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135B1 - Walking assistant - Google Patents
Walking assist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8135B1 KR101118135B1 KR1020100099970A KR20100099970A KR101118135B1 KR 101118135 B1 KR101118135 B1 KR 101118135B1 KR 1020100099970 A KR1020100099970 A KR 1020100099970A KR 20100099970 A KR20100099970 A KR 20100099970A KR 101118135 B1 KR101118135 B1 KR 101118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king
- foot
- connecting shaft
- aids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보행을 도와주는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에 장착된 안장과 전방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관통축을 구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관통축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좌측보행족 및 상기 관통축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우측보행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for helping a person who is uncomfortable to walk,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frame having a saddl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ipe-shaped through shaft fixed to the front, and pivotable on a left side of the through shaft. And a pipe-shaped left pedestrian leg having a left connecting shaf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portion and a pipe-shaped right pedestrian leg having a right connecting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through shaft.
일반적으로 다리의 골절이나 중풍을 비롯한 각종 질병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하거나 호흡이 아주 곤란한 천식환자 또는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들이나 고령으로 인해 체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은 보행시 보조기구로 지팡이나 목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asthma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movement or breathing due to various diseases such as leg fractures or strokes, or those with disabilities who are unable to walk or those who have low physical fitness due to old age, often use canes or crutches as walking aids. .
널리 알려진 종래의 목발은 몸체판의 상부가 양측으로 "Y" 자 형상으로 벌어져 있고 이 몸체판의 상단에는 어깨 받침구가 끼워지고 중간에는 손잡이가 끼워져 고정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리부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crutches are well known,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plate is opened in a "Y" shape on both sides,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plate is fitted with a shoulder rest and a handle is inserted in the middle and the leg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art. It consists of wealth.
그리고 이러한 목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어깨 받침구를 겨드랑이에 끼운 뒤, 다리부로 보행하는 바닥면을 지지한 다음 체중을 목발에 실어서 걷는다.To use the crutches, grab the handle with your hands, insert the shoulder rests into the armpits, support the floor walking with your legs, and then walk with the weight on your crutches.
그러나 목발을 사용하여 걷다 보면 어깨 받침구와 접촉되는 어깨부터 피로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전신으로 피로를 느끼게 되며, 목발에 걸리는 자신의 하중을 버티는 것은 젊은 사람들에게도 상당한 힘을 요하기 때문에 체력이 떨어지는 환자나 고령의 노인들이 사용하기에는 힘에 부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하면서 목발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면 순간적으로 균형을 잃고 넘어져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빈번하다.However, walking with crutches causes fatigue from the shoulder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oulder rests, causing fatigue throughout the body, and the ability to hold one's load on the crutches requires considerable strength for young people. Older seniors are often hard to use. In addition, if the crutches are not properly supported during use, they can lose their balance instantly and fall and get injured.
한편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시간 걷다 보면 특히 하체와 허리에 많은 피로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목발이나 지팡이 사용자는 의자나 벤치에서 피로를 풀기 위하여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거리에는 의자나 벤치가 그리 넉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목발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육체적으로 힘이 들어도 마땅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불편함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you use a cane, you will feel a lot of fatigue, especially on your lower body and lower back, if you walk for a long time. Therefore, crutches or cane users should rest to relax in a chair or bench. However,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chairs or benches in the street, users who use crutches should rest well even when physically strenuo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place to feel uncomfortable.
이 밖에도 4개의 다리를 가진 "ㄷ" 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의 좌우에는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보행 보조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런 보행 보조기는 병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legged "c" shaped frame, and walking aids with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both hand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top are also widely used. Such walking aids are easily found in hospitals. .
위와 같은 보행 보조기는 사용시에 사람이 프레임 안쪽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좌우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걸을 때마다 조금씩 보행 보조기를 앞으로 밀면서 보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는 목발에 비해 안정감이 높아 넘어질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점이 장점으로 뽑힌다.When using a walking aid as described above, a person enters a space inside the frame, grasps the left and right handles with both hands, and walks by pushing the walking aid forward a little while walking. These walking aids are selected because of their high stability compared to crutches,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falling.
그러나 보행 보조기를 밀거나 혹은 들었다 놓는 팔의 움직임은 보행시 자연스럽게 앞뒤로 흔들리는 팔 동작과는 전혀 다른 이질적인 움직임이기 때문에 보행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ovement of the arm that pushes or lifts the walking aid is a discomfort that is somewhat uncomfortable because it is a heterogeneous movement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movement of the arm that swings back and forth during walking.
또한 팔 힘에 의지하여 보행을 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체에 힘을 기르기에는 부적절하고, 목발이나 지팡이와 마찬가지로 보행시 힘에 부쳐도 쉽게 쉬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because walking on the strength of the arm is practically inadequate to build strength in the lower body, as with crutches or wand, there is a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rest easily even when walking on strength.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목발과 지팡이는 물론 4개의 다리를 가진 보행 보조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시의 팔 동작과 보행 보조기 다리의 움직임을 일치시키고 내딛는 다리쪽의 보행 보조기 다리가 함께 나오도록 함으로써 하체를 보다 많이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균형을 잡기에도 유리한 새로운 구조의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rutches and walking sticks as well as the four-legged walking aids, the walking aids on the side of the leg to match and step the movement of the walking aid legs and walking during walking The goal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walking aid that is beneficial to balance while inducing more utilization of the lower body by bringing the legs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 및 안정적인 삼발이 구조를 갖춤으로써 보행시 지친 경우 앉은 상태 그대로 잠시 쉴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k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addle and a stable tricycle structure that the user is seated to provide a convenience to rest for a while as it is sitting when tired when walking.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는 상면에 장착된 안장과 전방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관통축을 구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관통축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좌측보행족 및 상기 관통축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우측보행족을 포함한다.Th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having a saddl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ipe-shaft through shaft fixed to the front, and a left side of a pipe-shape having a left connecting shaft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through shaft in a middle portion. And a pipe-shaped right pedestrian foot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with a pedestrian foot and a right connecting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through sha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보행족과 우측보행족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pedestrian foot and the right pedestrian foo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보행족과 우측보행족은 어느 일측 보행족의 회동에 따라 타측 보행족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좌/우측연결축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pedestrian foot and the right pedestrian foo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 right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pedestrian foo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ny one pedestrian foot.
여기서 상기 좌/우측연결축은 유성기어열에 의해 치차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eft / right connect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coupling by the planetary gear train.
이때 상기 좌측연결축의 자유단에는 선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연결축의 자유단에는 링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는 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가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sun gear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connection shaft, the ring gear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right connection shaft, and at least one planetary gear engaged with these gears is disposed between the sun gear and the ring gear.
한편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의 상단에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구비된다.Meanwhile, a handle made of a cushion material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left / right walking leg.
그리고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의 하단에는 충격흡수재가 말단에 부착된 보조족이 구비될 수 있다.And a lower end of each of the left / right walking group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group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ock absorber.
이때 상기 보조족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foot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 right walking grou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는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에 후방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left / right pedestrian each bent backward curv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곡부는 후방을 향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다.Preferably, the curved portion is bent backwards and at the same time curved inwardly toward the main frame.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는 지면에 닿는 말단이 구비된 후방보조족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assistant having an e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보조족의 말단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보조휠이 더 장착된다.Preferably, the auxiliary wheel freely rotates is further mounted at the end of the rear subsidiary foo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보조족은 그 중간부분에 구비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rear assistant may be fold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thereof.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는 보행시의 팔 동작과 동일하게 좌/우측보행족의 손잡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상에 무리한 동작이 전혀 없고, 내딛는 다리쪽의 보행족이 함께 나오기 때문에 균형을 잡기에도 유리하며, 하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재활치료용으로도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no unreasonable motion in use because it moves the handle of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in the same way as the arm motion when walking, and the pedestrian foot on the leg comes out to balance. It is also advantageous to catch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also suitabl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because it leads to more active use of the lower body.
그리고 본 발명은 좌/우측보행족과 함께 후방보조족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삼발이 구조를 갖춤으로써 보행시 지친 경우 앉은 상태 그대로 잠시 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table tricycle structure having a rear auxiliary group together with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so that if you are tired when walking, you can rest for a while as it is.
또한 위와 같은 후방보조족을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체력에 따라 후방보조족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보행 보조기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ecaus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lect the use of the rear assistants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strength by configuring the rear assistants in a folding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의 보행 보조기의 좌/우측보행족이 회동한 상태와 함께 후방보조족의 접철식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보행 보조기의 좌/우측보행족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위성치차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walking aid of FIG. 1.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lding configuration of the rear assistant foot with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of the walking aid of Figure 1 rotated.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tellite gear sequence for rotating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of the walking aid of Figure 1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lking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이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하며, 상대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전후(前後)나 상하좌우(上下左右), 내외(內外) 등의 용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보행 보조기(10)에 착석한 사람의 시점(視點)을 기준으로 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tha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Terms such as upper and lower and inner and outer are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person seated in the walk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를 살펴보면, 보행 보조기(10)는 전체적으로 메인프레임(100)과 이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at the walking
메인프레임(100)은 보행 보조기(10)의 뼈대를 이루는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상면에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110)이 장착되어 있고, 그 전방에는 파이프 형상의 관통축(120)이 구비되어 있다.The
첨부된 도면을 보면, 메인프레임(100)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삼각형상이 하중을 견디는데 효과적인 모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메인프레임(10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자전거의 프레임처럼 몇 개의 봉재가 연결되어 중앙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 역시 가능하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ape of the
메인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관통축(120)의 좌우측에는 각각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은 서로 거울상을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어느 하나의 보행족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ough
죄측보행족(200)을 기준으로 한다면, 좌측보행족(200)은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파이프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 좌측보행족(200)은 메인프레임(100)의 관통축(120)에 삽입되는 좌측연결축(230)을 가지며, 이 좌측연결축(230)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Based on the
여기서 좌측보행족(200)이 회동하는 각도는 대략 전후로 각 45°내외면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안장(110)에 착석한 사용자가 보행하기 위해 앞으로 뻗는 다리의 회동각도 정도로만 회전하면 충분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이러한 좌측보행족(200)의 상단에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좌측 손잡이(220)가 구비되어 좌측보행족(200)의 상단부분을 파지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left of the
또한 좌측보행족(200)의 하단에는 충격흡수재가 말단에 부착된 좌측 보조족(240)이 구비되어 지면에 닿는 좌측보행족(200)의 하단을 보호하는 동시에 안장(110)에 앉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는 것이 좋다. 필요하다면 지면에 닿는 충격흡수재가 마모된 경우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좌측 보조족(240)을 탈착 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예컨대 나사결합이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돌기와 구멍으로 이루어진 원터치 결합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우측보행족(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보행족(200)에 대해 거울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메인프레임(100)에 좌/우측보행족(200,300)이 모두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의 기본적인 구성이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도 3을 참조하여 보행 보조기(1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안장(110)에 착석하면, 사용자의 전면에는 착석한 상태의 어깨 높이 정도에 좌/우측보행족(200,300)의 손잡이가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우측 손으로 각각 좌/우측보행족(200,300)의 손잡이(220,320)를 파지한다.When the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the movement is seated on the
사람이 보행할 때에는 균형을 잡기 위해 자연스럽게 내딛는 다리쪽의 팔은 뒤로 움직이고 반대쪽 팔은 앞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보행동작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좌측 다리를 내딛을 때 좌측 손을 뒤로 움직이면 파지된 좌측보행족(200)의 상단이 뒤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좌측보행족(200)의 하단은 좌측연결축(230)에 대해 앞쪽으로 회동된다. 이는 우측보행족(300)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임은 물론이다.When a person walks, the arm on the leg, which is naturally stepped to balance, moves backward and the opposite arm moves forward. In the same manner as the walking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left hand is moved backward when the left leg is stepped on, the upper end of the gripped left walking
이러한 좌/우측보행족(200,300)의 동작은 보행시의 손동작에 따라 자연스럽게 내딛는 다리쪽의 보행족이 함께 앞으로 나오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시의 좌/우측 다리에 걸리는 하중의 일부를 좌/우측보행족(200,300)이 부담함으로써 보행을 보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보행시의 팔 동작과 동일하게 손잡이(220,320)를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상에 무리한 동작이 전혀 없고, 내딛는 다리쪽의 보행족이 함께 나오기 때문에 균형을 잡기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operation of the left / right walking leg 200,300 is a walking foot on the leg side naturally stepped together according to the hand movement during walking, s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f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 right leg during walking left / right The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어느 일측 보행족의 회동이 타측 보행족의 회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단순하고 독립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한편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의 회동이 보행시의 좌우측 팔동작과 동일하도록,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 중 어느 일측 보행족의 회동에 따라 타측 보행족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좌/우측연결축(230,330)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의 완력이 부족한 경우 좌우측 팔의 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좌측보행족(200)과 우측보행족(300)의 운동이 엉켜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On the other han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이와 같은 좌/우측보행족(200,300)의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축(120) 안에서 마주보는 좌/우측연결축(230,330)의 양단을 유성기어열로 치차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eft /
즉, 좌측연결축(230)의 자유단에는 선 기어(250)를, 그리고 우측연결축(330)의 자유단에는 링 기어(350)를 형성하고, 이들 선 기어(250)와 링 기어(350) 사이에는 이들 기어(250,350)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400)를 배치한다. 이러한 유성기어열에 의하면, 선 기어(250)와 링 기어(350)는 그 중간에 개입되어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는 유성기어(400)에 의해 그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측보행족(200,300)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That is, the
유성기어(400)는 균형상 3개 정도의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성기어(400)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이들 유성기어들(400)의 자전축이 형성된 고리형상의 캐리어(410)로 유성기어들(400)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킨다.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유성기어(400)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링 기어(350)의 회전속도는 유성기어(400)에서 감속되기 때문에, 선 기어(250)가 링 기어(350)와 동일한 회전속도를 갖도록 유성기어(400)의 회전속도는 선 기어(250)에서 증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링 기어(350)의 회전속도가 유성기어(400)에서 1/3로 감속되면, 선 기어(250)는 다시 3배로 증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비의 설계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수치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는 좌/우측보행족(200,300) 각각에 후방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210,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만곡부(210,310)는 사용자가 좌/우측보행족(200,300)을 밀고 당기는 동작을 할 때 요구되는 힘을 경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자전거를 조향하는 프론트 포크가 경사진 것과 마찬가지 원리이다.Meanwhile, the walking
특히 좌/우측보행족(200,300)의 만곡부(210,310)는 후방을 향하는 동시에 메인프레임(100)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만곡부(210,310)가 좌/우측보행족(200,300)에 구비된 구조는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보행 보조기(10)를 사용할 때 안장(110)에 착석한 사람의 좌우측 다리와 좌/우측보행족(200,300)이 서로 엇갈려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Particularly,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보조기(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보조족(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보조족(130)의 말단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 말단에 보조휠(1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lking
후방보조족(130)은 보행에 필요한 근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를 위한 보조기구로서, 좌/우측보행족(200,300)와 후방보조족(130)이 이루는 삼발이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게 하며, 보행시 지친 경우 잠시 앉은 상태에서 쉴 수 있게 한다.The rear
아울러 보조휠(150)이 더 포함되면 힘에 부쳐서 약간씩 끌면서 보행 보조기(10)를 사용할 때에도 후방보조족(130)이 지면에 끌려 보행에 저항을 주는 현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후방보조족(130)은 그 중간부분에 구비된 힌지(14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근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충분한 보행을 통해 체력이 향상되면, 후방보조족(130)을 접어서 좌/우측보행족(200,300) 2개 만으로 버티면서 보행연습을 하도록 만듬으로써 보행 보조기(10)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이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행 보조기 100: 메인프레임
110: 안장 120: 관통축
130: 후방보조족 140: 힌지
150: 보조휠 200: 좌측보행족
210: 좌측 만곡부 220: 좌측 손잡이
230: 좌측연결축 240: 좌측 보조족
250: 선 기어 300: 우측보행족
310: 우측 만곡부 320: 우측 손잡이
330: 우측연결축 340: 우측 보조족
350: 링 기어 400: 유성기어
410: 캐리어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walk aid 100: mainframe
110: saddle 120: through shaft
130: rear assistant 140: hinge
150: auxiliary wheel 200: left walking foot
210: left bent portion 220: left handle
230: left connecting shaft 240: left auxiliary
250: sun gear 300: right foot
310: right bend 320: right handle
330: right connecting shaft 340: right secondary
350: ring gear 400: planetary gear
410: carrier
Claims (13)
상기 관통축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좌측보행족; 및
상기 관통축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연결축을 중간 부분에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우측보행족;
을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A main frame having a saddl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through shaft of a pipe shape fixed to the front side;
A pipe-shaped left walking group having a left connecting shaft in a middle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through shaft in a rotatable manner; And
A pipe-shaped right walking group having a right connecting shaft pivotal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through shaft in a middle portion thereof;
Walking aids comprising a.
상기 좌측보행족과 우측보행족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walking aid and the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king aids ro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좌측보행족과 우측보행족은 어느 일측 보행족의 회동에 따라 타측 보행족은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좌/우측연결축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walking foot and the right walking foot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 right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walking foo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ny one walking foot.
상기 좌/우측연결축은 유성기어열에 의해 치차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left / right connecting shaft is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gears are geared by the planetary gear train.
상기 좌측연결축의 자유단에는 선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연결축의 자유단에는 링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선 기어와 링 기어 사이에는 이들 기어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un gear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connecting shaft, and a ring gear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right connecting shaft, and at least one planetary gear engaged with these gears is disposed between the sun gear and the ring gear. Walking aids.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의 상단에는 쿠션재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cushion material.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의 하단에는 충격흡수재가 말단에 부착된 보조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each of the left / right walking foo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foot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보조족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ssisting foot is detachable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walking foot.
상기 좌/우측보행족 각각에는 후방을 향하여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ach of the left / right pedestrian foot curved curved toward the rear.
상기 만곡부는 후방을 향하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urved portion is curved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main frame toward the rear at the same time.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는 지면에 닿는 말단이 구비된 후방보조족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of the main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ar assistant having an end that touches the ground.
상기 후방보조족의 말단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보조휠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1,
The walk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wheel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rear assistant for free rotation.
상기 후방보조족은 그 중간부분에 구비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The method of claim 11,
The rear assistant is walk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hinge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9970A KR101118135B1 (en) | 2010-10-13 | 2010-10-13 | Walking assist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9970A KR101118135B1 (en) | 2010-10-13 | 2010-10-13 | Walking assist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8135B1 true KR101118135B1 (en) | 2012-03-12 |
Family
ID=4614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99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8135B1 (en) | 2010-10-13 | 2010-10-13 | Walking assist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813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13994A (en) * | 2019-02-05 | 2020-08-11 | 株式会社捷太格特 | Walking support device |
KR20220016319A (en) | 2020-07-30 | 2022-02-09 |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 Walking assitan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7869A (en) | 1978-11-03 | 1980-02-12 | Marchetti Pasquale F | Orthopedic device |
KR19980035653U (en) * | 1996-12-13 | 1998-09-15 | 정승욱 | Walking aid |
KR200233933Y1 (en) | 2001-01-22 | 2001-09-29 | 변상복 | improved roller sled |
KR100922398B1 (en) | 2009-06-15 | 2009-10-19 |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 Even three-wheeled pedestrians |
-
2010
- 2010-10-13 KR KR1020100099970A patent/KR1011181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87869A (en) | 1978-11-03 | 1980-02-12 | Marchetti Pasquale F | Orthopedic device |
KR19980035653U (en) * | 1996-12-13 | 1998-09-15 | 정승욱 | Walking aid |
KR200233933Y1 (en) | 2001-01-22 | 2001-09-29 | 변상복 | improved roller sled |
KR100922398B1 (en) | 2009-06-15 | 2009-10-19 |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 Even three-wheeled pedestrian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13994A (en) * | 2019-02-05 | 2020-08-11 | 株式会社捷太格特 | Walking support device |
KR20220016319A (en) | 2020-07-30 | 2022-02-09 | 한국자동기술산업 주식회사 | Walking assit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63570B2 (en) | Transfer / Moving device | |
US10772788B2 (en) | Rollator | |
CN104856843B (en) | Coordinate extremity type rehabilitation go-cart | |
JP5036369B2 (en) | Nursing care device | |
US5785070A (en) | Dual handled walking and uprisal assist device | |
TWI589287B (en) | Moving car | |
CN204766386U (en) | Coordinate recovered walker of four limbs type | |
JP2014079364A (en) | Walking training aid | |
CN108433956A (en) | Multifunction walking-aid device | |
CN201676135U (en) | 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walking aid appliance for disabled | |
JP2022163133A (en) | Rollator | |
JP2015123330A (en) | Walker | |
KR101118135B1 (en) | Walking assistant | |
CN212662119U (en) | A multifunctional transfer aid | |
CN211214031U (en) | 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chair | |
TWM469904U (en) | Multifunctional mobile rehabilitation aids | |
CN214679207U (en) | A detachable multifunctional sit-to-stand assist device | |
JP5710950B2 (en) | Wheelchair for rehabilitation care | |
TW201105311A (en) | Multi-functional walker | |
JP5903260B2 (en) | Walking assist device | |
CN215350448U (en) | A sit-stand armpit crutch | |
JP2005058672A (en) | Walking aid and bicycle | |
KR101198463B1 (en) | Roly poly crutches | |
KR102714458B1 (en) | Right and left variable rotation pedal type exercise equipment for remedical exercise | |
CN109549795A (en) | A kind of wheel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702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1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