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4524B1 - 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24B1
KR101114524B1 KR20110069526A KR20110069526A KR101114524B1 KR 101114524 B1 KR101114524 B1 KR 101114524B1 KR 20110069526 A KR20110069526 A KR 20110069526A KR 20110069526 A KR20110069526 A KR 20110069526A KR 101114524 B1 KR101114524 B1 KR 10111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ischarge
distance
stirring blad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환
Original Assignee
덕인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인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인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6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저수탱크의 저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중공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중공부로부터 공기통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저수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게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와,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시 각 공기배출구멍의 회전궤적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각 공기배출구멍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의하면 날개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은 상호 중복되지 않으면서 저수공간 전체를 경유하는 회전궤적들을 형성하게 되므로 각 공기배출구멍들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저수공간에 수용된 폐수와의 접촉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공급장치{Ai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성 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생활오수, 축산 폐수, 각종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 및 각종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등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 처리법, 생물학적 처리법, 이들의 혼용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화학적 처리법으로는 특허공고 96-93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침출수를 철염계 약품과 반응시킨 후 고분자 응결제를 사용하여 응결시키고 응결된 부유물질을 침전 제거하는 단계와, 미세부유물질을 여과 제거하는 단계와, 염소계 산화제로 산화 처리하는 단계와, pH를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무기성 슬러지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방법이 있다.
생물학적 처리법 특히,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은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기물질을 용존산소의 존재하에 폭기조 내에서 미생물로 하여금 섭취토록 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부분은 산화, 분해, 응집, 흡착 및 침전 등의 물리적, 화학적 처리법과 병행하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을 생물학적 활성오니법이라 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활성오니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각 방법에 있어서 유입되는 폐수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유기물질을 섭취 분해하여 분체 성장하는데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산소 공급방법으로 표면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산소를 폐수 중에 투입하거나 각종 산기장치를 사용하여 미세한 기포상의 공기 또는 순수 산소를 수중에 불어넣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파이프를 수중에 투입한 뒤 산소를 파이프로 공급하는 구조로 산소가 단순히 일정한 위치에서 수면으로 상승되므로 기포가 발생되지 않는 부분 즉,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산소의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설령 폐수 중의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구조인 경우라도 파이프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의 회전궤적이 동일 또는 중복되어 산소가 폐수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산소의 용해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수를 수용하는 탱크 내에 공기를 고르게 분포시켜 폐수 내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기공급장치를 공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저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공기통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게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각 공기배출구멍의 회전궤적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각 공기배출구멍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 날개부는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제1교반날개와 제2교반날개와 제3교반날개 및 제4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3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4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와 상기 제3거리 및 상기 제4거리는 각각 다른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1간격과 상기 제2간격과 상기 제3간격 및 상기 제4간격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교반날개와 제2교반날개와 제3교반날개 및 제4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3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4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와 상기 제3거리 및 상기 제4거리는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1간격과 상기 제2간격과 상기 제3간격 및 상기 제4간격은 각각 다른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는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의하면, 날개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은 상호 중복되지 않으면서 저수공간 전체를 경유하는 회전궤적들을 형성하게 되므로 각 공기배출구멍들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저수공간에 수용된 폐수와의 접촉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와 폐수의 접촉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폐수에 용해될 수 있는 산소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폐수에 함유되는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날개부 및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의 공기배출구멍에 노즐유닛이 장착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공기공급장치는 저수탱크(100)와, 회전축(200)과, 공기공급부와, 날개부(500)와, 구동부(600)를 구비한다.
저수탱크(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고 축산폐수, 산업폐수(이하 '폐수'라 함) 등이 수용될 수 있게 저수공간(110)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공간(110)에는 저수탱크(100)의 일 측에서 중심을 가로질러 타 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120)이 저수탱크(1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후술 되는 지지부재(240) 및 구동부(600)가 설치될 수 있게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00)은 지지프레임(120) 상에 고정된 지지부재(2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는 것으로 내부에는 중공부(210)가 형성되고 상단은 폐쇄되며, 상부에는 후술 되는 구동부(600)의 구동모터(61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체인(630)과 결합되는 종동스프로킷(230)이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240)는 지지프레임(120) 상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축(200)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200)과 베어링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200)의 상부에는 회전축(200)과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으면서 후술되는 공기공급부(400)로부터 회전축(200)의 중공부(210)로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연결부재(300)가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연결부재(300)는 로터리조인트가 적용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재(300)의 일 측에는 공기공급부가 결합된다.
공기공급부는 회전축(200)의 중공부(2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공기공급탱크(410)와 공기공급탱크(410)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연결부재(300)의 체결홈(320)에 체결되어 공기공급탱크(410)로부터 수용공간(310)으로 공기를 이송하는 이송관(420)을 포함한다.
날개부(500)는 회전축(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저수탱크(100)의 저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고 회전축(20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들을 포함한다.
각 교반날개는 내부에 중공부(210)와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연장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중공부(210)로부터 각 공기통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공기통로로부터 저수공간(110)으로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멍들이 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멍들은 각 교반날개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교반날개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날개부(500)는 회전축(200)에 의해 회전될 시 각 공기배출구멍의 회전궤적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각 공기배출구멍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날개부(500)는 소정의 각도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교반날개(510)와, 제2교반날개(520)와, 제3교반날개(530)와, 제4교반날개(540)를 포함한다.
제1교반날개(510)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511)들이 상기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X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반날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Y1)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교반날개(520)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52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X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교반날개(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Y2)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3교반날개(530)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531)들이 상기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X3)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3교반날개(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Y3)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4교반날개(540)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541)들이 상기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X4)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4교반날개(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Y4)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거리(X1)와 제2거리(X2)와 제3거리(X3) 및 제4거리(X4)는 각각 다른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1간격(Y1)과 상기 제2간격(Y2)과 상기 제3간격(Y3) 및 상기 제4간격(Y4)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1교반날개(510)에서 회전축(2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제1공기배출구멍(511)과의 거리인 제1거리(X1)와, 제4교반날개(540)에서 회전축(2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제4공기배출구멍(541)과의 거리인 제4거리(X4)의 차가 제1교반날개(510)의 제1공기배출구멍(541) 간의 간격(Y1)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거리(X1)와 제4거리(X4)의 차가 제1간격(Y1) 보다 길게 형성될 시 제3교반날개(530)의 제3공기배출구멍(531)들 또는 제4교반날개(540)의 제4공기배출구멍(541)들의 회전궤적들과 제1교반날개(510)의 제1공기배출구멍(511)들의 회전궤적들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반날개(510)의 제1공기배출구멍(511)들의 회전궤적들은 인접되는 제2교반날개(520)의 제2공기배출구멍(521)들의 회전궤적들 및 제4교반날개(540)의 제4공기배출구멍(541)들의 회전궤적들과 중복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즉, 각 교반날개의 각 공기배출구멍은 회전축(200)으로부터 상호 다른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각 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200)에 의해 회전될 시 각 교반날개의 각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이 상호 중복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의하면 날개부(500)가 회전축(200)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은 상호 중복되지 않으면서 저수공간(110) 전체를 경유하는 회전궤적들을 형성하게 되므로 각 공기배출구멍들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저수공간(110)에 수용된 폐수와의 접촉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와 폐수의 접촉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폐수에 용해될 수 있는 산소도 증가하게 되어 폐수에 함유되는 용존산소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날개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교반날개를 갖는 구조로만 한정하지 않고,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개수의 교반날개를 갖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600)는 구동모터(610)와 구동스프로킷(620) 및 체인(630)을 포함한다.
구동모터(610)는 지지프레임(120)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구동스프로킷(620)은 구동모터(610)의 축에 결합되어 있으며, 체인(630)은 종동스프로킷(230)과 구동스프로킷(620)에 결합되어 있다.
도 3에는 날개부(50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날개부(500)는 제1교반날개(510)와, 제2교반날개(520)와, 제3교반날개(530), 및 제4교반날개(54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교반날개는 회전축(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호 다른 개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을 갖는다.
제1교반날개(510)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51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X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교반날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Y1)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교반날개(520)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52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X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교반날개(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Y2)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3교반날개(530)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53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X3)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3교반날개(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Y3)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4교반날개(540)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54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X4)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4교반날개(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Y4)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거리(X1)와 제2거리(X2)와 제3거리(X3) 및 제4거리(X4)는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고, 제1간격(Y1)과 제2간격(Y2)과 제3간격(Y3) 및 제4간격(Y4)은 각각 다른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간격(Y1)과 제2간격(Y2)과 제3간격(Y3) 및 제4간격(Y4)은 각 간격들의 배수들이 상호 중복되지 않는 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0)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각 교반날개의 공기배출구멍들은 모두 회전축(20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각 교반날개들에 형성된 각 공기배출구멍들 상호 간의 간격들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 각 교반날개들의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은 중복되지 않는다.
도 4에는 날개부(50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날개부(500)는 회전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제1날개부(550)와 제2날개부(560)를 포함하며, 제1날개부(550)와 제2날개부(560)는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날개부(550)는 회전축(2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축(200)의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교반날개(510)와 제3교반날개(530)를 포함하고, 제2날개부(560)는 회전축(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교반날개(520)와 제4교반날개(540)를 포함한다.
제1교반날개(510)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511)들이 상기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X1)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반날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Y1)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교반날개(520)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52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X2)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교반날개(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Y2)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3교반날개(530)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531)들이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X3)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3교반날개(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Y3)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4교반날개(540)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541)들이 상기 회전축(200)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X4)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4교반날개(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Y4)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거리(X1)와 제2거리(X2)와 제3거리(X3) 및 제4거리(X4)는 각각 다른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간격(Y1)과 상기 제2간격(Y2)과 상기 제3간격(Y3) 및 상기 제4간격(Y4)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교반날개(510)에서 회전축(2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제1공기배출구멍(511)과의 거리 즉 제1거리(X1)와, 제4교반날개(540)에서 회전축(2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제4공기배출구멍(541)과의 거리인 제4거리(X4)의 차는 제1교반날개(510)의 제1공기배출구멍(511) 간의 간격(Y1)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날개부(55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은 제2날개부(56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과 중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교반날개(510)와 제3교반날개(530)의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 또한 상호 중복되지 않으며, 제2교반날개(520)와 제4교반날개(540)의 공기배출구멍들의 회전궤적들도 상호 중복되지 않는다.
한편, 날개부(500)의 각 공기배출구멍에는 노즐유닛(7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즐유닛(700)은 공기배출구멍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날개부(500)의 공기통로(500a)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통과구멍(700a)이 형성된 나사결합부(710)와, 나사결합부(710)로부터 통과구멍(700a)의 영역이 확장되게 방사상으로 확장되고 원추형으로 형성된 확장부(720) 및 확장부(720)의 내주 측에 결합되어 통과구멍(700a)을 폐쇄하는 폐쇄판(730)을 구비한다. 여기서, 날개부(500)의 공기배출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결합부(710)와 나사결합가능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확장부(720)의 하단에는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작은 공기방울 형태로 제공하도록 다수의 돌기(721)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폐쇄판(730)은 저수탱크(100) 내부의 폐수 등이 공기통로(500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확장부(7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확장부(7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나사결합부(710)의 내주면으로부터 확장부(720)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재(740)에 나사결합 및 지지된다. 폐쇄판(730)은 유연하고 탄성력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통로(500a)로부터 공기가 통과구멍(700a)을 통해 확장부(720)에 도달하게 되면 통과구멍(700a)에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통과구멍(700a) 내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도달할 시 통과구멍(700a) 내의 공기가 폐쇄판(730)을 하방으로 밀어내면서 확장부(720)의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폐쇄판(730)을 통과하는 공기는 확장부(720)의 하단에 마련된 돌기(721)들에 의해 다수의 미세 공기방울들로 분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저수공간
200 : 회전축
300 : 회전연결부재
400 : 공기공급부
500 : 날개부
510 : 제1교반날개
520 : 제2교반날개
530 : 제3교반날개
540 : 제4교반날개
600 : 구동부

Claims (4)

  1. 삭제
  2. 저수공간이 마련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저부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공기통로로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게 다수의 공기배출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각 공기배출구멍의 회전궤적이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각 공기배출구멍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설정된 제1교반날개와 제2교반날개와 제3교반날개 및 제4교반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1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2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3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3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교반날개에는 다수의 제4공기배출구멍들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제4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4교반날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와 상기 제3거리 및 상기 제4거리는 각각 다른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1간격과 상기 제2간격과 상기 제3간격 및 상기 제4간격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공기배출구멍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날개부의 상기 공기배출구멍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통과구멍이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로부터 상기 통과구멍의 영역이 확장되게 방사상으로 확장되고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내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구멍을 폐쇄하는 폐쇄판 및 상기 폐쇄판을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에 지지시킬 수 있게 상기 나사결합부의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노즐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KR20110069526A 2011-07-13 2011-07-13 공기공급장치 Active KR10111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9526A KR101114524B1 (ko) 2011-07-13 2011-07-13 공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9526A KR101114524B1 (ko) 2011-07-13 2011-07-13 공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524B1 true KR101114524B1 (ko) 2012-02-27

Family

ID=458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9526A Active KR101114524B1 (ko) 2011-07-13 2011-07-13 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70B1 (ko) 2011-05-23 2013-05-2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교반형 산기장치
KR101846821B1 (ko) * 2017-05-17 2018-04-09 유한회사 우성엔지니어링 회전식 산기장치
KR20190061953A (ko) * 2017-11-28 2019-06-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KR102300891B1 (ko) * 2021-03-08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조대 기포 산기관, 및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US12187999B2 (en) 2017-12-28 2025-01-07 Locus Solutions Ipco, Llc Reactors and submerged fermentation methods for producing microbe-based produ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270A (ja) * 1993-12-24 1995-07-25 Kurita Water Ind Ltd 浸漬膜装置
JPH0871583A (ja) * 1994-09-08 1996-03-19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反応槽用散気攪拌装置
KR20070095385A (ko) * 2004-12-31 2007-09-28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관능화된 폴리비닐방향족 충전재로 강화된 엘라스토머조성물
KR101049242B1 (ko) * 2008-12-31 2011-07-14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처리용 여과기 및 그 산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270A (ja) * 1993-12-24 1995-07-25 Kurita Water Ind Ltd 浸漬膜装置
JPH0871583A (ja) * 1994-09-08 1996-03-19 Nishihara Environ Sanit Res Corp 反応槽用散気攪拌装置
KR20070095385A (ko) * 2004-12-31 2007-09-28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관능화된 폴리비닐방향족 충전재로 강화된 엘라스토머조성물
KR101049242B1 (ko) * 2008-12-31 2011-07-14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수처리용 여과기 및 그 산기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70B1 (ko) 2011-05-23 2013-05-27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교반형 산기장치
KR101846821B1 (ko) * 2017-05-17 2018-04-09 유한회사 우성엔지니어링 회전식 산기장치
KR20190061953A (ko) * 2017-11-28 2019-06-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KR102054701B1 (ko) * 2017-11-28 2020-01-22 대한민국 수직 회전축 부착 담체 산기장치
US12187999B2 (en) 2017-12-28 2025-01-07 Locus Solutions Ipco, Llc Reactors and submerged fermentation methods for producing microbe-based products
KR102300891B1 (ko) * 2021-03-08 2021-09-10 경상북도 경주시 조대 기포 산기관, 및 고효율 질소 및 인 제거 연속 회분식 하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524B1 (ko) 공기공급장치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10000498A (ja) スクリーン処理装置
KR100728300B1 (ko) 폐수처리의 약품혼합장치
JP7620327B2 (ja) 微生物反応槽
KR20140139898A (ko) 해양 오염 방제 무기포 산소용해장치
KR102234444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20210062512A (ko) 플라즈마와 오존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196945B1 (ko) 상수도원에서의 녹조방지 및 수질정화시스템
JP2010167328A (ja) 曝気攪拌機
KR101205131B1 (ko) 폐수 응집 처리 장치
KR102280983B1 (ko) 플라즈마와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JP2006326377A (ja) 攪拌機
KR20160145285A (ko) 인공 소용돌이 생성장치
KR20110004543A (ko) 기계식 슈퍼 폭기기
KR101867781B1 (ko) Febt조가 설치된 오폐수 침전 시스템
KR101801910B1 (ko) 밀폐 순환형 고속 유기물 발효장치
KR102177399B1 (ko) 무동력을 이용한 이중 회전 암모니아 탈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210062492A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JP2010022946A (ja) 汚水処理装置
KR101942756B1 (ko) 기체용해장치
KR20170003069U (ko) 스컴 제거를 위한 혐기성 소화조
KR101205079B1 (ko) 폐수 처리 장치
KR101867778B1 (ko) 침전지
KR20010010804A (ko) 오존에 의한 정화조의 오수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