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4423B1 - 차량용 프리히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리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23B1
KR101124423B1 KR1020090110806A KR20090110806A KR101124423B1 KR 101124423 B1 KR101124423 B1 KR 101124423B1 KR 1020090110806 A KR1020090110806 A KR 1020090110806A KR 20090110806 A KR20090110806 A KR 20090110806A KR 101124423 B1 KR101124423 B1 KR 10112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heating means
lower plates
prehe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233A (ko
Inventor
이성영
손정권
서문원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8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 H05B2203/023Heaters of the type used for electrically heating the air blown in a vehicle compartment by the vehicle he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하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커버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의 강도 및 결합력을 향상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간편함과 아울러 커버에 탄성부재를 인서트 사출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더욱 줄이고 부품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호 마주하는 면에 통풍구멍(111a,112a)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열수단(14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프리히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상기 가열수단(140)을 수용함과 아울러 각각 상기 통풍구멍(111a,112a)이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11) 및 하부플레이트(112)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측벽(113)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2측벽(114)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 사이의 개구된 단부를 폐쇄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히터, PTC,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측벽, 커버

Description

차량용 프리히터{PRE-HEA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하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커버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의 강도 및 결합력을 향상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간편함과 아울러 커버에 탄성부재를 인서트 사출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더욱 줄이고 부품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내의 난방이나 차량 전면유리의 제습 또는 성에제거를 위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는 엔진이 가동된 후 엔진의 주위를 흐르는 냉각수가 난방기에 유입되는 관계로 냉각수가 일단 가열되어 실내가 난방되기 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시동 후 일정시간 추운 상태로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근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리히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 PTC소자를 내장한 프리히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상,하방향으로 결합하고, 그 사이에 PTC소자를 내장하는 프리히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프리히터(1)의 일예로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706856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상부하우징(10)의 가장자리 하측면에는 복수개의 결합리브(1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하우징(20)의 가장자리 상측면에는 상기 결합리브(11)가 삽입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인입구멍(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을 상,하방향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하우징(20)의 내측공간에는 가열수단(30)이 수용되고, 가열수단(30)의 일측에는 스프링요소(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양측 결합리브(11) 중 일측 결합리브(11)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1a)이 형성되어, 상,하부하우징(10,20)의 상,하방향 결합시 상기 경사면(11a)에 의해 스프링요소(40)가 가열수단(30)을 탄력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30)은 +단자, -단자, PTC소자, 히트핀조립체 등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적층 구조나 형태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프리히터(1)는 하부하우징(20)의 내측공간에 먼저 가열수단(30)과 스프링요소(40)를 배치한 후, 상,하부하우징(10,20)을 상,하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단자와 -단자에 전류가 공급되면 PTC소자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이 히트핀조립체로 전열되므로 히트핀조립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프리히터(1)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20)을 상,하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해 복수개의 결합리브(11)와 복수개의 인입구멍(21)을 형성해야 하므로 결합구조가 복잡함과 아울러 좌,우 비틀림에 취약하여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20)의 내측공간에 가열수단(30)과 스프링요소(40)를 각각 배치하여 정위치 시킨 후, 상부하우징(10)을 하부하우징(20)에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조립공장에서 스프링요소(40)와 같은 부품들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하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커버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의 강도 및 결합력을 향상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간편함과 아울러 커버에 탄성부재를 인서트 사출함에 따라 조립공수를 더욱 줄이고 부품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프리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마주하는 면에 통풍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측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프리히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상기 가열수단을 수용함과 아울러 각각 상기 통풍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측벽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폭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2측벽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사이의 개구된 단부를 폐쇄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하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커버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하우징의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하우징의 좌,우 비틀림이 방지되어 결합력이 향상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 고 조립도 간편하다.
또한, 상기 커버에 탄성부재가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공수를 더욱 줄일 수 있고, 탄성부재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100)는, 상호 마주하는 면에 통풍구멍(111a,112a)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열수단(140)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단자(141) 및 -단자(142)와, 상기 +단자(141)와 -단자(142)의 사이에 개재되는 히트핀조립체(143)와, 상기 +단자(141)와 히트핀조립체(143)의 사이에 개재되어 일측면은 +단자(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면은 -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트핀조립체(143)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PTC소자(144)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열수단(140)은 +단자(141), -단자(142), 히트핀조립체(143), PTC소자(144)를 복수개 적층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적층하는 구조나 적층하는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140)은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하부플레이트(111,112)와 제1측벽(113) 및 제2측벽(114)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는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상기 가열수단(140)을 수용함과 아울러 각각 마주하는 넓은면에 복수개의 통풍구멍(111a,112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풍구멍(111a,112a)은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넓은면을 격자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측벽(113)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제1측벽(113)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2측벽(114)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일단부는 제2측벽(114)에 의해 폐쇄된다.
이처럼, 상기 하우징(110)은 상,하부플레이트(111,112), 제1측벽(113), 제2측벽(114)에 의해 일체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타단부와 길이방향 타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개구된 폭방향 타단부에는 커버(1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타단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데, 즉,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타단부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슬라이딩홈(116)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개구된 폭방향 타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20)와 가열수단(140)의 사이에는 가열수단(140)을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버(120)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되는 인서트부(151)와, 상기 인서트부(151)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열수단(140)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탄성부(1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52)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만 인서트부(151)과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140)과 제2측벽(114)의 사이에도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된 가열수단(140)을 상기 탄성부재(150)가 탄력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가열수단(140)의 구성인 +단자(141), -단자(142), 히트핀조립체(143), PTC소자(144)간에 밀착성이 향상되어 가열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10)을 일체형 박스형태로 구성하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는 탄성부재(150)를 구비한 커버(120)로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하우징(110)의 강도를 향상함과 아울러 하우징(110)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향상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간편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120)에 탄성부재(150)가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공수를 더욱 줄일 수 있고, 탄성부재(150)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연결하우징(13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타단부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130)에는 상기 걸림턱(115)에 걸려 결합되도록 걸림홈(132)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부(13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1)는 상부플레이트(111)와 대응하는 연결하우징(130)의 상단부에 한 쌍이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112)와 대응하는 연결하우징(130)의 하단부에도 한 쌍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턱(115)은 상기 연결하우징(130)의 상,하단부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된 연결부(131)의 걸림홈(13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130)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복수개의 +단자(141)와 -단자(142)의 일단부가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관통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홈(133)은 +단자(141)와 -단자(14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하우징(130)을 관통하는 +단자(141)와 -단자(142)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하우징(13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커버(120)는 고정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상,하부플레이트(111,112)와 제1측벽(113) 및 제2측벽(114)은 사출을 통해 일체형 박스형태로 성형된다.
이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상기 가열수단(140)을 수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열수단(140)을 먼저 수납한 후 하우징(110)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에 상기 커버(120)를 슬라이딩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에 커버(120)를 먼저 슬라이딩 결합한 후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열수단(140)을 수납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하우징(110)의 개구된 폭방향 일단부에 커버(120)를 슬라이딩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커버(120)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된 탄성부재(150)가 가열수단(140)을 탄력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가열수단(140)의 구성요소간에 밀착성이 향상되어 가열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연결하우징(130)을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결합하게 되는데, 즉, 연결하우징(130)의 연결부(131)에 형성된 결림홈(132)을 하우징(110)의 일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걸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프리히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프리히터 110: 하우징
111: 상부플레이트 111a,112a: 통풍구멍
112: 하부플레이트 113: 제1측벽
114: 제2측벽 115: 걸림턱
116: 슬라이딩홈 120: 커버
130: 연결하우징 131: 연결부
132: 걸림홈 133: 관통홈
140: 가열수단 141: +단자
142: -단자 143: 히트핀조립체
144: PTC소자 150: 탄성부재
151: 인서트부 152: 탄성부

Claims (5)

  1. 상호 마주하는 면에 통풍구멍(111a,112a)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측에 가열수단(140)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프리히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호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에 상기 가열수단(140)을 수용함과 아울러 각각 상기 통풍구멍(111a,112a)이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111) 및 하부플레이트(112)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측벽(113)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2측벽(114)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 사이의 개구된 단부를 폐쇄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120)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폭방향 타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6)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와 가열수단(140)의 사이에는 가열수단(140)을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버(120)에 인서트 사출되어 결합되는 인서트부(151)와, 상기 인서트부(1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수단(140)을 압박하는 탄성부(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1,112)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연결하우징(13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5. 삭제
KR1020090110806A 2009-11-17 2009-11-17 차량용 프리히터 Active KR10112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06A KR101124423B1 (ko) 2009-11-17 2009-11-17 차량용 프리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06A KR101124423B1 (ko) 2009-11-17 2009-11-17 차량용 프리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33A KR20110054233A (ko) 2011-05-25
KR101124423B1 true KR101124423B1 (ko) 2012-03-20

Family

ID=4436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06A Active KR101124423B1 (ko) 2009-11-17 2009-11-17 차량용 프리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11B1 (ko) * 2018-12-06 2019-10-01 덕일산업 주식회사 내부부품을 밀착시키는 히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85A (ko) * 2002-12-19 2004-06-25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가열기 및 상기 전기 가열기를제조하는 방법
KR20050006711A (ko) * 2003-07-10 2005-01-1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85A (ko) * 2002-12-19 2004-06-25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가열기 및 상기 전기 가열기를제조하는 방법
KR20050006711A (ko) * 2003-07-10 2005-01-1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33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240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heating device and electric heating devices
KR100445723B1 (ko) Ptc 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JP3929988B2 (ja) ハウジングを備えた電気加熱装置
KR100970042B1 (ko) 차량용 전기 가열 장치
US20090026189A1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US7026584B2 (en) Electric heater with housing
JP4892369B2 (ja) 換気、暖房、または空調設備の電気ヒーター用の加熱素子支持フレーム
US8729433B2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378614B2 (en) Heat rod assembly and pre-heater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US20070138159A1 (en) Optimization of a heating device
US20060273078A1 (en) PTC rod assembly and pre-heater including the same
US9265093B2 (en) Heating rod
KR101124423B1 (ko) 차량용 프리히터
CN110087921A (zh) 电辅助加热装置
KR100811293B1 (ko) 커버 결합형 차량용 프리히터
KR100879639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1124418B1 (ko) 차량용 프리히터
KR101163448B1 (ko) 차량 후석용 프리히터 장치
CN103884092B (zh) 车辆加热器及其制造方法
KR20050018831A (ko) Ртс 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히터
KR20110048713A (ko) 히트 로드 조립체
JP6568738B2 (ja) 電気式ヒータ
KR101124420B1 (ko) 차량용 프리히터
KR100755519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492374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