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3735B1 -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35B1
KR101123735B1 KR1020100083220A KR20100083220A KR101123735B1 KR 101123735 B1 KR101123735 B1 KR 101123735B1 KR 1020100083220 A KR1020100083220 A KR 1020100083220A KR 20100083220 A KR20100083220 A KR 20100083220A KR 101123735 B1 KR101123735 B1 KR 10112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current
unit
recei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782A (ko
Inventor
이선복
양원우
Original Assignee
(주) 임베디드 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임베디드 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임베디드 솔루션
Priority to KR102010008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시에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전원까지도 오프하여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교류 신호가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회로와; 부하 전자기기로 전달될 전류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전류량을 입력받아서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와 함께 주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RF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주전원을 차단하거나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와;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ID 설정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제1, 제2직류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 개폐(開閉)가 제어되도록 상기 전류 감지부와 상기 부하 전자기기의 사이에 구비된 부하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술한 본 발명은 장치 제어 모드에서 가전 기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Standby Power Circuit Breaker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하 전자기기(가전 기기와 같은 전력 소모제품)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전원까지도 오프하여 전류 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날로그와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첨단기능이 구비된 전자제품이 우리의 각 가정과 업무현장에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제품의 증가는 전력의 사용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특히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TV, 냉장고, 세탁기, 냉난방기기 등의 가전기기(참고로 여기서 가전기기라 함은 전력소모가 일어나는 전자제품을 총칭하는 것임)를 미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전원플러그를 빼놓지 않은 관계로 대기전력이 소모되어 연 3조 2500억원 규모의 국가적 손실을 감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재 일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가전기기는 시간 및 작동예약 등의 메모리 기능을 부여한 리모콘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소비자가 전력낭비를 인지하면서도 사용시마다 전원 플러그를 빼었다 꽂았다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항시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꽂은 상태로 방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각자가 가전기기 미사용 시마다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뽑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리모콘 수신신호에 응답하기 위해서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는 일정한 대기전력(가전기기마다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다르며 통상 4~10W/h의 범위임)이 계속하여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구비하여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대기전력 차단 장치 자체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추가로 소비되고 있어서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대기시에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의 전원을 오프하여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교류 신호가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회로와; 부하 전자기기로 전달될 전류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전류량을 입력받아서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와 함께 주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RF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주전원을 차단하거나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와;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ID 설정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제1, 제2직류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 개폐(開閉)가 제어되도록 상기 전류 감지부와 상기 부하 전자기기의 사이에 구비된 부하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전원이 온(On) 되어 있을 경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에서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 단계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주전원을 차단시키는 장치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 및 전원이 온(On) 되어 있을 경우, RF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별되면 상기 RF 신호에 따라 부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상기 차단전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 단계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하 스위치를 차단시키는 원격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장치 제어 모드에서 가전 기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RF 송수신 기능과 MCU 기능을 단일칩으로 구현한 통신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설계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원격 제어 모드에서 무선으로 부하 전자기기를 제어하므로 중앙에서 관제/통제하는 중양관리시스템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부하 전자기기에 차단전류를 인식시킬 때 리모콘으로 편리하게 조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통해서 부하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의 소비 전원까지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10), 보호회로(11),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 전류 감지부(13), 통신 제어부(14) 및 신호 처리부(15)로 구성된 주제어부(16), 사용자 입력 스위치(17), ID 설정부(18), AC/DC 변환부(19), 부하 스위치(20) 및 부하 전자기기(2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교류(AC) 신호가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10)와, 입력된 교류 신호를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회로(11)와, 상기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될 전류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13)와, 상기 전류 감지부(13)로 부터 출력된 전류량을 입력받아서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5)와, 상기 신호 처리부(15)와 함께 주제어부(16)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15)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RF 송수신 기능과 MCU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통신 제어부(14)와, 상기 신호 처리부(15)의 제어신호를 받아 주전원인 AC 전원을 차단하거나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와,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ID 설정부(18)와 상기 주제어부(16)의 신호 처리부(15)로 제1, 제2직류전원을 각각 보내는 AC/DC 변환부(19)와, 상기 신호 처리부(15)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 개폐(開閉)가 제어되도록 상기 전류 감지부(13)와 부하 전자기기(21)의 사이에 구비된 부하 스위치(2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요소 중, 보호회로(11)는 서지 프로텍터와 노이즈 필터와 같은 보호 수단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서지 프로텍터는 교류입력 전원을 통하여 단시간 내에 심하게 변화하는 과전압, 과전류, 낙뢰, 노이즈 등과 같은 서지전압이 전자장비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서지전압은 스위칭 서지, 개폐서지, 핵전자기적 펄스, 뇌(lightning) 서지 등 다양한 형태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는 신호 처리부(15)의 주전원 제어신호에 따라서 통전 상태를 차단하거나 차단 상태를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단 접점과 리셋 스위치로 구성되고, 차단 접점과 리셋 스위치는 병렬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차단 접점은 래칭릴레이로 구성하고, 리셋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이며 자기유지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 감지부(13)는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되는 전류량을 전류 감지 IC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신호 처리부(1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16)는 통신 제어부(14)와 신호 처리부(15)로 구성되는데, 통신 제어부(14)는 신호 처리부(15)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기능을 하는데, 특히, RF 송수신 기능을 구현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5)는 감지전류와 차단전류를 비교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때, 감지전류는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되는 전류량이고, 차단전류는 부하 전자기기(21)의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경우에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최소 전류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차단전류는 리모콘의 스위치 조작을 통한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하 전자기기(21)에 인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15)는 전류 감지부(13)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전류를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감지전류가 차단전류보다 적은 양으로 일정 시간 이상 흐르는지를 판단하여 그 시간이 경과 될 경우 주전원인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나 부하 전원인 부하 스위치(20)에 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RF 송수신 기능을 하는 통신 제어부(14)와 MCU(Micro Control Unit) 기능을 하는 신호 처리부(15)는 단일칩에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 스위치(17)는 AC/DC 변환부(19)의 전원 차단 상태를 수동 복귀시키는 터치 형태의 리셋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ID 설정부(18)는 복수개의 대기전력 차단 모듈에서 자신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AC/DC 변환부(19)는 ID 설정부(18)와 주제어부(16)의 신호 처리부(15)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로부터 전원 신호를 인가받는다.
그리고, 상기 부하 스위치(20)는 전류 감지부(13)와 부하 전자기기(21)의 사이에 구비된 스위치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가전 기기 즉, 부하 전자기기(2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인지하고,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목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주전원인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를 오프시켜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까지도 차단시키는 것에 그 주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자체의 소비 전원까지도 제어하기 위하여 2가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동작 모드에는 장치 제어 모드와 원격 제어 모드가 있다.
장치 제어 모드는 전원 온(On) 상태에서 장치 자체에서 계측한 차단전류에 의해 오프(Off) 제어를 할 경우 부하의 전원과 장치 자체의 전원까지도 차단하여 전류 소모를 '0'으로 하는 것이고, 원격 제어 모드는 리모콘과 같이 무선으로 제어하는 경우 RF 송수신 모듈의 전원을 제외한 모든 제어 장치 및 부하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온(On)되면 자동으로 장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데, 장치 제어 모드에서는 대기전류를 자동 감지하고 주전원의 오프(Off)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전원이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RF 신호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데, 일정 시간 차단전류 감지가 되지 않고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장치제어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 모드에서는 RF 신호에 의한 제어를 하는 것으로, 부하 전자기기를 온/오프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먼저, 장치 제어모드로 구동할 때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전원(Power On)이 입력되거나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가 수동으로 리셋되면, 장치 제어모드로 진입하여 구동한다.
우선,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면, 통신 제어부(14)에서 RF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있는지를 판별한다.(S300)
판별 결과, RF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15)에서 초기화 완료 상태인지를 판별한다.(S310)
초기화 완료 상태 판별이라는 것은 부하 전자기기(21)에 전원을 입력한 후 최초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일컷는다. 이때, 전원 입력 후 최초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부하 전자기기(21)가 충분히 원활한 작동을 시작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이하에서는 10분을 설정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이 입력되면, 전원은 보호회로(11)와 전류 감지부(13)를 거쳐서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되는데, 이때, 전류 감지부(13)는 부하 전자기기(21)로 전달되는 전류량을 신호 처리부(15)로 전달하고, 신호 처리부(15)에서는 감지전류를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그 제어신호를 통신 제어부(14)로 전달한다.
이후에, 전원 입력 후 초기화 완료되었다고(즉, 전원 입력 후 10분이 경과된 것으로)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15)에서 감지전류와 차단전류를 비교하여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 감지되는지 판별한다.(S320)
이때,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것은 신호 처리부(15)의 타이머(미도시)에서 판별하는 것으로,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를 판별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5분으로 설정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에, 차단전류가 설정한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이상 경과된 것으로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15)에서 차단 신호를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로 출력하여 주전원을 완전히 차단시킨다.(S330)
이와 같이 주전원이 차단되면, 추후에 동작시에는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12)의 수동 리셋에 의해서만 재가동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S310, S320 단계에서 판별 결과 전원 입력 후 초기화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예: 10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와,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예: 5분이상)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RF 제어신호 수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재진입하여 제어 동작을 시작한다.
다음에, 원격 제어모드로 동작할 때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전원 입력부(10)로 전원이 입력되면, 통신 제어부(14)에서 RF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있는지를 판별한다.(S300)
판별 결과, RF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있다고 판별되면, 원격 제어모드로 진입하여 동작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RF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원격으로 부하 전자기기(21)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RF 제어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별되면, 먼저, 수신된 RF 제어신호가 부하 스위치(20)를 온(On) 시키라는 신호인지 판별한다.(S400)
판별 결과, RF 신호가 부하 스위치(20)를 온(On) 시키라는 신호라고 판별되면, 다음에, 부하 스위치(20)가 온(On) 되었는지를 판별한다.(S410)
판별 결과, 부하 스위치(20)가 온(On) 되어 있지 않으면, 부하 스위치를 온(On)시키는 동작을 진행한다.(S420) 그리고, 부하 스위치(20)가 온(On) 되어 있으면, 신호 처리부(15)에서 초기화 완료 상태인지를 판별한다.(S430)
이때, 초기화 완료 상태인지를 판별한다는 것은 부하 전자기기(21)에 전원을 입력한 후 최초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일컷는다. 이때, 전원 입력 후 최초 지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부하 전자기기(21)가 충분히 원활한 작동을 시작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이하에서는 10분의 시간으로 설정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판별 결과, 초기화 완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별(S440)하여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으면, RF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 예를 들어 부하 스위치(20)를 온(On)시키라는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S400)로 되돌아가고,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으면,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430)로 재진입한다.
반면, 판별 결과 초기화 완료 상태라고 판별되면, 즉, 전원 입력 후 최초 10분이 경과했다고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15)에서 감지전류와 차단전류를 비교하여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지 판별한다.(S450)
이때,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것은 신호 처리부(15)에서 판별하는 것으로,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를 판별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5분으로 설정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전류가 설정한 시간이상(예를 들어, 5분이상) 경과된 것으로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15)에서 차단 신호를 부하 스위치(20)로 출력하여 부하 스위치(20)를 차단시킨다.(S460)
그리고,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최초에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00)로 재진입한다.
상기에서 부하 스위치(20)가 차단된 후에도 최초에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00)를 진행하여 RF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별되면, 다시 원격 제어동작을 진행한다.
상기의 원격 제어 모드의 동작에서, RF 신호가 부하 스위치(20)를 온(On) 시키라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부하 스위치(20)를 오프(Off)시키라는 신호인지를 판별하는 동작을 진행한다.(S500)
이때, RF 신호가 부하 스위치(20)를 오프(Off) 시키라는 신호라고 판별되면, 부하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는지를 판별(S510)하여, 오프되어 있지 않으면 부하 스위치(20)를 오프시키고(S520), 부하 스위치(20)가 오프되어 있으면, 최초에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00)로 재진입한다.
다음에, 원격 제어 모드의 동작에서, RF 신호가 부하 스위치(20)를 오프시키라는 신호가 아닐 경우에는, RF 신호가 차단전류를 설정하라는 신호인지를 판별한다.(S600)
판별 결과, 차단전류를 설정하라는 신호이면, 차단전류를 설정하는 동작을 진행(S610)한 후, 최초의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00)로 재진입한다. 그리고, 차단전류를 설정하라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최초의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00)로 재진입한다.
상기와 같이 차단전류를 부하 전자기기(21)에 인식시킬 때, 리모콘의 스위치 조작만으로 원격으로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부하 전자기기까지 가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구동 방법을 정리하면, 장치 제어 모드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장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전원 인가 후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예:10분간) 대기한 후, 차단전류가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예:5분 이상) 감지되면 주전원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것으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부착된 스위치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확장 스위치에 의해서만 리셋된다.
그리고, 원격 제어 모드는 전원이 온(On) 상태에서만 진입이 가능한 것으로,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RF 신호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모드로 진입하여, RF 수신신호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이 온(On)된 후 일정 시간 동안(예: 10분간)은 차단전류를 감지하지 않는 초기화 시간을 갖고 대기하다가, 초기화 시간이 경과한 후 일정 시간 이상(예: 5분 이상) 차단전류가 감지되면 부하스위치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때, 부하 스위치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RF 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원격 제어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원격 제어모드에서는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면 차단전류 감지활동을 수행하지 않고, 주제어부(16)에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을 최소전력 운용모드인 슬립(sleep)모드로 변경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입력부 11 : 보호 회로
12 :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 13 : 전류 감지부
14 : 통신 제어부 15 : 신호 처리부
16 : 주제어부 17 : 사용자 입력 스위치
18 : ID 설정부 19 : AC/DC 변환부
20 : 부하 스위치 21 : 부하 전자기기

Claims (10)

  1. 교류 신호가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회로와;
    부하 전자기기로 전달될 전류량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전류량을 입력받아서 차단전류와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와 함께 주제어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RF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주전원을 차단하거나 통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와;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ID 설정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제1, 제2직류전원을 각각 출력하는 AC/DC 변환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받아 개폐(開閉)가 제어되도록 상기 전류 감지부와 상기 부하 전자기기의 사이에 구비된 부하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 차단 리셋 스위치부는 병렬 구조를 갖는 차단 접점과 리셋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 접점은 래칭 릴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리셋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이고 회로적으로 자기유지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는 단일칩에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4. 전원이 온(On) 되어 있을 경우,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신호 처리부에서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 단계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주전원을 차단시키는 장치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 및
    전원이 온(On) 되어 있을 경우, RF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별되면 상기 RF 신호에 따라 부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상기 차단전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 단계로 판별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차단전류가 감지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면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부하 스위치를 차단시키는 원격 제어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 모드와 상기 원격 제어 모드 구동에서, 상기 초기화 완료 상태 판별 동작은 부하 전자기기에 전원을 입력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최초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 모드와 상기 원격 제어 모드 구동에서,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는지 판별할 때,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 모드로 구동할 때, 상기 초기화 완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되거나 상기 차단전류가 설정된 시간이상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별될 경우에는 상기 RF 신호 수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로 재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드로 구동할 때, 상기 초기화 완료 상태가 아니라고 판별되면,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별하여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으면, 상기 부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상기 차단전류를 설정하는 단계로 재진입하고,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초기화 완료 단계인지를 판별하는 단계로 재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드 구동에서, 상기 차단전류가 일정 시간이상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로 재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모드 구동에서, 상기 부하 스위치가 차단된 후에도 상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상기 RF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별되면, 다시 원격 제어 모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00083220A 2010-08-27 2010-08-27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Active KR10112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20A KR101123735B1 (ko) 2010-08-27 2010-08-27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20A KR101123735B1 (ko) 2010-08-27 2010-08-27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82A KR20120019782A (ko) 2012-03-07
KR101123735B1 true KR101123735B1 (ko) 2012-03-16

Family

ID=4612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220A Active KR101123735B1 (ko) 2010-08-27 2010-08-27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80B1 (ko) 2019-03-22 2020-01-17 박치영 Cpu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8940A (zh) * 2016-09-13 2017-01-18 许昌许继低压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型框架控制器
KR102498254B1 (ko) * 2017-11-14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723231B1 (ko) * 2023-12-29 2024-10-29 (주)피앤케이하이테크 전력변환 장치의 대기 전력 저감 제어장치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577A (ja) * 2004-10-13 2006-04-27 Akira Taguchi 待機電流遮断装置、及び待機電流遮断システム
KR20090092820A (ko) * 2006-11-27 2009-09-01 엠버 테크날러지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전원공급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577A (ja) * 2004-10-13 2006-04-27 Akira Taguchi 待機電流遮断装置、及び待機電流遮断システム
KR20090092820A (ko) * 2006-11-27 2009-09-01 엠버 테크날러지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전원공급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80B1 (ko) 2019-03-22 2020-01-17 박치영 Cpu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82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8B1 (ko)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CN105305526A (zh) 电流检测与管理装置
KR20150137429A (ko)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101822538B1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2640B1 (ko)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10111691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0349225Y1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절전형 멀티 탭
KR101606085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10130267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048035B1 (ko)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 제어기
KR101137234B1 (ko) 절전용 콘센트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367969B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11383B1 (ko) 대기전력 감소 장치 및 방법
KR200486844Y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CN104882741A (zh) 一种新型智能插座
KR20160028893A (ko) 마스터-슬레이브 관계 기반 대기전력 차단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