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23B1 -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3423B1 KR101123423B1 KR1020100086370A KR20100086370A KR101123423B1 KR 101123423 B1 KR101123423 B1 KR 101123423B1 KR 1020100086370 A KR1020100086370 A KR 1020100086370A KR 20100086370 A KR20100086370 A KR 20100086370A KR 101123423 B1 KR101123423 B1 KR 101123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bent
- connection device
- free end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MTLMVEWEYZFYTH-UHFFFAOYSA-N 1,3,5-trichloro-2-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l)=CC(Cl)=C1C1=CC=CC=C1 MTLMVEWEYZFYT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인 보드와 안테나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PCB와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PCB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자유단; 및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i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CB of the mobile phone, the fixed attachment to the PCB Fixed end;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bent outwardly and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 free end that is bent in an arc shape and extends i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bent and extended at an end of the free en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메인 보드와 안테나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일반적으로 휴대폰에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이하, 'PCB'라 함)가 구비된다.In general, a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and a main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B')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gnal.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회로가 인쇄된 PCB(30)가 내장되고, 휴대폰 본체(1)의 일 측 상부로 안테나(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PCB(30)와 안테나(20) 사이에는 상기 PCB(30)와 안테나(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 장치(10)가 마련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접속 장치(10)는 PCB(30)의 회로와 안테나(20)를 연결하는 구조로서,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판 스프링 형태로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은 고정단(11)을 이루어 PCB(30)에 고정 부착되고, 타 측은 자유단(12)을 이루어 안테나(20)에 탄성으로 접촉된다. 이때, 자유단(12)은 고정단(11)으로부터 원형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자유단(12)에는 외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자유단(12)은 고정단(11)을 축으로 지지되면서 동시에 탄성이 발생하고, 탄성에 의해 자유단(12)의 접촉부(13)는 안테나에 접촉된다.The
한편,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출원 제10-2001-0051544호에서 출원된 접속 장치(10)는 고정단(11)의 일 측에서 자유단(12)이 연장 형성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자유단(12)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약해 반복적인 강한 압박에 의하여 자유단(12)은 복원력을 쉽게 잃게 되어, 접속 장치(10)와 안테나(20) 사이의 접촉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5041호에서 출원된 접속 장치(10)는 고정단(11)의 양 측에서 자유단(12)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두 겹의 자유단(12a,12b)에 의한 탄성으로 강한 접촉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두 겹의 자유단(12a,12b)에 의하여 안테나를 가압하는 힘은 증가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도 자유단(12a,12b)은 일 측에서 각각 고정단(11)에 연결되어 장시간 사용하거나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 자유단(12a,12b)은 복원력을 쉽게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a) of Figure 2,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원형으로 절곡된 이중 구조의 자유단에 의하여,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탄성력과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안테나와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antenna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stably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antenna by the elastic end and the restoring force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if used repeatedly over a long time by the free end of the double structure bent in a circle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PCB와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PCB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자유단; 및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CB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the fixed end fixedly attached to the PCB;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bent outwardly and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 free end that is bent in an arc shape and extends in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bent and extended at an end of the free en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bent in an arc shape inward from the end of the free en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bent in an arc shap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free en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pport portion is bent inward at the end of the free end,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to be bent outward agai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원형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이중 구조의 자유단에 의하여,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가압되더라도 탄성력과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안테나와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elastic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are continuously maintained by the free end of the double structure which is bent in a circular shape and is repeatedly pressed for a long time, thereby ensuring a stable contact state with the antenna.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안테나 접속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에 안테나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변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변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is in contact with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 deform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load applied to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deformation state with respect to a load applied to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The technical problem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에 안테나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and FIG. 5 is an antenna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ntenna is in contact with the devic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 장치(100)는 고정단(110), 상기 고정단(110)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제1연결부(120), 상기 제1연결부(120)에서 연장되는 제2연결부(130), 상기 제2연결부(130)에서 연장되는 자유단(140) 및 상기 자유단(140)의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부(1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접속 장치(100)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평판 형상의 금속 패널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고정단(110),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30), 자유단(140) 및 지지부(150)를 각각 형성하는 구조를 이룬다(본 발명의 접속 장치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금속 패널의 양 단부가 가까워지도록 절곡되는 방향을 '내측'이라 표현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이라 표현한다).3 and 4,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고정단(110)은 접속 장치(100)를 휴대폰 본체의 PCB(도 1의 30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PCB와 면 접촉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고정단(110)은 용접(soldering) 등의 방법으로 PCB에 부착되는데,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측에는 용접 홈(111)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fixed
전술한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는 상기 고정단(110)과 자유단(140)을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단(110)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먼저 제1연결부(120)는 고정단(110)의 일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bending)되어 형성되는데, 탄성을 가지기 위하여 호 형상으로 절곡된다. 즉, 제1연결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110)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벤딩부(121)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연장부(122)는 고정단(110)과 거의 평행을 이룬다. 한편, 제2연결부(130)는 상기 제1연결부(1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제1연장부(12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벤딩부(131)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연장부(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The
전술한 자유단(140)은 안테나(200)에 접촉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2연결부(13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제2연장부(13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3벤딩부(141)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1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벤딩부(141)는 호 형상으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탄성을 가지게 되며, 제3연장부(142)는 제2연장부와 거의 평행을 이룬다. 한편, 제3벤딩부(141)가 안테나(200)에 의하여 가압되는데, 제3벤딩부(141)의 외면에는 안테나(200)에 접촉되기 위한 접속부(160)가 마련된다. 이러한 접속부(160)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전술한 지지부(150)는 제1벤딩부(121) 및 제3벤딩부(14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유단(14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접속 장치(100)는 호 형상으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벤딩부(121)와 제3벤딩부(141)에 의하여 탄성이 발생하는데, 장시간에 걸친 안테나(200)의 반복적인 가압에 의하여 벤딩부에서는 탄성력이 점차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결국 접속 장치(100)와 안테나(200) 사이에 접착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50)는 자유단(140)이 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14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above-describ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속 장치의 변형 상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200)에 접촉되기 전 상태에서는 제2연결부(130)는 도 4와 같이 상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안테나(200)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제2벤딩부(131)의 각은 점점 벌어지고, 제1벤딩부(121)의 각은 좁아지면서, 접속부(160)는 하측으로 위치가 변형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부(150)의 단부는 점차적으로 제2벤딩부(131)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고, 제2벤딩부(131)와 고정단(110) 사이에 개입되어 제1벤딩부(121)의 각이 더 이상 좁아지지 않도록 지지한다.A modified state of th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rst, in the state before contacting the
상기와 같은 변형 과정에서, 안테나(200)가 접속부(160)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제1연장부(122), 제2벤딩부(131) 및 제2연장부(132)까지의 긴 길이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 쉽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접속부(160)가 어느 정도 위치 변경되어, 지지부(150)가 제2벤딩부(131)의 하면과 고정단(110)의 상면에 맞닿는 순간부터는 제2연장부(132)의 짧은 길이에 의하여 제2연결부(130)에는 강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강한 탄성력에 의하여 접속부(160)와 안테나(200)는 우수한 접촉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안테나(20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제1벤딩부(121) 및 제3벤딩부(141)의 탄성에 의하여 접속부(160)는 도 4와 같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제1벤딩부(121) 및 제3벤딩부(141)에 의한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게 된다.In the deform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 initial length of the
즉, 본 발명의 접속 장치(100)는 안테나(200)가 접속 초기에는 쉽게 위치 변형이 이루어져 안테나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며, 접속 후에는 강한 탄성력이 발생하여 큰 접촉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복원시에도 두 벤딩부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 장치는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탄성력과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테나와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 장치(100)는 고정단(110),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30) 및 자유단(140)의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지지부(150)의 구성을 달리한다.6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ntenna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50)가 자유단(14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안테나(200)가 접속부(160)를 가압하는 경우 지지부(150)의 외측 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110)에 맞닿고, 내측은 제2벤딩부(131)에 맞닿도록 변형된다.I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50)가 자유단(14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1차 절곡면(151)을 형성한 후, 그 단부는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2차 절곡면(152)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안테나(200)가 접속부(160)를 가압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절곡면(152)이 제1벤딩부(121)에 맞닿고, 1차 절곡면(151)이 고정단(110)에 맞닿도록 변형된다.In addition, i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접속 장치(100)도 안테나(200)가 접속 초기에는 위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고, 접속 후에는 강한 접촉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복원시에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낸다.
I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접속 장치 110 : 고정단
120 : 제1연결부 121 : 제1벤딩부
122 : 제1연장부 130 : 제2연결부
131 : 제2벤딩부 132 : 제2연장부
140 : 자유단 141 : 제3벤딩부
142 : 제3연장부 150 : 지지부100: connection device 110: fixed end
120: first connection portion 121: first bending portion
122: first extension portion 130: second connection portion
131: second bending part 132: second extension part
140: free end 141: third bending part
142: third extension portion 150: support portion
Claims (4)
상기 PCB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벤딩부와 연장부를 형성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연장부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벤딩부와 연장부를 형성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의 연장부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벤딩부와 연장부를 형성하는 자유단; 및
상기 자유단의 연장부 단부에서 절곡되어 벤딩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안테나 접속 장치.
I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CB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 fixed end fixedly attached to the PCB;
A first connection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xed end to form a bend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is bent outwardly from the extension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forms a bend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A free end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ward from an extension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form a bending part and an extension part; And
And a support part that is bent at an extension end of the free end to form a bending part.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in an arc shape inward from the end of the free end.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the arc outward from the end of the free end.
상기 자유단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The antenna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bent inward from the end of the free end and then bent outward ag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370A KR101123423B1 (en) | 2010-09-03 | 2010-09-03 |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370A KR101123423B1 (en) | 2010-09-03 | 2010-09-03 |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952A KR20120023952A (en) | 2012-03-14 |
KR101123423B1 true KR101123423B1 (en) | 2012-03-23 |
Family
ID=4613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6370A Active KR101123423B1 (en) | 2010-09-03 | 2010-09-03 |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34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2689B1 (en) | 2018-08-13 | 2023-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
KR102656046B1 (en) * | 2022-01-27 | 2024-04-09 | 주식회사 아모텍 | Electrical member contact apparatus and antenn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0261A (en) * | 2008-05-19 | 2009-11-24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
-
2010
- 2010-09-03 KR KR1020100086370A patent/KR1011234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0261A (en) * | 2008-05-19 | 2009-11-24 | 박진우 | Antenna conn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952A (en) | 2012-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50658B1 (en) |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 |
US20060276085A1 (en) | Electrical contact element | |
CN109560406A (en) | Electric connector | |
US9543681B2 (en) | Terminal for an antenna connector | |
JP2015079709A (en) | connector | |
US764516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I861324B (en) | Terminal | |
US20040256211A1 (en) |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 |
US9620882B2 (en) | Battery connector and conductive terminal thereof | |
KR101045484B1 (en) | Contactor | |
KR101123423B1 (en) | Antanna contac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1372079B1 (en) | Pcb cut type contact | |
CN104682052A (en) | Battery connector and terminals thereof | |
US20110294365A1 (en) | Elastic electrical contact | |
KR101398156B1 (en) | Terminal unit intenna clip | |
US7878867B2 (en) | Electrical contact having an upper contact with a thickened base portion | |
CN205429185U (en) | Structure of elastic sheet | |
TWM508814U (en) | Battery connector and its conductive terminal | |
CN204304006U (en) | Antenna for mobile phone contact flat spring | |
KR101190016B1 (en) |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 |
CN107086391B (en) | Bidirectional connecting spring plate | |
KR101352633B1 (en) | Smd-typed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 |
CN110854581B (en) | Terminal with a terminal body | |
KR101453678B1 (en) | Contact | |
CN216773528U (en) | Elastic conductive pie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