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3996B1 -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996B1
KR101123996B1 KR1020110060137A KR20110060137A KR101123996B1 KR 101123996 B1 KR101123996 B1 KR 101123996B1 KR 1020110060137 A KR1020110060137 A KR 1020110060137A KR 20110060137 A KR20110060137 A KR 20110060137A KR 101123996 B1 KR101123996 B1 KR 10112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ead wire
extern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transfor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5377A (en
Inventor
김덕훈
박근영
서상준
엄재근
천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37,39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38448A1/en
Priority to CN2011102347658A priority patent/CN102376439A/en
Publication of KR2012002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9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코일의 리드선들 상호간에 단락을 방지하도록 리드선들을 상호 이격시키며 배치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권선부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다수의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끝단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in which the lead wi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lead wires of the coil. To this end,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ular body part, and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 base having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winding part, and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coil. The winding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part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partition wall and supports the lead wire through an end thereof and guides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의 리드선들 상호간에 단락을 방지하도록 리드선들을 상호 이격시키며 배치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ormer that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leads of the coil.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가 구비되며, 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이용된다.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monitors, personal computers, and office automation (OA) devices require various power sources. Therefore, such an electronic device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device for converting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power required for each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 mainly switching transformer is used.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25~100KHz의 고주파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50~60Hz의 주파수 발진으로 85~265V의 교류전원을 3~3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switching transformer converts 85 ~ 265V AC power into 3 ~ 30V DC power with high frequency oscillation of 25 ~ 100KHz. Therefore, the size of the core and bobbi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general transformer which converts 85 ~ 265V AC power into 3 ~ 30V AC power with 50 ~ 60Hz frequency oscillation. Since low-voltage, low-current direct current power supplies can be stably supplied to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s, they are widely used in electronic application devices that have recently been miniaturized.

그런데 스위칭 트랜스포머가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 스위칭 트랜스포머의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코일의 리드선들 간에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However, as the switching transformer becomes smaller,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lead wires of the coil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witching transformer.

그리고 하나의 스위칭 트랜스포머에 다수의 코일을 복합적으로 권선하는 경우, 다수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되므로 상기한 문제가 보다 심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ils are wound around a single switching transformer, a plurality of lead wires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us, the above problem is intensified.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트랜스포머에 권선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고 외부 접속 단자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in which the lead wires of a coil wound on a small transform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ithout a short circuit occurring therebetween.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권선부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다수의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끝단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ubular body, a base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nd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wound on the winding unit. A plurality of coil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wherein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artition wall and supports the lead wire through an end thereof and the lead wire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unit for guiding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and a second partition wal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ase, The lead wire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가 상기 제2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ad wire support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lead wir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 support part may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각각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is a primary coil and the first partition and the first winding wound around the spa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secondary coil woun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partition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1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s of the primary coil wou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re supported by the lead wir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hav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y include a guide portion having a groove shape for guid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2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 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s of the primary coil wound in the space between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ead wir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or the guide part of the base. It is supported by either on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il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includes at least one general insulation coil and at least one triple insulation coil, and the triple insulation coil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winding part. Can be wound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각각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ead wire support portions may have different protruding distances from the barrier rib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ead wire support parts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groove into which the lead wire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 a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rigid reinforcement groove formed inside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s may be grooves formed by press work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where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is formed may have a higher density than other portion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at least one coil guide groove to which the lead wire is inserted and connected may be formed on the sid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내 홈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guide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part ha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he base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an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carry-over part, which is a path connecting the lead wi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connect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carry over part is dispos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 over groove and the carry over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cro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It may include a crossing path which is a path to b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carry over part may be a path formed between the base and a guide block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with the base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guide block, one end is formed so as to project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the carry-over groove is formed by the protruding end and the base of the guide block and the flange portion It may be a groov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코일 이월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ncludes a guide portion having a groove shape for guid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ead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via the guide part or the coil carry over part. hav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carry-over part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at least one guide groove for switching the lead wire disposed in the transverse pa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arranged.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the chamfer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타면으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winding portion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flan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external And a base on which a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and at least one coil wound in a space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wherein the lead wires of the coil portion are formed to prevent the crossover of the flange portion. Dispersed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portion in which a coil is wound and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formed in a groove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It may be provided with a rigid reinforcement groov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portion in which a coil is wound and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wherein the lead wire is inserted when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At least one coil guide groove to be connected may be formed at the side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ortion, the base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has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wound on the bobbin And a core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wherein the coil includes at least one general insulation coil and at least one triple insulation coil, The triple insulation coil may be wound to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wind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한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by moun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former on the substrate, the display panel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a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power supp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of the transformer may be wound to be parallel to the substrate of the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격벽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에 의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코일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더라도 리드선들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s of the coil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lead wire support part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partition wall.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coil leads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n a narrow space, interference between the leads may be prevented or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conta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되므로, 코일의 리드선들을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reinforcing groove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bending or breaking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lead wires of the coil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형성된 코일 안내 홈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에 결합되는 리드선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에 리드선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드선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코일의 사용량이 줄어듦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force of the lead wire coupl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improved by the coil guide groove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ly,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several times as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wiring process of the lead wir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the amount of coil used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들 중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은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1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과 2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2차 코일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권선부를 구분하는 격벽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빈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소형의 트랜스포머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woun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coils wound on at least one winding part uses a triple insulation coil. Accordingly, since insulation between the primary coil wound on the primary winding part and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condary winding part can be easily secured, the size of the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winding part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bobbin. It can form smaller.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mall transform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빈에 자동으로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코일의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wind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to the bobbin, and the winding of the coi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automatic winding facility. This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베이스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carryover part,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of the coil crosses the bobbin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hat is,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ead wires of the coil can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more various paths,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lead wi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의 코일은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코일이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磁束)이 외부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ubstrate, the coil of the transformer is kept wound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When the coil is wound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leakag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transformer can be minimized from interfering with the outside.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transformer is mounted on the thin display devic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between the leakage flux generated from the transformer and the back cover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by the transformer. Therefore, it can be easily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
도 9는 도 6의 C-C'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bbi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bbin of FIG. 2 with a coil wound;
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 A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6.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6.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 in FIG. 6.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도 2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bbi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bobbin of FIG. 2 in which a coil is woun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로, 코일(50), 보빈(10), 외부 접속 단자(3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a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ulating switching transformer, and includes a coil 50, a bobbin 10,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nd a core 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코일(50)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한다. The coil 50 includes a primary coil 51 and a secondary coil 52.

1차 코일(51)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1차 권선부(13)에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권선부(12)는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은 2개의 1차 권선부(13)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권선된다. The primary coil 51 is wound around the primary winding portion 13 formed in the winding portion 12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winding section 12 has two primary winding sections 13a, 13b. Therefore, the primary coils 51 are respectively wound in shapes corresponding to the two primary windings 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3개의 서로 다른 코일이 각각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에는 총 6개의 코일이 권선되며, 이에 따라 총 12 가닥의 리드선(L)이 인출되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다. In addition, the primary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ound a plurality of coils that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one primary winding (13). The primary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akes the case where three different coils are respectively wound in one primary winding 13. Therefore, a total of six coils are wound around the two primary winding parts 13a and 13b. Accordingly, a total of 12 strands of lead wires L are drawn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described late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12 가닥의 리드선(L)을 모두 도시하지 않고 대표적으로 몇 가닥만을 도시하였다.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a few strands are representatively illustrated in FIG. 1, not all of the 12 lead wires L are illustrated.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51)을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2)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apply various voltages as the primary coils 51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coils, and correspondingly, various voltages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secondary coils 52. Can b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1차 코일들(51) 중 어느 하나의 1차 코일(51)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나머지 다른 1차 코일들(51)에도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압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후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pplies a voltage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imary coils 51, the other primary coils 51 may be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he voltage can be drawn by.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is for the display device mentioned later.

1차 코일(51)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1)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독립된 3개의 코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Each of the coils constituting the primary coil 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and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windings. In addition, the primary coil 51 is not limited to three independent coil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numbers as necessar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other embodiments.

2차 코일(52)은 후술되는 권선부(12)에 형성된 2차 권선부(15)에 권선된다. The secondary coil 52 is wound around the secondary winding portion 15 formed in the winding portion 12 to be described later.

2차 코일(52)도 전술한 1차 코일(51)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Like the primary coil 51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coil 52 may be wound with a plurality of coils that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은 각각의 리드선(L)이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primary coil 51 and the secondary coil 52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o which each lead wire L is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o be described later.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The bobbin 10 includes a winding part 12 to which the coil 50 is wound, and a base 2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winding part 12.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2a)와, 몸체부(12a)의 양단에는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ing part 12 may include a body part 12a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 flange part 12b extending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12a.

몸체부(12a)의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몸체부(12a)의 외주면에는 몸체부(12a)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6)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는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11 into which a part of the core 40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2a, and at least one of the spaces di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2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a. The partition wall 16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coil 50 may be wound in each spac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16.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두 개의 격벽(16a, 16b)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보빈(1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16a) 및 제1 격벽(16a)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후술되는 베이스(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16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ind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partitions 16a and 16b.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1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se 20 described lat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artition (16b)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3개의 분할된 공간(13a, 13b, 15)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격벽(16)을 통해 다양한 개수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wind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divided spaces 13a, 13b, and 1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by forming various numbers of spaces through various numbers of partitions 16 as necessar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는 분할된 3개의 공간 중 양단에 형성된 공간 즉, 몸체부(12a)의 상단과 제1 격벽(16a) 사이의 공간(13a)과 몸체부(12a)의 하단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3b)에 모두 1차 코일(51)이 권선되고(이하, 1차 권선부), 제1 격벽(16a)과 제2 격벽(16b) 사이의 공간(15)에는 2차 코일(52)이 권선된다(이하, 2차 권선부).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권선부(12)에 분할되어 형성되는 공간들의 개수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nd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pac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vided three spaces, that is, the space 13a and the body portion 12a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2a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The primary coil 51 is wound around the space 13b between the bottom of the bottom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6b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mary winding), an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6b. In the space 15, the secondary coil 52 is w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ary wind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spaces formed by dividing the winding part 12.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 간에 발생되는 전압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wind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formed in various thicknesse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voltage generated between the primary coil 51 and the secondary coil 52.

격벽(16)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특정 권선부(예컨대 1차 권선부)에 권선된 코일이 격벽(16)을 이월하여 인접한 다른 권선부(예컨대, 2차 권선부)에 권선되지 않으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후술되는 가이드 홈(18) 이외에는 둘레 부분에 별도의 홈이나, 틈, 슬릿 등이 형성되지 않는다. The partition 16 is provided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primary coil 51 and the secondary coil 52. Thus, a coil wound around a specific winding portion (for example, a primary winding portion) is not wound around another partition portion (for example, a secondary winding portion) by carrying over the partition wall 16, and thus, the partition wall 1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 No groove, gap, slit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except for the guide groove 18 described lat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12)의 격벽(16)은 측면 즉,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한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될 때, 리드선들(L)이 교차 배치됨에 따라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wind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part 17 protruding from the side, that is, one end to the outside. When the lead wires L of the coil 5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e lead wire supporter 17 is provided to prevent the lead wires L from contacting each other as they cross.

즉 리드선들(L)이 상호 간에 이격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도록 리드선들(L)을 지지한다. 리드선 지지부(17)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at is, the lead wires 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upport the lead wires 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e lead wire support unit 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o be described later.

베이스(20)는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b)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베이스(20a, 20b)에는 외부 접속 단자(30)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The base 2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flange portion 12b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ding part 12. 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30 are fastened to the bases 20a and 20b formed at both ends to protrude to the outsid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가 구비되는 1차측 베이스(20a)와 출력단자(30b)가 구비되는 2차측 베이스(20b)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1차측 베이스(20a)와 2차측 베이스(20b)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권선부(12)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more detail, the bas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imary side base 20a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30a and a secondary side base 20b provided with an output terminal 30b.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rimary side base 20a and the secondary side base 20b ar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and fastened to the winding part 12.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권선부(12)와 출력단자(30b)간의 거리 및 권선부(12)와 입력단자(30a)간의 거리가 모두 8mm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input terminal 30a and the output terminal 30b,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ing unit 12 and the output terminal 30b and the winding unit 1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terminal 30a may be formed to be all spaced apart by more than 8mm.

그러나 이는 대략 0.5mm 직경의 코일이 권선되는 소형의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에 한정되는 경우이며, 코일의 두께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However, this is a case where a coil of about 0.5 mm diameter is wound around a small insulated switching transformer,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coil,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or the like.

이러한 베이스(20)는 일면 즉, 리드선(L)이 인입되는 상부면에 리드선(L)을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2)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되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인접한 다른 리드선들(L)과의 접촉 없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L)을 안내한다. The base 20 has a guide part 22 for guiding a path through the lead wire L on one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through which the lead wire L is introduced. The guide part 22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so that the lead wires L of the coil 5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without contact with other adjacent lead wires L. To guide.

이를 위해 가이드부(22)는 각각의 외부 접속 단자(30)들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구별되는 다수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인접하게 배치된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30)과 하나의 홈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guide part 2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respectively distinguish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30 are disposed. In addition, as illustrated, the guide part 22 may be formed in a funnel shape so as to be guided by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30 and one groov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2)는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리드선(L)이 절곡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홈들의 바닥면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part 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each groov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curved to minimize bending of the lead wire L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Can be formed.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ess working. In addition,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resin, and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voltage resistanc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bobbin 10, polyphenylene sulfide (PPS),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LCP),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henolic resin may be used. .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트랜스포머(100)의 형태나 구조, 또는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는 기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base 2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100 or the structur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transformer 100 is mounted.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terminal 30a and an output terminal 30b.

입력단자(30a)는 1차측 베이스(20a)에 체결되며, 1차 코일(51)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1차 코일(51)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출력단자(30b)는 2차측 베이스(20b)에 체결되며, 2차 코일(52)의 리드선(L)과 연결되어 2차 코일(52)과 1차 코일(51) 간의 권선비에 따라 설정되는 출력 전원을 외부로 공급한다. The input terminal 30a is fastened to the primary side base 20a and connected to the lead wire L of the primary coil 51 to supply power to the primary coil 51.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30b is fastened to the secondary base 20b and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L of the secondary coil 52 to be set according to the winding ratio between the secondary coil 52 and the primary coil 51. Supply output power to outside.

입력단자(30a)와 출력단자(3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리드선(L)이 보다 용이하게 결선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input terminal 30a and the output terminal 30b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lead wire L may be connected more easily.

도 4와 도 5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생략된 외부 접속 단자(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에서 베이스(20)와 수평하게 돌출되는 코일 결선부(32)와, 코일 결선부(32)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판 접합부(35)를 포함한다.4 and 5 are enlarged views of portion A of FIG. 1, and illustrat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more detail. 5 illustrate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n which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shown in FIG. 4 is omitted. 4 and 5 together,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coil connection portion 32 and the coil connection portion 32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the base 20 to the base 20 It includes a substrate bonding portion 35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코일 결선부(32)는 1차 코일(51) 또는 2차 코일(52)이 감기며 결선되는 부분으로, 측면에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il connection part 32 is a part to which the primary coil 51 or the secondary coil 52 is wound and connected, and a coil guide groove 33 may be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기판 접합부(35)는 기판(미도시)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솔더 등을 통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기판에 형성된 홀의 크기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삽입 가능한 두께(또는 직경)로 형성된다. The substrate junction part 35 is a part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a substrate (not show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through solder or the like,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r diameter) that can be easily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ole formed in the substrate. .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 및 코일 안내 홈(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and a coil guide groove 33.

강성 보강 홈(37)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의 일면에 형성된다. 강성 보강 홈(37)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하는 홈으로,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50)이 결선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가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n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s a groove form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il 50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formed to preven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from being deformed or broken.

이러한 강성 보강 홈(37)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에 대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는 부분만을 가압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may be formed by pressing only a portion where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s formed through press working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이로 인해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갖게 되므로, 외부 접속 단자(30)의 뼈대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는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거나 부러지지 않으며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has a higher density than the other portions where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s 37 are formed, and thus serves as a skelet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nd thu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not easily deformed or broken and maintains rigidit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 보강 홈(37)이 코일 결선부(32)와 기판 접합부(35)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접속 단자(3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s formed entirely in the coil connection portion 32 and the substrate bonding portion 35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 따른 외부 접속 단자(30)는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강성 보강 홈(37)이 형성되는 부분만을 가압하여 그 밀도를 높임에 따라 도출되는 형상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rigid reinforcing groove 37 is not formed. This is a shape derived by pressing only the portion where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s 37 are formed through the press working as described above and increasing the density thereof.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강성 보강 홈(37)에 대응하는 형태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외부 접속 단자(3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강성 보강 홈과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또는 굴곡)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protrusion part protruding a certain height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n this cas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can be reinforced by the step (or bending) formed by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and the protrusion.

코일 안내 홈(33)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가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결선부(32)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At least one coil guide groove 3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sid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two coil guide grooves 33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il connection part 32 is taken as an example.

한편, 전자 기기가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외부 접속 단자는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와 같이 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더욱 심화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electronic device becomes smaller, the width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transformer is narrower, and when 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small, such as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urther deepened.

이처럼 매우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 안내 홈(33)을 형성하는 경우, 코일 안내 홈(33)이 형성된 부분은 그 폭이 더욱 좁아지게 되며, 이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When the coil guide groove 33 is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having such a narrow width, the portion where the coil guide groove 33 is formed becomes narrower in width, which i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Can weaken the stiffness.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안내 홈(33)으로 인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을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한다. 즉, 외부 접속 단자(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코일 안내 홈(33)이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의 폭이 더욱 좁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각 코일 안내 홈(33)들은 최소한 외부 접속 단자(30)의 폭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rranges the two coil guide grooves 33 at different positions in order to minimize the stiffness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due to the coil guide groove 33. . That is, by forming two coil guide grooves 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e two coil guide grooves 33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is prevents the width from becoming narrower. At this time, each of the coil guide groove 33 is preferably spaced apart at least more than the width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또한 코일 안내 홈(33)은 외부 접속 단자(30)의 강성 유지를 위해, 외부 접속 단자(30)의 측면에서 강성 보강 홈(37)까지의 수직 거리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coil guide groove 33 is preferably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o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37 in order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안내 홈(33)에는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리드선(L)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리드선(L)은 코일 안내 홈(33)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0) 상에서의 유동이 억제되며, 이에 리드선(L)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30)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선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a lead wire L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inserted into the coil guide groove 33. As a result, the lead wire L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suppressed from flowing 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by the coil guide groove 33, there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lead wire L. FIG. Therefor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can be connected more firmly and stab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안내 홈(33)에 의해 리드선(L)의 고정력이 향상되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리드선(L)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리드선(L)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일(5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xing force of the lead wire L is improved by the coil guide groove 33,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lead wire L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several times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This can simplify the wiring process of the lead wire (L) and reduce the amount of use of the coil 50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아울러, 외부 접속 단자(30)에 코일(50)을 여러번 감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된 코일(50)을 납땜하여 접합하는 경우에도 종래에 비해 땜납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il 50 does not need to be wound several times 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even when the coil 50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soldered and joined, the amount of solder used can be reduced. hav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 개(예컨대 6개)의 입력단자(30a)를 구비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하나의 1차 권선부(13)에 다수 개의 코일을 함께 권선하여 이용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나,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는 입력단자(30a)가 6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30a (for example, six).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rived to use a plurality of coils wound together in one primary winding unit 13, but the transform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put terminal. (30a) is not limited to six.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좁은 공간에서 다수(예컨대 12개)의 1차 코일(51) 리드선들(L)이 입력단자(30a)로 배치되어 결선된다. 따라서 리드선들(L)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primary coils 51 lead wires L are arranged in the input terminal 30a in a narrow spac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contact between the lead wires L. FIG.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격벽(16)의 일측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한다. 리드선 지지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상호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위해 리드선 지지부(17)는 그 끝단에 리드선(L)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18)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ead wire support part 17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6. As described above,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 is provided to prevent the lead wires L of the coil 50 from contacting each other. At least one guide groove 18 may be formed.

리드선 지지부(17)는 제1 격벽(16a)과 제2 격벽(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격벽(16)에 다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lead wire support unit 17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16a and 16b, and a plurality of lead wire support units 17 may protrude from one partition wall 16.

또한 리드선 지지부(17)가 다수개인 경우, 각각의 리드선 지지부들(17)은 돌출 거리가 모두 상이하거나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각 다양한 거리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lead wire supports 17, each of the lead wire supports 17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protruding distances or all the same,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various distances as necessar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선 지지부(17)가 외부 접속 단자(30)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 시 보빈(10)으로부터 금형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보빈(10)의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리드선 지지부(17)가 다양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17 protrudes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arrang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since the mol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bbin 10 during injection mo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bobbin 10 is relatively eas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various directions as necessar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권선부(13)에 권선되는 1차 코일(51)과, 2차 권선부(15)에 권선되는 2차 코일(52)의 리드선(L)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의 리드선(L)과 2차 코일(52)의 리드선(L) 상호 간에 단락이 발생되기 어렵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lead wire (L) of the primary coil 51 wound on the primary winding unit 13, and the secondary coil 52 wound on the secondary winding unit 15 ) Are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Therefore, a short circuit does not occur easily between the lead wire L of the primary coil 51 and the lead wire L of the secondary coil 52.

그러나 2차 권선부(15)의 상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a)와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12가닥의 리드선들(L)은 모두 입력단자(30a)에 결선되므로, 이러한 12가닥의 리드선들(L)은 상호 간에 서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However, 12 strands of lead wires L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a disposed above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and the primary winding part 13b disposed below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are provided. ) Are al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30a, so the 12 lead wires L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제1 격벽(16a)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a)를 통해 2차 권선부(15)의 상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a)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을 지지하여 상호 이격 배치하고,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은 제2 격벽(16b)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b)와 베이스(20)에 형성된 가이드부(22)를 통해 상호 이격 배치한다. Accordingly,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a disposed on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through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a form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Lead wires L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lead wires L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b disposed under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ar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16b.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b and the guide part 22 formed in the bas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2차 권선부(15)의 하부에 배치된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L)은 베이스(20)의 가이드부(22)를 따라 입력단자(30a)로 연결되거나, 제2 격벽(16b)에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17b)에 감긴 후, 입력단자(30a)로 연결되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입력단자(30a)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ead wires L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b disposed under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30a along the guide part 22 of the base 20. Alternatively, the wire may be wound around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b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16b and then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30a through two path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30a.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각각 돌출된 거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격벽(16a)에 형성된 리드선 지지부(17a)와, 제2 격벽(16b)에 형성된 리드선 지지부(17b)의 돌출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하부에 위치한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하부에 위치한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1mm 이상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s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protruding distances.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distance betwee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17a formed on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and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17b form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16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17a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positioned in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to protrude more tha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17b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6b positioned in the lower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artition wall 16a.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a of () is protruded 1 mm or more more than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b of the 2nd partition 16b located underneath.

이처럼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가 제2 격벽(16b)의 리드선 지지부(17b)보다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 격벽(16a)의 리드선 지지부(17a)를 경유하는 리드선들(L, 1차 권선부(13a)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은 다른 리드선들(L, 1차 권선부(13b)에서 인출되는 리드선들)과의 간섭 없이 입력단자(30a)에 연결될 수 있다. Thus, when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a of the 1st partition 16a is comprised so that it may protrude more than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b of the 2nd partition 16b, the lead wires passing through the lead wire support part 17a of the 1st partition 16a will be. (L, lead wires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a)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30a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lead wires L (lead wires drawn out from the primary winding part 13b).

또한, 리드선들(L)을 용이하게 이격 배치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격벽(16)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드선 지지부들(17)은 인접한 다른 리드선 지지부(17)와 최소 1mm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d wire supports 17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ead wires L may be easi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lead wire supports 17 formed on one partition 1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lead wire supports 17 adjacent to each other by at least 1 mm or mo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지지부(17)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개수의 리드선 지지부들(17)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d wire support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a variety of lead wire support portions 17 in various forms as necessary.

리드선 지지부(17)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8)은 코일(5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에 하나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에 다수 개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18 formed in the lead wire support unit 17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il 5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ase in which one guide groove 18 is formed in one lead wire support unit 17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8 may be formed in one lead wire support unit 17 as necessar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선 지지부(17)의 끝단 중심부에 하나의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 홈(18)이 형성되는 방향은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되는 리드선(L)이 권선부(12)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나, 해당 리드선(L)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ase where one guide groove 18 is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end of the lead wire support unit 17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groove 18 is formed is a direction in which the lead wire L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drawn out from the winding part 12, or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o which the lead wire L is connected. It may be formed to face in various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더하여, 가이드 홈(18)은 리드선(L)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리드선(L)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8 may be formed in a curv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L) to minimize the friction with the lead wire (L).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The core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a part of which is formed in the bobbin 10, to form a magnetic path that i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coil 50.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cor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air, and may be inserted into each other through the bobbin 10 to face each other and be fastened. The core 40 may be an 'EE' core, an 'EI' core, a 'UU' core, a 'UI' core, or the like.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core 40 may be formed of Mn-Zn-based ferrite having high permeability, low loss,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stability, and low production cost compared to other material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core 40.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과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는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an insulating tap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obbin 10 and the cor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insulating tape may be provided to ensure insulation between the coil 50 wound on the bobbin 10 and the core 40.

이러한 절연 테이프는 코어(40)와 보빈(10)이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부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와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tape may be interposed to correspond to all inner surfaces of the core 40 facing the core 40 and the bobbin 10, and partially interposed only at a portion where the coil 50 and the core 40 face each other.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possible various application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C-C'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6.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 of FIG. 6.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부분적인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를 갖는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6 to 9,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transformer (100 of FIG.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has a difference only in partial configura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of the configuration having a difference.

보빈(10)은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마찬가지로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하단에 형성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한다. 또한,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2a)와, 몸체부(12a)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2b), 및 몸체부(12a)에 형성되는 두 개의 격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bbin 10 includes a winding part 12 to which the coil 50 is wound, and a base 2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winding part 12, similar to the transformer (100 of FIG.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winding part 12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2a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flange portion 12b exten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2a, and the body portion 12a. Two partitions 16 may be included.

그리고 격벽들(16)과 플랜지부(12b)에 의해 분할된 공간들 중 양단에 형성된 공간(13, 즉 1차 권선부)에는 모두 1차 코일(51)이 권선되고, 가운데 형성되는 공간(15, 즉 2차 권선부)에는 2차 코일(52)이 권선된다. The primary coil 51 is wound around the space 13 formed at both ends of the spaces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s 16 and the flange portion 12b, that is, the primary winding portion 15. That is, the secondary coil 52 is wound around the secondary winding par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16)은 측면 즉,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6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part 17 protruding from the side, that is, one end to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b)에서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되는 면이 면취 가공된 형태의 경사면(S)으로 형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bas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 having a chamfered surface from the flange portion 12b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베이스(20)가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은 베이스(20)의 경사면(S)을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리드선들(L)이 베이스(20)의 모서리 등에서 절곡됨에 따라 절곡된 부분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the base 20 is formed in this way, the coil 50 wound on the bobbin 10 may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base 20. Accordingly,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minimize physical fatigue applied to the bent portion as the lead wires L are bent at the corners of the base 20.

이러한 베이스(20)는 입력단자(30a)가 구비되는 1차측 베이스(20a)와 출력단자(30b)가 구비되는 2차측 베이스(2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20 may include a primary side base 20a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30a and a secondary side base 20b provided with an output terminal 30b.

외부 접속 단자(30)는 베이스(20)의 끝단에서 외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2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may be fastened to the base 20 so as to protrude outward or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base 20.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코일(50)의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로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20)의 상부면 즉 경사면(S)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코일 이월부(70)를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guide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not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S, but also a coil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carry over part 70 together.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측 베이스(20a) 측에 코일 이월부(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코일(51)이 다수의 리드선(L)을 구비하므로, 1차 코일(51)에 대응하여 코일 이월부(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20)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기본적으로 1차측 베이스(20a)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코일(50)은 1차 코일(51)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il carry-over part 70 at the primary base 20a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imary coil 51 includes a plurality of lead wires L, the coil carry over part 7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oil 51. Accordingly, the base 20 described below basically means the primary side base 20a unless otherwise specified. Similarly, coil 50 may be primary coil 51.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1차 코일(51)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2차 코일(52)의 리드선이 다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2차 코일(52)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 코일(51)에 대해서만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the coil carry over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primary coil 51. That is, when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52 is composed of a plurality,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secondary coil 52. However, hereinafter, a case where only the primary coil 51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코일 이월부(70)는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베이스(20)의 상부면이 아닌, 베이스(20)의 하부면으로 이월되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Coil carry-over portion 70 is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wound on the bobbin 10 is carried forwar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 no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Provides a path to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에 의해 형성되며, 이월 홈(72), 횡단 경로(74), 및 안내 홈(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il carry over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by the guide block 78 and the base 20, and includes a carry back groove 72, a cross path 74, and a guide groove 76. do.

가이드 블록(78)은 보빈(1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2b)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78)은 보빈(10)과 결합되는 코어(40)의 움직임을 고정함과 동시에, 보빈(10)의 하부에 코일(51)의 리드선(L)이 배치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guide block 78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b. The guide block 78 is provided to fix the movement of the core 40 coupled with the bobbin 10 and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1 is disposed below the bobbin 10. do.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78)은 1차측 베이스(20a)와 관통공(11) 사이의 공간에서 돌출되며, 베이스(20)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보빈(10)의 플랜지부(12b) 하부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된다.To this end, the guide block 78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trudes in the space between the primary base 20a and the through hole 11,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bobbin 10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se 20. 12b) is arranged to cross the lower surfac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78)은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보빈(10)의 플랜지부(12b)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블록(78)의 일단과 베이스(20) 일단 사이의 공간은 이월 홈(72)으로 이용된다. In addition, the guide block 78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protrudes outward from the flange portion 12b of the bobbin 10. 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block 78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one end of the base 20 is used as the carry-back groove 72.

이월 홈(72)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b)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블록(78)의 일단과, 베이스(20)의 일단, 그리고 그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2b)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이월 홈(72)은 보빈(10)에 권선되어 있는 코일(50)의 리드선(L)이 보빈(10)의 하부로 이월되는 경로로 이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rry-over groove 72 has one end of the guide block 78 projecting outwardly perpendicular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12b, one end of the base 20, and a flange portion provided therebetween. 12b). The carry-over groove 72 is used a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wound on the bobbin 10 is carried forward to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10.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일단이 플랜지부(12b)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이월 홈(72)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일단이 돌출되지 않고,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 사이에 있는 플랜지부(12b)의 일부를 제거하여 홈을 형성하는 등 플랜지부(12b)의 외주연 상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홈이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one example of the guide block 78 and the base 2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flange portion 12b is carried out the case where the back groove 72 is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one end of the guide block 78 and the base 20 does not protrude, and a portion of the flange 12b between the guide block 78 and the base 20 is removed to form a groove. If the groove can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12b, various types of grooves can be us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리드선(L)을 보빈(10)의 하부로 이월하는 과정에서, 리드선(L)이 이월 홈(7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빈(10)의 플랜지부(12b)에서 돌출된 가이드 블록(78)의 일단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lead wire L from leaving the carry-over groove 72 in the process of carrying the lead wire 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0, the bobbin 10. One end of the guide block 78 protruding from the flange portion 12b of th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횡단 경로(74)는 가이드 블록(78)과 베이스(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플랜지부(12b)의 하부면 일측을 가로지르며 횡단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횡단 경로(74)는 이월 홈(72)을 통해 이월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베이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로로 이용된다. The transverse path 74 is a path formed between the guide block 78 and the base 20, and provides a path that traverses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12b. The transverse path 74 is used as a path in which the lead line L of the coil 50 carried through the back groove 72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0.

안내 홈(76)은 베이스(20)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며, 횡단 경로(74)에 배치된 코일(50)의 리드선(L)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즉, 안내 홈(76)에 의해 횡단 경로(74)에 배치된 코일(50)의 리드선(L)은 외부 접속 단자(30)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배치 방향이 전환된다. The guide groove 76 is formed in a groove shape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0, and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disposed in the transverse path 74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do. That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arranged in the transverse path 74 by the guide groove 76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is arranged.

이를 위해, 안내 홈(76)은 베이스(20)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횡단 경로(74)와 연통되고, 타단은 베이스(20)의 외부로 개방된다. To this end, the guide groove 76 is formed to cross the base 20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ransverse path 74, the other end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20.

한편, 안내 홈(76)에 의해 배치 방향이 전환되는 리드선(L)은 안내 홈(76)의 측벽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촉 부분에서 리드선(L)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홈(76)은 리드선(L)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d wire L,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which is changed by the guide groove 7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edg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76, whereby the lead wire L may be excessively bent or bent at the contact portion. have. Accordingly, in the guide groove 76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hamfer 26 may b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sidewall directly contacting the lead wire L. FIG.

도 7 및 도 8에서는 면취부(26)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면취부(26)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In FIG. 7 and FIG. 8, the case where the chamfer 26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forming the chamfer 26 as an inclined surface.

이러한 안내 홈(76)은 횡단 경로(74)에 배치되는 리드선들(L)의 개수 또는 해당 리드선들(L)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s 76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lead wires L disposed in the cross path 74 or the number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30 to which the lead wires L are connected. Can b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에 코일(50)의 리드선(L)이 배치되며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lead L of the coil 50 is disposed on the coil carry over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looks at the process of fastening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s follows.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은, 최종적으로 리드선(L)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권선되며 체결된다. 이때, 코일(50, 예컨대 1차 코일)의 리드선(L)은 전술한 베이스(20)의 경사면(도 6의 S)을 따라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거나, 코일 이월부(70)를 통해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 후,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coil 50 wound on the bobbin 10 is finally fastened with a lead wire L wound arou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t this time,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for example, the primary coil) is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long the inclined surface (S in FIG. 6) of the base 20 described above, or the coil carry over part 70 is closed. After mov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through, it can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베이스(20)의 경사면(S)으로 인출된 리드선(L)은 곧바로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lead wire L drawn out to the inclined surface S of the base 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반면에 리드선(L)이 코일 이월부(70)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되는 경우, 리드선(L)은 이월 홈(72)을 통해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동한다. 이때, 리드선(L)은 가이드 블록(78) 일단의 고리 형상에 의해 유동이 억제되므로, 이월 홈(72) 내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d wire L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rough the coil carry over part 70, the lead wire L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through the carry-over groove 72. At this time, since the flow of the lead wire L is suppressed by the annular shape of one end of the guide block 78, the lead wire L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arryover groove 72.

이어서, 리드선(L)은 보빈(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횡단 경로(74) 내에 배치된 후, 안내 홈(76)의 측벽(즉 면취부)을 지지하며 그 경로가 변경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와 연결된다. Subsequently, the lead wire L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path 7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and then supports the side wall (that is, the chamfer) of the guide groove 76, and the path thereof is changed so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 30).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선(L)은 안내 홈(76)에 의해 대략 직각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선(L)이 다른 코일의 리드선들(L)과의 간섭 없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견고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다면, 리드선(L)과 접촉하는 안내 홈(76)의 측벽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여 리드선(L)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d wire L is changed in its path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by the guide groove 7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lead wire L can be firmly fix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lead wires L of another coil, the guide groove contacting the lead wire L The path of the lead wire L may be set by forming sidewalls of the 76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 홈(76)은 리드선(L)과 접촉하는 측벽이 안내 홈(76)의 바닥면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한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L)이 안내 홈(7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76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sidewalls contacting the lead wires L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76. This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lead wire L supported by the side wal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76.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홈(76)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L)이 안내 홈(7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선(L)과 접촉하는 측벽이 상기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취부(26)에 단차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guide groove 7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lead wire L supported by the side wall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76. For example, a sidewall contacting the lead wire L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a variety of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configured to form a step or groove in the chamfer 26.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는 코일(50)을 보빈(10)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도출된 구성이다. The coil carry over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coil 50 is easily and automatically wound on the bobbin 1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70)의 구성에 의해, 보빈(10)에 코일(50)을 권선하는 과정과, 이월 홈(72)을 통해 코일(50)의 리드선(L)을 보빈(10)의 하부면으로 이월하며 횡단 경로(74)에 배치하는 과정, 그리고 안내 홈(76)을 통해 리드선(L)의 경로를 전환하여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인출한 후 리드선(L)을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하는 과정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carry-over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 of winding the coil 50 to the bobbin 10 and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through the carry-over groove 72 are performed. The process of dispos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and disposed in the transverse path 74, and the path of the lead wire L through the guide groove 76 to switch the lead wire L to form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After drawing in the directio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lead wire L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automatic winding facility (not shown).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코일(50)의 리드선(L)이 보빈(10)의 하부면에서 보빈(10)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70)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the coil carry over part 70,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L of the coil 50 crosses the bobbin 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0.

이에 따라, 리드선들(L)이 플랜지부(12b)의 일면(즉, 베이스의 경사면)과 타면(즉 코일 이월부)으로 분산 배치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되므로, 종래의 트랜스포머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50)의 리드선들(L)이 외부 접속 단자(30)에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ead wires L are distributed to one surface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ther surface (that is, the coil carry-ov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12b and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ereby making it more versatile than a conventional transformer. Leads L of the coil 50 may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rough the path.

종래의 경우, 보빈에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면, 외부 접속 단자로 인출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리드선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코일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In the related art, when a plurality of coils are wound around the bobbin, the lead wires of the coils drawn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nd thus, the lead wi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ausing a short circuit between the coils.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이월부(70)에 의한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므로, 리드선들(L)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3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선들(L)이 서로 교차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a new path by the coil carry over part 70 as described above, the lead wires L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through various paths.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d wires L from crossing or contacting each other.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코일(50)은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il 50 of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rimary coil 51 and a secondary coil 5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51)은 1차 권선부(13a)에 권선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권선부(12)는 2개의 1차 권선부(13a)를 구비한다. 따라서, 1차 코일(51)은 2개의 1차 권선부(13a)에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권선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primary coil 51 is wound around the primary winding part 13a.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ing part 12 has two primary winding parts 13a. Accordingly, the primary coils 51 may be wou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primary winding parts 13a.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하나의 1차 권선부(13)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1a, 51b)이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차 코일(51)로 2개의 서로 다른 코일(51a, 51b)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따라서, 2개의 1차 권선부(13a, 13b)에는 총 4개의 개별 코일(51a, 51b)이 권선되며, 이에 따라 총 8 가닥의 리드선(L)이 인출되어 외부 접속 단자(30)에 결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imary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oils 51a and 51b that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may be wound in one primary winding unit 13.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wo different coils 51a and 51b are used as the primary coil 51 is taken as an example. Accordingly, a total of four individual coils 51a and 51b are wound around the two primary windings 13a and 13b, and thus, a total of eight strands of lead wires L are drawn out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 Can be.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차 코일(51)이 2개의 개별 코일(51a, 51b)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1차 코일(51)이 3개의 개별 코일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코일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primary coil 51 includes two individual coils 51a and 51b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imary coil 5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numbers of coils as necessary, such as configured to include three individual coil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권선부(12)에 권선된 코일들(50)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권선부(12)에서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50) 중 적어도 하나는 3중 절연 코일(Triple Insulated Winding Wire, TI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winding part 12 in order to ensure insulation between the coils 50 wound on the winding part 12. The triple insulated coil (TIW) is characterized in that.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는 권선부(12)의 내측 즉 몸체부(12a)의 외주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연 코일(51a)이 권선되며, 권선부(12)의 외측 즉 격벽(16)의 외주연과 인접한 부분에는 3중 절연 코일(51b)이 권선된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transform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insulation coil 51a that is generally used is wound around an inner side of the winding part 12, that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2a.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12, that is,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rtition 16.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51)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51a)와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51b)을 포함한다. 그리고 3중 절연 코일(51b)은 1차 권선부(13) 내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된다. More specifically, the primary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general insulation coil 51a and at least one triple insulation coil 51b.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is wound to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primary winding 13.

여기서, 3중 절연 코일(51b)은 도전체의 외부에 3층으로 절연체를 형성하여 코일의 절연성을 높인 코일로, 3중 절연 코일(51b)을 이용하는 경우 도전체와 외부와의 절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코일들 간의 절연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절연 코일(51a)에 비해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Here, the triple insulated coil 51b is a coil in which an insulator is formed in three layers on the outside of the conductor to increase the insulation of the coil. When the triple insulated coil 51b is used,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outside is easily facilitated. It can be ensured to minimiz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coils.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insulation coil 51a.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 코일(51) 및 2차 코일(52)로 일반 절연 코일(51a, 52a)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며, 권선부(12) 내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코일에 대해서만 3중 절연 코일(51b)을 사용한다. Accordingly,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uses the general insulation coils 51a and 52a as the primary coils 51 and the secondary coils 52, and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winding part 12.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is used only for the coil arrange | position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권선부(13) 즉 1차 코일(51)에만 3중 절연 코일(51b)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경우, 1차 권선부(13)의 일반 절연 코일(51a)과, 2차 권선부(15)의 일반 절연 코일(52a)은 절연 거리와 연면 거리가 격벽(16)에 의해 충분이 이격되므로 상호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case of using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only in the primary winding 13, that is, the primary coil 51,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insulation distance and the creepage distance of the general insulation coil 51a of the primary winding part 13 and the general insulation coil 52a of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 are sufficiently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16. Insulation between each other can be secured.

그리고 1차 권선부(13)의 3중 절연 코일(51b)과, 2차 권선부(15)의 일반 절연 코일(52a)은 상호 간의 거리(특히 연면 거리)가 매우 가깝게 배치되지만, 1차 코일(51)이 절연성이 높은 3충 절연 코일(51b)이므로, 2차 코일(52)과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of the primary winding 13 and the general insulation coil 52a of the secondary winding 15 is very close to each other (particularly creepage distance), but the primary coil Since 51 is the three insulation coil 51b with high insulation, insulation with the secondary coil 52 can be ensur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50)을 권선하는 경우, 3중 절연 코일(51b)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winding the coil 50 as shown in Figure 9, it is possible to easily ensure the insulation between the primary coil 51 and the secondary coil 52 while using the triple insulation coil 51b to a minimum. hav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차 권선부(13)에는 일반 절연 코일만을 사용하고, 2차 권선부(15)에 권선되는 2차 코일(52)에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각 코일(50)의 권선 수와 코일들(50) 간의 연면 거리 등을 고려하여 3중 절연 코일의 사용 위치와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primary winding unit 13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only a general insulation coil and using a triple insulation coil for the secondary coil 52 wound on the secondary winding unit 15. hav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windings of each coil 50 and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coils 50, the use position and the amount of use of the triple insulation coil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panel 4, a power supply unit 5 on which a transformer 100 is mounted, and covers 2 and 8. have.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vers 2 and 8 include a front cover 2 and a back cover 8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pace therein.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4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s 2 and 8, and various flat display panel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like may be used. Can be.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트랜스포머(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The power supply unit SMPS 5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panel 4. The power supply unit 5 may be form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6, and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transformer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u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transformer 100 of FIG. 1 is used is taken as an example.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5 may be fixed to the chassis 7, and may be disposed and fix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s 2 and 8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4.

이때,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도 1의 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6)의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Z 방향), 코일(5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40)의 일부(즉 상부면)는 백 커버(8)와 평행을 이루며 자로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transformer 100 mounted on the power supply unit 5 is wound in a direction in which a coil (50 in FIG. 1) is parallel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6. In addition, when viewed on the pla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6 (Z direction), the coil 50 is woun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portion (ie, upper surface) of the core 40 is parallel to the back cover 8 and forms a gyro.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중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형성되는 자속(磁束)은 대부분 코어(40)에 내에 자로가 형성되므로, 백 커버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etween the back cover 8 and the transformer 100 among the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the coil 50 is mostly in the core 40. Since 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akage magnetic flux generated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transformer 100.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외부에 별도의 차폐 장치(예컨대, 차폐 쉴드 등)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트랜스포머(100)와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사이에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과 금속 재질의 백 커버(8) 간의 간섭에 의해 백 커버(8)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generate leakage magnetic flux between the transformer 100 and the metal back cover 8 even without a separate shielding device (for example, a shielding shield). It can be minimized. Therefore, the back cover 8 can be prevented from vibrating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leakage magnetic flux and the back cover 8 made of metal.

이에,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같은 박형의 전자 기기에 트랜스포머(100)가 장착되어 백 커버(8)와 트랜스포머(100)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게 형성되더라도, 백 커버(8)의 진동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transformer 100 is mounted on a thin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1 and the gap between the back cover 8 and the transformer 100 is formed to be very narrow, the vibration of the back cover 8 may occur. Nois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격벽에서 수평하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드선 지지부에 의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코일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연결되더라도 리드선들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접촉에 의해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ad wires of the coil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lead wire support part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partition wall.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coil leads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n a narrow space, interference between the leads may be prevented or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conta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되므로, 코일의 리드선들을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하는 과정에서 외부 접속 단자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gid reinforcing groove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bending or breaking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lead wires of the coil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부 접속 단자에 형성된 코일 안내 홈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에 결합되는 리드선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에 리드선을 여러번 감으며 결선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드선의 결선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코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ixing force of the lead wire coupl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by the coil guide groove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ly, since the lead wires are not wound arou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many times as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wiring process of the lead wires, and the amount of coils use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하나의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들 중 가장 바깥쪽에 권선되는 코일은 3중 절연 코일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1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1차 코일과 2차 권선부에 권선되는 2차 코일 간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권선부를 구분하는 격벽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빈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트랜스포머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woun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coils wound on at least one winding part uses a triple insulation coil. Accordingly, since insulation between the primary coil wound on the primary winding part and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condary winding part can be easily secured, the size of the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winding part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bobbin. It can form smaller.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transformer can be made sm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빈에 자동으로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코일의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wind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to the bobbin, and the winding of the coi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automatic winding facility. This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의 리드선이 보빈의 하부면에서 보빈을 횡단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일이 베이스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하부면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carryover part,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 of the coil crosses the bobbin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hat is, i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따라서 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ead wires of the coil can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more various paths,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lead wi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의 코일은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처럼 코일이 기판과 평행하게 권선되는 경우,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磁束)이 외부와 간섭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ubstrate, the coil of the transformer is kept wound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When the coil is wound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leakag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transformer can be minimized from interfering with the outside.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더라도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커버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transformer is mounted on the thin display device,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between the leakage flux generated from the transformer and the back cover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noise from being generated by the transformer. Therefore, it can be easily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에 2개의 코일 안내 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더하여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연속적인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wo coil guide grooves are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as necessary, and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continuous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또한, 외부 접속 단자를 그 길이 방향에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각도 절곡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by bending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이 확보된 경우, 강성 보강 홈을 생략하고 코일 안내 홈만을 구비하도록 외부 접속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secure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omit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and to provide only the coil guide groo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using an insulating switching transformer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widely applied to a transformer 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il and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100, 200.....트랜스포머
10.....보빈 12.....권선부
13.....1차 권선부 15.....2차 권선부
16.....격벽
16a.....제1 격벽 16b.....제2 격벽
17.....리드선 지지부 18.....가이드 홈
20.....베이스 22.....가이드부
30.....외부 접속 단자
30a.....입력단자 30b.....출력단자
32.....코일 결선부
33.....코일 안내 홈 35....기판 접합부
37.....강성 보강 홈
40.....코어 50.....코일
51.....1차 코일 52.....2차 코일
70.....코일 이월부 72.....이월 홈
74.....횡단 경로 76.....안내 홈
78.....가이드 블록
100, 200 ... Transformers
10 ..... Bobbin 12 .....
13 ..... Primary winding 15 ..... Secondary winding
16 .... bulkhead
16a ..... the first bulkhead 16b ..... the second bulkhead
17 ..... lead wire support 18 ..... Guide groove
20 ..... Base 22 ..... Guide
30 .....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0a ..... input terminal 30b ..... input terminal
32 ..... coil connection
33 ..... Coil guide groove 35 .... Board junction
37 ..... rigid reinforcement groove
40 ... core 50 ... coil
51 ..... Primary Coil 52 ..... Secondary Coil
70 ..... coil carry over 72 ..... carry over home
74 ..... crossing path 76 ..... Guide Home
78 ..... Guide Block

Claims (32)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권선부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다수의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끝단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A winding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art;
A base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outward;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winding part and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Including;
The winding unit,
A transformer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wall to the outside and having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part supporting the lead wire through an end thereof and guid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wall,
A first partition wall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A second part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ase,
The lead wire support par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제1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가 상기 제2 격벽에 구비되는 상기 리드선 지지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And a lead wire suppor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partition wall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lead wire suppor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배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A transformer protruding in parallel with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각각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il,
A primary coil wound around a spa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between the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타단과 상기 제1 격벽 사이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1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ad wires of the primary coil wou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 transformer supported by the lead wir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e,
And a groove-shaped guide portion configured to guide the lead wires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의 공간에 권선되는 상기 1차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기 제2 격벽에서 돌출된 상기 리드선 지지부 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ad wires of the primary coil wound in the spa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 transformer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or the guide portion of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A transform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ils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At least one general insulated coil and at least one triple insulated coil,
The triple insulated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winding transformer.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각각 상기 격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거리가 상이한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A transformer having a different protruding distance from each of the partition wa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A transformer having at least one guide groove into which the lead wire is inser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지지부는,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ead wire support portion,
A transformer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 transformer having a rigid reinforcement groove formed inside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홈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Transformer which is a groove formed by press work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강성 보강 홈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갖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e portion of the rigid reinforcement groove is formed with a higher density than the oth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When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the lead wire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coil guide groove to be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is formed on the sid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내 홈은,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il guide groove,
Transformer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권선부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다수의 코일;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하는 코일 이월부;
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벽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끝단을 통해 상기 리드선을 지지하며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인 트랜스포머.
A wind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ortion and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 base having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jecting outward from a flang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winding part and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And
A coil carry-over part including a carry-back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a cross-path which is a path arrang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in groove traver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
Including;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partition wall, and includes at least one lead wire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lead wire through an end and guid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e coil carry over part is a path formed between the base and a guide block formed to protrude parallel to the base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guide block,
One e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The carry-over groove is a transformer formed by the protruding end of the guide block and the base and the flange portion.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 안내하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드선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코일 이월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base,
A guide part having a groove shape for guiding the lead wire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ead wir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via the guide part or the coil carry over part.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횡단 경로에 배치된 상기 리드선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을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il carry over portion,
And at least one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converts the lead wire disposed in the transverse pa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arranged.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리드선과 접촉하는 측벽의 모서리 부분에 면취부가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guide groove,
A transformer is formed in the chamfered portion of the side wall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 일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하는 코일 이월부;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과 상기 코일 이월부로 분산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트랜스포머.
A winding portio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 base formed at one end of at least one flang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t least one coil wound around a space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A coil carry-over part including a carry-back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a cross-path which is a path arrang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in groove traver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
Including;
Transformers of the coils are distributed to on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coil carry-over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crossing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하는 코일 이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 홈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A winding portio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he coil being wound;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jecting outward from a flang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A coil carry-over part including a carry-back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a cross-path which is a path arrang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in groove traver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
Including;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is a transformer having a rigid reinforcement groove formed in the groo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하는 코일 이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코일의 리드선 결선 시 상기 리드선이 삽입되며 결선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안내 홈이 측면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A winding portio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he coil being wound;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jecting outward from a flang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A coil carry-over part including a carry-back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a cross-path which is a path arrang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in groove traver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
Including;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has a transformer having at least one coil guide groove formed at a side thereof when the lead wire is inserted and connected when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관형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권선부;
상기 권선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권선부에 권선되며, 리드선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결선되는 다수의 코일;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코일의 리드선들이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플랜지부의 외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하는 코일 이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 절연 코일과, 적어도 하나의 3중 절연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3중 절연 코일은 상기 권선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권선되는 트랜스포머.
A wind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portion and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 base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nding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truding outward;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winding part and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 core forming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And
A coil carry-over part including a carry-back groove which is a path through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mov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and a cross-path which is a path arranged so that the lead wire carried through the carry-in groove traverses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
Including;
The coil comprises at least one general insulated coil and at least one triple insulated coil, the triple insulated coil wound aroun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winding.
제 1 항, 제27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머가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A power supply unit formed by mounting at least one transfor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7 to 30 on a substrate;
A display panel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ve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power supply;
Flat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기판과 평행하도록 권선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coil of the transformer,
And a flat panel winding wound parallel to the substrate of the power supply unit.
KR1020110060137A 2010-08-11 2011-06-21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tive KR1011239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37,391 US20120038448A1 (en) 2010-08-11 2011-08-10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11102347658A CN102376439A (en) 2010-08-11 2011-08-11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81 2010-08-11
KR20100077581 2010-08-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73A Division KR20120025441A (en) 2010-08-11 2011-11-18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77A KR20120025377A (en) 2012-03-15
KR101123996B1 true KR101123996B1 (en) 2012-03-27

Family

ID=461318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137A Active KR101123996B1 (en) 2010-08-11 2011-06-21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10120973A Ceased KR20120025441A (en) 2010-08-11 2011-11-18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973A Ceased KR20120025441A (en) 2010-08-11 2011-11-18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2399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5846B2 (en) 2017-07-21 2020-08-25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164968A (en)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Transformer
KR20230164969A (en)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Transform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797B1 (en)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22930B1 (en) * 2012-11-07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74244B1 (en) * 2013-08-29 2020-11-04 주식회사 솔루엠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US10312012B2 (en) 2013-08-29 2019-06-04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94400B1 (en) 2014-12-29 2016-02-16 크로바하이텍(주) Bobbin for a transformer and Transformer having the same
CN109755001B (en) * 2017-11-03 2025-07-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Transformer skeleton, transformer, power supply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former
KR102154155B1 (en) * 2018-08-24 2020-09-09 주식회사 솔루엠 Planar transformer having y-capacitor
KR102500130B1 (en) * 2019-03-29 2023-02-15 주식회사 에이텀 A planar transformer
KR20200132382A (en) 2019-05-17 2020-11-25 (주) 트랜스온 Transformer for pf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3867B1 (en) 2019-06-07 2020-08-12 (주) 트랜스온 SLIM TRANSFORMER FOR PFC(Power Factor Correction)
KR102421178B1 (en) * 2020-09-18 2022-07-14 (주)티에스이 A Reactor For Decreasing Harmonic
KR102794539B1 (en) * 2024-01-18 2025-04-14 (주)티에스이 Minimizable reactor for pcb moun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561U (en) * 1998-05-21 1999-12-15 최윤식 Terminal terminal structure
KR20090005070U (en) * 2007-11-22 2009-05-27 주식회사 광성전자 Choke co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561U (en) * 1998-05-21 1999-12-15 최윤식 Terminal terminal structure
KR20090005070U (en) * 2007-11-22 2009-05-27 주식회사 광성전자 Choke coi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5846B2 (en) 2017-07-21 2020-08-25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164968A (en)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Transformer
KR20230164969A (en)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77A (en) 2012-03-15
KR20120025441A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996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4147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402966B1 (en)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402964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79384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88891B1 (en) Transformer and power module using the same
KR101171704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8881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97796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117938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9793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40865B1 (en) Coil component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138700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856051B (en) Transformer and use the display unit of this transformer
JP5949841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38713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33338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04184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K2402966T3 (en) Transformer and flat screen assembly comprising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