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7638B1 -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638B1
KR101117638B1 KR1020100009248A KR20100009248A KR101117638B1 KR 101117638 B1 KR101117638 B1 KR 101117638B1 KR 1020100009248 A KR1020100009248 A KR 1020100009248A KR 20100009248 A KR20100009248 A KR 20100009248A KR 101117638 B1 KR101117638 B1 KR 10111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
liquid crystal
chassis
flat panel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727A (ko
Inventor
정윤환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638B1/ko
Priority to JP2010225028A priority patent/JP5501188B2/ja
Priority to US12/904,089 priority patent/US8421743B2/en
Priority to TW099135153A priority patent/TWI525368B/zh
Priority to CN201010538866.XA priority patent/CN102141694B/zh
Publication of KR2011008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6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F2001/1536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ditional, e.g. protective, layer inside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007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involving a permanent auxiliary member being left in the finished device, e.g. aids for protecting the bonding area during or after the bond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낙하 충격으로부터 패널 어셈블리의 파손을 줄이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부착하여 광을 생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수용하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FLAT DISPLAY AND MOBILE DEVICE USING OF THE SAME}
본 기재는 낙하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 되면서 많은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있다.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 받아 왔고, 현재는 평판표시장치를 필요로 하는 소형 제품인 휴대전화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or)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 발광 다이오드(LED)를 부착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발광 다이오드의 광을 퍼지게 하는 도광판(LGP, light guard panel), 도광판 아래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도광판 위에서 광의 휘도 및 시감을 개선하는 광학시트, 액정패널 어셈블리를 고정하고 측면으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며 반사시트와 광학시트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및 몰드 프레임을 수용하여 전체 강도를 유지시키는 섀시를 포함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장치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내부에 유기발광 소자들을 형성하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섀시,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몰드 프레임과 섀시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섀시는 무게 중심 및 형상 중심을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중앙에 일치시킨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또는 이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를 낙하시키는 경우, 바닥에 접하는 면을 통하여 낙하 충격이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로 전달되어,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에 진동이나 휨을 발생시킨다. 진동 또는 휨은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에 크랙 및 파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낙하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파손을 줄이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부착하여 광을 생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수용하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섀시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중량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중량부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섀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중량부와 제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상기 제1 중량부와 상기 제2 중량부 각각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중량부 및 상기 제2 중량부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적어도 상기 중량부의 2측면에 대응하는 절개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사선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중량부의 2측면에 대응하는 절개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부착하여 광을 생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수용하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섀시는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상기 섀시의 후방에서 상기 섀시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섀시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섀시의 바닥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와 서로 결합되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섀시는 상기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패드영역이 위치하는 상기 섀시의 후방에서 상기 섀시의 측벽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는, 상기 섀시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섀시의 바닥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상기 평판표시장치,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를 장착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장착홈의 표면은 서로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상기 완충공간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평판표시장치에 형성되는 중량부에 더하여 상기 편심을 증가시키는 다른 중량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하도록 몰드 프레임 또는 섀시에 중량부를 구비하므로 낙하 시, 평판표시장치 또는 모바일 기기가 회전하여,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진동 또는 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낙하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 또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의 크랙 및 파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예를 들면, 평판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4 실시예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평판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표시장치(100)는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40)와 광을 공급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를 포함한다. 또한 평판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40)를 감싸서 고정 지지하기 위한 탑 섀시(60), 몰드 프레임(62) 및 바텀 섀시(66)를 구비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는 액정패널(75)에 광을 가이드 하여 공급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40) 상에 위치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패널(75)을 제어한다. 액정패널 어셈블리(70)는 액정패널(75), 집적회로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77), 보호막(78)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79)을 포함한다. 보호막(78)은 집적회로칩(77)의 주위를 둘러싸서 집적회로칩(77)을 보호한다.
액정패널(75)은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TFT 기판(73), TFT 기판(73)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기판(71), 및 이 기판들(71, 73)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집적회로칩(77)은 TFT 기판(73) 상에 실장되어 액정패널(75)을 제어한다.
TFT 기판(73)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며,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액정패널(75)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9)에 연결되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9)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TFT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집적회로칩(77)은 평판표시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데이터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를 액정패널(75)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가한다.
한편, TFT 기판(73) 위에 대향하여 컬러필터기판(71)이 배치된다. 컬러필터기판(71)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으로써, 전면에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기판(71)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 전계에 의해 TFT 기판(73)과 컬러필터기판(71)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컬러필터기판(71) 및 TFT 기판(73)의 표면에는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되어 광을 편광시킨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40)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액정패널(75)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도록 몰드 프레임(62)에 둘러싸여 고정 지지되고, 또한 바텀 섀시(66) 상에 수납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는 액정패널(75)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으로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41)(점선 도시), 발광 다이오드(41)를 구동하여 광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3),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여 액정패널(75)로 공급하는 도광판(10), 도광판(10)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여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46),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의 광의 휘도 특성을 확보하여 액정패널(75)로 광을 공급하는 광학 시트(48)를 포함한다. 특히, 도1에는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광원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이외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선광원 또는 면광원 형태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텀 섀시(66)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되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9)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액정패널(75)에 공급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또 다른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3)과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41)에 전력을 공급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43)은 발광 다이오드(41)를 부착하여, 도광판(10)과 함께 몰드 프레임(62)에 감싸여 지지된다.
탑 섀시(60)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 상에 구비되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9)을 몰드 프레임(62)의 외부로 절곡시키면서 바텀 섀시(66)에 결합된다. 따라서 액정패널 어셈블리(70)가 바텀 섀시(66)에 고정될 수 있다. 도광판(10)의 일측면이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41)에 대향 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도광판(10)에 입사되는 경우,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켜서 발광 다이오드(41)의 맞은편에 위치한 도광판(10)의 대광부까지 광이 도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몰드 프레임(62)은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중량부(63)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중량부(63)는 발광 다이오드(41)가 위치하는 몰드 프레임(62)의 전방에서 바텀 섀시(66)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중량부(63)는 평판표시장치(100) 낙하 시, 평판표시장치(100)를 회전시키므로 평판표시장치(100)가 면으로 바닥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파손을 최소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중량부(63)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에 대하여 편심을 형성하며, 또한 몰드 프레임(62)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재질로 별도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바텀 섀시(66)는 몰드 프레임(62)을 수납할 때, 중량부(63)와 결합하도록 중량부(6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합홈(67)을 구비한다.
중량부(63)는 가요성 유연회로기판(43)의 폭 방향(x축 방향) 양단에서 바텀 섀시(66)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중량부(631)와 제2 중량부(632)를 포함한다. 또한 바텀 섀시(66)는 제1 중량부(631)와 제2 중량부(632)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결합홈(671)과 제2 결합홈(672)을 형성한다. 몰드 프레임(62)이 바텀 섀시(66)에 수납될 때, 제1 중량부(631)와 제2 중량부(632)는 각각 제1 중량부(631)와 제2 중량부(632)에 결합된다. 따라서 평판표시장치(100)가 선 상태로 바닥에 접하므로 중량부(63)를 구비하지 않아서 면 상태로 바닥에 접하는 경우보다 액정패널 어셈블리(70)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중량부(63)는 제1, 제2 중량부(631, 632) 중 어느 하나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 경우, 낙하 시, 평판표시장치(100)는 점 상태로 바닥에 접할 수도 있다.
도4는 도3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1, 도3 및 4를 참조하면, 중량부(63) 또는 제1, 제2 중량부(631, 632)는 몰드 프레임(62)의 하면에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결합홈(67) 또는 제1, 제2 결합홈(671, 672)은 중량부(63) 또는 제1, 제2 중량부(631, 632)의 2측면에 대응하는 절개홈으로 형성된다. 바텀 섀시(66)의 결합홈(67) 또는 제1, 제2 결합홈(671, 672)은 중량부(63) 또는 제1, 제2 중량부(631, 632)를 구비한 몰드 프레임(62)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200)에서, 중량부(263)는 몰드 프레임(26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측면이 상하 방향으로 좁아지는 사선 구조로 바텀 섀시(266)를 향하여 돌출되어 액정패널 어셈블리(70)에 대하여 편심을 형성하며, 바텀 섀시(266)에 형성된 결합홈(267)에 결합된다. 결합홈(267)은 중량부(263)의 2측면에 대응하는 절개홈으로 형성된다. 바텀 섀시(266)의 결합홈(267)은 중량부(263)를 구비한 몰드 프레임(262)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중량부(263)는 몰드 프레임(262) 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재질로 별도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평판표시장치(200) 낙하 시, 중량부(263)에 대응하는 몰드 프레임(262)의 전방 측이 바닥에 접하면서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파손을 최소화시킨다. 제2 실시예의 중량부(263)는 몰드 프레임(262)의 전방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에서, 몰드 프레임과 바텀 섀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300)에서, 바텀 섀시(366)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중량부(68)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중량부(68)는 발광 다이오드(41)가 위치하는 바텀 섀시(366)의 후방에서 바텀 섀시(366)의 외면에 부착된다. 중량부(68)는 바텀 섀시(366)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바텀 섀시(366)의 바닥보다 더 돌출된다. 또한 중량부(68)는 바텀 섀시(366) 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재질로 별도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평판표시장치(300) 낙하 시, 중량부(68)에 대응하는 바텀 섀시(366)의 후방 측이 바닥에 접하면서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파손을 최소화시킨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400)는 유기발광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평판표시장치(400)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후방에서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섀시(240), 및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2)을 통해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36)을 포함한다.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는 표시 영역(A10)과 패드 영역(A20)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A10)에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는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제2 기판(14)은 제1 기판(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실런트(미도시)에 의해 제2 기판(14)의 가장자리는 제1 기판(12)에 고정된다. 표시 영역(A10)은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의 중첩 영역에서 실제 영상을 표시하며, 실런트 내측에 위치한다. 패드 영역(A20)은 실런트 외측의 제1 기판(12) 위에 위치한다.
RGB 화소들은 제1 기판(12)의 표시 영역(A10)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는 표시 영역(A10)과 실런트 사이 또는 실런트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기판(12)의 패드 영역(A20)에는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 전극들이 위치한다.
제2 기판(14)은 실런트에 의해 제1 기판(1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합되어, 제1 기판(12)에 형성된 구동 회로부들과 유기발광 소자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한다.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에서, 제1 기판(12)이 하부 기판으로 되고, 제2 기판(14)이 상부 기판으로 될 수 있다.
집적회로칩(30)은 패드 영역(A20)에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실장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2)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실장된다. 보호막(34)은 집적회로칩(30)과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2)의 주위에 형성되어, 패드 영역(A20)에 형성된 패드 전극들을 덮어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36)은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도시하지 않음)을 실장하고 있으며, 외부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38)를 구비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2)은 일측으로 패드 영역(A20)에 고정되고, 섀시(240)의 뒤쪽으로 접혀서 다른 일측으로 인쇄회로기판(36)에 연결된다. 즉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2)은 인쇄회로기판(36)이 섀시(240)의 뒷면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섀시(240)은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가 놓여지는 바닥(42)과,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들에 마주하는 측벽들(44)을 포함한다. 측벽들(44)은 바닥(42)의 가장자리로부터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를 향해 연장되어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들과 마주한다. 섀시(240)의 바닥(42)과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제1 기판(12)은 서로의 사이에 제공되는 접착 테이프(47)로 접착된다. 즉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는 섀시(240)에 고정된다.
도9는 도8의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섀시(240)는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중량부(69)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중량부(69)는 패드 영역(A20)이 위치하는 섀시(240)의 후방에서 섀시(240)의 측벽(44) 외면에 부착된다. 중량부(69)는 섀시(240)의 측벽(44) 외면을 따라 형성되어 섀시(240)의 바닥(42)보다 더 돌출된다. 또한 중량부(69)는 섀시(240) 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재질로 별도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중량부(69)는 평판표시장치(400) 낙하 시, 평판표시장치(400)를 회전시키므로 평판표시장치(400)가 중량부(69)에 대응하는 섀시(240)의 후방 측이 바닥에 접하면서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20)의 파손을 최소화시킨다.
도10은 본 발명의 평판표시장치를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500)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도시된 평판표시장치(100, 200, 300, 400) 중 하나를 포함한다. 편의상, 여기서는 제3 실시예의 평판표시장치(300)를 적용한 구성을 예로 들어 모바일 기기(500)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500)는 평판표시장치(300)와, 이 평판표시장치(300)를 장착하는 장착홈(51)을 구비하는 바디(52)를 포함한다. 평판표시장치(300)는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중량부(68)를 구비하므로 모바일 기기(500)는 또한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 구조를 형성한다.
모바일 기기(500) 낙하시, 중량부(68)는 모바일 기기(500)를 회전시켜서 모바일 기기(500)가 바닥에 면으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평판표시장치(300)의 진동 또는 휨을 방지한다. 따라서 낙하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 어셈블리(70)의 크랙 및 파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500)는 바디(52)에 다른 중량부(5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바디(52)에 형성되는 중량부(54)는 평판표시장치(300)에 형성된 중량부(68)에 더하여, 모바일 기기(500) 낙하 시,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52)의 중량부(54)는 평판표시장치(300) 중량부(68)의 편심을 상쇄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중량부(54)는 바디(52) 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큰 재질로 별도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52)의 중량부(54)는 평판표시장치(300) 중량부(6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중량부(54)는 발광 다이오드(41)가 위치하는 바텀 섀시(366)의 후방에 대응하는 바디(52)의 바닥 외면에 부착된다. 또한 바디(52)에 중량부(54)를 형성하는 경우, 평판표시장치(300)에는 중량부(68)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미도시).
바디(52)는 장착홈(51)에 평판표시장치(300)를 수용하고, 평판표시장치(300)와 장착홈(51)의 표면은 서로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완충 공간은 모바일 기기(500)의 회전에 더하여, 낙하시 바디(5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 흡수한다. 또한, 바디(52)는 완충 공간에 완충부재(53)를 채워둘 수 있다. 완충부재(53)는 장착홈(51)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흡수하여 평판표시장치(300)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도광판 12, 14 : 제1, 제2 기판
20 : 유기발광패널 어셈블리 34, 78 : 보호막
36 : 인쇄회로기판 38 : 커넥터
40 : 백라이트 어셈블리 41 : 발광 다이오드
42 : 바닥 44 : 측벽
46 : 반사 시트 47 : 접착 테이프
48 : 광학 시트 51 : 장착홈
52 : 바디 53 : 완충부재
70 : 액정패널 어셈블리 60 : 탑 섀시
62, 262 : 몰드 프레임 63, 263, 68, 69, 54 : 중량부
66, 266, 366 : 바텀 섀시 67, 267 : 결합홈
71 : 컬러필터기판 73 : TFT 기판
75 : 액정패널 77, 30 : 집적회로칩
79, 43, 32 :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00 : 액정표시장치
200, 300 : 평판표시장치 240 : 섀시
400 : 유기발광표시장치 500 : 모바일 기기
631, 632 : 제1, 제2 중량부 671, 672 : 제1, 제2 결합홈
A10 : 표시 영역 A20 : 패드 영역

Claims (17)

  1.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어셈블리;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부착하여 광을 생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도광판의 측면으로 새는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을 수용하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액정패널 어셈블리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사선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새시는 상기 중량부에 대응하여 상기 중량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섀시를 향하여 돌출되는 평판표시장치.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섀시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중량부와 제2 중량부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제1 중량부와 상기 제2 중량부 각각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중량부 및 상기 제2 중량부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을 형성하는 평판표시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중량부의 2측면에 대응하는 절개홈으로 형성되는 평판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2, 4, 5,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평판표시장치; 및
    상기 평판표시장치를 장착하는 장착홈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평판표시장치와 상기 장착홈의 표면은 서로의 사이에 완충 공간을 형성하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평판표시장치에 형성되는 중량부에 더하여 상기 편심을 증가시키는 다른 중량부를 더 형성하는 모바일 기기.
KR1020100009248A 2010-02-01 2010-02-01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1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48A KR101117638B1 (ko) 2010-02-01 2010-02-01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JP2010225028A JP5501188B2 (ja) 2010-02-01 2010-10-04 平板表示装置、及びモバイル機器
US12/904,089 US8421743B2 (en) 2010-02-01 2010-10-13 Flat panel display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TW099135153A TWI525368B (zh) 2010-02-01 2010-10-15 平面顯示器及使用其之行動裝置
CN201010538866.XA CN102141694B (zh) 2010-02-01 2010-11-05 平板显示器及使用该平板显示器的移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248A KR101117638B1 (ko) 2010-02-01 2010-02-01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727A KR20110089727A (ko) 2011-08-09
KR101117638B1 true KR101117638B1 (ko) 2012-03-06

Family

ID=4434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7638B1 (ko) 2010-02-01 2010-02-01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21743B2 (ko)
JP (1) JP5501188B2 (ko)
KR (1) KR101117638B1 (ko)
CN (1) CN102141694B (ko)
TW (1) TWI5253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12B1 (ko) * 2010-11-29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82736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1854694B1 (ko) * 2011-09-30 2018-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04465B1 (ko) * 2012-03-29 2018-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1979244B1 (ko) 2012-05-15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탑샤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E202012007225U1 (de) 2012-07-26 2012-11-07 Lg Electronics Inc. Bildanzeigevorrichtung und Fernbedienung
US20140118288A1 (en) * 2012-10-29 2014-05-01 Lenovo (Singapore) Pte, Ltd Mechanical structure for system using flush surface display design
TWI498636B (zh) * 2012-11-07 2015-09-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CN103050062A (zh) * 2012-12-28 2013-04-1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第六三一研究所 一种防雾防辐射显示器及其加工方法
KR101989056B1 (ko) * 2013-01-03 2019-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93765B1 (ko) * 2013-02-28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286838B2 (ja) * 2013-03-12 2018-03-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面発光モジュール
US9826640B2 (en) 2013-06-26 2017-11-21 E Ink Holdings Inc. Electronic apparatus
TWI507772B (zh) 2013-06-26 2015-11-11 E Ink Holdings Inc 電子裝置
KR101588928B1 (ko) 2013-07-24 2016-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US10782010B2 (en) * 2013-08-27 2020-09-22 Signify Holding B.V. Edge-lit lighting fixture sensor shield
US9374869B1 (en) * 2013-08-27 2016-06-2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 distribution control of an edge-lit lighting device
TWI468790B (zh) * 2013-12-12 2015-01-1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
KR101541352B1 (ko) * 2014-02-27 2015-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743536B2 (en) 2014-11-24 2017-08-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assembly
KR102502077B1 (ko) * 2015-10-19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793608B (zh) * 2015-11-25 2019-06-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CN107146546A (zh) * 2017-07-13 2017-09-08 中山市山木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高密度小间距led显示屏
KR102599459B1 (ko) * 2018-06-07 202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CN113870691B (zh) * 2020-06-30 2025-03-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220381568U (zh) * 2023-03-31 2024-01-23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19B1 (ko) * 2008-02-18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9085B2 (ja) 1996-07-25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0333128A (ja) 1997-06-03 1998-12-18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50022057A (ko) 2003-08-26 2005-03-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액정화면 보호장치
KR101034098B1 (ko) 2004-04-10 201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완충장치
KR20060033482A (ko) * 2004-10-15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0629841B1 (ko) 2005-03-21 2006-09-29 (주)네오디스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KR101186877B1 (ko) 2005-04-22 2012-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조절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이엘 패널
KR20070083078A (ko) *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0786479B1 (ko) * 2006-09-22 2007-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CA2671959A1 (en) * 2006-12-07 2008-06-12 Qun Zheng Lenticular image display
KR20080058796A (ko)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4660507B2 (ja) * 2007-01-03 2011-03-30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100867653B1 (ko) 2007-03-16 2008-11-10 주식회사 토비스 액정디스플레이(lcd)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918054B1 (ko) 2008-01-02 2009-09-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47429B1 (ko) * 2008-01-28 2010-03-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MY163704A (en) * 2009-09-16 2017-10-13 Sharp Kk Ligh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19B1 (ko) * 2008-02-18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01188B2 (ja) 2014-05-21
CN102141694A (zh) 2011-08-03
KR20110089727A (ko) 2011-08-09
TW201207483A (en) 2012-02-16
TWI525368B (zh) 2016-03-11
US20110187692A1 (en) 2011-08-04
US8421743B2 (en) 2013-04-16
CN102141694B (zh) 2015-06-24
JP2011158883A (ja)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638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0711872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313653B1 (ko) 액정표시장치
US7777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32917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1719817B1 (ko) 액정표시장치
US8908119B2 (en) Mold fr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873701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60090392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20080052903A (ko) 표시 장치
KR20080067845A (ko) 표시 장치
KR102123074B1 (ko) 표시장치
KR10079354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94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2465447B1 (ko) 고정테이프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121478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60021559A (ko) 구동 집적회로칩 보호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81588A (ko) 접착력을 향상시킨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평판표시장치
KR100852346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130029309A (ko) 액정표시 장치
KR20070079684A (ko) 양방향 표시장치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80054503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