If authentication fails in step S607, the content is made unusable (S611), and the content is deleted or the right to view the content is adjusted (S6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에서 컨텐츠의 인증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은 생성된 로케이션 키와 컨텐츠에 등록된 원시 로케이션 키와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생성된 로케이션 키와 컨텐츠에 등록된 원시 로케이션 키가 동일하다거나, 90% 이상 일치하다거나 하면 컨텐츠의 인증에 성공한 것이 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 is authenticated in the device 100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generated location key with a raw location key registered in the content. For example, if the generated location key and the raw location key registered in the content are the same or 90% or more match, the authentication of the content may be successfu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컨텐츠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device 100 generates a raw location key of content and registers the content in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한다(S701).Referring to FIG. 7, the device 100 collects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701).

그리고, 디바이스(100)에서 위치 추정 여부를 판단한다(S703). In operation S703, th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is estimated.

디바이스(100)에서 위치 추정을 한다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S705),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S707), 추정 위치 정보 및 원시 로케이션 키를 서버(200)에 업로드한다(S709).If the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s estimated, the current location is estimated (S705), the raw location key is generated (S707), and the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aw location key are uploaded to the server 200 (S709).

S703 단계에서 디바이스(100)에서 위치 추정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S711),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및 원시 로케이션 키를 서버(200)에 업로드한다(S713).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03 that the device 100 does not estimate the location, a raw location key is generated (S711), and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are uploaded to the server 200 (S71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가 디바이스(1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데이터와 원시 로케이션 키를 수신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하여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 server 200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based data and a raw location key from a device 100, and to register and store a raw location key in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server.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S801).Referring to FIG. 8, the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is estimated location data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S80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추정한다(S803).If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is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the position of the device 100 is estimated based on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S803).

다음, 서버(200)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확인한다(S805). 확인결과,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이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한다(S807).Next, the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content and policy interwork with the other server (S805).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interlocked with the other server,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interlocked between the other servers (S807).

다음, 정책을 반영하여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한다(S809, S811). 본 발명에서 정책이란 사용자별로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위치에 따라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시간별로 어떤 컨텐츠를 제공할 것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position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policy (S809 and S8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cy may include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for each user,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location, and what content will be provided over time.

다음, 선정된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한다(S8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컨텐츠에 동일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도 있다. Next, the raw location key is registered in the selected content (S81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aw location keys may be registered in one content. Alternatively, the same raw location key may be registered in a plurality of contents.

그리고, 선정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815).
The selected content is stored in the database (S815).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0 디바이스 200 서버
300 원격 서버 103 AP
104 위성 106 기지국
110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
120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130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
140 로컬 데이터베이스
210 서버측 위치 추정 엔진
220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230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
240 서버측 데이터베이스
100 devices 200 servers
300 Remote Server 103 AP
104 satellite 106 base station
110 client-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120 Client-Side Location Based Content Manager
130 Client-Side Data Handler
140 local database
210 server-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220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230 server-side data handler
240 server-side databases

Claims (19)

삭제delete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수신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위치 추정을 하거나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추정 정보 또는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위치 기반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미리 생성된 위치에 기반한 로케이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로케이션 키와 동일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의 생성 및 열람을 포함하는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면 사용중인 컨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A device which estimates itself by using observation data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or generates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necessary for the location estimation; And
A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estim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estimate a location of the device, and provide location-based content to the device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The server encrypts the content using a location key based on a pre-generated location,
When the device receives the location-based content, the device generates a location key that is the same as a location key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cquires a right including generation and viewing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Conten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to prevent 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관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상기 서버에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
상기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device comprising:
Receive observation data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collect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necessary for position estimation, and estimate a device's own location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A client 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requesting the server for posi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A client-side location based content manager for generating the location key or authentica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using the location key;
A client-side data processor for uploading or downloading data to the server;
Con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local database for storing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위치 추정 엔진은,
상기 무선랜, 기지국, 통신 위성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서 보내오는 관측 데이터와 기타 위치 추정에 필요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클라이언트측 위치추정부 및
상기 수집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을 요청하는 서버측 위치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lient-side position estimation engine,
A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observation data and othe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which are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wireless LAN, a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A client-side location estimation device that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device by itself using the collected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And a server-side location request unit which transmits the collected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o the server and requests the server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는,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와 추가적인 정보를 조합하여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로케이션 키 생성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한 컨텐츠 인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lient-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A location key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cation key by combining the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content authenticator for authenticat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using the location ke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업로더와,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다운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lient-side data processor,
A data uploader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server;
And a data downloader for receiving data from the ser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서버측 위치 추정 엔진;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고,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컨텐츠와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A server-side location estimation engine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using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transmitted from the device;
A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that registers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sets a policy to transmi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device and the user of the device, and registers a raw location key for each content;
A server-side data processor for transmitt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interworking policies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and transmitting a raw location key to the device;
And a server-side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and the raw location ke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위치 기반 컨텐츠 관리기는,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할 컨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 등록기;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등록기 및
각 컨텐츠 별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기 위한 컨텐츠-원시 로케이션 키 등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er-side location-based content manager,
A content register for registering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A policy register configured to set a policy to transmit content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device and a user of the device;
And a content-raw location key register for registering a raw location key for each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서버측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추정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위치 추정 기반 컨텐츠 전송기;
다른 서버간에 정책 및 컨텐츠를 연동하기 위한 서버간 정책 및 컨텐츠 연동기 및
상기 디바이스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전송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전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er-side data processor is
A location estimation based conten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Policy and content interlock between servers for interlocking policies and content between different servers and
And a raw location key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aw location key to th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저장하기 위한 원시 로케이션 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er side database,
A content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and a raw location key database for storing the raw location ke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키는 무선랜 AP(Access Point) 맥(Mac) 어드레스(Address), 맥(Mac) 지문, 기지국의 셀(Cell) ID, GPS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ation key is generated by combining information including a WLAN AP (Mac) address, a MAC fingerprint, a cell ID of a base station, and a GPS signal. Management system.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데이터와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수신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A content management method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device and a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evice,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to the server;
Transmitting, at the server,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Acquiring, by the device, the content, and generating a location key of the content to authenticate the content;
Generating, by the device, a raw location key of the content and registering it with the server; and
Receiving, by the server,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from the device, and registering and storing the raw location key in th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server. How to manage your cont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한다고 판단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를 추정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 estimation based data from the device to the server,
Collecting location estimate based data at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o estimate a location at the device;
If the device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s estimated, estimating a current location;
Uploading the estimated location to the server; and
And if the device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s not estimated, uploading the location estimate-based data to the ser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추정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정책을 반영하여 상기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erver, transmitting the content based on the estimated location of the device to the device,
The server checking wheth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is estimated position data or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If the received data is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device using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Determining, by the server, whether a content and a policy are interworked with another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and the policy are linked with another server, interlocking the content and the policy between the other servers;
Selec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ocation by reflecting the policy; and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에 기반한 컨텐츠를 요청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인증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상기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 및
상기 인증에 실패하면, 상기 컨텐츠를 사용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cquiring the content by the device, and generating a location key of the content to authenticate the content,
Request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from the device to obtain corresponding content;
Generating a location key at the device;
Authenticating the obtained content using the location key;
Determining whether the contents are authenticate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make the content available and returning to generating the location key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And if the authentication fails, making the content unavailable, deleting the content or adjusting a viewing authority for the cont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을 한다고 판단되면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 추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위치 추정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 및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device generating the raw location key of the content and registering with the server,
Collecting location estimate based data at the device;
Determining whether location estimation is performed at the device;
Estimating the current location, generating a raw location key, uploading estim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aw location key to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estimates the location;
And generating a raw location key and uploading the location estimate 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to the ser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does not estimate the loc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기반 데이터와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수신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에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추정된 위치 데이터인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이면, 상기 위치 추정 기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다른 서버와의 컨텐츠 및 정책 연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다른 서버와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것이면, 다른 서버간에 컨텐츠 및 정책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정책을 반영하여 상기 추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rver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r location-based data and the raw location key from the device, and register and store the raw location key in the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server,
The server checking whether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is estimated position data or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if the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is position estimation based data;
Checking, by the server, whether a content and a policy are interworked with another server;
Integrating content and policies with other servers, interworking content and policies between different servers;
Selec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ocation by reflecting the policy;
Registering the raw location key with the selected content; and
And storing the content in a databas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는,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의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gistering of the raw location key in the selected content may include registering a plurality of raw location keys with one cont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컨텐츠에 상기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하는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에 동일한 원시 로케이션 키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registering of the raw location key to the selected content may include registering the same raw location key to a plurality of contents.
KR1020100056052A 2010-06-14 2010-06-14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126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052A KR101126800B1 (en) 2010-06-14 2010-06-14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052A KR101126800B1 (en) 2010-06-14 2010-06-14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203A KR20110136203A (en) 2011-12-21
KR101126800B1 true KR101126800B1 (en) 2012-03-23

Family

ID=4550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0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26800B1 (en) 2010-06-14 2010-06-14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8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730B2 (en) 2014-01-30 2018-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loading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38321B (en) * 2023-09-14 2023-11-24 成都本原星通科技有限公司 Satellite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nti-quantum access authentication of position key low orbit satelli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938A (en)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delivery
JP2009135722A (en) * 2007-11-30 2009-06-18 Kddi Corp Content management system,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0938A (en)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delivery
JP2009135722A (en) * 2007-11-30 2009-06-18 Kddi Corp Content management system,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730B2 (en) 2014-01-30 2018-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load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203A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358B2 (en) Method, network access device, application server, and non-volatil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causing a network access device to access a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
CN103973736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data sharing
CN104506510B (en) Method and device for equipment authentication and authentication service system
US20180270232A1 (en) Wireless firmware updates
WO2018090183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uthentication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US9961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CN105516110B (en) Mobile device security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3095733B (en) Keyword cipher text retrieval method for cloud storage
US8607043B2 (en) Use of application identifier and encrypted password for application service access
EP2680207A1 (en) Secured cloud data storage, distribution and restoration among multiple devices of a user
US87074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pplication control security
JP2006221602A (en) Access information relay device, network device,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access management system
CN103685244B (en) A kind of differentiatio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1801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based asset management
CN104378205A (en) Proximity Wire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uditing System Between Mass Storage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08510357B (en) Improve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hared bicycle intelligent lock frame
KR101126800B1 (en) Cont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JP5002065B1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of authentication system,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program
US20080183714A1 (en) Location-based brokerage service for heterogeneous access roaming
US10652201B1 (en) Cloud service registry
CN112215591B (en) Distributed encryp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crypted money bags
US12081983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machine or equipment
JP2025514620A (en) WPA3 Cloud-Based Network Access and Provisioning
JP2008217300A (en) System and method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file with biological information
CN109067868A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for being stored to clou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5-X000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203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3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