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3960B1 - 문자 키패드 - Google Patents

문자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960B1
KR101113960B1 KR1020100003454A KR20100003454A KR101113960B1 KR 101113960 B1 KR101113960 B1 KR 101113960B1 KR 1020100003454 A KR1020100003454 A KR 1020100003454A KR 20100003454 A KR20100003454 A KR 20100003454A KR 101113960 B1 KR101113960 B1 KR 10111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s
rows
row
keypad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293A (ko
Inventor
매튜 와이. 안
Original Assignee
매튜 와이. 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튜 와이. 안 filed Critical 매튜 와이. 안
Priority to KR102010000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60B1/ko
Priority to US12/893,277 priority patent/US8568045B2/en
Publication of KR2011008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키패드는 6X3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여 발음나는 대로 키패드를 눌러주도록 된 것으로, 상기 6X3 키패드의 자음은 1행 1열과 1행 2열, 2행 1열과 2행 3열, 3행 2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6X3 키패드의 모음은 1행 2열과 1행 4열 1행 5열 및 1행 6열, 2행 2열과 2행 4열과 2행 5열 및 2행 6열, 3행 5열에 각각 배열된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의 자음과 모음은 입술소리, 잇빨소리, 혀끝소리, 혀뿌리소리 및, 목구멍소리 중 어느 하나를 발음나는 대로 문자를 입력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문자를 발음나는 대로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고,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는 각종 전자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문자 키패드{KEY PAD FOR CHARACTER}
본 발명은 문자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문자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 또는 전동 타자기를 들 수 있고, 이 컴퓨터나 전동 타자기의 경우 문자를 입력하려면 문자의 자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야 하고, 이들 키의 각각에는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형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와 같은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는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고, 문자(한글 또는 영문자)를 소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글 24자 영문 26자에 해당하는 문자키, 특정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키에 의하여 소형화가 어렵고, 휴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키보드의 경우 대부분이 양손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고, 보다 원활한 문자 입력을 위해서는 키 배열을 숙지하지 않으면 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는 다소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의 문자(한글)배열은 영문자 배열 위에 그대로 만들어져 있으며, 한글은 차례로 입력되는 것으로 문자가 되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자음), 중성(모음), 종성(자음)이 어우러져 하나의 문자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키보드의 문자배열은 한글 문자 입력을 영문자 패턴에 맞추어 차례로 입력하여 모아쓰는 형태로 만들게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한글의 글자를 합성하는 오토마타가 개입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영어식 입력을 하다 보니 완성된 글자 밖에는 찾아오지 못하므로 세상의 모든 소리 및 사람의 소리인 외국어도 제대로 표기를 못하게 되었다.
이것이 모두 영문자 배열을 토대로 그대로 입력하여 문자를 완성하게 됨으로 인하여 야기된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소형의 문자 입력장치 즉 PDA,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이동무선통신단말기(휴대폰)의 경우 장치가 소형이므로 그에 따른 키패드도 소형이기 때문에 한정된 키패드 내에서 한글 24자의 문자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버튼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소가 배열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영문자 배열에 따른 문자를 하나 하나씩 입력하게 되므로 키패드의 크기만 소형이지 이용방법은 컴퓨터 체계와 별 다른 것이 없고, 오히려 하나의 키버튼에 배열된 2개 이상의 자소를 숙지하지 않으면 입력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자 키패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한글 또는 영어와 같은 문자를 발음나는 대로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문자 키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6X3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의 자음은 1행 1열과 1행 3열, 2행 1열과 2행 3열, 3행 2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의 모음은 1행 2열과 1행 4열 1행 5열 및 1행 6열, 2행 2열과 2행 4열과 2행 5열 및 2행 6열, 3행 5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의 자음과 모음은 입술소리, 잇빨소리, 혀끝소리, 혀뿌리소리 및, 목구멍소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를 눌러 입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5개의 자음은, ㄱ, ㄴ, ㅁ, ㅇ, ㅅ 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7개의 모음은, ?, ㅡ, ㅣ, ㅏ, ㅓ, ㅜ, ㅗ 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자음과 모음은 한 음절씩 입력하게 되므로 입력속도가 빠르고 문자에 따라서 발음나는 대로 문자를 한꺼번에 눌러주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는 3X3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한꺼번에 눌러줌으로써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는 문자를 전송하는 PDA, 휴대폰, 컴퓨터 키보드, 전자수첩, 터치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키패드에 의하면, 문자를 발음나는 대로 입력함으로써 문자를 입력 표시하는 기기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고,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는 각종 전자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키패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키패드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한글 또는 영어 등과 같이 다양한 문자를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된 문자 키패드(100)는 6X3 키패드(100)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과 7개의 모음으로 배열 구성하여 키패드(100)를 눌러주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문자 키패드(100)는 컴퓨터용 입력자판이나 전화기용 자판 및, 각종 터치패널 등에 있어서 동시 입력이 가능한 모든 패널에 여러개의 자리를 한꺼번에 눌러서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6X3 키패드(100)의 자음은 1행 1열과 1행 3열, 2행 1열과 2행 3열, 3행 2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6X3 키패드(100)의 모음은 1행 2열과 1행 4열 1행 5열 및 1행 6열, 2행 2열과 2행 4열과 2행 5열 및 2행 6열, 3행 5열에 각각 배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키패드(100)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살펴보면, 'ㅁ'의 경우 1행 1열에 위치하고, 'ㄱ'의 경우 2행 3열에 위치하며, 'ㄴ'의 경우 3행 2열에 위치하고, 'ㅏ'의 경우 2행 4열에 위치하며, 'ㅣ'의 경우 2행 5열에 위치하고, 'ㅜ'의 경우 1행 6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6X3 키패드(100)의 자음과 모음은 입술소리, 잇빨소리, 혀끝소리, 혀뿌리소리 및, 목구멍소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를 눌러 입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5개의 자음은, ㄱ, ㄴ, ㅁ, ㅇ, ㅅ 으로 구성되고, 상기 7개의 모음은, ?, ㅡ, ㅣ, ㅏ, ㅓ, ㅜ, ㅗ 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00)에 배열된 다수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한 음절씩 입력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을 단독 혹은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키패드(100)에 인쇄된 상기 자음과 모음은 원하는 문자를 한음절씩 눌러주도록 된 것이며, 상기 6X3 키패드(100)는 3X3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한꺼번에 눌러줌으로써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쌍자음은 키패드(100)의 3X3에 포함되는 자음과 모음을 함께 눌러줌으로써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1행 1,2,3열과, 2행 1,2,3열 및, 3행 2열의 자음과 모음을 포함한다.
예컨대, 입술소리에 구성되는 ㅁ(m)의 경우 상기 6X3 키패드(100)의 1행 1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되고, ㅂ(b)의 경우는 1행 1열에 위치한 'ㅁ'과 2행 2열에 위치한 'ㅡ'를 동시에 눌러주며, ㅍ(p)의 경우는 'ㅁ'과 'ㅡ'와 1행 2열에 위치한 '?'를 동시에 눌러준다.
ㅃ(bb)의 경우 'ㅁ'과 2행 1열에 위치한 'ㅅ'을 동시에 눌러주고, ㅍㅇ(f)의 경우는 ㅍ(ㅁ+ㅡ+?)과 1행 3열에 위치한 'ㅇ'을 동시에 눌러주며, ㅂㅇ(v)의 경우는 ㅂ(ㅁ+ㅡ)과 1행 3열에 위치한 'ㅇ'을 동시에 눌러준다.
또한, 잇빨소리에 구성되는 ㅅ(s)의 경우 상기 6X3 키패드(100)의 2행 1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되고, ㅈ(j)의 경우는 'ㅅ'과 'ㅡ'를 동시에 눌러주며, ㅉ(jj, z)의 경우는 'ㅅ'과 'ㄴ'과 'ㅡ'를 동시에 눌러주고, ㅊ(c)은 'ㅅ'과 'ㅡ'와 '?'를 동시에 눌러준다.
ㅅㅇ(sh)의 경우 ㅅ+ㅇ으로, ㅈㅇ(zh)의 경우 ㅅ+ㅡ+ㅇ이고, ㅊㅇ(ch)은 ㅅ+ㅡ+?+ㅇ이고, ㅆ(ss)은 ㅅ+ㄴ을 동시에 눌러준다.
또한, 혀끝소리에 구성되는 ㄴ(n)의 경우 상기 6X3 키패드(100)의 3행 2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되고, ㄷ(d)의 경우는 'ㄴ'과 'ㅡ'를 동시에 눌러주며, ㅌ(t)은 ㄴ+ㅡ+?이고, ㄸ(dd)은 ㄴ+ㅡ+ㄱ이며, ㅌㅇ(th)는 ㄴ+ㅡ+?+ㅇ이고, ㄹ(r)은 ㄱ+ㅡ+ㄴ이며, ㄹㅇ(l)은 ㄱ+ㅡ+ㄴ+ㅇ을 동시에 눌러준다.
또한, 혀뿌리소리에 구성되는 ㄱ(g)의 경우 상기 6X3 키패드(100)의 2행 3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되고, ㅋ(k)은 ㄱ+ㅡ이며, ㄲ(gg)은 ㄱ+ㅇ을 동시에 눌러준다.
또한, 목구멍소리에 구성되는 ㅇ(ng)의 경우 상기 6X3 키패드(100)의 1행 3열에 위치한 버튼을 눌러주면 되고, ㅎ(h)의 경우 ㅇ+ㅡ+?를 동시에 눌러준다.
그리고, 각종 모음의 경우 그 생김새 대로 한꺼번에 눌러주면 되는 것으로, ㅑ의 경우 ㅏ+?이고, ㅢ는 ㅡ+ㅣ이며, ㅚ는 ㅗ+ㅣ이고, ㅞ는 ㅜ+ㅓ+ㅣ를 동시에 눌러주면 되는 것이다.
6X3 키패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1행 1열= ㅁ, 1행 2열= ?, 1행 3열= ㅇ, 1행 4열= ㅓ, 1행 5열= ?, 1행 6열= ㅜ, 2행 1일= ㅅ, 2행 2열= ㅡ, 2행 3열= ㄱ, 2행 4열= ㅏ, 2행 5열= ㅣ, 2행 6열= ㅗ, 3행 2열= ㄴ, 3행 5열= ㅡ 를 배열 구성하여 발음나는 대로 키패드를 눌러주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 키패드(100)의 경우 발음나는 대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과 영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자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키패드(100)는 문자를 전송하는 다양한 기기인 PDA, 휴대폰, 컴퓨터 키보드, 전자수첩 및, 터치패널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키패드

Claims (11)

  1. 6X3 키패드를 기준하여 빈도가 가장 많은 5개의 자음을 1행 1열과 1행 3열, 2행 1열과 2행 3열, 3행 2열에 각각 배열하고, 7개의 모음을 1행 2열과 1행 4열 1행 5열 및 1행 6열, 2행 2열과 2행 4열과 2행 5열 및 2행 6열, 3행 5열에 각각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키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X3 키패드의 자음과 모음은 입술소리, 잇빨소리, 혀끝소리, 혀뿌리소리 및, 목구멍소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키패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6X3 키패드는 3X3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한꺼번에 눌러줌으로써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키패드.
  9. 삭제
  10. 6X3 키패드를 기준으로 1행 1열= ㅁ, 1행 2열= ?, 1행 3열= ㅇ, 1행 4열= ㅓ, 1행 5열= ?, 1행 6열= ㅜ, 2행 1일= ㅅ, 2행 2열= ㅡ, 2행 3열= ㄱ, 2행 4열= ㅏ, 2행 5열= ㅣ, 2행 6열= ㅗ, 3행 2열= ㄴ, 3행 5열= ㅡ 를 배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키패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6X3 키패드는 3X3에 키패드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한꺼번에 눌러서 쌍자음을 형성하되, ㄲ= ㄱ+ㅇ, ㄸ= ㄴ+ㅡ+ㄱ, ㅃ= ㅁ+ㅅ, ㅆ= ㅅ+ㄴ, ㅉ= ㅅ+ㄴ+ㅡ 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키패드.


KR1020100003454A 2010-01-14 2010-01-14 문자 키패드 KR10111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54A KR101113960B1 (ko) 2010-01-14 2010-01-14 문자 키패드
US12/893,277 US8568045B2 (en) 2010-01-14 2010-09-29 Language in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454A KR101113960B1 (ko) 2010-01-14 2010-01-14 문자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93A KR20110083293A (ko) 2011-07-20
KR101113960B1 true KR101113960B1 (ko) 2012-03-13

Family

ID=4425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454A KR101113960B1 (ko) 2010-01-14 2010-01-14 문자 키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68045B2 (ko)
KR (1) KR101113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31383A1 (en) * 2011-06-27 2012-12-27 Choung Shik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US9933857B2 (en) * 2012-12-03 2018-04-03 Paul Francis Streitz Data entry keyboard
CN103365429B (zh) * 2013-08-07 2016-10-26 陶津华 一种t码输入法
JP6067952B1 (ja) * 2015-06-30 2017-01-25 楽天株式会社 翻字処理装置、翻字処理方法、翻字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5807949B (zh) * 2016-03-06 2019-02-22 尼玛扎西 藏文输入方法和系统
CN111459295A (zh) * 2019-01-18 2020-07-28 沈阳三翔科技有限公司 基于电脑windows系统的韩民族韩语输入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1Y1 (ko) * 2001-06-11 2001-11-22 주식회사 언어과학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20070030095A (ko) * 2005-09-12 2007-03-15 이병수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74128A (ko) * 2009-06-05 2009-07-06 장선호 한글입력자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5251A (en) * 1948-05-18 1953-01-13 Kong Pyung Woo Korean typewriter
US4187031A (en) * 1978-03-13 1980-02-05 Yeh Chan H Korean (hangul) electronic typewrit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ystem
US5213422A (en) * 1990-04-13 1993-05-25 Moishe Garfinkle Bicameral pictographic-language keyboard
JPH0916301A (ja) * 1995-06-29 1997-01-17 Fujitsu Ltd ハングル文字入力用キーボード
US5945928A (en) *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KR100336493B1 (ko) * 1999-10-29 2002-05-15 오길록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US6462678B1 (en) * 2000-03-24 2002-10-08 Matthew Y. Ahn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CA2410057C (en) * 2002-07-03 2008-04-29 2012244 Ontari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ideographic korean syllables from reduced keyboard
US8669888B2 (en) * 2005-04-25 2014-03-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707852B1 (ko) * 2005-12-19 2007-04-18 김민서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KR100777968B1 (ko) * 2006-09-20 2007-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기능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4141B1 (ko) * 2006-12-29 2007-05-31 주식회사 네오패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3896B1 (ko) * 2007-01-24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90025610A (ko) * 2007-09-06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891Y1 (ko) * 2001-06-11 2001-11-22 주식회사 언어과학 축소형 한글자판부를 갖는 한글입력장치
KR20070030095A (ko) * 2005-09-12 2007-03-15 이병수 문자 입력 방법
KR20090074128A (ko) * 2009-06-05 2009-07-06 장선호 한글입력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70927A1 (en) 2011-07-14
KR20110083293A (ko) 2011-07-20
US8568045B2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960B1 (ko) 문자 키패드
CN102043474B (zh) 一种单手输入键盘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18082B1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100101993A (ko)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Shin et al. Keypad gloves: Glove-based text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for wearable computers
KR200330513Y1 (ko) 한손 한글 키패드
KR20080064258A (ko) 디지털단말기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KR100620489B1 (ko) 한손 한글 키패드
KR1009017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KR101231610B1 (ko) 두글방식과 쿼티방식의 키판을 혼합 배치하여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입력장치
KR20060100553A (ko) 양손 입력용 키패드
KR20050043364A (ko) 키 배치 방법,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KR20050110744A (ko) 에피 한글입력 시스템
KR20140050796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