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7283B1 -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283B1
KR101117283B1 KR1020040081104A KR20040081104A KR101117283B1 KR 101117283 B1 KR101117283 B1 KR 101117283B1 KR 1020040081104 A KR1020040081104 A KR 1020040081104A KR 20040081104 A KR20040081104 A KR 20040081104A KR 101117283 B1 KR101117283 B1 KR 10111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dual mode
network
packet data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091A (ko
Inventor
이상도
이지철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283B1/ko
Priority to US11/246,113 priority patent/US7372835B2/en
Priority to RU2007113186/09A priority patent/RU2345487C2/ru
Priority to CN2005800345877A priority patent/CN101040463B/zh
Priority to PCT/KR2005/003383 priority patent/WO2006080749A1/en
Publication of KR2006003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7Mobility data transfer for preserving data network PoA address despite hand-o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무선랜망과의 접속이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접속된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한편,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액티브 상태로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이 다시 액티브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받은 기존의 IP 주소를 유지함으로써 상위 계층의 세션을 유지하고 3G 이동통신 시스템에 위치한 단말에게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 무선랜망, 듀얼모드 단말,

Description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LAN}
도 1은 종래의 이종망간의 핸드오프 처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도 5는 도 2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에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6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2 단계(S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6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3 단계(S3)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6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3 단계(S3)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10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100 단계(S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2는 도 10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200 단계(S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10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200 단계(S200)의 다른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3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의 제 200 단계(S200) 중 제 203 단계(S203)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10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중 제 300 단계(S300)의 다른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5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의 제 300 단계(S300) 중 제 301 단계(S301)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 101 :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
200 : 무선랜 망 300 : 듀얼모드 단말
본 발명은 이종 망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갖는 듀얼 모드 단말의 IP 주소의 변경 없이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망간의 핸드오프의 수행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오프란 이동전화 이용자가 이동을 하며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화가 끊기지 않게 이어주는 기능을 말한다.
이동전화 핸드오프에는 기지국과 기지국간에 발생하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 교환기와 교환기간의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기지국 내 섹터(sector) 간에 발생하는 소프터 핸드오프(softerhand off) 등이 있다.
소프트 핸드오프는 하나의 기지국이 이동전화 이용자의 신호를 가지고 있다가 다른 기지국이 신호를 접수받은 뒤 기존 신호를 끊는 방식이고, 하드 핸드오프는 기지국이 기존 신호를 끊은 뒤 다른 기지국으로 신호를 넘기는 방식이다.
따라서, 종래의 핸드오프는 단일망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이종망간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모드 단말이 모바일 IP 주소를 이용하여 무선랜에서 셀룰러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이종망간의 핸드오프는 PDSN와 기지국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AR과 AP를 구비한 무선랜망, HA를 구비한 CN 호스트, 및 듀얼모드 단말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PDSN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IP 망에 접속하는 단말 및 사용자에게 과금/인증 기능, PPP 접속 기능, IP 라우팅 기능, 버티 컬 핸드오버 기능 등을 제공하는 교환망이다.
그리고, 모바일 IP를 지원하는 경우 외부 식별 에이전트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과의 무선 접속규격을 처리하는 장치들로 구성된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무선랜망의 AR(Access Router)은 무선랜을 통해서 IP 망에 접속하는 단말 및 사용자에게 과금/인증 기능, IP 라우팅 기능, 버티컬 핸드오버 기능 등을 제공하는 무선랜 억세스 라우터이다.
그리고, 모바일 IP를 지원하는 경우 외부 식별 에이전트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망의 AP(Access Point)는 무선랜에 접속하는 단말과의 무선랜 접속규격을 처리하고 무선랜과 유선랜 사이에서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또한, 상기 HA(Home Agent)는 모바일 IP 기능을 지원하는 홈 에이전트 장비이다.
그리고, 상기 CN(Correspondent Node)은 듀얼모드 단말과 IP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호스트를 말한다.
상기 듀얼모드 단말은 무선랜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종래 이종망간의 핸드오프 방법은 홈 IP주소를 사용하는 단말이 무선랜에서 3G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한 후에도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전송되는 모든 패킷들을 홈 에이전트가 가로챈 다음 실제로 단말 위치한 망으로 전송해주므로 일정 수준의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이종망간의 핸드오프 방법은 모바일 IP에 따른 이동성 판단과 신호 전송로 인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홈 에이전트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현재 사용 서비스 중인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IP 주소를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모드 단말에게 제공된 IP 주소의 변경 없이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망간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무선랜망 또는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해제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한편,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 및 듀얼모드 단말이 자신의 영역으로 들어왔을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랜망을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 및 무선랜망과의 접속이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접속된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제 1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한편,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망 영역에서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00 단계; 및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 아니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200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 무선랜망(200), 및 듀얼모드 단말(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최초로 접속할 경우 PPP 세션을 설정하는 동시에 IP 주소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무선랜망(200)으로 이동하면 무선랜망(200)과 터널링을 설정한다.
만약,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무선랜망(200)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인지를 판단하고, 자신이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면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한 후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재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과의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동시에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 아닌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과의 터널링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반면에,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면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재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망(200)은 듀얼모드 단말(300)이 자신의 영역으로 들어왔을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과 터널링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과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및 무선랜망과의 접속이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접속된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에게 PPP 세션을 설정하는 동시에 IP 주소를 할당한다(S1).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패킷 데이터 호를 발신하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이 기지국을 통해 듀얼모드 단말(300)에게 트 래픽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자원을 할당하고, 듀얼모드 단말(300)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 사이에 PPP 링크설정 절차를 진행한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200)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설정한다(S2).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2 단계(S2)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과 송/수신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무선랜망(200)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1).
이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과 듀얼모드 단말(300)이 송/수신하는 상기 IP 설정 옵션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300)의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1 단계(S21)에서 듀얼모드 단말(300)이 상기 무선랜망(200)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무선랜망(200)과 터널링을 설정한다(S22).
반면에, 상기 제 21 단계에서 듀얼모드 단말(300)이 상기 무선랜망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2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이 무선랜망(200) 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한편,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과 터널링을 설정한다(S3).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3 단계(S3)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로부터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수신한다(S31).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2).
이 때, 상기 제 32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3).
만약, 상기 제 33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S34).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35).
한편, 상기 제 33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41).
반면에,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2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 아니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듀얼모드 단말(300)과의 PPP 세션을 설정한다(S36).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에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과 터널링을 설정한다(S37).
그런 후,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8).
이 때, 상기 제 38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이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S39).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40).
또한, 상기 제 38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듀얼모드 단말(300)과의 PPP 세션을 설정한다(S42).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에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과 터널링을 설정한다(S43).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무선랜망과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랜망 영역에서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100 단계(S1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과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한다(S101).
이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이 듀얼모드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IP 설정 옵션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300)의 IP 주소와, MIN 번호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 때,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 아니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과 터널링을 설정한다(S20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200 단계(S2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등록요청 메시지를 설정하여 상기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으로 전송한다(S201).
이 때, 상기 등록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300)의 IP 주소와, MIN 번호를 포함한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1)으로부터 터널링 생성 결과를 포함하는 등록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터널링을 설정한다(S202).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S203).
이 때, 상기 제 203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S204).
반면에, 상기 제 203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망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205).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으로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31).
이 때, 상기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300)의 IP 주소를 포함 한다.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무선랜망(200)으로부터 등록갱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032).
반면에,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300)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300).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300 단계(S3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S301).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301 단계(S301)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랜망(200)으로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11).
이 때, 상기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300)의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상기 무선랜망(200)으로부터 등록갱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S305).
이 때, 상기 제 301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은 무선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S302).
만약, 상기 제 302 단계에서 무선랜망(200)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망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300)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한다(S303).
이 때, 상기 무선랜망(200)은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랜망(200)은 등록갱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으로 전송하여 터널링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무선랜망(200)은 등록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으로부터 수신한다.
이어서, 상기 무선랜망(200)이 등록해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으로 전송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100)과의 터널링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액티브 상태로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이 다시 액티브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받은 기존의 IP 주소를 유지함으로써 상위 계층의 세션을 유지하고 3G 이동통신 시스템에 위치한 단말에게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듀얼모드 단말이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 이동한 경우 3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까지의 직접적인 터널링을 통해 모바일 IP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의 IP 주소를 재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전송되는 모든 패킷들을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에서 무선랜 라우터까지 터널을 통해 단말까지 전송되므로 상위계층의 세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26)

  1. 이동통신 시스템, 및 무선랜망과의 접속이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접속된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게 IP 주소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망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하면, 이동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상기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한편, 상기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과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인지 판단하고, 자신이 IP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 아닌 경우 이전에 IP 주소를 설정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로부터 패킷 호를 수신하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PPP 링크계층과 IP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상기 듀얼모드 단말과 송/수신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무선랜망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제 21 단계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상기 무선랜망으로 이동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무선랜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단계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상기 무선랜망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IP 설정 옵션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로부터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31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이 이동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2 단계;
    상기 제 32 단계에서 듀얼모드 단말이 상기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3 단계;
    상기 제 33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제 34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35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이 상기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망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 아니면, 상기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상기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듀얼모드 단말과의 PPP 세션을 설정하는 제 36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이전에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37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8 단계;
    상기 제 38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상기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제 39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상기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40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3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41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8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듀얼모드 단말과의 PPP 세션을 설정하는 제 42 단계; 및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주소를 설정하지 않은 일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설정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0. 무선랜망 영역에서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0 단계; 및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 아니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IP 주소를 설정한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00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300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0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과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 101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듀얼모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IP 설정 옵션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의 IP 주소와, MIN 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0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등록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으로 전송하는 제 201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으로부터 터널링 생성 결과를 포함하는 등록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터널링을 설정하는 제 20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의 IP 주소와, MIN 번호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0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 터널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03 단계; 및
    상기 제 203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제 204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3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205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3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으로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031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무선랜망으로부터 등록갱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03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0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과 터널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01 단계; 및
    상기 제 301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제 30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2 단계에서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망이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설정하는 제 30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1 단계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무선랜망으로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011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이 상기 무선랜망으로부터 등록갱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3012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갱신 요청 메시지는, 듀얼모드 단말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
  24.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망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의 핸드오프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랜망 또는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설정/해제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한편, 듀얼모드 단말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 및
    듀얼모드 단말이 자신의 영역으로 들어왔을 때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 터널링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랜망을 포함하되,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상기 듀얼모드 단말과의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하는 동시에 IP 설정 옵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 아니면, 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과의 터널링을 통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25. 삭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망은, 자신이 IP 주소를 설정한 듀얼모드 단말이면 무선랜망과의 터널링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모드 단말의 프락시와 라우팅 정보를 재 설정하는 듀얼모드 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KR1020040081104A 2004-10-11 2004-10-11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11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04A KR101117283B1 (ko) 2004-10-11 2004-10-11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US11/246,113 US7372835B2 (en) 2004-10-11 2005-10-11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RU2007113186/09A RU2345487C2 (ru) 2004-10-11 2005-10-11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адресации вызова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двойного режим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системы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CN2005800345877A CN101040463B (zh) 2004-10-11 2005-10-11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PCT/KR2005/003383 WO2006080749A1 (en) 2004-10-11 2005-10-11 Handoff system and method of dual mode mobile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04A KR101117283B1 (ko) 2004-10-11 2004-10-11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091A KR20060032091A (ko) 2006-04-14
KR101117283B1 true KR101117283B1 (ko) 2012-03-21

Family

ID=3614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04A KR101117283B1 (ko) 2004-10-11 2004-10-11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2835B2 (ko)
KR (1) KR101117283B1 (ko)
CN (1) CN101040463B (ko)
RU (1) RU2345487C2 (ko)
WO (1) WO2006080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7147A1 (en) * 2005-01-18 2006-09-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discovery and user selection
KR100696002B1 (ko) * 2005-06-16 2007-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pp프락시 기능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간 연동 방법
KR100678151B1 (ko) * 2005-08-0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70264979A1 (en) * 2006-04-25 2007-11-1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IP address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interworking with different types of network
EP1850559B1 (en) 2006-04-26 2011-12-07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handover to a portable internet network by keeping the same IP address
US7970401B2 (en) * 2006-07-05 2011-06-28 Cisco Technology, Inc. Associating a handoff address to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145849B1 (ko) 2006-09-29 201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그 제공 방법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447349B2 (en) * 2008-02-15 2013-05-2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multi-mode mobile station
US8547912B1 (en) * 2009-08-07 2013-10-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ity between two different wireless access networks
WO2011021754A1 (en) * 2009-08-20 2011-0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packet at a base station in a network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schemes
US8644772B2 (en) 2009-09-01 2014-02-0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frequency bands
US8654746B2 (en) 2010-04-26 2014-02-18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ast session transfer for multiple frequency band wireless communication
US8553662B2 (en) 2010-08-20 2013-10-08 Time Warner Cable Inc. System and method for Wi-Fi roaming
US8638717B2 (en) 2010-08-20 2014-01-2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5277236B2 (ja) * 2010-11-26 2013-08-2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可搬型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CN102076046B (zh) * 2011-02-22 2013-04-24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移动ip系统的单接口无缝切换方法及其系统
CN102651895A (zh) * 2011-02-23 2012-08-29 上海远动科技有限公司 Vpn网络与gprs网络实时切换方法及装置
WO2012148446A1 (en) 2011-04-29 2012-11-0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transmission points
US8555364B2 (en) 2011-09-30 2013-10-0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loning a wi-fi access point
CN102421159B (zh) * 2011-12-19 2014-07-0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双模通信终端的切换方法及系统
WO2014000175A1 (zh) * 2012-06-27 2014-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路由方法、设备及系统
CN103582060A (zh) * 2012-07-31 2014-02-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网络切换装置和移动终端
US8811363B2 (en) 2012-09-11 2014-08-19 Wavemax Corp. Next generation network services for 3G/4G mobile data offload in a network of shared protected/locked Wi-Fi access points
CN102857985A (zh) * 2012-09-21 2013-01-02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服务器、终端和网络切换方法
CN103200557B (zh) * 2013-04-02 2015-12-0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移动终端的信息交互方法
CN104219736A (zh) * 2013-06-05 2014-12-17 美商迪尔亚科技股份有限公司 行动终端机的进阶实时互联网通讯的方法与系统
US10141983B2 (en) 2014-05-08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ctivating pSCell and S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CN105101326A (zh) * 2015-08-06 2015-11-25 北京锤子数码科技有限公司 切换移动终端网络模式的方法及装置
CN112996069B (zh) * 2015-10-06 2024-10-18 苹果公司 使用3gpp无线电接入技术的接入系统之间的双无线电操作
KR20200103010A (ko) 2017-12-26 2020-09-0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US10911341B2 (en) * 2018-11-19 2021-02-02 Cisco Technology, Inc. Fabric data plane monito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681A1 (en) 2000-08-18 2002-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Handoff in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40008645A1 (en) * 2002-05-28 2004-01-15 Nortel Networks Limited Efficient handoffs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40105413A1 (en) 2002-07-02 2004-06-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ght inter-work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M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0772A1 (de) * 2001-04-24 2002-11-07 Siemens Ag Heterogenes Mobilfunksystem
US6768726B2 (en) * 2002-08-06 2004-07-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US20050025164A1 (en) * 2003-07-16 200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of mobile nod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1681A1 (en) 2000-08-18 2002-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Handoff in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40008645A1 (en) * 2002-05-28 2004-01-15 Nortel Networks Limited Efficient handoffs between cellular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40105413A1 (en) 2002-07-02 2004-06-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ght inter-work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M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13186A (ru) 2008-10-20
CN101040463A (zh) 2007-09-19
KR20060032091A (ko) 2006-04-14
RU2345487C2 (ru) 2009-01-27
US7372835B2 (en) 2008-05-13
US20060077934A1 (en) 2006-04-13
CN101040463B (zh) 2013-01-09
WO2006080749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283B1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단말의 액티브 핸드오프 시스템 및 방법
JP4684649B2 (ja) Wlan−umtsインターワーキングにおけるumtsルーティングエリアとしてのwlanの登録
JP3757374B2 (ja) システム間ハンドオーバ
JP4934593B2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と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とのインターワーキング方法およびインターワーキングシステム
JP4959711B2 (ja) 遠距離通信装置及び方法
RU2517392C2 (ru) Переключение в пассивном режиме в сет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KR100680749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8155086B2 (en) Handover method between systems of multi-mode terminal
US20030053431A1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5021772B2 (ja) トラッキングエリアの更新或いは切替プロセスにおいてリソースが誤ってリリースされることを防ぐ方法
CN104185231A (zh) 用户终端起始的从无线局域网到蜂窝网络的硬越区切换
KR20070044402A (ko) 비허가 모바일 액세스 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징
JP2006502670A (ja) Wlanと3gを統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60063763A (ko)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선택한 코어 네트워크오퍼레이터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통지하는 방법 및장치
KR100298371B1 (ko) 패킷 이동 통신망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3481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이동 횟수를 줄이는 핸드오프를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60050674A1 (en)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AN
KR100912535B1 (ko)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다중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끊김 없는 이동성 지원 방법
US81803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ff controller-mediated handoff of a mobile node
KR100596401B1 (ko) 이동노드의 mip 설정 방법 및 핸드오프 수행 방법
KR100617780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이동 노드에 대한 라우팅 영역 갱신 방법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
KR20090062273A (ko) Hmip 기반 이종망에서 mih를 이용한 고속 수직적핸드오버 방법
KR100636328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0937046B1 (ko)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