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22092B1 -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092B1
KR101122092B1 KR1020060118205A KR20060118205A KR101122092B1 KR 101122092 B1 KR101122092 B1 KR 101122092B1 KR 1020060118205 A KR1020060118205 A KR 1020060118205A KR 20060118205 A KR20060118205 A KR 20060118205A KR 101122092 B1 KR101122092 B1 KR 10112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oll
mobile communication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178A (ko
Inventor
류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092B1/ko
Priority to US11/683,267 priority patent/US7787902B2/en
Publication of KR2008004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단말기 전면 소정부위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롤러의 상?하방향의 회전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롤-키(roll-key)와;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롤-키(roll-key)의 회전 동작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단축 기능(hot-key)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스크롤-키, 사업자 제공 서비스, 대기화면

Description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croll input device and a input signal precess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상부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오픈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소정부위에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목록이 많을 때, 커서 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해 네비게이션 키 혹은 일측에 구비되어 주로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사이드 키를 사용한다. 따라서, 그 목록의 수가 많을 때 사용자가 사이드 버튼을 수차례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 및 상하 유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은 쉽게 수행하기 위한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롤-키가 구비된 단말기의 다양한 활용 방법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대기화면 상태에서 스크롤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핫-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폰의 슬라이드를 올릴때 롤-키를 건드려 해당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기 화면 상에 롤-키(roll-key)의 배치 구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키(roll-key)를 구비한 슬라이드 폰을 열거나 닫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롤-키가 움직여 할당된 동작이 구현되기 전에 기능 진입 확인을 묻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소정부위에 형성된 롤-키의 회전 회전 방향을 인식하고 이에 상응하는 동작의 구현을 위한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특징은 슬라이드 폰의 슬라이드를 올릴때 롤-키를 건드려 해당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단말기 전면 소정부위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롤러의 상?하방향의 회전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롤-(roll-key)와;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롤-키(roll-key)의 회전 동작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단축 기능(hot-key)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롤-키(roll-key)가 상기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어 눌림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눌림버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표시창을 통해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한 입력에 대응되는 단축 기능키(hot-key)의 배치 구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면 표시창에 상기 롤-키(roll-key)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롤-키(roll- 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오픈할 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닫을 때(closing),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롤-키(roll-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로 전환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이 롤러의 회전 방향에 상응되게 위치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스크롤-키의 동작에 따라 전면 표시창에 상응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키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전상태로 복귀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기준 시간 동안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부터의 회전 입력신호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해당 수신 신호를 소정 횟수로 제한하여 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형성된 롤-키의 회전방향과 단말기의 열림 방향이 일치할 때,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회전 입력 신호를 무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회전이 감지될 때 회전 및/또는 키 입력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인식된 방향에 설정된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 진입한 모드를 릴리즈(releas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전면 소정부위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롤러의 상?하방향의 회전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롤-키(ROLL-KEY)(110)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120)와,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롤-키(110)의 회전 동작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단축 기능(hot-key)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상기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면 표시 창이 형성된 상부 몸체를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 폰을 예로 하고 있으나, 본원 발명에 따른 일부 개념은 폴더 타입의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슬라이드 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면부 일측에 롤-키(110)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롤-키(110)는 회전 및 상하로 유동하는 롤러(111)와 상기 롤러(111)의 좌?우측에 구비된 눌림버튼(112, 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소정 부위에 상기 롤-키(110)의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표시하는 안내 화면(141)이 표시된 것을 예로 한다. 안내화면(141)에는 메시지관련 기능(141-1), 카메라 기능(141-2), 무선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무선 서비스(141-3), 우편함 기능(141-4) 및 상기 멀티미디어 무선 서비스와 다른 컨텐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서비스(141-5)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무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무선 서비스는 예를 들어, 에스케이텔레콤(SKT)의 경우 네이트(nate)와 준(june)이 있다. 그 차이는 제공되는 제공되는 컨텐츠와 서비스에 있다. 네이트는 벨소리/그림친구/컬러링/ 라이브벨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친구찾기/일기예보/증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준(june)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multimedia service)로 뮤직비디오/VOD(video on demand)/MOD(music on demand)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 TV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요금은 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패킷 요금제이나, 네이트(nate)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용량이 작고 준(june)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용량이 크다는 차이를 갖는다. 상기 롤-키의 상향 또는 하향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무선 서비스 하나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다른 무선 서비스는 좌우의 눌림 버튼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그림은 실시 예에 의한 것이며, 기능의 배치 및 기능 키의 설정은 충분히 가변적인 것임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대기화면이 테마와 버튼표시 이외의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a)에서 롤러(111)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b)와 같이 우편함 기능이 구현되어 표시창에 우편함 표시가 나타난다. 이때,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이전 버튼을 누르면 원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대기화면(a)에서 롤러(111)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무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롤-키의 조작 오류로 인한 기능의 구현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 진입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물론, 무선 서비스는 별도의 요금이 부가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암호를 묻는 화면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시간동안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입력신호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해당 수신신호를 소정 횟수로 제한하여 수신한다. 또한, 단말기의 열 림 방향과 롤-키의 회전방향이 일치할 때,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회전 입력신호는 무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위의 도 3의 경우와 달리, 대기 화면이 테마와 버튼표시 혹은 시계와 버튼 표시로 설정된 경우, (a)와 같이 롤-키의 이미지가 표시창에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롤러(111)를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b)와 같이 우편함 기능이 구현되어 표시창에 우편함 표시가 나타난다. 이때, 도 3과 달리 상기 우편함 기능 구현에 의한 이미지는 상기 롤키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중심으로 상부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롤-키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이전 버튼을 누르면 원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대기화면(a)에서 롤러(111)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무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도 3과 달리 무선 서비스 기능 구현에 대한 확인 창은 상기 롤키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중심으로 하부에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상태에서 롤러를 상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이전 키를 누르면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5는 상부 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오픈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상부 몸체 혹은 몸체의 하단을 눌러 슬라이드를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폰을 올리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롤-키를 건드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롤-키(roll-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오픈할 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롤-키(roll-key)의 회전에 따른 신호의 입력의 유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입력제한 모드(hold)인 경우에는 상기 롤-키(roll-key)가 회전하여도 입력신호로 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롤러가 상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소정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닫을 때(closing)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롤-키(roll-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로 바로 전환한다. 이는 주머니나 핸드백에 단말기를 넣을 때,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화면에서 롤-키가 동작되어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폰을 밀어 올릴때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0)

  1. 단말기 전면 소정부위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롤러의 상?하방향의 회전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롤-키(roll-key)와;
    통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롤-키(roll-key)의 회전 동작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단축 기능(hot-key)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열림 방향과 상기 롤-키의 회전방향이 일치할 때 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회전 입력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roll-key)는 상기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어 눌림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눌림버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면 표시창에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한 입력에 대응되는 단축 기능키(hot-key)의 배치 구성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면 표시창에 상기 롤-키(roll-key)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면 표시창을 갖는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전면 표시창이 형성된 상부 몸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형(slide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roll-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오픈할 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를 슬라이딩하여 닫을 때(closing),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롤-키(roll-key)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입력제한 모드(hold)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 이 롤러의 회전 방향에 상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의 동작에 따라 전면 표시창에 상응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롤-키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전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roll-key)의 상하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동작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무선서비스 동작 구현을 위한 단축 동작(hot-key) 기능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통화 대기 상태에서 롤-키(roll-key)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롤-키(roll-key)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른 할당된 단축 동작(hot-key)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단말기의 열림 방향과 상기 롤-키의 회전방향이 일치할 때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회전 입력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한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롤-키(roll-key)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 폰의 경우, 롤-키 버튼제한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밀어 오픈할 때, 상기 롤-키(roll-key)를 통한 입력 신호를 소정시간 동안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5. 단말기 소정부위에 형성된 롤-키의 회전 동작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롤-키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롤-키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는 동작의 구현을 위한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열림 방향과 상기 롤-키의 회전방향이 일치할 때 기준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회전 입력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기준 시간동안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부터의 회전 입력신호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해당 수신 신호를 소정 횟수로 제한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 감지될 때 회전 또는 키 입력을 위한 가이드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방향에 설정된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 진입한 모드를 릴리즈(release)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20060118205A 2006-11-28 2006-11-28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112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05A KR101122092B1 (ko) 2006-11-28 2006-11-28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US11/683,267 US7787902B2 (en) 2006-11-28 2007-03-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ll-key and method of processing input sig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05A KR101122092B1 (ko) 2006-11-28 2006-11-28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178A KR20080048178A (ko) 2008-06-02
KR101122092B1 true KR101122092B1 (ko) 2012-06-14

Family

ID=3946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05A KR101122092B1 (ko) 2006-11-28 2006-11-28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87902B2 (ko)
KR (1) KR101122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394B2 (en) *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US8204560B2 (en) *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US11068128B2 (en) *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1923118B1 (ko) 2013-09-03 2019-02-27 애플 인크. 자기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50379476A1 (en) 2014-06-27 2015-12-3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CN110072131A (zh) 2014-09-02 2019-07-30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TWI676127B (zh) 2014-09-02 2019-11-01 美商蘋果公司 關於電子郵件使用者介面之方法、系統、電子器件及電腦可讀儲存媒體
WO2016036414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58A (ja) * 1997-03-21 1998-01-27 Sony Corp 電子機器
WO2006070262A1 (en) * 2004-12-28 2006-07-06 Nokia Corporation Maintenance of shortcut keys in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GB2333386B (en) * 1998-01-14 2002-06-1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AU2185099A (en) * 1998-03-05 1999-09-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GB2357634B (en) * 1999-12-21 2003-07-16 Nokia Mobile Phones Ltd A switch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30095086A1 (en) * 2001-09-21 2003-05-22 Juergen Neuhaeusler Circuit configuration for driving a set of at least one light-emitting diode
JP4010975B2 (ja) * 2003-04-07 2007-11-2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装置
US20040253931A1 (en) * 2003-06-10 2004-12-16 Jakob Bonnelykke Rotator with rim select functionality
KR100703495B1 (ko) * 2003-07-1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7082323B2 (en) * 2004-02-17 2006-07-25 Speed Tech Corp. Mobile navigation device
US7539524B2 (en) * 2006-04-03 2009-05-26 Invent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member
KR101147773B1 (ko) * 2006-11-28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58A (ja) * 1997-03-21 1998-01-27 Sony Corp 電子機器
WO2006070262A1 (en) * 2004-12-28 2006-07-06 Nokia Corporation Maintenance of shortcut keys in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178A (ko) 2008-06-02
US7787902B2 (en) 2010-08-31
US20080125196A1 (en)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092B1 (ko) 롤-키(roll-key)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US89488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interface switching method
JP5359536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表示方向制御プログラム
US200602114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EP178398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mode thereof
US8036724B2 (en) Portable data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ng and starting method used therein
KR101265914B1 (ko) 휴대 단말 장치
CN106020592A (zh) 分屏显示方法及装置
US20100037185A1 (en) Input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KR1006527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와 방법
CN106873834A (zh) 识别按键被触发的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CN107229411A (zh) 控制分屏状态的方法及装置
CN103902206A (zh) 操作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及移动终端
CN107132983B (zh) 分屏窗口操作方法及装置
WO2011037231A1 (ja) 携帯通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7566615A (zh) 消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326367B2 (en) Foldable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95171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KR20000071200A (ko) 무선 전화기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312252A (ja) 携帯機器および携帯機器における入力情報設定方法
KR100474304B1 (ko) 측면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JP2006277314A (ja) アドレス入力装置、そのアドレス入力方法およびそのアドレス入力装置をもつ電子機器
KR100593988B1 (ko)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