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4406B1 -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 Google Patents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406B1
KR101114406B1 KR1020100111527A KR20100111527A KR101114406B1 KR 101114406 B1 KR101114406 B1 KR 101114406B1 KR 1020100111527 A KR1020100111527 A KR 1020100111527A KR 20100111527 A KR20100111527 A KR 20100111527A KR 101114406 B1 KR101114406 B1 KR 10111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r
emitting unit
l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석
Original Assignee
정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석 filed Critical 정연석
Priority to KR102010011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406B1/ko
Priority to US13/883,760 priority patent/US9212797B2/en
Priority to PCT/KR2011/008536 priority patent/WO201206411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5Vehicle retainers for wheels, hubs, or axle shafts
    • B60P3/077Wheel cradles, chocks, or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03Restraining movement of a vehicle at a loading station using means not being part of the vehicle
    • B65G69/005Restraining movement of a vehicle at a loading station using means not being part of the vehicle the means engaging at least one wheel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고임목으로서, 상기 고임목에는 빛을 발산하여 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에 따르면, 자동차용 고임목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여 발광부에 의해 고임목이 눈에 잘 띄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에 탑승하기 전에 고임목을 고여 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고임목의 발광부에 의해 차량의 주정차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자동차용 고임목이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A VEHICLE TIRE CHOCK WITH LUMINOUS PAR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고임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에 관한 것이다.
레미콘, 트럭을 비롯한 각종 차량은 차체와 적재물의 중량이 매우 무거워 경사로는 물론 평로에서도 브레이크 시스템만으로는 완벽한 정차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트럭 등의 주정차 중에는 바퀴의 앞, 뒤에 고임목을 고여 주어야 차량이 차체와 적재물의 중량에 의해 앞 또는 뒤로 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주정차 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어처구니없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의식을 망각한 일부 차량 운전자들이 경사로에서 고임목을 고이지 않아 다른 차량이나 주택을 들이받게 되는 등의 사고 소식이 뉴스 등을 통해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으며, 실제로는 뉴스 보도보다 훨씬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긴급한 출동 상황이나 일상적인 시설물 점검 또는 화재진압 후 복귀 시 자동차 바퀴에 고임목을 고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고임목을 고여 놓은 것을 깜박 잊고 자동차를 그대로 출발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럴 경우 고임목의 분실이나 파손은 물론 바퀴와 차체도 충격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수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야간에는 빛이 약하기 때문에 고임목이 잘 보이지 않아, 고임목을 고인 채로 출발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 있었으며, 자동차가 서 있는 것을 모르고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가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용 고임목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여 발광부에 의해 고임목이 눈에 잘 띄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에 탑승하기 전에 고임목을 고여 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고임목의 발광부에 의해 차량의 주정차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자동차용 고임목이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자동차의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고임목으로서,
상기 고임목에는 빛을 발산하여 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발광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LED 전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고임목에 소정의 중량 이상이 가해지면 점등되고, 가해지는 중량이 상기 소정의 중량 미만이면 멸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전구이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구 중 일부의 전구만 점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알려주기 위해 점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상기 손잡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에 따르면, 자동차용 고임목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구비하여 발광부에 의해 고임목이 눈에 잘 띄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에 탑승하기 전에 고임목을 고여 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가 고임목의 발광부에 의해 차량의 주정차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자동차용 고임목이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몸체(100) 및 발광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부(300), 스위치(310) 및 센서(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대체로 전형적인 고임목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0)에서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은 자동차 바퀴 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그 반대쪽 면은 대체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을 전면(110), 그 반대쪽 면을 배면(120)이라 하기로 한다.
몸체(100)의 재질은, 고임목이라는 명칭에서와 같이 반드시 나무일 필요는 없다. 몸체(100)는 나무, 금속, 고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가 몸체(100)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고임목이 주로 트럭과 같은 차량의 주정차 시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내부에는 철판 등으로 된 금속판으로 틀을 형성하고 그 외부를 고무로 씌워,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충격 흡수 및 미끄럼방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200)는, 빛을 발산하여 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쉽게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발광부(200)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차의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기 전에 고임목을 쉽게 발견하여 제거 후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고임목을 쉽게 발견하여 자동차가 주정차 중임을 알아채고 피해서 갈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발광부(200)는, 몸체(100)의 배면(12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고, 배면(120) 및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발광부(200)는, 전구(210), 앞 판(220), 및 틀(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2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부(200)는 전구(210)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는데, 전구(210)는 복수의 LED 전구(210)일 수 있다. 그러나, 빛을 발산하기 위해 반드시 전구(210)를 포함할 필요는 없고, 다른 형태의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발광부(200)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알려주기 위해 점멸할 수 있다. 발광부(200)가 계속 점등되어 있는 것보다 점멸하면 보다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앞 판(220)은, 전구(210)에서 발산된 빛을 분산하고 전구(2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앞 판(220)은 외부 충격에 강한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구(210)의 빛이 외부로 발산되어야 하므로 내부가 어느 정도 비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 판(220)이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인지하기 쉬운 색상으로 할 수 있다. 앞 판(220)을 몸체(100)에 부착하기 위해 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발광부(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구(21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전지 형태일 수도 있고, 충전식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자동차 바퀴 밑에 설치했을 때에만 발광부(200)에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상태와 관계없이 전원이 항상 공급되어 발광부(200)가 빛을 내고 있다면 에너지가 낭비될 뿐 아니라 보관 시에 눈이 부실 수도 있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 공급 조절을 위해 스위치(310) 또는 센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윗면이나 전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면(110)에 스위치(31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자동차 바퀴가 전면(110)에 거치됨에 따라 자동으로 스위치(310)가 온 상태에 놓이게 되어 발광부(200)에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의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강도가 매우 강한 재질로 스위치(310)를 제작해야 한다.
센서(320)는, 몸체(100)의 전면(110)에 자동차의 바퀴가 거치되는 것을 인식하여, 발광부(200)에 전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센서(320)는 금속 감지 센서 또는 무게 감지 센서 등일 수 있으나, 고임목의 재질이 금속으로 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차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야 함을 고려할 때, 금속 감지 센서보다는 무게 감지 센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무게 감지 센서(320)를 더 포함하여 고임목에 소정의 중량 이상이 가해지면 발광부(200)가 점등되고, 가해지는 중량이 소정의 중량 미만이면 멸등될 수 있다. 센서(320)로 전기 공급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고임목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발광부(200)가 멸등되므로 스위치(310)를 조작해 발광부(200)를 멸등할 필요가 없고, 자동차 바퀴를 고이는 것이므로 전기가 공급되기 위한 소정의 중량이 매우 커서 보관 중에 고임목 위에 물건을 올려놓더라도 발광부(200)가 점등될 염려가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몸체(100)의 전면(110)을 자동차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고여서 사용하게 되며, 고임목이 설치되면 발광부(200)가 점등되어 빛을 발산함으로써, 눈에 잘 띄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즉 배면(120)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손잡이(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400)를 이용하면 고임목을 쉽게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는 몸체(100)의 배면(120)과 손잡이(40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고임목이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몸체(100)와 손잡이(400)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따로 제작된 손잡이(400)를 몸체(100)에 붙이는 형태로 할 수도 있고, 손잡이(4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의 손잡이(400)가 전면(110)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발광부(200)는 손잡이(4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00)는 복수의 전구(210)이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전구(210) 중 일부의 전구(211 또는 212)만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구(21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의 전구(211 또는 212)만 점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전구(211)와 나머지 전구(212)가 서로 교대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고임목이 더욱 눈에 잘 띄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200)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은,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즉 배면(120)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은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여 야간에도 육안으로 쉽게 고임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발광부(200)와 반사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눈에 잘 띄게 할 수 있으며, 발광부(200)의 전구(210) 중 일부의 전구(211 또는 212)만 점등하더라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전면
120: 배면 200: 발광부
210: 전구 211, 212: 일부의 전구
220: 앞판 230: 틀
300: 전원부 310: 스위치
320: 센서 400: 손잡이

Claims (9)

  1. 자동차의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고임목으로서,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면(110)과, 상기 전면(110)의 반대쪽에서 대체로 수직면을 형성하는 배면(120), 및 양 측면을 형성하여 상기 자동차용 고임목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여 차의 외부에서 고임목이 고여 있음을 육안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발광부(200);
    상기 몸체(100)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200)의 점멸을 위한 전기 공급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310), 및 상기 몸체(100)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센서(320)에서 감지하는 중량이 소정의 중량 이상이 가해지면 상기 발광부(200)가 점등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센서(320)에서 감지하는 중량이 상기 소정의 중량 미만이면 상기 발광부(200)가 멸등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스위치(310)의 온/오프 구동에 따라서도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부(300); 및
    상기 몸체(100)의 배면(120)과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더 형성되는 손잡이(40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배면(120)과, 양 측면, 및 손잡이(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전구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LED 전구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두가 점등되거나, 또는 일부의 LED 전구만이 점등되거나, 또는 일부의 LED 전구들로 분할된 복수의 LED 전구가 서로 반복하여 점등과 멸등을 반복하는 것 중 하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의 자동차 바퀴가 거치되는 면의 반대쪽 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KR1020100111527A 2010-11-10 2010-11-10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KR10111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27A KR101114406B1 (ko) 2010-11-10 2010-11-10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US13/883,760 US9212797B2 (en) 2010-11-10 2011-11-10 Vehicle-tire chock having a light-emitting portion
PCT/KR2011/008536 WO2012064114A2 (ko) 2010-11-10 2011-11-10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527A KR101114406B1 (ko) 2010-11-10 2010-11-10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406B1 true KR101114406B1 (ko) 2012-02-22

Family

ID=4584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527A KR101114406B1 (ko) 2010-11-10 2010-11-10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12797B2 (ko)
KR (1) KR101114406B1 (ko)
WO (1) WO201206411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87Y1 (ko) 2015-03-11 2015-08-26 허창수 철도바퀴용 받침목 기구
KR20230100945A (ko) 2021-12-29 2023-07-06 경상북도 고임 스틸 이탈방지 장치
KR20230100974A (ko) 2021-12-29 2023-07-06 임수정 소방차량용 고임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4282B1 (en) 2013-11-29 2017-08-02 9172-9863 Québec Inc. Wheel chock
US10501058B2 (en) * 2015-01-14 2019-12-10 Iguane Technologies Inc. Wheel chock device
CA2987966C (en) * 2015-06-03 2022-12-13 9172-9863 Quebec Inc. Bidirectional wheel chock restraint system
CN105857273A (zh) * 2016-04-29 2016-08-17 闫鹏飞 一种停车块
CN105946820A (zh) * 2016-04-29 2016-09-21 闫鹏飞 一种汽车停车块装置
CN105946821A (zh) * 2016-04-29 2016-09-21 闫鹏飞 一种汽车停车板
CN105922975A (zh) * 2016-05-24 2016-09-07 合肥皆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块
US9896282B2 (en) 2016-05-27 2018-02-20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Pedestrian-vehicle warning systems for loading docks
US9751702B1 (en) * 2016-06-06 2017-09-05 ASSA ABLOY Entrance Systems, Inc. Wheel chock systems
US11285932B2 (en) 2017-06-05 2022-03-29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Wheel chock alarm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9051599A1 (en) 2017-09-14 2019-03-21 9172-9863 Québec Inc. WHEEL BEARING WITH LOCKING MECHANISM
CA3119201A1 (en) 2018-11-09 2020-05-14 9172-9863 Quebec Inc. Wheel chock handling unit and method
US20210046908A1 (en) * 2019-08-15 2021-02-18 Taryn Omran Wheel Motion-Restraining Devices and Methods
CN112649894B (zh) * 2019-10-10 2024-09-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检测系统、方法、装置、智能轮挡以及轮挡检测系统
US20210291718A1 (en) * 2020-03-20 2021-09-23 Daniel L. Thompson Magneized RV Pads
US11702304B2 (en) 2020-05-14 2023-07-18 Blue Giant Equipment Corporation Loading-dock signaling system incorporating a wheel chock having an illuminated signal
USD966991S1 (en) 2020-08-14 2022-10-18 Taryn Omran Wheel chock
US11046298B1 (en) * 2020-12-04 2021-06-29 Altec Industries, Inc. Load sensing wheel chocks
USD987542S1 (en) 2021-03-22 2023-05-30 9172-9863 Québec Inc. Wheel chock
USD995394S1 (en) 2021-03-22 2023-08-15 9172-9863 Québec Inc. Wheel chock
US11796018B1 (en) * 2022-04-11 2023-10-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wheel torque braces and methods of inhibiting vehicle wheel rotation
US12151730B2 (en) * 2023-01-11 2024-11-26 Marlin Bedford Vehicle car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159A (ja) * 1994-04-15 1995-10-24 Shinwa Seisakusho:Kk 車輪止め装置
JP2002114145A (ja) * 2000-10-11 2002-04-16 Daito Koki Kk 車止め
US7226265B2 (en) * 2004-03-11 2007-06-05 Hendrickson Usa, L L.C. Tire-detecting wheel chock apparatus
KR20090010083U (ko) * 2008-04-01 2009-10-07 장재호 자동차용 고임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442A (en) * 1987-06-19 1989-05-23 Robert Von Heck Wheel immobilizer-chock w/integral latch and alarm
US5549410A (en) * 1994-09-29 1996-08-27 Beryozkin; Vladimir Portable vehicle barrier
US6336527B1 (en) * 2001-01-05 2002-01-08 Donald Metz Wheel chock with handle and tire sensing device
US7032720B2 (en) * 2002-02-25 2006-04-25 Gaetan Jette Wheel chock restraint system
CA2694436A1 (en) * 2010-02-23 2011-08-23 9172-9863 Quebec Inc. Improved chock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159A (ja) * 1994-04-15 1995-10-24 Shinwa Seisakusho:Kk 車輪止め装置
JP2002114145A (ja) * 2000-10-11 2002-04-16 Daito Koki Kk 車止め
US7226265B2 (en) * 2004-03-11 2007-06-05 Hendrickson Usa, L L.C. Tire-detecting wheel chock apparatus
KR20090010083U (ko) * 2008-04-01 2009-10-07 장재호 자동차용 고임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087Y1 (ko) 2015-03-11 2015-08-26 허창수 철도바퀴용 받침목 기구
KR20230100945A (ko) 2021-12-29 2023-07-06 경상북도 고임 스틸 이탈방지 장치
KR20230100974A (ko) 2021-12-29 2023-07-06 임수정 소방차량용 고임목
KR102650378B1 (ko) * 2021-12-29 2024-03-22 경상북도 고임 스틸 이탈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3048A1 (en) 2013-08-29
US9212797B2 (en) 2015-12-15
WO2012064114A3 (ko) 2012-09-20
WO2012064114A2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406B1 (ko)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KR101314937B1 (ko) 면발광 led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US7641369B1 (en) Emergency under-lighting systems for vehicles
CN110831452A (zh) 可操作以与车辆照明相对应的远程照明系统
JPH10291439A (ja) 自動車用非常灯
KR20220100758A (ko) 킥보드 안전장치
US20080291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warnings for a rollover vehicle
CA3002102A1 (en) Signal light
KR200450305Y1 (ko) 자동차용 고임목
KR20090082879A (ko) 자전거용방향지시등
US20120299719A1 (en) Portable traffic warning device
JP2002114145A (ja) 車止め
KR101363706B1 (ko)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KR20110011214U (ko) 투척 식 점멸신호기
EP2813396A2 (en) Vehicle light system
KR20200085666A (ko) 교통 신호봉 겸용 차량용 알림 장치 수납케이스
KR200382635Y1 (ko) 휴대용 교통안전 표시구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US20190389367A1 (en) Backup marker lights for commercial trucks and trailers
DE202007002063U1 (de) Warnleuchtdreieck
JP3110550U (ja) 駐停車視認用灯火装置
KR200486748Y1 (ko) 자동차 2차 사고 예방 장치
FR2863973A1 (fr) Balise portable lumineuse de survie pour la securite automobile
KR200349882Y1 (ko) 자동차 후방등
JP3164556U (ja) 車止め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