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4171B1 -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71B1
KR101114171B1 KR1020100015726A KR20100015726A KR101114171B1 KR 101114171 B1 KR101114171 B1 KR 101114171B1 KR 1020100015726 A KR1020100015726 A KR 1020100015726A KR 20100015726 A KR20100015726 A KR 20100015726A KR 101114171 B1 KR101114171 B1 KR 10111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phc
phc pile
pile
b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338A (ko
Inventor
김대호
김원근
원영술
장석구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원근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근, 김대호 filed Critical 김원근
Priority to KR1020100015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1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층 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지하층 벽체를 구축하는 외부 거푸집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전달하는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응력 전달 보는, 일렬로 시공된 다수 개의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PHC파일들의 상부면에 PHC파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 베이스판(11a)(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베이스판(11a)(11b)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복부철근(12), 베이스판(11a)(11b)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철근(13), 상부철근(1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들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철근(14a)(14b),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직철근(16) 그리고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수직철근(16)을 감싸는 나선철근(17)을 포함하는 보강체(10); 및 보강체(17)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 PHC파일의 상부 및 중공 속에 타설되는 콘크리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Load Transfer Beam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상층 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지하층 벽체를 구축하는 외부 거푸집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전달하는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공법은 크게 배면부 토사의 자립을 유지하기 위한 흙막이벽의 종류와 이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보(버팀재)의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흙막이벽으로는 H말뚝+토류판, 강널말뚝, C.I.P(Cast in Place Pile), S.C.W(Soil Cement Wall), 지하연속벽(Diaphragm Wall, Slurry Wall) 등이 있고, 지보공법의 종류로는 버팀대 공법, 그라운드 앵커 공법, 소일 네일링 공법 등이 있다.
흙막이벽 또는 토류벽은 본래 기초 터파기 공사 중에 일어나는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공되는 가설구조물이었으나 최근에는 도심지 구간 굴착공사가 빈번해짐에 따라 주변의 지반침하나 건물 보호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등 그 이용 목적이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소음, 침하 등의 공해방지에 대처하여 개발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연속벽의 출현에 의해 단순한 가설 흙막이벽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초말뚝 및 내진벽 등 건물 본체의 일부로 이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흙막이 공법 중 가장 효과적인 공법 선정을 위해서는 토질조건, 현장조건, 현장주변에 미치는 영향 및 공사비, 공사기간,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기초 터파기 공사 중에 발생하는 측압에 저항할 뿐만 아니라 기초말뚝으로서 건물 본체의 일부로도 이용될 수 있도록 PHC파일을 지중에 연속적으로 시공하여 흙막이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반 굴착시에는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응력 전달 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력 전달 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일렬로 시공된 다수 개의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PHC파일들의 상부면에 PHC파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복부철근,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철근, 상부철근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들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철근,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직철근 그리고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수직철근을 감싸는 나선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체; 및 보강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 PHC파일의 상부 및 중공 속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부철근은 다리부를 갖는 역V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간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부철근에 결합되어 중간철근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수 개의 횡단철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지경계선을 따라 일렬로 시공된 PHC파일의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 다수 개의 수직철근과 나선철근을 조립하여 구성된 원통형 철근망이 각 PHC파일의 중공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한 쌍의 베이스판, 다수 개의 복부철근, 상부철근 그리고 한 쌍의 중간철근을 조립하여 구성된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가 PHC파일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거푸집을 설치하고 보강체가 매설되고 PHC파일의 중공 속에 채워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력 전달 보와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굴착에 따라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PHC파일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상층 벽체 또는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PHC파일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응력 전달 보를 보강하는 보강체가 선조립될 수 있으므로 응력 전달 보를 구축하는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시공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전달 보를 구성하는 보강체가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를 이용해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에 응력 전달 보를 시공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전달 보를 구성하는 보강체가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전달 보를 구성하는 보강체가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력 전달 보를 구성하는 보강체(10)는,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 베이스판(11a)(11b)에 대해 수직하게 서로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복부철근(12), 복부철근(12)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철근(13)과 한 쌍의 중간철근(14a)(14b), 중간철근(14a)(14b)의 위치를 고정하는 횡단철근(15),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상단이 횡단철근(15)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수직철근(16) 및 수직철근(16)을 감싸는 나선철근(17)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은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갖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형상의 강판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PHC파일(30)의 상부면에 PHC파일들을 가로지르는 방향(흙막이벽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PHC파일(30)은 시공 후 두부를 정리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기에 의해 말뚝을 강선까지 포함하여 깨끗하게 절단하므로 말뚝의 두부에 고정된 좌판도 제거되어 PHC파일(30)의 상부면에 복부철근(12)을 고정하기 곤란하다. 베이스판(11a)(11b)은 복부철근(12)이 용접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베이스판(11a)(11b)의 상면에는 면에 수직하게 베이스판(11a)(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복부철근(12)이 용접된다. 복부철근(12)은 대략 역V자형의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 각 끝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다리부(122)를 갖는다. 복부철근(12)은 강봉, 이형철근 등 봉 형상의 부재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다리부(122)와 역V자형부(121)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다리부(122)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또는 외측으로 벌려지도록 절곡될 수 있고 베이스판(11a)(11b)의 상면에 용접된다.
복부철근(12)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부철근(13)이 설치되고 측면을 연결하도록 중간철근(14a)(14b)이 설치된다. 상부철근(13)은 베이스판(11a)(11b)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한다. 상부철근(13)은 복부철근(12)의 역V자형부(121)의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복부철근(12)과 연결될 수 있다. 중간철근(14a)(14b)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부철근(1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의 각 측면을 서로 연결한다. 중간철근(14a)(14b)은 복부철근(12)의 중간 높이에 상부철근(13)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복부철근(12)과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철근(13)이 복부철근(12)의 역V자형부(121)의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고 중간철근(14a)(14b)이 복부철근(12)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중간철근(14a)(14b)의 설치 위치도 복부철근(12)의 중간 높이보다 더 높게 또는 낮게 설치할 수 있다.
중간철근(14a)(14b)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중간철근(14a)(14b)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PHC파일(30)의 상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횡단철근(15)이 복부철근(12)에 결합된다. 따라서 설치되는 횡단철근(15)의 수는 복부철근(12)의 수에 대응된다. 횡단철근(15)의 양단에는 중간철근(14a)(14b)이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후크부(151)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부(151)는 예로서 수평면에 대해 아래쪽으로 6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대안으로, 중간철근(14a)(14b)은 횡단철근(15)에 의해 복부철근(12)에 고정되는 대신 복부철근(12)에 직접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도록 다수 개의 수직철근(16)이 설치된다. 수직철근(16)은 PHC파일의 중공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각 수직철근(16)은 서로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수직철근(16)은 원통형 형상을 이루면서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된다. 다수 개의 수직철근(16) 중 일부의 수직철근(16)의 상단은 횡단철근(15)에 연결된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 횡단철근(15)에 연결되는 수직철근(16)의 상단에 후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직철근(16)의 일부가 복부철근(12)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수직철근(16)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수직철근(16)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나선철근(17)이 설치된다. 나선철근(17)은 수직철근(16)과 교차점에서 용접함으로써 수직철근(16)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강체(10)는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에 다수 개의 복부철근(12)을 용접하고 상부철근(13)과 횡단철근(15)을 복부철근(12)에 용접한 후 중간철근(14a)(14b)을 횡단철근(15)에 용접하여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를 구성하고, 다수 개의 수직철근(16)에 나선철근(17)을 용접하여 원통형 철근망을 구성한 후 이들을 각각 현장으로 반입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를 이용해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에 응력 전달 보를 시공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대지경계선을 따라 일렬로 시공된 PHC파일(30)의 두부를 정리한다. 이때, PHC파일(30)의 두부는 절단기에 의해 강선까지 깨끗하게 절단된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되어 현장으로 반입된 보강체(10)가 설치된다. 즉. 다수 개의 수직철근(16)과 나선철근(17)을 조립하여 구성된 원통형 철근망을 각 PHC파일(30)의 중공(31)으로 삽입하고,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 다수 개의 복부철근(12), 상부철근(13), 한 쌍의 중간철근(14a)(14b), 다수 개의 횡단철근(15)을 조립하여 구성된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를 PHC파일(30)의 상부면에 위치시킨다. 수직철근(16)과 나선철근(17)이 조합된 원통형 철근망이 PHC파일(30)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는 깊이는 PHC파일(30)의 직경 또는 직경 보다 약간 더 길게 삽입될 수 있으나 삽입 깊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PHC파일(30)의 두부와 응력 전달 보(20)의 접합부에 작용하는 단면력에 대해 PHC파일(30)과 응력 전달 보(20)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면 된다.
마지막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18)를 타설, 경화시킨다. 이때, 콘크리트(18)는 PHC파일(30)의 중공(31) 속에 채워지게 되어 응력 전달 보(20)와 PHC파일(30)이 일체가 된다. PHC파일(30)의 중공 속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수직철근(16)을 이용해 거푸집판(미도시)을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PHC파일(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응력 전달 보(20)는 통상의 T자형 단면 보 또는 직사각형 단면 보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응력 전달 보(20) 위에는 지상층 구조물의 기둥이나 벽체 등 수직부재(4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18)에 매립되는 보강체(10)의 구조를 2개의 평면 트러스를 겹쳐서 역V자형의 삼각형 트러스로 구성하여 상부층 구조물의 수직부재(40)를 지지하는 응력 전달 보(20)가 효과적으로 보강되도록 하고, PHC파일(30)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18)는 수직철근(16)과 나선철근(17)으로 구성되는 원통형 철근망으로 보강된다. 따라서 응력 전달 보(20)와 PHC파일(30)은 일체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지상층 수직부재(4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PHC파일(30)에 전달하고 굴착에 따라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30)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PHC파일(3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력 전달 보를 구성하는 보강체가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10a)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10)와 복부철근(12)의 형상, 상부철근(13) 및 중간철근(14a)(14b)의 수 그리고 횡단철근(15)의 구비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설명의 간편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체(10)를 구성하는 요소와 동일한 요소, 즉 베이스판, 수직철근 및 나선철근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부철근(12')은 대략 ㄷ자형의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 각 끝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다리부(122)를 갖는다. 복부철근(12)은 강봉, 이형철근 등을 다단으로 절곡하여 다리부(122)와 ㄷ자형부(121)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다리부(122)는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또는 외측으로 벌려지도록 절곡될 수 있고 베이스판(11a)(11b)의 상면에 용접된다.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절곡할 경우 ㄷ자형부(121)의 수직한 부분(121a)이 베이스판(11a)(11b)의 폭방향으로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상이 되므로 보다 큰 가상콘크리트 단면을 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응력 전달 보가 보다 큰 내하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부철근(12)을 ㄷ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수직철근(16) 및 나선철근(17)이 PHC파일의 상부면에서 더 위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어, 즉 응력 전달 보 속으로 보다 깊게 매입되므로 응력 전달 보의 보강이 보다 강화됨과 동시에 응력 전달 보와 PHC파일의 결합이 한 층 견고해지고 응력 전달 보와 PHC파일의 접합부에서의 응력의 전달이 보다 확실해진다.
상부철근(1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복부철근(12)의 수평한 부분(121b)을 서로 연결하도록 베이스판(11a)(11b)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상부철근(13)의 복부철근(12)의 수평한 부분(121b)의 아래쪽에 베이스판(11a)(11b)에 평행하게 용접되었으나, 상부철근(13)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설치 위치도 수평한 부분의 위쪽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간철근(14a)(14b)는 적어도 2쌍 이상으로 구성되고 복부철근(12)의 수직한 부분(121a)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부철근(13)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2쌍의 중간철근(14a)(14b)이 복부철근(12)의 수직한 부분(121a)의 내측에 상부철근(13)에 평행하게 용접되었으나, 중간철근(14a)(14b)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설치 위치도 수직한 부분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횡단철근을 이용해 복부철근(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복부철근(12)을 ㄷ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하고 복수의 상부철근(13)과 복수의 쌍으로 구성된 중간철근(14a)(14b)으로 복부철근(12)을 둘러싸는 구성이 되므로 응력 전달 보는 보다 큰 내하력을 가질 수 있고 응력 전달 보와 PHC파일의 결합이 한 층 견고해지며 응력 전달 보와 PHC파일의 접합부에서의 응력의 전달이 보다 확실해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보강체
11a, 11b: 베이스판
12: 복부철근
13: 상부철근
14a, 14b: 중간철근
15: 횡단철근
16: 수직철근
17: 나선철근
18: 콘크리트
20: 응력 전달 보
30: PHC파일
40: 수직부재

Claims (4)

  1. 일렬로 시공된 다수 개의 PHC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 굴착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압에 대해 PHC파일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면서 지상층 구조물의 완성 후에는 지상층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PHC파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PHC파일(30)들의 상부면에 PHC파일(3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 베이스판(11a)(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베이스판(11a)(11b)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복부철근(12), 베이스판(11a)(11b)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철근(13), 상부철근(1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부철근(12)들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철근(14a)(14b),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다수 개의 수직철근(16) 그리고 각 PHC파일의 중공 속으로 삽입되고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수직철근(16)을 감싸는 나선철근(17)을 포함하는 보강체(10); 및
    보강체(1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각 PHC파일(30)의 상부 및 중공(31) 속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부철근(12)은 다리부(122)를 갖는 역V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간철근(14a)(14b)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부철근(12)에 결합되어 중간철근(14a)(14b)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수 개의 횡단철근(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4. 대지경계선을 따라 일렬로 시공된 PHC파일의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강체를 다수 개의 수직철근(16)과 나선철근(17)을 조립하여 구성된 원통형 철근망이 각 PHC파일의 중공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한 쌍의 베이스판(11a)(11b), 다수 개의 복부철근(12), 상부철근(13) 그리고 한 쌍의 중간철근(14a)(14b)을 조립하여 구성된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가 PHC파일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거푸집을 설치하고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강체가 매설되고 PHC파일의 중공 속에 채워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C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의 시공방법.
KR1020100015726A 2010-02-22 2010-02-22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Active KR10111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26A KR101114171B1 (ko) 2010-02-22 2010-02-22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726A KR101114171B1 (ko) 2010-02-22 2010-02-22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338A KR20110096338A (ko) 2011-08-30
KR101114171B1 true KR101114171B1 (ko) 2012-02-22

Family

ID=4493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726A Active KR101114171B1 (ko) 2010-02-22 2010-02-22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1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455A (ja) 1998-12-25 2000-07-11 Taisei Corp 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ト杭
KR20020089029A (ko) * 2001-05-22 2002-11-29 이윤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보강 공법
KR20070112356A (ko) * 2007-11-05 2007-11-23 이정락 토류벽콘크리트용 트러스패널 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0913569B1 (ko) 2009-01-29 2009-08-26 (주) 아이제이컨티넨탈엔지니어링 흙막이벽용 피에이치씨 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455A (ja) 1998-12-25 2000-07-11 Taisei Corp 場所打ち鉄筋コンクリ―ト杭
KR20020089029A (ko) * 2001-05-22 2002-11-29 이윤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보강 공법
KR20070112356A (ko) * 2007-11-05 2007-11-23 이정락 토류벽콘크리트용 트러스패널 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흙막이벽 시공방법
KR100913569B1 (ko) 2009-01-29 2009-08-26 (주) 아이제이컨티넨탈엔지니어링 흙막이벽용 피에이치씨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338A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520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되는 흙막이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27344B1 (ko)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JP2011157812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46758B1 (ko)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JP4812324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8231799A (ja) 免震構造
JP2019124036A (ja)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JP6650257B2 (ja) 山留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843023B1 (ko)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5259510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89209B1 (ko) 합성형 말뚝과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6477565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JP6860895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2610817B1 (ko)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58982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KR101114171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응력 전달 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