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7486B1 - 튀김기 - Google Patents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86B1
KR101117486B1 KR1020110039990A KR20110039990A KR101117486B1 KR 101117486 B1 KR101117486 B1 KR 101117486B1 KR 1020110039990 A KR1020110039990 A KR 1020110039990A KR 20110039990 A KR20110039990 A KR 20110039990A KR 101117486 B1 KR101117486 B1 KR 101117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oil
frying
tank
oi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530A (ko
Inventor
윤유원
Original Assignee
윤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유원 filed Critical 윤유원
Priority to KR102011003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유조;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결합되고, 전원부와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히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가 상기 히트파이프의 열에 의해 탄화되지 않도록, 상기 유조의 바닥면과 상기 히트파이프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위치하고, 상기 유조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튀김기{Fryer}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조의 바닥면을 히트파이프와 일정거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유조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의 산화를 방지하여 튀김유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튀김찌꺼기가 히트파이프 표면에 유착되어 탄화됨으로써 히트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 요리는 고온으로 가열된 튀김유에 밀가루 혹은 튀김 가루가 묻혀진 튀김물을 넣어 조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가스 혹은 전기가 열원으로 공급된다.
종래 튀김기에서는 조리 열원을 제공하는 고온의 히트파이프와 유조의 바닥면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고 있지 않음으로 인해, 튀김물 조리시 발생하여 유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가 고온의 히트파이프에 의해 탄화되고 튀김유가 산화되어 튀김유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와 탄화된 튀김찌꺼기는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튀김요리의 위생에도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히트파이프에 튀김 찌꺼기가 유착되어 탄화되는 경우 히트파이프에 구멍이 생성되는 등 히트파이프가 손상을 입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최초 가열되지 않은 튀김유를 유조에 담고 가열하면, 유조내의 튀김유는 히트파이프를 경계로 하여 유조 상부의 튀김유는 고온이나 유조 하부의 튀김유는 저온으로 유지되어 유조 하부의 튀김유가 유조 상부로 대류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 튀김유 정제기를 튀김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튀김유 정제기에서 상기 고온과 저온의 튀김유가 혼합된 고온의 튀김유가(고온의 튀김유가 저온의 튀김유 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다시 튀김기의 유조에 주유될 경우 고온과 저온의 평균 온도상태가 된다.(예 고온부:175도 기름과 저온부: 25도 정제후: 100도) 이 상태로 튀김물을 조리하면, 상기 온도 구획발생에 의한 대류억제 효과가 사라져 유조 하부의 튀김찌꺼기가 대류에 의해 히트파이프 위쪽으로 이동되어 튀김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의 산화가 촉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튀김물이 담겨진 튀김망을 유조 내부에 넣고 조리하는 경우, 조리시 튀김물에 골고루 열이 전달되도록 튀김망을 전후로 흔들면서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튀김망이 유조 내부에 설치된 히트파이프에 닿게 되어 히트파이프가 손상되거나 히트파이프 뒷편에 위치하는 온도감지센서가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유조의 바닥면과 히트파이프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유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히트파이프의 열에 의한 튀김 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의 산화를 방지하고, 또한 유조 하부에 냉각부를 구비함으로써 정제된 고온의 튀김유가 주유된 경우 유조 하부의 온도를 더욱 빨리 낮추어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가 히트파이프 상부로 대류되어 이동되지 않도록하며, 또한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시 튀김망의 전후 이동에 의한 히트파이프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유조;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결합되고, 전원부와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히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가 상기 히트파이프의 열에 의해 탄화되지 않도록, 상기 유조의 바닥면과 상기 히트파이프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위치하고, 상기 유조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기를 제공한다.
상기 튀김기는 상기 유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 상기 공기유출부에 결합된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조에 수용된 튀김유의 복사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유조 사이에 이격거리를 둘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폐시키는 조정핸들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튀김기는 튀김유 정제기의 주유건을 거치할 수 있는 주유건 걸이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상기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전원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조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히트파이프 및 온도감지센서 부분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히터부의 상기 전원부는 상기 히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는, 유조의 바닥면과 히트파이프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함으로써, 히트파이프의 열에 의한 유조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 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튀김찌꺼기가 히트파이프 표면에 유착되어 탄화됨으로써 히트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유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경사진 유조의 바닥면을 따라 퇴적된 튀김 찌꺼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조 하부에 냉각부를 구비함으로써, 정제된 고온의 튀김유가 주유된 경우 유조 하부의 온도를 더욱 빨리 낮추어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가 히트파이프 상부로 대류되지 않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최초 가열되지 않은 튀김유를 유조에 담고 가열하면, 유조내의 튀김유는 히트파이프를 경계로 하여 유조 상부의 튀김유는 고온의 상태로 유지되고 유조 하부의 튀김유는 저온으로 유지되어 유조 하부의 튀김유가 유조 상부로 대류되지 않아 유조 하부에 퇴적된 튀김 찌꺼기가 히트파이프 상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 튀김유 정제기를 튀김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튀김유 정제기에서 상기 고온과 저온의 튀김유가 혼합된 고온의 튀김유가(고온의 튀김유가 저온의 튀김유 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다시 튀김기의 유조에 주유될 경우 고온과 저온의 평균 온도상태가 된다.(예 고온부:175도 기름과 저온부: 25도 정제후: 100도) 이 상태로 튀김물을 조리하면, 상기 온도 구획발생에 의한 대류억제 효과가 사라져 유조 하부의 튀김찌꺼기가 대류에 의해 히트파이프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히트파이프와 튀김 찌꺼기의 접촉빈도가 늘어나 튀김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의 산화가 촉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조 하부에 냉각부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 구획발생을 유도함으로써 튀김 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의 산화를 억제하고 상기 탄화에 의한 발암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시 튀김망의 전후 이동에 의한 히트파이프 및 온도감지센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히터부의 히트파이프와 유조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과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강조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유조의 하부에 냉각부를 포함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주유건 걸이구를 더 포함한 튀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한 히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히터부가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히트파이프의 상.하부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기(100)를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히터부(120)의 히트파이프(122)와 유조(130)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과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강조한 도면이다.
히터부(120)는 히트파이프(122)와 전원부(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트파이프(122)는 상기 유조(130)의 내부에 안치되며 양단은 전원부(121)에 결합되고 튀김유에 열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122)의 형상은 'ㄴ'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조(13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튀김유와 접촉면적을 늘려 튀김유에 전달되는 열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절곡된 물결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조(13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튀김유가 배출되는 드레인 밸브(131)를 포함한다. 튀김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튀김 찌꺼기가 퇴적되는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은 상기 히터부(120)의 히트파이프(122)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위치시키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종래의 튀김기는 유조의 바닥면과 히트파이프 사이의 거리가 불과 3 내지 5센티미터에 불과해 유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 찌꺼기가 고온의 히트파이프에 의해 탄화되고 튀김유도 산화되어 튀김물과 튀김유의 질 저하 문제가 심각하였다. 또한 퇴적된 튀김 찌꺼기가 고온의 히트파이프에 유착된 상태로 탄화되면서 히트파이프에 구멍을 생성시키는 등 히트파이프의 손상으로 튀김기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고 종국적으로 튀김기의 수명을 단축시켰고, 탄화된 튀김 찌꺼기는 발암물질 등을 생성시켜 튀김물의 위생문제를 야기시켰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과 상기 히트파이프(122)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가 상기 고온의 히트파이프(122)에 의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 튀김기에서 발생하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과 상기 히트파이프(122) 사이에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공지기술의 전용 내지 단순 발견이 아닌 후술할 실험데이터에 근거한 것으로, 종래기술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당업자들이 상기와 같은 이격거리를 두더라도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 찌꺼기가 대류에 의해 히트파이프 상부로 이동할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히트파이프의 하부와 상부에 온도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튀김기를 작동시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6에 나타나듯이 상기 측정결과 종래의 예상과 달리 히트파이프 상부의 튀김유 온도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온도가 상승되는 것에 비해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 온도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측정결과를 토대로 튀김유의 온도에 따른 비중을 고려할 때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는 히트파이프 상부의 튀김유에 비해 온도가 월등히 낮고 비중이 월등히 크므로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고 하부의 튀김유가 히트파이부 상부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결과를 토대로 본 출원인은 상기 이격거리를 두는 것이 튀김 찌꺼기의 탄화 및 튀김유 산화방지에 효과가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창안하였다.
상기 이격거리는 10센티미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사용환경(튀김물 종류, 조리시 히트파이프의 온도, 튀김유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험결과를 분석해 볼 때 히트파이프 하부의 튀김유는 히트파이프 상부로 이동되지 않고 튀김물 조리에 사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튀김물 조리에 사용되지 않고 히트파이프 하부에 머무르는 튀김유의 용량을 줄여 경제적 효과를 얻고 또한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에 퇴적되는 튀김 찌꺼기가 한 곳으로 모여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유조(13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의 형성은 45도(deg)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환경(튀김 찌꺼기의 질량, 튀김유의 가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유조(130)의 하부에 냉각부(140)를 포함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냉각부(140)는 공기유입부(141)와, 공기유출부(142), 냉각팬(143)을 포함하며, 상기 유조(1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41)는 상기 본체(110)의 정면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출부(142)는 상기 공기유입부(141)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유출부(142)에는 상기 공기유입부(14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유출부(142)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냉각팬(143)이 결합된다.
물론 상기 공기유출부(142)와 공기유입부(141)의 모양, 위치, 갯수는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122)를 경계로 온도 구획이 발생하는데, 상기 냉각부(140)는 상기 온도구획의 발생을 촉진.유지하여, 상기 히트파이프(122) 하부에 위치하고 튀김 찌꺼기를 포함한 튀김유가 대류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첨언하면, 최초 가열되지 않은 튀김유를 튀김기에 넣고 가열하는 경우는 상기 온도구획이 발생하나, 고온의 튀김유가 튀김기에서 배출되어 정제기를 통해 다시 튀김기로 주유된 상태에서는 상기 히트파이프(122)의 상.하부의 온도차가 크지 않아 하부의 튀김유가 상부로 섞이면서 튀김 찌꺼기가 상기 히트파이프(122)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140)를 상기 유조(130)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트파이프(122) 하부의 튀김유의 온도를 더욱 빨리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온도구획 발생을 촉진하고, 상기 히트파이프(122) 상.하부의 튀김유의 대류를 억제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히트파이프(122)와의 접촉에 의해 튀김 찌꺼기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과 상기 유조(130) 사이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둘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를 둠으로써, 상기 유조(130)에 수용된 튀김유의 복사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조리시 상기 유조(130)에 수용된 고온의 튀김유의 복사열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는 5 내지 10 센티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거리를 5 내지 10 센티미터로 하면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이 저온으로 유지되면서 사용자가 조리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없다. 그러나 상기 이격거리를 10 센티미터 이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유조(130)의 부피가 작아져 튀김망이 상기 유조(130) 내부에 들어가지 않아 조리시 불편함이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14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을 저온으로 유지하는데 보다 큰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냉각부(140)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과 상기 유조(130) 사이의 공기가 순환하게 되어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유조(130)의 하부에 포함된 드레인 밸브(131)를 개폐시키는 조정핸들(132)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주유건 걸이구(150)를 더 포함한 튀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튀김기는 주유건 걸이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유건 걸이구(150)는 상기 본체(110)에 거치되는 거치대와 주유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구는 중공의 짧은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유건 걸이구(15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 테두리에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유건 걸이구(150)는 상기 본체(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본체(110)와 분리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유건 걸이구(150)는 상기 본체(110)가 아닌 상기 유조(130)에 거칠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221)을 더 포함한 히터부(2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호판(221)은 상기 전원부(121)에 결합되고, 상기 유조(13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히트파이프 부분과 튀김망 사이를 차단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보호판(221)은 상기 유조(130) 내의 튀김유가 원활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튀김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는 일반적으로 본체 후면의 히트파이프 근처에 위치하는데, 상기 보호판(221)을 더 구비함으로써 튀김망으로부터 상기 히트파이프(122)와 온도감지센서(미도시)를 모두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히터부(120)(220)가 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히터부(120)(220)는 전원부(121), 히트파이프(122) 또는 전원부(121), 히트파이프(122), 보호판(2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부(120)(220)는 본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결합은 상기 전원부(121)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경첩(125)을 부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는 핀 등 다양한 회전부재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히트파이프(122)와 보호판(221)은 모두 전원부(121)에만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원부(1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히트파이프(122), 보호판(221)을 포함한 상기 히터부(12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21)는 상기 히터부(120)(2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123)를 더 포함한다.
종래에는 히트파이프가 유조 내부에 고정이 되어 있었으므로 유조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유조 바닥을 청소할 때, 히트파이프가 물결형상의 굴곡을 이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청소도구를 유조 바닥에 넣고 닦기가 매우 힘들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히터부(120)(220)를 상기 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함함으로써, 청소를 할 때 상기 회전손잡이(123)를 이용하여 상기 히터부(120)(220)를 회전시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히트파이프(122)를 유조 외부로 들어내어 유조 내부를 청소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튀김기 110 본체
120 히터부
121 전원부 122 히트파이프
123 회전손잡이 130 유조
131 드레인 밸브 132 조정핸들
140 냉각부 141 공기유입부
142 공기유출부 143 냉각팬
150 주유건 걸이구
220 보호판을 포함한 히터부
221 보호판

Claims (6)

  1. 하부에 지지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유조;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에 결합되고, 전원부와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진 히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조의 바닥면에 퇴적된 튀김찌꺼기가 상기 히트파이프의 열에 의해 탄화되지 않도록, 상기 유조의 바닥면과 상기 히트파이프는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위치하고, 상기 유조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출부, 상기 공기유출부에 결합된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조에 수용된 튀김유의 복사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유조 사이에 5 내지 10 센티미터의 이격거리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히트파이프를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전원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조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히트파이프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히터부의 상기 전원부는 상기 히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튀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폐시키는 조정핸들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튀김기.
  4. 제1항에 있어서, 튀김유 정제기의 주유건을 거치할 수 있는 주유건 걸이구를 더 포함하는 튀김기.
  5. 삭제
  6. 삭제
KR1020110039990A 2011-04-28 2011-04-28 튀김기 KR10111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90A KR101117486B1 (ko) 2011-04-28 2011-04-28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90A KR101117486B1 (ko) 2011-04-28 2011-04-28 튀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99U Division KR20100008416U (ko) 2009-02-16 2009-02-16 튀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530A KR20110061530A (ko) 2011-06-09
KR101117486B1 true KR101117486B1 (ko) 2012-02-24

Family

ID=4439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90A KR101117486B1 (ko) 2011-04-28 2011-04-28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10B1 (ko) 2018-12-21 2020-06-22 케이와이식품주식회사 수분배출이 용이한 튀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41B1 (ko) * 2014-06-30 2016-02-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제기능을 갖는 튀김기
KR102500929B1 (ko) * 2021-06-25 2023-02-16 최은정 튀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6525A (ja) * 1985-05-30 1986-12-06 重畳波技研株式会社 濾過機構付フライヤ−
KR200214880Y1 (ko) * 2000-08-26 2001-02-15 송영주 다용도 튀김기
JP2007125145A (ja) * 2005-11-02 2007-05-24 Fuji Creation Kk フライヤ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6525A (ja) * 1985-05-30 1986-12-06 重畳波技研株式会社 濾過機構付フライヤ−
KR200214880Y1 (ko) * 2000-08-26 2001-02-15 송영주 다용도 튀김기
JP2007125145A (ja) * 2005-11-02 2007-05-24 Fuji Creation Kk フライヤ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10B1 (ko) 2018-12-21 2020-06-22 케이와이식품주식회사 수분배출이 용이한 튀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530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35B1 (ko) 조리용 쿠커
ES2747785T3 (es) Dispositivo para calentar y/o cocer productos cárnicos
US20120097046A1 (en) Kabob cooker and grill
KR101134138B1 (ko) 수유 튀김기
KR100243524B1 (ko) 튀김 조리기
CN207640235U (zh) 一种带储油槽的空气炸锅
KR101117486B1 (ko) 튀김기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US20050028803A1 (en) Barbeque
KR20100008416U (ko) 튀김기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KR20120048237A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493896B1 (ko)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숯불 구이기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101035521B1 (ko) 튀김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EP3446043B1 (en) Boiler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20200056594A (ko) 다기능 전기 구이기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200456047Y1 (ko) 전기튀김기
KR100913250B1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6 Converted application

Comment text: Converted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61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