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8485B1 -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485B1
KR101118485B1 KR1020040058171A KR20040058171A KR101118485B1 KR 101118485 B1 KR101118485 B1 KR 101118485B1 KR 1020040058171 A KR1020040058171 A KR 1020040058171A KR 20040058171 A KR20040058171 A KR 20040058171A KR 101118485 B1 KR101118485 B1 KR 10111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composition
phosphate
solution
present
phosphate solub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545A (ko
Inventor
사동민
김은희
이형석
김충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5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하여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 조성물은 토양 정착 능력이 우수하여 매우 안정하며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성 인산염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식물의 인산 흡수 및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효능이 장기간 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불용성 인산염, 인산 가용화 미생물, 고정화, 젤라틴

Description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ertilizer composition containing immobilized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
본 발명은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젤라틴을 이용하여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phosphorus)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필수 영양원소이다. 따라서 농업에 있어서 주요 작물의 수확량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식물이 가용할 수 있는 인의 유무가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된다.
그러나 토양 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인은 화학적으로 공고하게 결합된 불용성 복합체나 유기적으로 결합된 파이테이트(phytate)와 같은 상태로 존재하여 식물이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불용성 인산염으로 존재한다(Paul and Clark, Soil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996).
따라서 식물의 생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기인산비료의 공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기인산비료를 공급하더라도 공급된 비료 중 75% 이상이 매우 빠르게 알칼리 및 산성 토양 내의 철, 알루미늄 및 칼슘이온 등과 결합하여 식물체가
이용할 수 없는 불용성 인산염의 형태로 전환된다(Whitelaw, M. A. et al., Soil Biol. Biochem., 31, 655-665). 이에 따라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무기인산비료를 농토에 공급하는 과도한 시비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은 인산의 과도한 공급은 환경오염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토양에 공급된 무기인산비료는 일부분만이 농작물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수분과 함께 토양 표층으로 이동하면서 수분은 증발하고 염류만 쌓이게 되어 농작물의 생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염류장해 토양이 된다. 염류가 과도하게 집적된 토양은 식물의 영양분 흡수와 생육을 방해함으로써 각종 질병 감염 위험을 높이며, 지표수의 부영양화와 지하수의 오염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토양에 접종하여 토양 내에 존재하는 불용성 인산염의 가용화를 촉진하여 농작물을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habot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62:2767-2772, 1996; Illmer P. et al., Soil Biol. Biochem. 27, 257-263, 1995).
상기 인산 가용화 미생물은 유기산을 분비하거나 특정 효소를 분비하여 토양의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화 인으로 전환시켜 식물이 흡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Goldstein, Am. J. Altern. Agric. 1:51-57, 1986).
한편, 상기와 같은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미생물 비료(biofertilizer)를 실제 농경지에 적용하기 위해서 미생물 비료의 안정성과 효능 유지, 저장 및 운송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을 이탄(peat), 갈탄(lignite), 토양-모래 혼합물, 질석, 펄 라이트 등과 같은 벌크 담체(bulk carrier) 또는 아가, 카라기난, 알지네이트, PAG(Polyacrylamide gel) 등과 같은 담체에 고정화하여 미생물 비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농경지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젤라틴으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고정화하고 이를 토양에 적용한 경우 다른 종류의 담체에 비해 안정성 및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젤라틴으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료 조성물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젤라틴으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료 조성물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젤라틴으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이란 불용성의 인산염 또는 인산질 비료원을 유기태에서 무기태로 가용화하는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인산 가용화 미생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미생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
NCBI: accession no. 취득기관: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ccession No: AY335552), 엔테로박터 에어로제네스(Enterobacter aerogenes, NCBI, Accession No: AY335554), 크렙시엘라 속(Klebsiella sp. Accession No: NCBI, AY335553), 페니실리움 옥살리컴(Penicillium oxalicum CBPS-3F-Tsa, IMI387080)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 NCBI, Accession No: AY335552)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은 그들이 고정화된 담체에서 생장, 번식 할 수 있는 수준의 양 이상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미생물이 과다하여 담체가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어서도 안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사용량은 미생물의 종류 및 담체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0.1 내지 1.0 mg d.w./ml of gel 또는 디스크(0.8×0.4cm) 당 5.0 내지 30 mg d.w의 양으로 미생물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6 mg d.w./ml of gel 또는 디스크(0.8×0.4cm) 당 10.113 mg d.w의 양으로 미생물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다음의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a)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고 멸균수로 현탁하는 단계;
(b) 물에 젤라틴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35 내지 40 ℃로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젤라틴 수용액에 상기 (a) 단계의 세포 현탁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혼합액에 경화액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을 성형틀에 부은 후 1 내지 7 ℃에서 15 내지 20 시간 동안 방치하여 겔 형성을 유도한 후 실온에서 입방체가 되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겔 형성시 4 ℃에서 18 시간 동안 방치하여 겔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 제조시 상기 경화액은 통상의 경화액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예로는 포름알데히드 20%(v/v), 에탄올 50%(v/v) 및 물 30%(v/v)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액의 성분 중 포름알데히드를 대신하여 퍼리오데이트로 산화된 전분,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및 덱스트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경우 인산가용화균의 젤라틴 내에서의 생존율을 더욱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미생물 보호제로서 적합한 글리세롤, 분유, 우유, 탈지분유 또는 동식물유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영양 공급원으로서 섬유소 분말, 대두박 분말, 면실박 분말, 각종 동식물성 펩톤, 밀기울 분말, 옥수 수 추출물, 효모 추출액, 당밀, 포도당, 설탕, 옥수수시럽 등과 같은 탄소원 및 질소원과 무기염류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은 인산 가용화 미생물과 젤라틴 용액을 혼합하기 전에 상기 미생물에 첨가하거나 또는 젤라틴 용액에 첨가할 수 있으며, 통상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된 비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제형기를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의 분말, 펠렛 또는 과립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형화된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실온에서 풍건하거나 동결 건조 또는 고온 건조 방법으로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을 토양에 적용하는 경우 토양에 살포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은 쌀겨에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을 넣고 수분을 적합한 함량으로 조절하여 상온에서 확대 배양한 후 토양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젤라틴을 이용한 고정화
인산 가용화 미생물로는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를 사 용하였다. 상기 미생물은 충북 청주시 개신동 고추 작물의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 및 선별하여 동정되었다. 상기 미생물을 피코브스키야 배지(Pikovskaya's medium; 글루코오스 10 g, Ca3(PO4)2, AlPO4, FePO4 로 이루어진 인산 공급원 5 g, MgSO4?7H2O 0.1 g, (NH4)2SO4 0.5 g, KCl 0.2 g, MnSO4 0.01 g 및 증류수 1 L)에 접종하여 30 ℃에서 24 시간 동안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상기 배양액을 10,000×g로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회수하고 이를 멸균수로 세척하였다. 그 후에 세포 농도를 1×108 cells/ml로 조정하여 고정화에 사용하였다.
젤라틴을 이용하여 상기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고정화하기 위해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젤라틴 5, 10 및 15 g을 각각 물 100 ml에 첨가하여 열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젤라틴 용액의 온도를 35 내지 40 ℃로 조절한 다음 상기에서 제조한 세포 현탁액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여기에 포름알데히드 20 %(v/v), 에탄올 50 %(v/v) 및 물 30 %(v/v)로 이루어진 경화액 2 ml를 첨가한 다음 즉시 교반하고 성형틀(mold)에 부어 넣은 후 4 ℃에서 18 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교차 결합 및 완전한 겔 형성이 촉진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실온에서 약 3.5 mm의 입방체가 되도록 절단 한 후 멸균수로 충분히 세척하였다.
<비교예 1>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고정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를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세포 현탁액을 알지네이트 (alginate)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고정화하였다(Woodward, J. Microbiol. Meth., 8, 91-102, 1988).
상기 실시예 1의 세포 현탁액 5 ml와 멸균한 후 냉각한 2.5, 3.5 및 5 % 소디움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용액 20 ml를 각각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액을 0.5 M 염화 칼슘 용액 200 ml에 떨어뜨려 비드로 제형화 하였다. 상기 비드를 4 ℃에서 1시간 동안 경화시킨 다음 멸균수로 세척하였다.
<비교예 2>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아가를 이용한 고정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를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세포 현탁액을 아가(agar)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고정화하였다((Lopez et al., J. Microbiol. Meth., 30, 231-234, 1997).
상기 실시예 1의 세포 현탁액 5 ml와 40 ℃의 2.3 %(w/v) 또는 4 %(w/v) 아가(Bacto agar, Difco) 용액과 각각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식용유 200 ml에 떨어뜨려 비드로 성형하고 이를 4 ℃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멸균수로 세척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인산 가용화 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인산 가용화 정도 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고정화 미생물과 비교하였다.
먼저, Ca3(PO4)2 0.5 g이 첨가된 피코브스카야 배지(Pikovskaya, Microbiologiya, 17, 362-370, 1948) 100 ml를 250 ml 용량의 플라스크에 넣고 pH를 7.0으로 조절한 후 121 ℃에서 멸균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젤라틴 입방체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비드를 각각 5개씩 접종하고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 ℃에서 배양하였다. 접종 후 7일째에 시료를 채취하고 상기 시료를 원심분리(10,000×g)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상등액을 0.45 ㎛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액을 수득하고 상기 여과액을 사용하여 인산 농도를 결정하였다. 가용화 인산의 농도는 몰리브도-인산 블루 측정법(Murphy and Riley, 1962)에 의해 측정하고 이를 mg P/L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젤라틴을 이용하여 고정화한 인산 가용화 미생물에 의해 가용화된 인산의 농도는 36.8 mg P/L로 나타났으며, 알지네이트와 아가를 이용하여 고정화한 인산 가용화 미생물에 의해 가용화된 인산의 농도는 각각 72 mg P/L 및 71.5 mg P/L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젤라틴은 인산 가용화 미생물의 고정화에 처음으로 사용된 것으로, 상기 실험 결과에서 젤라틴으로 고정화한 경우 알지네이트나 아가와 마찬가지로 에 비해 인산가용화능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젤라틴은 알지네이트나 아가에 비해 고정화 과정이 간단하고 가격면에서 더 저렴하기 때문에 젤라틴을 이용하여 인산가용화균을 고정화하여 더 나아가 비료로서 제제화하는데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 조성물은 토양 정착 능력이 우수하여 매우 안정하며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성 인산염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식물의 인산 흡수 및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효능이 장기간 동안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식물 재배용 비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판토에아 에그로머란스(Pantoea agglomerans), 엔테로박터 에어로제네스(Enterobacter aerogenes), 크렙시엘라 속(Klebsiella sp.) 및 페니실리움 옥살리컴(Penicillium oxalicum CBPS-3F-Tsa) 중에서 선택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고 멸균수로 현탁하는 단계;
    (b) 물에 젤라틴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젤라틴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35 내지 40℃로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젤라틴 수용액에 상기 (a) 단계의 세포 현탁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혼합액에 경화액을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혼합액을 성형틀에 부은 후 1 내지 7℃에서 15 내지 20 시간 동안 방치하여 겔 형성을 유도한 후 실온에서 입방체가 되도록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젤라틴으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비료조성물에 0.1 내지 1.0 mg d.w./ml of gel 또는 디스크(0.8×0.4cm) 당 5.0 내지 30 mg d.w의 양으로 미생물이 함유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경화액은 포름알데히드 20%(v/v), 에탄올 50 %(v/v), 및 물 30 %(v/v)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40058171A 2004-07-26 2004-07-26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1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171A KR101118485B1 (ko) 2004-07-26 2004-07-26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171A KR101118485B1 (ko) 2004-07-26 2004-07-26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545A KR20060009545A (ko) 2006-02-01
KR101118485B1 true KR101118485B1 (ko) 2012-03-12

Family

ID=3712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171A KR101118485B1 (ko) 2004-07-26 2004-07-26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511B1 (ko) * 2004-09-01 2012-05-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애타풀자이트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비료 조성물
KR100914765B1 (ko) * 2007-05-31 2009-08-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과립형 접종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101281104B1 (ko) * 2011-03-25 2013-07-02 (주)한국바이오케미칼 유용한 토양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염류 장해 토양의 복원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499A (ko) * 1996-09-11 1998-07-06 야자키 유우히코 식물재배용 수성 겔 배지
KR0145740B1 (ko) * 1991-05-23 1998-08-01 채영복 고정화 미생물 농약과 그의 제조방법
WO2003016241A1 (en) * 2001-08-13 2003-02-27 Agro.Bio Hungary Kft. Micro-organisms for the treatment of soil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740B1 (ko) * 1991-05-23 1998-08-01 채영복 고정화 미생물 농약과 그의 제조방법
KR19980024499A (ko) * 1996-09-11 1998-07-06 야자키 유우히코 식물재배용 수성 겔 배지
WO2003016241A1 (en) * 2001-08-13 2003-02-27 Agro.Bio Hungary Kft. Micro-organisms for the treatment of soil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545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bah et al. Agro-industrial waste materials and wastewater sludge for rhizobial inoculant production: a review
Vassilev et al. Immobilized cell technology applied in solubilization of insoluble inorganic (rock) phosphates and P plant acquisition
EP1248754B1 (en) Biological addition to organic-mineral fertilizers
US4647537A (en) Immob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tagonistic to plant pathogenic microorganisms
CN101842334B (zh) 新型生物肥料、获得所述肥料的方法及所述肥料作为植物生长刺激剂的应用
CN109650986B (zh) 一种改良退化蔬菜地土壤的炭基生物有机肥及其应用
CN110577911B (zh) 一株短小芽孢杆菌及其应用
CN106831260B (zh) 酿酒葡萄园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CN114031451B (zh) 一种保水保肥的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PT2324108E (pt) Microorganismo capaz de solubilizar fosfato e ferro e suas aplicações
CN113149786A (zh) 一种盐碱地专用的水稻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15287079A (zh) 一种腐殖酸活化磷矿粉改良盐碱地及地力提升方法
CN114921362B (zh) 具有溶解难溶性磷和促生长功能的油茶内生放线菌及其应用
KR101118485B1 (ko)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048099A (zh) 盐碱地营养型改良剂
KR100914765B1 (ko) 과립형 접종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101150511B1 (ko) 애타풀자이트로 고정화된 인산 가용화 미생물을 포함하는비료 조성물
CN115010538B (zh) 一种双组份复合微生物保水控温缓释肥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396865B (zh) 含有复合菌剂的脲醛缓释肥料的制备方法
CN112400546B (zh) 一种生态棒及其应用
CN113817637A (zh) 色球藻在修复酸化硝酸盐污染耕作土壤中的应用
CN113293004A (zh) 一种油泥热解碳基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JPS6140637B2 (ko)
CN110683911A (zh) 一种生物炭基黄曲霉毒素防控缓释肥及其制备方法
CN112521229A (zh) 一种抗旱抗涝肥料助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