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09B1 - Image-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6609B1 KR101116609B1 KR1020050042460A KR20050042460A KR101116609B1 KR 101116609 B1 KR101116609 B1 KR 101116609B1 KR 1020050042460 A KR1020050042460 A KR 1020050042460A KR 20050042460 A KR20050042460 A KR 20050042460A KR 101116609 B1 KR101116609 B1 KR 101116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transfer plate
- image
- transfer
- develo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토너를 적재하는 토너통과 토너에 진동을 가하여 토너를 상기 현상기로 흘러가게 하는 토너이송장치를 구비하여, 토너를 원활하게 이송되게 하여 화상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disclose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er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s a toner image, a toner container for loading the toner, and a toner conveying device for vibrating the toner to flow the toner to the developer, so that the toner is smoothly transferred to the image quality.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a toner transfer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와 토너통을 도시한 평면도,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veloping unit and toner contain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너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a to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너이송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toner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the ton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현상기 111...현상기하우징110
120...토너통 121...토너통하우징120
130...토너이송장치 131...이송플레이트130
132...지지부 133...연결부132
134...걸림턱 135...캠134 ... Jump 135 ... Cam
1351...최고높이부 1352...최저높이부1351 ...
1353...경사부 1354...절제부1353 ... Inclined 1354 ...
136...구동모터 136.Drive moto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통으로부터 현상기로 토너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토너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developing device having a toner conveying device capable of smoothly supplying toner from a toner container to a developing device.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노광장치에 의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토너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에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s a digital image signal,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a photosensitive member by an exposure apparatus such as a laser scanning unit (LSU),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s a toner image by using a toner, and records the toner image. A device for transferring a medium to a toner image and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fuse it to a recording medium to form a desired image.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토너(toner) 및 캐리어(carrier)의 상태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나눌 수 있다. 건식은 1성분(one phase)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와 2성분(two phase) 현상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나눌 수 있다.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classified into dry and wet according to the toner and carrier used in general. The dry type can be divided in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one phase develop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wo phase developing apparatus.
1성분 현상장치는 토너만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고, 2성분 현상장치는 토너 및 캐리어를 이용하여 토너입자들이 붙어있는 캐리어를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이다.The one-component developing device is a method of forming an image by supplying only the toner, and the two-component developing device is a method of forming an image by supplying a carrier to which toner particles are attached using the toner and the carrier.
1성분 현상장치는 토너를 감광매체에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한 후 감광매 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블레이드와 같은 클리닝장치에 의하여 제거되어 회수장치에 의하여 회수되어 재 사용된다. The one-component developing device supplies the toner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develop the toner image, and then the ton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is removed by a cleaning device such as a cleaning blade, and recovered and reused by a recovery device.
또한, 2성분 현상장치도 캐리어는 감광매체에 공급되지 않고 회수되며, 토너입자들만 감광체에 공급되어 토너화상을 현상한 후 감광매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입자들은 클리닝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되어 회수장치에 의하여 회수되어 재 사용된다. In addition, in the two-component developing apparatus, the carrier is recovered without being su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and only the toner particles are supplied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develop the toner image, and the toner particle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are removed by a cleaning blade to be collected in the recovery apparatus. Is recovered and reused.
상기한 설명은 흑백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며,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감광매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화상은 여러 색을 띠는 토너가 서로 섞여있는 것으로 재 사용하기는 어렵다.The above description describes a case of forming a black and white image, and in the case of forming a color image, an imag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is mixed with toners having various colors, and it is difficult to reuse it.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점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상기는 그 자체에 토너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토너를 제공받거나 또는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너통으로부터 토너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er for supplying toner to a photosensitive medium hav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thereon to develop the electrostatic spot image into a toner image. Such a develop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itself to be loaded with toner, or may be provided with toner from a toner container separately detachably installed.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가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할 수 있는데, 토너는 그 크기가 작아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toner is smoothly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may be developed as a toner image. However, the toner has a problem in that the toner may not be smoothly transported because its fluidity is low.
토너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으면 토너의 사용효율이 떨어지고 심한 경우에는 균일한 현상량을 얻지 못하므로 인해 화상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f the transfer of the toner is not smooth, the use efficiency of the toner is low and, in severe cases, the uniform developing amount cannot be obtained, resulting in a problem of poor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현상기로 토너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토너를 이송할 수 있는 토너이송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oner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ying toner so that ton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a develop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와 토너를 적재하는 토너통과 상기 토너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기로 흘러가게 하는 토너이송장치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eloping unit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s a toner image, a toner container for loading the toner, and a toner conveying device for applying the vibration to the toner to flow the toner to the develop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너이송장치는 토너에 진동을 가하는 이송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토너통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연결부와, 상기 걸림턱을 간섭하여 상기 연결부를 직선 왕복시키는 캠을 구비하여, 상기 캠이 상기 연결부를 직선 왕복시키면 상기 이송플레이트도 직선 왕복되면서 토너를 진동시켜 상기 현상기 쪽으로 이송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er conveying apparatus is a conveying plate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ton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plate, the other side extends out of the toner container housing,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at the end, and the locking step The cam is provided with a cam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connecting portion by interference, and when the cam linearly reciprocates the connecting portion, the transfer plate is also linearly reciprocated to vibrate the toner and transfer the toner toward the develop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관통홀에는 상기 현상기 쪽으로 하향경사진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이송플레이트가 진동할 때 상기 현상기 쪽으로 더 많은 토너를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transfer plate, each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eveloper, when the transfer plate vibrates further toward the developer Many toners can be transport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그 전면이 움푹 들어가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현상기 쪽으로 토너를 더 많이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late is provided so that the entire surface thereof is recessed so that more toner can be transferred toward the develop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장치는 토너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 원호운동하는 진동레버와 상기 토너통의 바닥에 돌출되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 턱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레버가 상기 돌출턱을 지나가면서 상기 토너를 진동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vibration lever reciprocat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oner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ibration lever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jaw. The toner vibrates as it pas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와 토너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너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a toner transfer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developing unit and toner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shown in FIG. It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transfer devi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현상기(110)와 토너통(120)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현상기하우징(111)에 마련된 토너유입구(116)와 토너통하우징(121)에 마련된 토너유출구(126)가 서로 연통 되어있다. 상기 토너가 상기 토너통(120)으로부터 상기 현상기(110)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통(120)은 상기 현상기(11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너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토너통(120)으로부터 상기 현상기(110)로 흘러 들어간다.1 and 2, the
상기 현상기(110)는 상기 현상기하우징(111)밖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기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미도시)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112)와 상기 현상롤러(112)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토너를 상기 현상롤러(112)에 공급하는 공급롤러(113)와 상기 현상기하우징(111)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기하우징(111)내에 유입된 토너를 순환시켜서 토너를 상기 공급롤러(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복수의 순환스크류(114)(115)를 구비한다.The
상기 복수의 순환스크류(114)(115)는 화살표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너를 상기 현상기하우징(111)내에서 순환시킨다.The plurality of
상기 토너통(120)에는 토너에 진동을 가하여 토너를 원활하게 상기 현상기(110)쪽으로 이송시키는 토너이송장치(130)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토너이송장치(130)는 이송플레이트(131), 연결부(133) 및 캠(135)을 구비한다.The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는 양단이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의 내측벽에 각각 지지부(1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그 자체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는 슬라이딩할 때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의 바닥(12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상기 연결부(133)는 일측이 상기 이송플레이트(1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타측에는 상기 캠(135)과 간섭하는 걸림턱(1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3)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31)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이송플레이트(131)가 상기 연결부(133)에 의하여 당겨졌다가 놓아졌을 때, 탄성변형되어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다. 상기 연결부(133)는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에 대하여서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One side of the
상기 캠(135)은 상기 걸림턱(134)의 하측에 구동모터(136)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최고높이부(1351)와 최저높이부(1352)가 마련될 수 있도록 경사부(13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캠(135)에는 그 일부를 절제하여 제거한 절제부(135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최저높이부(1351)는 상기 걸림턱(135)과 걸리지 않고 상기 최고높이부(1351)는 상기 걸림턱(135)과 걸리게 되므로, 상기 캠(135)이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134)이 상기 최고높이부(1351)에 접촉되면서 당겨졌다가 상기 절제부(1354)에 의하여 상기 캠(135)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걸림이 해제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oner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최저높이부(1352)가 상기 걸림턱(134)의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최저높이부(1352)와 걸림턱(13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움직이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even when the
상기 캠(135)이 상기 구동모터(136)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턱(134)은 상기 경사부(1353)와 접촉하면서 상기 연결부(133)는 화살표A 방향으로 점차 당겨지게 되며, 상기 최고높이부(1351)에 접촉하였을 때 가장 많이 당겨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도 상기 연결부(133)와 함께 화살표A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탄성변형된다.As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캠(135)이 회전을 계속하면, 상기 걸림턱(134)은 상기 절제부(1354)를 지나면서 상기 캠(135)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3)는 상기 캠(135)에 의하여 당겨졌던 걸림이 해제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도 같이 슬라이딩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때, 상기 이송플레이트(131)는 탄성체이므로 상기 캠(135)에 의하여 당겨졌던 힘에 의하여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왕복하여 움직이면서 토너(미도시)에 진동을 가하면서 상기 현상기(110)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플레이트(131)자체의 탄성변형이 원래대로 복귀되면 움직임을 멈추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 캠(135)이 회전되면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토너(미도시)를 상기 현상기(110)쪽으로 이송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너이송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a to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oner transfer device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현상기(110)와 토너통(1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토너이송장치(230)도 연결부(232)와 캠(235)은 도 1에 도시된 동일하며 다만 이송플레이트(231)의 구성만이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도1에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다른 상기 이송플레이트(23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4 and 5, the developing
상기 이송플레이트(231)의 전면(2311), 즉 상기 현상기(110)쪽에 대면하는 면은 움푹 들어가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홀(231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홀(2312)에는 상기 현상기(110)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2312)의 일부를 덮는 돌기부(2313)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이송플레이트(231)의 후면(2314)도 상기 전면(2311)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관통홀(2312)과 돌기부(23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송플레이 트(231)는 속이 비어 있어 토너가 상기 관통홀(2312)을 통과하여 상기 후면(2314)쪽으로부터 상기 전면(2311)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상기 전면(2311)의 형상, 관통홀(2312) 및 돌기부(2313)는 토너를 더 많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송플레이트(231)가 도 5의 오른쪽으로 이송될 때에는 토너가 상기 관통홀(2312)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으며, 도 5의 왼쪽으로 이송될 때에는 토너가 상기 돌기부(2313)에 의하여 왼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토너이송장치가 적용된 토너통과 현상기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ner pass developing device to which the toner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을 참조하면, 현상기(110)와 토너통(12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토너이송장치(330)의 구성만이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도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구성이 다른 상기 토너이송장치(3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eveloping
상기 토너이송장치(330)는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에 일측이 지지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원호운동을 하는 진동레버(331)와 상기 토너통하우징(121)의 바닥(1211)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진동레버(331)의 원호운동을 간섭하면서 상기 진동레버(331)를 진동시키는 복수의 돌출턱(332)을 구비한다.The
상기 진동레버(331)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왕복원호운동을 하면서 상기 복수의 돌출턱(332)에 걸리면서 지나가면, 상기 진동레버(331)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토너(미도시)를 진동시킨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에 진동을 가하여 토너를 원활하게 이송되게 하는 토너이송장치를 구비하여, 화상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ner conveying apparatus for smoothly conveying toner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ton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image qualit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460A KR101116609B1 (en) | 2005-05-20 | 2005-05-20 | Image-form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460A KR101116609B1 (en) | 2005-05-20 | 2005-05-20 | Image-form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9429A KR20060119429A (en) | 2006-11-24 |
KR101116609B1 true KR101116609B1 (en) | 2012-03-06 |
Family
ID=3770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24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6609B1 (en) | 2005-05-20 | 2005-05-20 | Image-form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660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2105A (en) * | 2001-10-19 | 2003-04-25 | Canon Inc | Developer carry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2005
- 2005-05-20 KR KR1020050042460A patent/KR1011166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2105A (en) * | 2001-10-19 | 2003-04-25 | Canon Inc | Developer carrying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9429A (en) | 2006-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4799B1 (en) |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 |
JP439669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128785B2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959924B2 (en) |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903793B1 (en) | Waste toner conveying apparatus, waste toner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eveloping unit having the waste toner cleaning apparatus, waste toner remova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2181829B2 (en) | Image-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urging member for urging process cartridge | |
KR101526166B1 (en) |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6019890B (en) | Developer reple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638035B2 (en) |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171328B2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406290B2 (en) | Waste ton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having the same | |
KR101116609B1 (en) | Image-forming apparatus | |
US8060002B2 (en) | Developer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07086384A (en) |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6330421B1 (en) | Apparatus for dissolving residual toner from a transfer roller and a photoreceptor belt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pon printing of a sheet/user actuation | |
KR20190114917A (en) | Developer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 |
JP2019179070A (en) | Develop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 |
JP6638280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JP2006079014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ment unit, photoreceptor unit and image forming unit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657308B1 (en) | Develop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24002824A (en) |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6066055A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0580652A (en) | Developing device and color image forming device | |
JP2019179071A (en) | Developer storage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 |
JP2020148997A (en) | Image form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5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