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3850B1 -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 Google Patents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850B1
KR101113850B1 KR1020050073738A KR20050073738A KR101113850B1 KR 101113850 B1 KR101113850 B1 KR 101113850B1 KR 1020050073738 A KR1020050073738 A KR 1020050073738A KR 20050073738 A KR20050073738 A KR 20050073738A KR 101113850 B1 KR101113850 B1 KR 10111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chip
laser beam
bonding
light source
la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811A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50B1/ko
Priority to US11/292,042 priority patent/US7464850B2/en
Priority to CNB200610005941XA priority patent/CN100552908C/zh
Priority to TW095103981A priority patent/TWI389280B/zh
Publication of KR2007001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11A/ko
Priority to US12/247,312 priority patent/US78161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3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8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65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beam condensation on the workpiece, e.g. for foc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01L2223/5448Located on chip prior to dicing and remaining on chip after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7Means for aligning
    • H01L2224/75743Suction ho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12Aligning
    • H01L2224/81121Active alignment, i.e. by apparatus steering, e.g. optical alignment using mark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19Arrangement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1193Arrangement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bump connectors are disposed on both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2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 H01L2224/81201Compression bonding
    • H01L2224/81203Thermocompression bonding, e.g. diffusion bonding, pressure joining, thermocompression welding or solid-state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2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 H01L2224/8122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with energy being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 H01L2224/81224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with energy being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a 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1801Soldering or allo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385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 H01L2224/83855Hardening the adhesive by curing, i.e. thermose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385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 H01L2224/83855Hardening the adhesive by curing, i.e. thermosetting
    • H01L2224/83868Infrared [IR] c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4Solder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압착 방식을 적용하여 높은 생산성과 접합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이 안착되는 본딩 스테이지와,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반도체 칩의 온도를 접합 온도까지 가열하는 반도체칩 가열 기구를 구비하고, 반도체 칩의 가열 기구는 레이저 광원과,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반도체 칩 상면에서 변경되도록, 레이저 빔을 반도체 칩 상면으로 굴절하여 조사하는 렌즈 조립체를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Method for flip chip bonding and flip chip bonder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압착 방식을 행하는 본딩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립 칩 본딩 장치에 구비된 스캔 미러의 회전에 따른 조사 중심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조사시의 반도체 칩 상면에서 레이저 빔의 강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도체 칩의 가열 기구간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플립 칩 본딩 장치에 구비된 제1, 2 스캔 미러의 회전에 따른 조사 중심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플립 칩 본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S30)단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의 플립 칩 본딩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플립 칩 본딩 장치 110: 반도체 칩
115: 전도성 범프 120: 기판
130: 본딩 헤드 132: 픽업 유로
140: 본딩 스테이지 150, 160: 반도체 칩 가열 기구
152: 레이저 광원 153: 렌즈 조립체
154: 포커싱 렌즈 155: 스캔 미러
156: 선 속도 균일용 렌즈 157: 광섬유
162: 레이저 구동부 165: 스캔 미러 구동부
255a: 제1 스캔 미러 255b: 제2 스캔 미러
L: 레이저 빔
본 발명은 플립 칩 본딩 장치 및 플립 칩 본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의 광선 폭 및 조사 방향을조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반도체 칩의 플립 칩 본딩이 가능하게 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및 플립 칩 본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제품이 소형화 및 고기능화 됨에 따라 전자제품의 핵심부분을 이루고 있는 반도체 칩도 고집적화 및 고성능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집적화 및 고성능화 되고 있는 반도체 칩을 먼지나 습기 또는 전기적, 기계적 부하 등의 각종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해주는 반도체 패키지(package)의 제조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추세에 대응하여 경박단소화 및 다핀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반도체 패키지의 방식도 기존의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식으로는 경박단소화 및 다핀화되고 있는 추세에 대응하기 힘들다고 판단되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들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으며, 그 중 한 가지 방식이 솔더 범프(solder bump) 방식이다.
솔더 범프 방식이란, 반도체 칩의 입출력 단자인 패드(pad) 위에 별도의 솔더 범프를 형성시킨 다음 이 반도체 칩을 뒤집어서 캐리어(carrier) 기판이나 서킷 테이프(circuit tape)의 회로패턴(pattern)에 직접 붙이는 방식으로, 반도체 칩이 뒤집혀진 상태로 본딩되기 때문에 '플립 칩 본딩'이라고 지칭되고 있다.
종래 플립 칩 본딩 방식은 크게 열압착 방식과, 레이저(laser) 압착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141376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압착 방식의 경우에는, 반도체 칩을 가열할 때 나타나는 열전달 부위에서의 높은 열손실로 인하여 장시간 반도체 칩을 가열해야 한다. 이러한 장시간의 가열은 결과적으로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솔더 범프의 접합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게되면서 고온에 민감한 재질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압착 방식은 반도체 칩과 기판의열적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접합위치가 조금씩 틀어지게 되는 접합 정밀도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냉각 후 반도체 칩과 기판의 수축으로 인해 조금씩 틀어진 부분에서 크랙(crack)과 같은 접합부위 손상이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레이저 압착 방식은 반도체 칩의 솔더 범프들이 기판의 지정된 솔더 범프와 대향되도록 본드 포지션으로 이동한 후에 반도체 칩의 후면으로부터 반도체 칩을 가열하면서 가압하고, 반도체 칩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열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높은 생산성과 낮은 열적팽창계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미국등록특허 US5,500,502호에 개시된 종래의 레이저 압착 방식을 행하는 본딩 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대(1)에 범프(2A)를 가지는 반도체 칩(1A)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 칩(1A)의 상방에는 복수의 리드 단자(9)들을 구비한 리드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수단(3)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광선(11)이 셔터(25)와 반사광(5)과 집광렌즈(7)를 지나면서 리드 단자(9)에 집광되어서 리드 단자(9)와 반도체 칩(1A)을 가열하게 되고, 이렇게 레이저 광선에 의해 가열된 리드 단자(9)와 반도체 칩(1A)은 서로 본딩된다.
상기 리드 단자(9)와 반도체 칩(1A)이 가열되는 동안 온도 센서(13)는 리드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게 하여서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온도 센서(13)로부터의 전기 신호는 증폭기(15)에 의하여 증폭된 뒤에 필터 회로(17)에 의하여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한 다음, A/D변환기(19)에 의하여 디지털 변환 된 후에 컴퓨터(21)에 입력된다. 컴퓨터(21)는 A/D변환기(19)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리드 단자(9)와 범프(2A)와의 접촉상태를 판정하게 되고, 그 판정결과는 표시 장치(23)에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컴퓨터(21)의 본딩 상태를 판단하여 레이저의 셔터(3)가 개폐 제어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압착 방식의 경우, 레이저 광선이 집광렌즈(7)에 의하여 집광되므로 제한적인 영역에서만 본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레이저 광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광에너지가 불균일하게 된다. 집광된 레이저의 강도 분포는 일반적으로 가우시안 프로파일(gaussian profile)을 가지게 되어서 집광 중심부의 광량은 높게 되고 주변부의 광량은 낮게 된다. 따라서 본딩 시에 중심부의 광량을 기준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게 되면 주변부의 광량이 부족해지고, 주변부를 기준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게 되면 중심부의 광량이 지나치게 높게 된다.
즉, 레이저 광선 폭을 조절할 수 없어서 반도체 칩(9)의 상면에 고르게 레이저 광선이 조사되지 못한다. 반도체 칩(9)의 상면에 레이저 광선(11)이 고르게 조사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칩에 배치된 모든 범프(2A)들을 고르게 가열할 수 없게 되어 하나의 반도체 칩(9) 상에서 에너지 분포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곧 반도체 칩(9)의 열변형에 의한 뒤틀림, 범프 중 충분히 가열되지 못한 부분에서의 접합 강도의 약화, 가열 시간의 증가 등의 문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플립 칩 본딩 장치에 의해 기판에 장착되는 반도체 칩(1A)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경우에는 더욱 문제가 된다.
또한, 반도체 칩(1A)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본딩을 하기 위해서는 범프(2A)가 있는 위치에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받침대(1)를 정밀하게 이동시키면서 본딩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런데 반도체 칩(1A) 사이즈가 증가하면서 반도체 칩(1A)이 안착된 받침대(1)의 스트로크가 커져야 한다. 이로 인하여 받침대(1)를 정밀하게 구동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동시에 받침대(1)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이저 압착 방식을 적용하여 높은 생산성과 접합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칩 상면에 고르게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립 칩 본딩 장치 및 이에 채택된 플립 칩 본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칩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본딩을 하기 위하여 본딩 스테이지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구조를 가진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는, 기판이 안착되는 본딩 스테이지와,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반도체 칩의 온도를 접합 온도까지 가열하는 반 도체 칩 가열 기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반도체 칩의 가열 기구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칩 상면에서 변경되도록,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으로 굴절하여 조사하는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光經路) 상에 형성되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반도체 칩 상면으로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스캔 미러 사이의 광 경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접합 위치에서 레이저 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포커싱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조립체는 선 속도 균일용 렌즈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는 상기 스캔 미러와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것으로,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시킨다. 여기서 적어도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는 상기 본딩 헤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플립 칩 본딩 장치는, 상기 스캔 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미러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까지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는, 기판이 안착되는 본딩 스테이지,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본딩 헤드와, 상기 반도체 칩의 온도를 접합 온도까지 가열하는 반도체 칩 가열 기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반도체 칩의 가열 기구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스캔 미러와, 상기 제1 스캔 미러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되어서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축과 다른 방향의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스캔 미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축과 제2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 칩 가열 기구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1 스캔 미러 사이의 광 경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접합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 빔의 크기를 제어하는 포커싱 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플립 칩 본딩 방법은,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와,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칩과 기판의 접합 부위를 가열하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가 레이저 빔의 굴절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원과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두 개의 스캔 미러를 통하여 레이저 빔을 2번 굴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미러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캔 렌즈 및 상기 레이저광원이 연동 또는 각각 독립 구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칩의 크기에 따라서 레이저 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플립 칩 본딩 방법은,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와,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칩의 사이즈에 맞추어 레이저 빔의 폭을 조절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를 사용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연속적으로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 미러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고르게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칩과 기판의 접합 부위를 가열하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100)는 본딩 스테이지(140)와, 본딩 헤드(130)와, 반도체 칩 가열 기구(150)를 구비한다.
본딩 스테이지(140)는 통상 이송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된 기판(120)을 순차적으로 안착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본딩 스테이지(140)에는 상면으로 관통된 수개의 흡착 유로들이 병렬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흡착 유로를 통하여 발생된 흡착력을 이용하여 기판(120)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딩 스테이지(140)에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히터는 그 상면에 고정된 기판(120)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여 택트 타임이 단축되도록 한다.
본딩 헤드(130)는 상기 본딩 스테이지(140)의 상측에서 승하강 운동을 행하는데, 상기 본딩 스테이지(140)에 안착된 기판(120) 상에 반도체 칩(110)을 플립 칩 형상으로 압착한다. 이 본딩 헤드(130)의 일 예로서, 상기 본딩 헤드(130)의 내측에 반도체 칩(110)을 픽업하도록 픽업 유로(132)가 형성되어서, 상기 픽업 유로(132)를 통하여 부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반도체 칩(110)을 픽업하고, 상기 부압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정압의 공기를 픽업 유로(132)를 통하여 공급하여서 반도체 칩(110)을 기판(120) 상에 압착시킨다.
반도체 칩(110)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칩(110)의 전극 하면에는 전도성 범프(1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전도성 범프(115)는 반도체 칩(110)의 전 극과, 기판(120)에 형성된 단자 사이에서 융착되어서 양자 사이의 결합을 매개한다.
반도체 칩 가열 기구(150)는 레이저 광원(152)과,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 발생하는 레이저 빔(L)을 반도체 칩(110)에 조사하는 렌즈 조립체(153)를 구비한다.
이 렌즈 조립체(153)는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L)의 조사 중심 위치가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L)을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으로 굴절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빔(L)이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의 일부분에 조사 중심 위치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 골고루 조사됨으로써 레이저 빔(L)이 조사되는 영역의 광 에너지가 균일하게 되어서, 반도체 칩(110) 상면의 일부에서 광량이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광량이 부족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레이저 빔(L)의 조사 중심 위치가 반도체 칩(110) 상면을 전체 영역을 따라서 이루어지고 그 조사 시간이 모든 영역에서 동일하다면, 반도체 칩(110)의 전체 상면에서 골고루 가열되어서, 반도체 칩(110)과 기판(120) 사이에 접합되는 영역에서 균일하게 접합된다.
이 경우, 상기 렌즈 조립체(153)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15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스캔 미러(155)는 상기 레이저 광원(152)과 반도체 칩(110) 사이의 광 경로(光經路)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L)이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의 일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스캔한다. 즉, 스캔 미러가 제1위치(155_1)에 있는 경우 그 조사 중심은반도체 칩의 일단부(A_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스캔 미러가 회전함에 따라서 그 조사 중심이 반도체 칩(110) 상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가며, 스캔 미러가 제2위치(155_2)로 회전하는 경우 그 조사 중심은 반도체 칩(110)의 타단부(A_2)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미러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다면 레이저 빔(L)이 반도체 칩(110) 상면의 각각의 영역에 동일한 시간씩 조사된다. 따라서 조사 중심이 주변에 비하여 빔 강도(intensity)가 커지나, 전체 반도체 칩(110) 상면을 골고루 조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광량의 분포가 반도체 칩 상면 전체에서 일정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반도체 칩(110)이 움직일 필요 없이 스캔 미러(155)에 의해 레이저 빔(L)이 스캔 됨으로써 반도체 칩(110)의 접합 영역을가열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로 되돌아가서, 상기 레이저 광원(152)과 스캔 미러(155) 사이의 광 경로에는 포커싱 렌즈(154)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포커싱 렌즈(154)는 상기 반도체 칩(110)의 접합 위치에서 레이저 빔(L)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포커싱 렌즈(154)는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통형 렌즈(cylindrical lens)일 수 있으며, 레이저 빔(L)의 광선 폭을 일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반도체 칩(110)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포커싱 렌즈(154)가 레이저 빔(L)의 폭을 반도체 칩(110) 상면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반도체 칩(110) 사이즈의 길이 방향은 스캔 미러(155)의 스캔 각도에 의하여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레이저 빔(L)의 스캔이 가능하여 진다.
또한, 반도체 칩(110)의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 반도체 칩(110)과 본딩되는 기판(120)과의 위치 정렬 결과에 따른 오프셋 값을 보정하면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본딩 스테이지(140)의 스트로크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본딩 스테이지(140)를 정밀하게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 미러(155)와 상기 반도체 칩(110) 사이의 광 경로에는 선 속도 균일용 렌즈(156)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선 속도 균일용 렌즈(156)는 레이저 빔(L)이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L)을 굴절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스캔 미러(155)를 통하여 스캔되는 레이저 빔(L)은 각 운동을 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반도체 칩(110)에 투영되는 선 속도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반도체 칩(110)에 주사되는 광량은 선 속도에 비례하므로, 동일한 각 속도로 레이저 빔(L)이 반도체 칩(110)에 조사된다면 레이저 빔(L)의 선 속도가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반도체 칩(110) 표면에 주사되는 광량은 각각의 위치마다 다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 속도 균일용 렌즈(156)를 스캔 미러(155) 후방에 배치시켜서, 레이저 빔(L)의 상기 반도체 칩(110) 표면에서의 직선 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서 광의 불균일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156)는 본딩 헤드(130) 내측에 형성된 픽업 유로(1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온 레이저 빔(L)을 상기 렌즈 조립체(153)까지 전달하는 광섬유(15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캔 미러 구동부(165) 및 레이저 구동부(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캔 미러 구동부(165)는 상기 스캔 미러(155)를 구동하고, 레이저 구동부(162)는 레이저 광원(152)을 구동한다. 즉, 스캔 미러 구동부(165)는, 반도체 칩(110)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L)이 반도체 칩(110)과 동일한 사이즈로 스캔되도록 스캔 미러(155)를 구동하고, 레이저 구동부(162)는 레이저 빔(L)이 필요한 시간만큼 필요한 파워로 레이저 광원(152)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캔 미러 구동부(165)와 레이저 구동부(162)는 구동 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레이저 빔(L)은 상기 반도체 칩(110)을 투과할 수 있는 파장을 갖는 적외선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반도체 칩(110)을 투과하도록 레이저 빔(L)이 실리콘(Si) 계열의 약 1064㎚의 특수 파장을 가지고, 레드(red)에 가까운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선택될 수 있다. 즉, 레이저 빔(L)을 반도체 칩(110)에서 전도성 범프(115)가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조사하여 레이저의 에너지가 반도체 칩(110)과 전도성 범프(115)를 가열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압착 방식의 플립 칩 본딩 방법은 반도체 칩(110) 또는 기판(120)의 접속 패드의 어느 한 쪽 뿐만 아니라 양쪽 모두에 형성된 전도성 범프(115)를 접속할 때에도 레이저 빔(L)을 이용하여 반도체 칩(110)과 전도성 범프(115)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5의 반도체 칩 가열 기구가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200)는 본딩 스테이지(140)와, 본딩 헤드(130)와, 반도체 칩 가열 기구(250)를 구비하고, 이 경우 반도체 칩 가열 기구 (250)는 레이저 광원(152)과, 제1 스캔 미러(255a)와, 제2 스캔 미러(255b)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딩 스테이지(140)와, 레이저 광원(15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요소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제1 스캔 미러(255a)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L)을 굴절시킨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빔(L)이 굴절되는 각도는 상기 제1스캔 미러(255a)의 회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변경된다.
제2 스캔 미러(255b)는 제1축과 방향이 다른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로부터 나오는 레이저 빔(L)을 반도체 칩(110) 상면으로 조사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L)은 상기 제2 스캔 미러(255b)가 회전함에 따라서 반도체 칩(110) 상면으로 굴절되는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경하게 되며, 이로서 상기 레이저 빔(L)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반도체 칩(110)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된다.
하나의 스캔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방향, 즉 1차원적 스캔이 가능하다. 따라서 반도체 칩(110)의 사이즈가 큰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스캔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제1 스캔 미러(255a) 및 제2 스캔 미러(255b)를 사용하는 경우 2차원적 스캔이 가능하므로 반도체 칩(110) 상면의 각 부위를 스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L)을 확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 산 미러(25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의 회전축인 제1축과, 제2 스캔 미러(255b)의 회전축인 제2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이 X축으로서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가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서 레이저 빔(L)이 Y축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고, 제2축이 Y축으로서 상기 제2 스캔 미러(255b)가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서 레이저 빔(L)이 X축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레이저 빔(L)이 반도체 칩(110) 상면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스캔할 수 있음으로써 반도체 칩(1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반도체 상면에 고르게 스캔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빔(L)이 고속으로 반복 스캔하게 되면 시간 평균(time average)효과에 의하여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L)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되돌아가서, 상기 반도체 칩 가열 기구(250)는 포커싱 렌즈(2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포커싱 렌즈(254)는 상기 레이저 광원(152)과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 사이의 광 경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접합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 빔(L)의 크기를 제어한다.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에 구비된 포커싱 렌즈(254)와 기능 및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상기 포커싱 렌즈(254)까지 레이저 빔(L)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섬유(257)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광섬유(163)가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상기 제1 스캔 미러(255a)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립 칩 본딩 장치(200)는 선 속도 균일용 렌즈(2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선 속도 균일용 렌즈(256)는 상기 제2 스캔 미러(255b)와 상기 반도체 칩(110)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것으로, 레이저 빔(L)이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 동일한 각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L)을 굴절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100)에 구비된 선 속도 균일용 렌즈(256)와 그 기능 및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256)는 상기 본딩 헤드(13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립 칩 본딩 장치(200)는 스캔 미러 구동부(165) 및 레이저 구동부(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캔 미러 구동부(165)는 상기 제1, 2 스캔 렌즈를 구동하고, 레이저 구동부(162)는 상기 레이저 광원(152)을 구동하며, 이 스캔 미러 구동부(165) 및 레이저 구동부(162)는 구동 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장치(20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렌즈(158)가 배치되어서 레이저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본딩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10a 내지 도 10c에는 상기 플립 칩 본딩 방법의 각 단계가 되시되어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플립 칩 본딩 방법은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S10)와,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방출 하는 단계(S20)와,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조사하는 단계(S30)와, 상기 반도체 칩을 가열하면서 상기 반도체 칩과 기판 사이를 접합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8, 도 9과 함께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플립 칩 본딩 방법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20)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본딩 스테이지(140)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비전 시스템(vision system, 미도시)에서 기판(120)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127)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반도체 칩(110)은 본딩 헤드(130) 내부의 픽업 유로(132)를 통해 본딩 헤드(130)의 하단 면에 진공 흡착되고, 본딩 헤드(130)의 이동에 의해기판(120)의 위에서 위치 정렬되어 진다. 이 경우에도 비전 시스템(미도시)에 의하여 반도체 칩(110)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117)를 인식하여 반도체 칩(110)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로 기판(120)과 반도체 칩(110) 간의 상대적인 위치 오프셋(offset)을 구하고 이를 보정하여 본딩 헤드(130)가 하강하여서 반도체 칩(110)의 전도성 범프(115)가 기판(120)의 전극(125) 위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레이저 빔(L)을 외부로 조사하는 단계(S20) 및 상기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빔(L)을, 그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 경우, 도 10b와 함께 도 9을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152)으로부터의 레이 저 빔(L)은 광섬유(163)의 가이드를 받아서 포커싱 렌즈(154)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포커싱 렌즈(154)를 통과하면서 레이저 빔(L)의 크기가 결정된다(S31).
이 포커싱 렌즈(154)를 통과한 레이저 빔(L)은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155)를 통과하면서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되게 된다. 이 때에 상기 스캔 미러(155)는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스캔 미러(155)가 회전함에 따라서 레이저 빔(L)의 상기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되는 조사 중심이 연속적으로 변경된다(S32).
이 경우, 상기 포커싱 렌즈(154)를 통과한 레이저 빔(L)이 두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미러가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 렌즈(154)를 통과한 레이저 빔(L)이 제1 스캔 미러(255a)를 통과하면서 Y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캔하게 되고, 제1 스캔 미러(255a)를 통과하면서 레이저 빔(L)이 X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캔하게 된다.
한편, 반도체 칩(110) 사이즈는 얼라인 마크(117) 인식 시에 이미 구동 제어부(160)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구동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스캔 미러 구동부(165)가 상기 스캔 미러(155)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 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구동 제어부(160)는 레이저 구동부(162)를 제어하여서 필요한 시간만큼, 필요한 파워로 레이저 빔(L)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스캔 미러(155)에 의하여 굴절된 레이저 빔(L)은 선 속도 균일용 렌즈(156)에 의하여 반도체 칩(110) 상면으로 향하는 선 속도가 균일하게 되고 (S33), 따라서 균일한 선 속도로 레이저 빔(L)이 반도체 칩(110) 상면에 조사 중심을 다르게 하면서 연속적으로 스캔 하게 된다(S34). 이 때에 레이저 빔(L)을 고속으로 반복 스캔 하게 되면, 시간 평균 효과에 의하여 반도체 칩(110)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량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레이저 빔(L)은 반도체 칩(110)을 투과하여 반도체 칩(110)과 기판(120) 위에 있는 전도성 범프(115)에서 열 에너지로 변환되고, 반도체 칩(110) 및 기판(120)에 설치한 전도성 범프(115)가 접촉한 상태에서 레이저 빔(L)의 출력은 전도성 범프(115)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본딩 헤드(130)가 반도체 칩(110)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레이저 빔(L)에 의하여 전도성 범프(115)가 가열되면서 가압되어서 기판(120)과 전극이 접합된다(S40).
그 다음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딩 헤드(130)를 통한 레이저 빔(L)의 조사를 중단하여 전도성 범프(115)가 냉각하면 반도체 칩(110)의 온도가 저하되고 이것에 의해 전도성 범프(115)가 고화되면 반도체 칩(110)의 흡착용 진공을 해제함과 동시에 본딩 헤드(130)를 상승시켜서 플립 칩 본딩을 완료한다.
한편, 기판 및 반도체 칩은 기판(120) 상에 도포된 열 경화 수지(미도시)를 이용하여 플립 칩 본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도체 칩(110)과 기판(120)의 단자부들 사이의 열적 결합이 일어나고 연속해서 열 경화 수지가 반도체 칩(110)과 기판(120)의 가열에 의해 동시에 접착면 내에서 경화되면 외부로부터 부식 영향 방지를 위해 반도체 칩(110)과 기판(120) 사이의 갭을 밀봉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가 필요 없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플립 칩과 범프를 빠르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온도에 민감한 기판이 사용될 때에도 높은 생산성과 접합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이 반도체 칩 상면 전부에 고르게 변경됨으로써, 반도체 칩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불규칙적인 가열에 따른 반도체 칩의 뒤틀림 등의 문제를 미연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도체 칩의 사이즈에 맞추어 스캔 미러를 회전시키면서 조사함으로써 본딩 스테이지의 스트로크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따라서 본딩 스테이지를 정밀하게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기판이 안착되는 본딩 스테이지;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본딩 헤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온도를 접합 온도까지 가열하는 반도체 칩 가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칩 가열 기구는:
    레이저 광원; 및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변경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으로 굴절하여 조사하는 렌즈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光 經路) 상에 형성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으로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 및
    상기 스캔 미러와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시키는 선 속도 균일용 렌즈를 포함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스캔 미러 사이의 광 경로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칩의 접합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 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포커싱 렌즈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는 상기 본딩 헤드 내측에 배치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미러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까지 상기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8. 기판이 안착되는 본딩 스테이지;
    반도체 칩을 픽업하여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본딩 헤드; 및
    상기 반도체 칩의 온도를 접합 온도까지 가열하는 반도체 칩 가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칩 가열 기구는:
    레이저 광원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온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스캔 미러와;
    상기 제1 스캔 미러로부터 나온 상기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되어서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1축과 다른 방향의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스캔 미러와;
    상기 제2 스캔 미러와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각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시키는 선 속도 균일용 렌즈를 포함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가열 기구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제1 스캔 미러 사이의 광 경로에 형성되어서 상기 접합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 빔의 크기를 제어하는 포커싱 렌즈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상기 포커싱 렌즈까지 상기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선 속도 균일용 렌즈는 상기 본딩 헤드 내측에 배치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캔 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캔 미러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스캔 미러까지 상기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형성하는 광섬유를 더 구비하는 플립 칩 본딩 장치.
  16.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중심 위치가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기판의 접합 부위를 가열하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가 상기 레이저 빔의 굴절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 미러를 통과한 상기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립 칩 본딩 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과 상기 반도체 칩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된 두 개의 스캔 미러를 통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2번 굴절시키는 플립 칩 본딩 방법.
  19. 삭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캔 렌즈 및 상기 레이저 광원이 연동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플립 칩 본딩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칩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립 칩 본딩 방법.
  22. 반도체 칩과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칩의 사이즈에 맞추어 레이저 빔의 폭을 조절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스캔 미러를 사용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연속적으로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스캔 미러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 상기 반도체 칩 상면에 동일한 선 속도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굴절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에 고르게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칩과 기판의 접합 부위를 가열하며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칩 본딩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렌즈 및 상기 레이저 광원을 연동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칩 본딩 방법.
KR1020050073738A 2005-08-11 2005-08-11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Active KR10111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38A KR101113850B1 (ko) 2005-08-11 2005-08-11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US11/292,042 US7464850B2 (en) 2005-08-11 2005-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flip-chip bonding
CNB200610005941XA CN100552908C (zh) 2005-08-11 2006-01-19 用于倒装芯片接合的方法和装置
TW095103981A TWI389280B (zh) 2005-08-11 2006-02-07 覆晶黏結的方法與裝置
US12/247,312 US7816179B2 (en) 2005-08-11 2008-10-08 Method and apparatus for flip-chip bon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38A KR101113850B1 (ko) 2005-08-11 2005-08-11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11A KR20070019811A (ko) 2007-02-15
KR101113850B1 true KR101113850B1 (ko) 2012-02-29

Family

ID=3772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738A Active KR101113850B1 (ko) 2005-08-11 2005-08-11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64850B2 (ko)
KR (1) KR101113850B1 (ko)
CN (1) CN100552908C (ko)
TW (1) TWI38928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20B1 (ko) * 2013-11-14 2014-07-09 (주)정원기술 레이저 압착 방식의 플립 칩 본딩을 위한 레이저 옵틱 장치
KR20170006343A (ko) 2015-07-07 2017-01-18 주식회사 프로텍 플립칩 본딩 장치 및 방법
KR20200049970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얼라인헤드를 포함하는 본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29B1 (ko) * 2007-04-24 2012-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 가열장치, 이를 구비한 플립 칩 본더 및 이를 이용한플립 칩 본딩 방법
TWI430937B (zh) * 2007-05-20 2014-03-21 Zamtec Ltd 自托持基板移除微機電系統(mems)之方法
KR100838089B1 (ko) * 2007-07-30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 기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US8168920B2 (en) * 2007-09-11 2012-05-01 Shibuya Kogyo Co., Ltd. Bonding device
JP4880561B2 (ja) * 2007-10-03 2012-02-22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リップチップ実装装置
TW200947641A (en) * 2008-05-15 2009-11-16 Gio Optoelectronics Corp Die bonding apparatus
DE102009017659A1 (de) * 2009-04-16 2010-10-28 Schott Ag Verfahren zur leitenden Verbindung eines Bauelementes auf einem transprenten Substrat
US9161448B2 (en) 2010-03-29 2015-10-13 Semprius, Inc. Laser assisted transfer welding process
TWI543264B (zh) * 2010-03-31 2016-07-2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雷射光束定位系統
CN102315134B (zh) * 2010-07-08 2013-05-01 技鼎股份有限公司 快速升降温覆晶方法
KR101933549B1 (ko) * 2011-07-06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반도체 칩의 제거장치 및 그의 제거방법
US9412727B2 (en) 2011-09-20 2016-08-09 Semprius, Inc. Printing transferable components using microstructured elastomeric surfaces with pressure modulated reversible adhesion
US8546802B2 (en) * 2011-11-07 2013-10-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ick-and-place tool for packaging process
KR101278043B1 (ko) * 2012-01-20 2013-06-24 주식회사 엘티에스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실링장치
JP6064388B2 (ja) * 2012-06-28 2017-01-25 澁谷工業株式会社 ボンディングヘッド
JP6217902B2 (ja) * 2013-05-31 2017-10-25 澁谷工業株式会社 ボンディング装置
KR102135406B1 (ko) * 2013-07-10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102207674B1 (ko) * 2013-11-27 2021-01-25 토레이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3차원 실장 방법 및 3차원 실장 장치
TW201540611A (zh) * 2014-04-23 2015-11-01 Beac Co Ltd 構件貼附裝置
KR102085212B1 (ko) 2014-07-20 2020-03-05 엑스-셀레프린트 리미티드 마이크로-전사 인쇄를 위한 장치 및 방법들
US9704821B2 (en) 2015-08-11 2017-07-11 X-Celeprint Limited Stamp with structured posts
WO2017115512A1 (ja) * 2015-12-28 2017-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生体認証装置
KR102059421B1 (ko) * 2016-01-06 2019-12-26 야마하 모터 로보틱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실장 장치
EP3355342A1 (en) 2017-01-27 2018-08-01 Detection Technology Oy Laser assisted solder bonding of direct conversion compound semiconductor detector
KR101975103B1 (ko) * 2017-06-20 2019-05-03 주식회사 프로텍 플립칩 레이저 본딩 장치 및 플립칩 레이저 본딩 방법
KR20180137888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프로텍 반도체 칩 본딩 장치 및 반도체 칩 본딩 방법
CN108024392B (zh) * 2018-01-04 2024-01-12 承德福仁堂保健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采用半导体芯片由内部加热石材的装置
KR102047445B1 (ko) * 2018-02-05 2019-11-21 레이저쎌 주식회사 전자소자의 본딩 및 디본딩 장치
US10748793B1 (en) 2019-02-13 2020-08-18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inting component arrays with different orientations
TW202119533A (zh) * 2019-11-04 2021-05-16 台灣愛司帝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晶片吸附功能的晶片承載結構
TWI751449B (zh) * 2019-11-12 2022-01-01 博隆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雷射加工佈線方法
CN110752164B (zh) * 2019-11-20 2025-02-18 西北电子装备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研究所) 芯片与基板对位及精调平的显微激光系统
US11410961B2 (en) 2020-03-17 2022-08-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modification in bonding stacked microelectronic components and related substrates and assemblies
KR102394825B1 (ko) 2020-04-23 2022-05-06 주식회사 프로텍 빅셀 소자를 이용한 플립칩 본딩 장치
CN111730204B (zh) * 2020-06-11 2022-03-08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焊接吸嘴及激光焊枪
KR102363436B1 (ko) * 2020-07-14 2022-02-15 주식회사 엠아이이큅먼트코리아 반도체 칩의 레이저 컴프레션 본딩장치 및 본딩방법
US11829077B2 (en) 2020-12-11 2023-11-28 Kl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t bonding overlay
US11782411B2 (en) 2021-07-28 2023-10-10 Kl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verlay distortion patterns caused by a wafer bonding tool
KR102537573B1 (ko) * 2023-01-27 2023-05-30 주식회사 엠아이이큅먼트코리아 플립 칩 레이저 본딩장치의 본딩 툴
WO2024167658A1 (en) * 2023-02-07 2024-08-15 Mrsi Systems Llc Die placement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substra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997A (en) * 1987-07-16 1989-01-25 Toshiba Corp Method of soldering electronic component
JPH06120654A (ja) * 1992-08-17 1994-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ード接合装置およびリード接合構造
KR20010032305A (ko) * 1997-11-20 2001-04-16 자켈 엘케 두 기판의 접속 표면의 열접속 방법 및 장치
US6849825B2 (en) 2001-11-30 2005-0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5911A (en) * 1971-04-30 1973-05-29 Ibm Integrated circuit chip repair tool
US4627151A (en) * 1984-03-22 1986-12-09 Thomson Components-Mostek Corporation Automatic assembly of integrated circuits
JPH0630365B2 (ja) * 1986-06-12 1994-04-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フリツプチツプの実装方法
US5090609A (en) * 1989-04-28 1992-02-25 Hitachi, Ltd. Method of bonding metal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said method of bonding metals
JPH03264159A (ja) * 1990-03-12 1991-11-25 Fuji Electric Co Ltd レーザはんだ付け装置
JPH0618433A (ja) 1992-06-30 1994-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方法
JP3416091B2 (ja) * 2000-01-21 2003-06-16 株式会社新川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JP3646687B2 (ja) 2001-10-16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リップチップの実装装置およびフリップチップの実装方法
CN100395897C (zh) * 2003-08-08 2008-06-18 厦门三安电子有限公司 一种氮化物器件倒装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997A (en) * 1987-07-16 1989-01-25 Toshiba Corp Method of soldering electronic component
JPH06120654A (ja) * 1992-08-17 1994-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ード接合装置およびリード接合構造
KR20010032305A (ko) * 1997-11-20 2001-04-16 자켈 엘케 두 기판의 접속 표면의 열접속 방법 및 장치
US6849825B2 (en) 2001-11-30 2005-0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20B1 (ko) * 2013-11-14 2014-07-09 (주)정원기술 레이저 압착 방식의 플립 칩 본딩을 위한 레이저 옵틱 장치
KR20170006343A (ko) 2015-07-07 2017-01-18 주식회사 프로텍 플립칩 본딩 장치 및 방법
KR20200049970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얼라인헤드를 포함하는 본딩장치
KR102134169B1 (ko) 2018-10-30 2020-07-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얼라인헤드를 포함하는 본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3115A (zh) 2007-02-14
TWI389280B (zh) 2013-03-11
US7464850B2 (en) 2008-12-16
CN100552908C (zh) 2009-10-21
KR20070019811A (ko) 2007-02-15
US20070037318A1 (en) 2007-02-15
US7816179B2 (en) 2010-10-19
TW200707688A (en) 2007-02-16
US20090035891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850B1 (ko) 플립 칩 본딩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플립 칩 본딩 장치
KR101143838B1 (ko) 플립 칩 본딩 방법
KR101165029B1 (ko) 칩 가열장치, 이를 구비한 플립 칩 본더 및 이를 이용한플립 칩 본딩 방법
JP4880561B2 (ja) フリップチップ実装装置
JP7406911B2 (ja) レーザーリフロー装置、及び、レーザーリフロー方法
KR101950725B1 (ko) 광 균질화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이저 본딩장치
KR102208495B1 (ko) 플립칩 본딩 장치
US20090129412A1 (en) Apparatus for bonding camera module, equipment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hav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camera module using the equipment
KR20190100777A (ko) 플립칩 본딩 장치 및 방법
JP6275025B2 (ja) 光ファイバの実装部品、光モジュールおよび製造方法
JP2008153366A (ja) 接合装置による接合方法
KR100936781B1 (ko) 플립칩 본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립칩 본딩방법
KR20060057098A (ko) 본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플립칩 본딩장치
JPH09162248A (ja) ボンディングツール及びボンディング装置
US202401781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ip chip laser bonding
KR20060085523A (ko) 레이저를 이용한 고출력 엘이디의 패키징 장치
JP7573065B1 (ja) ボンディングヘッドおよびボンディング装置
KR20230131125A (ko)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KR20230123883A (ko)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JP2020065004A (ja) 実装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